KR20190046303A -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 Google Patents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303A
KR20190046303A KR1020170139940A KR20170139940A KR20190046303A KR 20190046303 A KR20190046303 A KR 20190046303A KR 1020170139940 A KR1020170139940 A KR 1020170139940A KR 20170139940 A KR20170139940 A KR 20170139940A KR 20190046303 A KR20190046303 A KR 2019004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s
conductor
fastening
power supply
trans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528B1 (ko
Inventor
고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3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송변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도전체(10)와; 도전체(10)의 양단에 맞대어지는 절연체(20,20'); 및 절연체(20,20')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체(20,20')와 함께 도전체(10)를 감싸 보호하며 외부에서 송변전선(L)의 결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제조된 연결관(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변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예: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볼트)이 전혀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한층 더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가 용이해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절연체와 연결관이 동시에 체결되거나 풀리게 되는 구조이므로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신속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Connector for linking of electric supply and transformation lines}
본 발명은 송변전소의 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송변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는 해소되었지만, 송변전선의 연장이 쉽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관리자가 외부에서 유관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어려웠으며, 침투수의 유입시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하게 되면서 누전 및 합선과 안전사고에 매우 취약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1061호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관으로 결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시설물관리가 용이하며, 각 부재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 작업이 편리한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을 통해 각각 인입된 송변전선의 단부가 만곡되면서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제1삽입부와, 제1삽입부에 인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도전체;
둘레면에 제1체결부를 갖추고서 도전체의 양단에 각각 맞대어지되, 제1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왼나사이고, 나머지 하나는 오른나사인 원형블록과, 원형블록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부에 삽입시 압축되어 고정블록을 밀도록 된 고무재질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한 쌍의 절연체;
양단부 내주면에 제1체결부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를 갖추고서 제2체결부를 매개로 고정블록의 제1체결부와 상호 체결되어 고정블록과 함께 도전체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변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예: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볼트)이 전혀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한층 더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가 용이해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체와 연결관이 동시에 체결되거나 풀리게 되는 구조이므로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신속해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연결관과 절연체 간의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시 탄성부재가 도전체의 결합부에 항시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재 간에 헛도는 방지하여 작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결합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면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반대급부로 고정블록을 밀어줌에 따라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 간의 체결력을 보다 극대화시켜 절연체와 연결관 간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커넥터는, 도전체(10)와 한 쌍의 절연체(20,20') 및 연결관(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쉽고 간편하게 송변전선(L)을 상호 연결시켜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체(10)는 송변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부재이다.
상기 도전체(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송변전선(L)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1삽입부(11)에 인접되게 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11)는 도전체(10)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입된 송변전선(L)의 단부가 만곡되면서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부(11)는‘⊃’형상과‘⊂’형상이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삽입부(11)로 인입된 송변전선(L)은 도전체(10)의 외면(둘레면)으로 노출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삽입부(11)에 송변전선(L)을 삽입하게 되면, 송변전선(L)은 제1삽입부(1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형상(또는‘⊂’형상)으로 만곡되면서 고리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송변전선(L)을 강하게 잡아당기더라도 송변전선(L)이 고리형태를 이루고 있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이 송변전선(L)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예: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볼트)이 전혀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한층 더 단순해지므로 제조가 용이해지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20,20')는 이형재질(異形材質)로 제작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도전체(10)의 양단에 각각 맞대어져 연결관(30)과 함께 도전체(10)의 이탈을 방지 및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체(20,20')는 합성수지재질의 원형블록(21)과 고무재질의 탄성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원형블록(21)은 둘레면(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체결부(21a)와, 제1삽입부(11)와 상호 연통되는 제2삽입부(21b)을 구비한다.
상기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 중 어느 하나에는 왼나사를, 나머지 하나에는 오른나사를 형성해 주었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원형블록(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부(12)에 삽입시 압축되고 복원력에 의해 고정블록(21)을 밀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도전체(10)를 연결관(30)에 삽입하고, 도전체(10)의 양단에 상기 절연체(20,20')를 각각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0)을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 중 어느 하나가 왼나사이고, 나머지 하나가 오른나사이기 때문에 연결관(30)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거나 풀리게 되므로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신속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30)과 고정블록(21) 간의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시 탄성부재(22)가 도전체(10)의 결합부(12)에 항시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재 간에 헛도는 방지하여 작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12)에 탄성부재(22)가 삽입시 탄성부재(22)가 압축되면서 반대급부로 고정블록(21)을 밀어 줌에 따라 제1체결부(21a)와 제2체결부(31) 간의 체결력을 보다 극대화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절연체(20,20')와 연결관(30) 간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30)은 외부에서 도전체(10)에 결속된 송변전선(L)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조된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절연체(20,20') 사이에 배치되며 도전체(10)를 절연체(20,20')와 함께 감싸 도전체(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관(30)의 양단부 내주면(내부 둘레면)에는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왼나사 또는 오른나사)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가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라면, 연결관(30)의 왼쪽과 오른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2체결부(31) 역시 이에 대응되게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각각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연결관(30)의 양단에 절연체(20,20')를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연결관(30)을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관(30)의 제2체결부(31)와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가 상호 체결되면서 절연체(20,20')가 도전체(10)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도전체(10)가 절연체(20,20') 및 연결관(30)에 의해 감싸져 보호된다.
이와 같이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와 연결관(30)의 제2체결부(31)를 서로 대응되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결합작업 및 분리작업이 매우 단순해져 작업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30)을 투명을 제작하여 송변전선(L)의 결속상태를 외부에서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물관리가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변전선(L)을 절연체(20,20')의 제2삽입부(21b)로 관통시켜 주고, 관통된 송변전선(L)을 투명한 연결관(30)에 끼워진 도전체(10)의 제1삽입부(11)로 인입시켜 주게 되면, 제1삽입부(11)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송변전선(L)이 만곡되면서 고리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송변전선(L)이 도전체(10)에 결속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0)을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관(30)의 제2체결부(31)와 절연체(20,20')의 제1체결부(21a)가 상호 체결되면서 절연체(20,20')가 도전체(10)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도전체(10)가 절연체(20,20') 및 연결관(30)에 의해 감싸져 보호된다.
특히, 상기 연결관(30)과 절연체(20,20') 간의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시 탄성부재(22)가 도전체(10)의 결합부(12)에 항시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재 간에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에 탄성부재(22)가 삽입시 탄성부재(22)가 압축되면서 반대급부로 절연체(20,20')를 밀어줌에 따라 제1체결부(21a)와 제2체결부(31) 간의 체결력을 보다 극대화시켜 줄 수 있어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도전체 11: 제1삽입부 12: 결합부
20,20': 절연체 21: 원형블록 21a: 제1체결부
21b: 제2삽입부 22: 탄성부재 30: 연결관
31: 제2체결부 L: 송변전선

Claims (1)

  1. 양단을 통해 각각 인입된 송변전선(L)의 단부가 만곡되면서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제1삽입부(11)와, 제1삽입부(11)에 인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2)를 구비하는 도전체(10);
    둘레면에 제1체결부(21a)를 갖추고서 도전체(10)의 양단에 각각 맞대어지되, 제1체결부(21a) 중 어느 하나는 왼나사이고, 나머지 하나는 오른나사인 원형블록(21)과, 원형블록(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부(12)에 삽입시 압축되어 고정블록(21)을 밀도록 된 고무재질의 탄성부재(22)로 구성된 한 쌍의 절연체(20,20');
    양단부 내주면에 제1체결부(21a)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31)를 갖추고서 제2체결부(31)를 매개로 고정블록(21)의 제1체결부(21a)와 상호 체결되어 고정블록(21)과 함께 도전체(10)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연결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KR1020170139940A 2017-10-26 2017-10-26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KR10206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940A KR102067528B1 (ko) 2017-10-26 2017-10-26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940A KR102067528B1 (ko) 2017-10-26 2017-10-26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03A true KR20190046303A (ko) 2019-05-07
KR102067528B1 KR102067528B1 (ko) 2020-01-17

Family

ID=6665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940A KR102067528B1 (ko) 2017-10-26 2017-10-26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799B1 (ko) * 2023-06-30 2023-10-23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7B1 (ko) * 2008-01-24 2008-09-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송전 또는 배전선 이음 장치.
KR20100008552A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신호의 위상 조정이 가능한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031061B1 (ko) 2011-02-15 2011-04-25 오대영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KR101522011B1 (ko) * 2014-12-18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JP2016500195A (ja) * 2012-09-14 2016-01-07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ツェーオー カーゲーPhoenix Contact Gmbh & Co Kg スリーブシ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7B1 (ko) * 2008-01-24 2008-09-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송전 또는 배전선 이음 장치.
KR20100008552A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신호의 위상 조정이 가능한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031061B1 (ko) 2011-02-15 2011-04-25 오대영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JP2016500195A (ja) * 2012-09-14 2016-01-07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ツェーオー カーゲーPhoenix Contact Gmbh & Co Kg スリーブシール
KR101522011B1 (ko) * 2014-12-18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799B1 (ko) * 2023-06-30 2023-10-23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28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52328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CN108475889A (zh) 大功率电连接器
US9645341B2 (en) Cable assembly with connector having twist ability for aligning mating features
US20140057490A1 (en) Integrated compression connector
US4874335A (en) Cable assembly for mineral mining installations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200477717Y1 (ko)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KR20190046303A (ko)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CA1124347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nduit
KR101347761B1 (ko)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KR101905156B1 (ko) 신속한 이상확인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고정장치
KR100866530B1 (ko)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N208889896U (zh) 连接端子及可分离式连接器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RU2641892C2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кожух для разбор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KR102532797B1 (ko)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KR20190093452A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선 연결장치
KR1015574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571469B1 (ko)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KR102640069B1 (ko) 지상개폐기용 스터드 볼트 구조체
CN211150825U (zh) 可伸缩电缆器及电缆组件
CN210779019U (zh) 一种方便安装连接的电流电源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7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126

Effective date: 201909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