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530B1 -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530B1
KR100866530B1 KR1020080050583A KR20080050583A KR100866530B1 KR 100866530 B1 KR100866530 B1 KR 100866530B1 KR 1020080050583 A KR1020080050583 A KR 1020080050583A KR 20080050583 A KR20080050583 A KR 20080050583A KR 100866530 B1 KR100866530 B1 KR 10086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cable
lower hinge
fastened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건창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창기술단 filed Critical (주)건창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5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통체로 좌우로 양분되어 일측단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하측힌지날개의 전후방측 선단에는 각각 전후방측체결볼트가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단에는 상하측힌지날개가 안착되는 안착요부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후방측체결볼트가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을 갖고, 상면전후방측으로는 밀폐링이 안착되며, 전후방측 내주연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링이 안착되어 삽입되는 전후방측배전선로의 피복이 밀폐되는 링홈이 형성되고, 내주연 중심에는 전후방측을 밀폐시키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차단벽 상하단에는 내주연 전후방측으로 전후방측배전선로의 심재를 유입안내하는 안내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주연 중심측에서 내측으로는 삽입공을 갖되 삽입공 전후방측에는 앵커볼트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좌우측접속틀과; 상기 좌우측접속틀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차단벽이 삽입되는 벽삽입홈을 갖고 좌우측 선단에 각각 위치되어 차단벽 전후방측에서 전후방측배전선로의 심재와 각각 밀착되어 통전되는 전후방측통전대를 갖으며 전후방측 내측에 각각 도체인 전후방측작동관이 각각 삽입되되 전후방측작동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서 내측으로 탄발되는 통전볼트를 갖고 통전볼트 선단은 전후방측작동관을 관통되어 상기 전후방측통전대에 체결고정되어 통전되며 상기 전후방측작동관은 통전연결선에 의해 통전이 이루어지는 통전몸체가 형성되고, 통전몸체 외측단에는 덮개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되 전후방측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각각 관통되는 앵커공을 갖고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좌우측통전틀을 구비하는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상하단에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에 의해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좌우측통전틀에 의해 좌우측케이블이 밀폐되게 접속통전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좌우측통전단자에 의해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좌우측접속틀, 좌우측통전틀

Description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Cable connecting case for electric supply line to connect wires easily insid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상하단에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에 의해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좌우측통전틀에 의해 좌우측케이블이 밀폐되게 접속통전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좌우측통전단자에 의해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하는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을 위해 사용되는 송전 케이블은 전체가 하나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이렇게 배전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은 취급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 백미터 단위로 절단하여 케이블드럼에 감아 출하되기 때문에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긴 배전선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의 케이블들을 서로 연결하여야 하고, 이때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접속함을 사용하게 된다.
통상 사용되는 케이블로는 폴리에틸렌 절연전선이 보편적인데,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케이블은 최근 더욱더 고압선로에 적용되어 가는 경향이다. 실제적으로, 위와 같은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는 변전소에서 수용가로의 전력수송에는 반드시 케이블들 사이에 접속함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속함은 외함 내부에 케이블들의 도체들을 결선하는 도체슬리브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 내부공간의 중간지점에는 외함의 양측으로 삽입된 케이블들의 나선도체들이 도체슬리브로 결속되어 위치하고 있다. 외함은 그 기다란 길이방향의 전후단에 각각 케이블들이 진입되는 진입구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위가 클로버형상을 하고 있다. 이때, 케이블들의 나선도체를 감싸고 있는 도체슬리브의 외면은 클로버형 내부반도전층의 요입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대략 원형을 이루는 도체슬리브의 외면과 내부반도전층의 4개의 요입부가 접촉하고 있다. 내부반도전층은 도체슬리브에 집중한 전계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연결한 케이블도체들을 통해 전류가 잘 흐르도록 한다. 내부반도전층의 외부에는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고, 그 외면에는 다시 외부반도전층이 적층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기존의 접속함은 두 개의 케이블을 결선하기 위해서 먼저 케이블들의 단부에서 피복을 벗겨내고 일측 케이블에 외함을 끼운 다음, 그 노출된 케이블도체들을 맞대고 그 위에 도체슬리브를 씌운 후 압착기로 케이블도체들과 도체슬리브를 압착하여 결합한다. 그리고나서, 일측 케이블에 끼워진 외함을 도체슬리브로 결속된 나선도체 부위를 향하여 밀어서 위치시키면 접속함의 케이블연결작업이 끝나게 된다. 외함은 다층구조의 재질들이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체슬리브를 외함 내로 압입하면 그 내부공간으로 도체슬리브가 진입하게 되고, 대략 그 중간지점에 위치하면 클로버형상의 내부반도전층의 요입부들과 탄성접촉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기존 접속함은 케이블도체들을 맞댄 상태에서 도체슬리브를 씌워 압착기로 압착하여 결선하므로 결선에 압착기와 같은 도구가 필요하고 압착시 큰 힘이 소요되어 작업이 힘든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함은 그 중간부위의 단면이 클로버형상으로 형상화되므로 성형제작이 어렵고, 요입부의 내부곡률반경이 작아 이 부위에서 전계강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압착기로 도체슬리브를 압착하므로 매끄럽고 정확한 방사형을 이루기 어려워 도체슬리브의 외면과 외함의 내부반도전층의 접촉이 일정하지 않아 동심원방향으로 균일한 전계강도를 유도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한쪽으로 전계가 집중되어 외함이 절연파괴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도체슬리브의 압착시 실수 가능성이 높으며, 이렇게 압착된 도체슬리브의 단부가 돌출할 경우 외함에 압입시 외함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상하단에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에 의해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좌우측통전틀에 의해 좌우측케이블이 밀폐되게 접속통전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좌우측통전단자에 의해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하는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통체로 좌우로 양분되어 일측단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하측힌지날개의 전후방측 선단에는 각각 전후방측체결볼트가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단에는 상하측힌지날개가 안착되는 안착요부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후방측체결볼트가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을 갖고, 상기 각 안착요부 전후방측으로는 밀폐링이 각각 안착되며, 전후방측 내주연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링이 안착되어 삽입되는 전후방측배전선로의 피복이 밀폐되는 링홈이 형성되고, 내주연 중심에는 전후방측을 밀폐시키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차단벽 상하단에는 내주연 전후방측으로 전후방측배전선로의 심재를 유입안내하는 안내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주연 중심측에서 내측으로는 삽입공을 갖되 삽입공 전후방측에는 앵커볼트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좌우측접속틀과;
상기 좌우측접속틀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차단벽이 삽입되는 벽삽입홈을 갖고 좌우측 선단에 각각 위치되어 차단벽 전후방측에서 전후방측배전선로의 심재와 각각 밀착되어 통전되는 전후방측통전대를 갖으며 전후방측 내측에 각각 도체인 전후방측작동관이 각각 삽입되되 전후방측작동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서 내측으로 탄발되는 통전볼트를 갖고 통전볼트 선단은 전후방측작동관을 관통되어 상기 전후방측통전대에 체결고정되어 통전되며 상기 전후방측작동관은 통전연결선에 의해 통전이 이루어지는 통전몸체가 형성되고, 통전몸체 외측단에는 덮개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되 전후방측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각각 관통되는 앵커공을 갖고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좌우측통전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상하단에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에 의해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좌우측통전틀에 의해 좌우측케이블이 밀폐되게 접속통전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좌우측통전단자에 의해 전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가 전후방측에서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접속틀(10,10a)과,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를 좌우측접속틀(10,10a)에서 통전연결시키는 좌우측통전틀(20,20a)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접속틀(10,10a)은 원형통체로 좌우로 양분되어 일측단에 힌지축(11d)으로 축결합되어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11,11a)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하측힌지날개(11,11a)의 전후방측 선단에는 각각 전후방측체결볼트(11b,11c)가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단에는 상하측힌지날개(11,11a)가 안착되는 안착요부(12,12a)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후방측체결볼트(11b,11c)가 체결고정되는 볼트공(12b,12c)을 각각 갖고, 상기 각 안착요부(12,12a) 전후방측으로는 밀폐링(12d)이 각각 안착되며, 전후방측 내주연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링(13b)(13c)이 각각 안착되어 삽입되는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의 피복(32)이 밀폐되는 링홈(13,13a)이 각각 형성되고, 내주연 중심에는 전후방측을 밀폐시키는 차단벽(14)이 형성되며, 차단벽(14) 상하단에는 내주연 전후방측으로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의 심재(31)를 유입안내하는 안내돌부(15,15a)가 각각 형성되고, 외주연 중심측에서 내측으로는 삽입공(16)을 갖되 삽입공(16) 전후방측에는 앵커볼트(16a,16b)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좌우측통전틀(20,20a)은 상기 좌우측접속틀(10,10a)의 삽입공(16)에 각각 삽입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차단벽(14)이 삽입되는 벽삽입홈(21a)을 갖고 좌우측 선단에 각각 위치되어 차단벽(14) 전후방측에서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의 심재(31)와 각각 밀착되어 통전되는 전후방측통전대(22,22a)를 갖으며 전후방측 내측에 각각 도체인 전후방측작동관(23,23a)이 각각 삽입되되 전후방측작동관(23,23a) 내측에는 탄성스프링(24a)에 의해서 내측으로 탄발되는 통전볼트(24)를 갖고 통전볼트(24) 선단은 전후방측작동관(23,23a)을 관통되어 상기 전후방측통전대(22,22a)에 체결고정되어 통전되며 상기 전후방측작동관(23,23a)은 통전연결선(25)에 의해 통전이 이루어지는 통전몸체(21)가 형성되고, 통전몸체(21) 외측단에는 덮개부(26)가 각각 체결고정되되 전후방측에는 상기 앵커볼트(16a,16b)가 각각 관통되는 앵커 공(26a,26b)을 갖고 너트(26c)로 체결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심재(31)가 좌우측접속틀(10,10a)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패킹링(13b,13c)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좌우측접속틀(10,10a)의 삽입공(16)에 좌우측통전틀(20,20a)을 각각 삽입시켜 덮개부(26)를 앵커볼트(16a,16b)에 체결고정시키면, 전후방측배전선로(30,30a)는 각 심재(31)를 통해서 좌우측통전틀(20,20a)의 전후방측통전대(22,22a)을 거치면서 도체인 전후방측작동관(23,23a)으로 통전볼트(24)와 통전연결선(25)을 통해 원활한 통전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확대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좌우측접속틀 11,11a : 상하측힌지날개
11b,11c : 전후방측체결볼트 11d : 힌지축
12,12a : 안착요부 12b,12c : 볼트공
12d : 밀폐링 13,13a : 링홈
13b,13c : 패킹링 14 : 차단벽
15,15a : 안내돌부 16 : 삽입공
16a,16b : 앵커볼트
20,20a : 좌우측통전틀 21 : 통전몸체
21a : 벽삽입홈 22,22a : 전후방측통전대
23,23a : 전후방측작동관 24 : 통전볼트
24a : 탄성스프링 25 : 통전연결선
26 : 덮개부 26a,26b : 앵커공
26c : 너트
30,30a : 전후방측배전선로 31 : 심재
32 : 피복

Claims (1)

  1. 원형통체로 좌우로 양분되어 일측단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힌지회동되는 상하측힌지날개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하측힌지날개의 전후방측 선단에는 각각 전후방측체결볼트가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단에는 상하측힌지날개가 안착되는 안착요부가 상하측에 각각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후방측체결볼트가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을 갖고, 상기 각 안착요부 전후방측으로는 밀폐링이 각각 안착되며, 전후방측 내주연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링이 안착되어 삽입되는 전후방측배전선로의 피복이 밀폐되는 링홈이 형성되고, 내주연 중심에는 전후방측을 밀폐시키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차단벽 상하단에는 내주연 전후방측으로 전후방측배전선로의 심재를 유입안내하는 안내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주연 중심측에서 내측으로는 삽입공을 갖되 삽입공 전후방측에는 앵커볼트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좌우측접속틀과;
    상기 좌우측접속틀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되 중심측에는 상기 차단벽이 삽입되는 벽삽입홈을 갖고 좌우측 선단에 각각 위치되어 차단벽 전후방측에서 전후방측배전선로의 심재와 각각 밀착되어 통전되는 전후방측통전대를 갖으며 전후방측 내측에 각각 도체인 전후방측작동관이 각각 삽입되되 전후방측작동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서 내측으로 탄발되는 통전볼트를 갖고 통전볼트 선단은 전후방측작동관을 관통되어 상기 전후방측통전대에 체결고정되어 통전되며 상기 전후방측작동관은 통전연결선에 의해 통전이 이루어지는 통전몸체가 형성되고, 통전몸체 외측단에는 덮개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되 전후방측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각각 관통되는 앵커공을 갖고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좌우측통전틀을 구비하는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0080050583A 2008-05-30 2008-05-30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086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583A KR100866530B1 (ko) 2008-05-30 2008-05-30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583A KR100866530B1 (ko) 2008-05-30 2008-05-30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530B1 true KR100866530B1 (ko) 2008-11-03

Family

ID=4028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583A KR100866530B1 (ko) 2008-05-30 2008-05-30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5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79B1 (ko) 2010-12-27 2012-08-23 제룡산업 주식회사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구조
KR101597227B1 (ko) * 2015-11-09 2016-02-25 세아전설(주) 전력케이블의 도어식 양방향 소켓
KR101883872B1 (ko) * 2017-11-17 2018-07-31 주식회사 이피이 전력 케이블의 도체 및 슬리브 접속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79Y1 (ko) * 1995-01-12 1999-05-15 김봉주 고압선로용 케이블의 직선접속재
KR100677658B1 (ko) * 2006-09-05 2007-02-02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분기슬리브용 절연커버
KR100834779B1 (ko) * 2008-01-10 2008-06-05 (주)이도엔지니어링 기술사사무소 결선이 용이한 건축 전기용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79Y1 (ko) * 1995-01-12 1999-05-15 김봉주 고압선로용 케이블의 직선접속재
KR100677658B1 (ko) * 2006-09-05 2007-02-02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분기슬리브용 절연커버
KR100834779B1 (ko) * 2008-01-10 2008-06-05 (주)이도엔지니어링 기술사사무소 결선이 용이한 건축 전기용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79B1 (ko) 2010-12-27 2012-08-23 제룡산업 주식회사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구조
KR101597227B1 (ko) * 2015-11-09 2016-02-25 세아전설(주) 전력케이블의 도어식 양방향 소켓
KR101883872B1 (ko) * 2017-11-17 2018-07-31 주식회사 이피이 전력 케이블의 도체 및 슬리브 접속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779B1 (ko) 결선이 용이한 건축 전기용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US9660434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or for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CN107851926B (zh) 电缆组件
KR100933460B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20200012958A (ko) 감소된 직경의 다중 도전체 케이블 및 이를 위한 접촉 장치
MXPA05014000A (es) Conector de cordon que tiene un sello resistente al agua.
US11271342B2 (en) Pin and sleeve devices
KR100866530B1 (ko)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N102414927A (zh) 线缆连接装置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0443915Y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0836592B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0863715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50304B1 (ko)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KR20190001027U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101403944B1 (ko)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구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US3594715A (en)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
KR101903050B1 (ko)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20140041983A (ko)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접속함
KR20130060642A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US3534323A (en) Transformer tap for underground applications with pressure plate connection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KR101255788B1 (ko)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