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460B1 -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460B1
KR100933460B1 KR1020090089451A KR20090089451A KR100933460B1 KR 100933460 B1 KR100933460 B1 KR 100933460B1 KR 1020090089451 A KR1020090089451 A KR 1020090089451A KR 20090089451 A KR20090089451 A KR 20090089451A KR 100933460 B1 KR100933460 B1 KR 100933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ove
connection
wi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8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5Boxes split perpendicularly to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과 케이블을 결선하는 접속함의 구조개선을 통해 별도의 케이블 피복제거 과정 없이도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몸체에 연결,배선된 케이블의 단부가 직각으로 굴곡되도록 하여 케이블을 접속함 내에서 긴밀한 결속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과 접속함의 연결부위에 결함이 발생시 결함이 발생한 부위만을 해체하여 다시 보수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된 케이블을 결선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함은 전,후방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일면에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절개홈을 따라 직각으로 굴절되어 제1 쐐기돌부를 갖는 제1 배선홈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단에 단턱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제1 배선홈과 연통을 이루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상,하면에 각각 제1,2 볼트부가 형성된 전기가 흐르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제1 배선홈에 배선된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절개홈에 삽입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제1 배선홈과 연통을 이루는 제2 배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홈의 내면에 제2 쐐기돌부와 결속홈이 마련되며, 상하부에 각각 쐐기홈이 마련된 가압편; 절단된 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상기 수용홈(117)에 삽입연결되며, 전,후방 면에 상기 연결공과 연통을 이루는 접속홈이 마련된 접속플레이트; 상기 수용홈에 삽입연결된 접속플레이트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턱에 안착된 절연밀폐판; 상기 제1,2 배선홈을 통해 배선된 케이블과 접속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한 쐐기부와 탄성편이 마련된 통전핀 및 상기 수용홈을 마감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편을 몸체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힌지핀에 의해 제1 밀착판과 제2 밀착판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2 밀착판에 연결돌기와 장홈이 마련된 고정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 결선, 접속함

Description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Cable connecting case for electric supply line toconnect wires easily}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결선하는 접속함의 구조개선을 통해 별도의 케이블 피복제거 과정 없이도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몸체에 연결,배선된 케이블의 단부가 직각으로 굴곡되도록 하여 케이블을 접속함 내에서 긴밀한 결속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과 접속함의 연결부위에 결함이 발생시 결함이 발생한 부위만을 해체하여 다시 보수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을 위해 사용되는 송전 케이블은 전체가 하나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이렇게 배전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은 취급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 백미터 단위로 절단하여 케이블 드럼에 감아 출하되기 때문에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케이블을 이용하여 긴 배전선로를 제작하기 위해서 일정길이의 케이 블들을 서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함이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케이블로는 폴리에틸렌 절연전선이 보편적인데,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케이블은 최근 더욱더 고압선로에 적용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위와 같은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는 변전소에서 수용가로의 전력수송에는 반드시 케이블들 사이에 접속함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속함은 외함 내부에 케이블들의 도체들을 결선하는 도체슬리브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 내부공간의 중간지점에는 외함의 양측으로 삽입된 케이블들의 나선도체들이 도체슬리브로 결속되어 위치하고 있다.
외함은 그 기다란 길이방향의 전후단에 각각 케이블들이 진입되는 진입구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위가 클로버형상을 하고 있다. 이때, 케이블들의 나선도체를 감싸고 있는 도체슬리브의 외면은 클로버형 내부반도전층의 요입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대략 원형을 이루는 도체슬리브의 외면과 내부반도전층의 4개의 요입부가 접촉하고 있다. 내부반도전층은 도체슬리브에 집중한 전계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연결한 케이블도체들을 통해 전류가 잘 흐르도록 한다. 내부반도전층의 외부에는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고, 그 외면에는 다시 외부반도전층이 적층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기존의 접속함은 두개의 케이블을 결선하기 위해서 먼저 케이블들의 단부에서 피복을 벗겨내고 일측 케이블에 외함을 끼운다음, 그 노출된 케이블도체들을 맞대고 그 위에 도체슬리브를 씌운 후 압착기로 케이블도체들 과 도체슬리브를 압착하여 결합한다. 이후, 일측 케이블에 끼워진 외함을 도체슬리브로 결속된 나선도체부위를 향하여 밀어서 위치시키면 접속함의 케이블연결작업이 끝나게 된다. 외함은 다층구조의 재질들이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체슬리브를 외함 내로 압입하면 그 내부공간으로 도체슬리브가 진입하게 되고, 대략 그 중간지접에 위치하면 클로버형상의 내부반도전층의 요입부들과 탄성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접속함은 케이블을 연결함에 있어 케이블의 피복을 벗겨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연결시 별도의 압착기를 필요로 함으로써, 시공성이 저하됨은 물론, 케이블과 케이블 진입구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져 케이블과 접속함이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속함에서 접속, 고정된 케이블 중 어느 일측의 케이블이 접속에 이상이 생길 경우, 종래 접속함은 그 구조 특성상 접속, 고정된 케이블의 양측을 모두 분리하여 다시 접속, 고정시킴으로써,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 접속함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결선하기 위한 접속함의 구조개선을 통해 조립 과정에서 통전핀이 케이블을 관통하여 접속플레이트와 접속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피복 절개과정 없이도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케이블과 접속함의 결선과정에서 케이블이 몸체와 가압편 사이에서 직각으로 굴곡되게 함으로써,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케이블과 케이블이 접속함 내에서 긴밀히 결속되도록 함은 물론, 가압편을 몸체에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덮개를 제1 밀착판과 제2 밀착판으로 이 분할하여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과 접속함의 연결부위에 결함이 발생시 결함이 발생한 부위만을 해체하여 보수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된 케이블을 결선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함은
전,후방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일면에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절개홈을 따라 직각으로 굴절되어 제1 쐐기돌부를 갖는 제1 배선홈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단에 단턱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제1 배선홈과 연통을 이루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상,하면에 각각 제1,2 볼트부가 형성된 전기가 흐르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제1 배선홈에 배선된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절개홈에 삽입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제1 배선홈과 연통을 이루는 제2 배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홈의 내면에 제2 쐐기돌부와 결속홈이 마련되며, 상하부에 각각 쐐기홈이 마련된 가압편;
절단된 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상기 수용홈(117)에 삽입연결되며, 전,후방 면에 상기 연결공과 연통을 이루는 접속홈이 마련된 접속플레이트;
상기 수용홈에 삽입연결된 접속플레이트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턱에 안착된 절연밀폐판;
상기 제1,2 배선홈을 통해 배선된 케이블과 접속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케이블을 관통하기 위한 쐐기부와 탄성편이 마련된 통전핀 및
상기 수용홈을 마감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편을 몸체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힌지핀에 의해 제1 밀착판과 제2 밀착판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2 밀착판에 연결돌기와 장홈이 마련된 고정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피복 절개과정 없이도 결합과정에서 절단된 케이블과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의성을 향상 시킴은 물론 케이블과 접속함의 연결부위 결속을 더욱 긴밀히 하여 케이블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과 접속함 간의 연결부위에 결함이 발생시 결함이 발생한 부위만을 해체하여 다시 조립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100)은 절단된 케이블(L)의 양단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110)와, 상기 케이블(L)을 몸체(110)에 가압고정하기 위한 가압편(120)과,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절단된 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접속플레이트(130)와, 상기 접속플레이트(130)를 밀폐하기 위한 절연밀폐판(140)과, 상기 케이블(L)과 접속플레이트(130)를 접속시키기 위한 통전핀(150)과, 상기 몸체(110)에 가압편(120)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덮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절개된 케이블(L) 양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그 전,후방에 절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11)의 일면에 절개홈(111)을 따라 직각으로 굴곡된 제1 배선홈(115)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제1 배선홈(115)은 그 내면에 제1 배선홈(115)에 배선된 케이블(L)이 당기는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케이블(L)의 외면을 가압하는 제1 쐐기돌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단에 단턱(116)을 갖는 수용홈(117)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7)의 내면에 상기 각 제1 배선홈(115)과 연통을 이루는 연결공(118)이 마련되며, 상,하면에 각각 제1,2 볼트부(119a,119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선홈(115)에 배선된 케이블(L)은 그 단부가 케이블(L)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굴곡된다.
따라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케이블(L)은 몸체(110)에 더욱 긴밀한 결속관계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편(120)은 상기 제1 배선홈(115)에 배선된 케이블(L)을 가압고정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가압편(120)은 상기 제1 배선홈(115)에 배선된 케이블(L)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절개홈(111)에 삽입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제1 배선홈(115)과 연통을 이루는 제2 배선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홈(121)의 내면에는 제2 쐐기돌부(123)와 결속홈(125)이 마련되며, 상하부에 각각 쐐기홈(127)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접속플레이트(130)는 상기 몸체(110)에 배선된 절단된 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접속플레이트(130)는 상기 수용홈(117)에 삽입연결되며, 전,후방 면에 상기 연결공(118)과 연통을 이루는 접속홈(13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절연밀폐판(140)은 상기 접속플레이트(130)가 삽입연결된 수용홈(117)을 외부로부터 긴밀히 차단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절연밀폐판(140)은 상기 몸체(110)의 단턱(116)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통전핀(150)은 상기 케이블(L)과 접속플레이트(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통전핀(150)은 그 타단에 쐐기부(151)와 탄성편(153)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전핀(150)은 그 일단이 결속홈(125)에 체결되며, 그 타단이 상기 케이블(L)을 관통하여 접속플레이트(130)의 접속홈(131)에 삽입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덮개(160)는 상기 몸체(1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117)을 마감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편(120)을 몸체(110)에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고정덮개(160)는 제1 밀착판(163)과 제2 밀착판(165)이 힌지핀(161)에 의해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밀착판(163)과 제2 밀착판(165)에는 상기 쐐기홈(127)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돌기(167)와 상기 제1,2 볼트 부(119a,119b)가 삽입돌출되는 장홈(169)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제1,2 볼트부(119a,119b)가 장홈(169)에 삽입돌출되면, 상기 제1,2 볼트부(119a,119b)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몸체(110)와, 가압편(120)이 고정덮개(160)에 의해 결속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이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은 케이블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결선하기 위한 접속함의 구조개선을 통해 케이블 접속연결시 별도의 피복 절개과정 없이도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케이블을 몸체에 배선시 그 단부가 몸체 내에서 직각으로 굴곡되도록 함으로써, 몸체와 케이블이 더욱 긴밀히 결속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몸체(110)의 제1 배선홈(115)에 케이블(L)을 배선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L)은 제1 배선홈(115)을 따라 직각으로 굴곡된다.
이후, 상기 가압편(120)의 결속홈(125)에 통전핀(150)을 체결한다.
이후, 상기 몸체(110)의 수용홈(117)에 접속플레이트(130)를 삽입한 후, 상기 수용홈(117) 내에 형성된 단턱(116)에 절연밀폐판(140)을 삽입연결한다.
이후, 상기 몸체(110)의 절개홈(111)에 가압편(120)을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 배선홈(121)은 제1 배선홈(115)과 연통을 이루며, 상기 제1 배선홈(115)에서 돌출된 케이블(L)은 제2 배선홈(121)의 내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배선홈(115)과 제2 배선홈(121)에 형성된 제1 쐐기돌부(113)와 제2 쐐기돌부(123)는 케이블(L)의 외면을 가압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L)이 제1 배선홈(115)과 제2 배선홈(121) 내에서 더욱 긴밀한 결속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통전핀(150)의 쐐기부(151)는 케이블(L) 및 연결공(118)을 관통하여 상기 접속홈(131)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탄성편(153)은 접속홈(131)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접속홈(131)과 밀착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피복 절개과정 없이도 가압편(120)의 연결과정만으로 상기 케이블(L), 접속플레이트(130) 및 통전핀(1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몸체(110)의 상하부에 고정덮개(16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밀착판(163)과 제2 밀착판(165)에 형성된 장홈(169)에는 상기 몸체(110) 상하부에 마련된 제1,2 볼트부(119a,119b)가 삽입돌출되며, 그 돌출된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밀착판(163)과 제2 밀착판(165)에 형성된 연결돌기(167)는 쐐기홈(127)에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10), 가압편(120) 및 접속플레이트(130)는 고정덮개(160)에 의해 서로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별도의 통전핀이 마련되어 피복 절개과정 없이도 용이하게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케이블과 접속함의 연결부위 결속을 더욱 긴밀히 하여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과 접속함 간의 연결부위에 결함이 발생시 결함이 발생한 부위만을 해체하여 다시 조립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접속함 110 : 몸체
111 : 절개홈 113 : 제1 쐐기돌부
115 : 제1 배선홈 120 : 가압편
121 : 제2 배선홈 123 : 제2 쐐기돌부
130 : 접속플레이트 140 : 절연밀폐판
150 : 통전핀 151 : 쐐기부
153 : 탄성편 160 : 고정덮개
161 : 힌지핀

Claims (1)

  1. 절단된 케이블을 결선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함(100)은
    전,후방에 절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11)의 일면에 케이블(L)이 배선될 수 있도록 절개홈(111)을 따라 직각으로 굴절되어 제1 쐐기돌부(113)를 갖는 제1 배선홈(115)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단에 단턱(116)을 갖는 수용홈(117)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7)의 내면에 제1 배선홈(115)과 연통을 이루는 연결공(118)이 마련되며, 상,하면에 각각 제1,2 볼트부(119a,119b)가 형성된 전기가 흐르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10);
    상기 제1 배선홈(115)에 배선된 케이블(L)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절개홈(111)에 삽입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제1 배선홈(115)과 연통을 이루는 제2 배선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홈(121)의 내면에 제2 쐐기돌부(123)와 결속홈(125)이 마련되며, 상하부에 각각 쐐기홈(127)이 마련된 가압편(120);
    절단된 케이블(L)을 접속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상기 수용홈(117)에 삽입연결되며, 전,후방 면에 상기 연결공(118)과 연통을 이루는 접속홈(131)이 마련된 접속플레이트(130);
    상기 수용홈(117)에 삽입연결된 접속플레이트(130)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턱(116)에 안착된 절연밀폐판(140);
    상기 제1,2 배선홈(115,121)을 통해 배선된 케이블(L)과 접속플레이트(130) 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125)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케이블(L)을 관통하기 위한 쐐기부(151)와 탄성편(153)이 마련된 통전핀(150) 및
    상기 수용홈(117)을 마감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편(120)을 몸체(110)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힌지핀(161)에 의해 제1 밀착판(163)과 제2 밀착판(165)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2 밀착판(163,165)에 연결돌기(167)와 장홈(169)이 마련된 고정덮개(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20090089451A 2009-09-22 2009-09-22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0933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51A KR100933460B1 (ko) 2009-09-22 2009-09-22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51A KR100933460B1 (ko) 2009-09-22 2009-09-22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460B1 true KR100933460B1 (ko) 2009-12-23

Family

ID=4168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451A KR100933460B1 (ko) 2009-09-22 2009-09-22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4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05B1 (ko) 2010-02-05 2010-07-05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100970775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KR100970778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KR100970774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지중송전선의 보호함체
KR100985559B1 (ko) * 2010-03-02 2010-10-05 성지파워 주식회사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101252008B1 (ko) * 2011-08-05 2013-04-11 은성균 전선연결장치
KR101522011B1 (ko) * 2014-12-18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KR101523286B1 (ko) *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2180692B1 (ko) 2020-04-24 2020-11-19 (주)성우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12A (ja) 1998-10-20 2000-04-28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電気部品及び高電圧用可変抵抗器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11-17 이선미 전선 접속구
KR100909263B1 (ko) 2009-04-08 2009-08-10 (주)백향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12A (ja) 1998-10-20 2000-04-28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電気部品及び高電圧用可変抵抗器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11-17 이선미 전선 접속구
KR100909263B1 (ko) 2009-04-08 2009-08-10 (주)백향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05B1 (ko) 2010-02-05 2010-07-05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100970775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KR100970778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KR100970774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지중송전선의 보호함체
KR100985559B1 (ko) * 2010-03-02 2010-10-05 성지파워 주식회사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101252008B1 (ko) * 2011-08-05 2013-04-11 은성균 전선연결장치
KR101523286B1 (ko) *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1522011B1 (ko) * 2014-12-18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KR102180692B1 (ko) 2020-04-24 2020-11-19 (주)성우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460B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US7572976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box
KR100834779B1 (ko) 결선이 용이한 건축 전기용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US3980374A (en) Separable splice connector
US9196976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CA2770631C (en) Electrical hinge connector
US7285014B2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US4652772A (en) Electric cables
US2009025853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1536252B2 (en) Down conductor connection system, wind turbine lightn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a down conductor connection system
CN106410543A (zh) 配电装置
KR100850304B1 (ko)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US20220368085A1 (en) Housing, in particular conductor hous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system
KR101903050B1 (ko)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0866530B1 (ko)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옥내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US4705481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for use with flat cable
KR101046398B1 (ko) 배전선로용 전선분기 접속구
KR101241185B1 (ko) 결선이 용이한 절첩식 케이블 접속구
KR100883767B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용 케이블접속구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KR101252008B1 (ko) 전선연결장치
KR101068743B1 (ko)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JP2009009748A (ja) 電線接続装置
US2033199A (en) Insulated electrical conne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