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642A -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642A
KR20130060642A KR1020110126809A KR20110126809A KR20130060642A KR 20130060642 A KR20130060642 A KR 20130060642A KR 1020110126809 A KR1020110126809 A KR 1020110126809A KR 20110126809 A KR20110126809 A KR 20110126809A KR 20130060642 A KR20130060642 A KR 20130060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igh voltage
voltage cable
connection structure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620B1 (ko
Inventor
최재호
배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12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6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 단부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전압 케이블에 고전압의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나 전자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차폐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어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와; 상기 차폐판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 주연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INSERT TYPE JOINING STRUCTURE OF CONNECTOR SHIELD}
본 발명은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생산자의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사람이 감전될 수 있을 정도의 고전압, 고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에 차단재를 감싸고 또한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경우에도 외부를 감싸는 쉴드가 필요하는 등 통상의 전기 커넥터와는 상이한 점이 많이 있다.
특히,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에 결합부위를 차단하지 않으며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누설되어 인근의 장치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오작동의 위험이 있으며, 나아가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폐판을 커넥터에 구비시켜 결합부위를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차폐판은 상호 결합하는 각각의 단자에 구비되며, 차폐판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차폐판 사이의 암수결합시 차폐판들이 상호 고정되며 전자파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를 벗겨낸 다음 피복부가 제거된 심선을 단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해서 단자과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커넥터의 하우징에 조립된 단자는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는, 전류가 흐르는 고전압 케이블(10)과, 고전압 케이블(10)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관상의 하우징(20)과, 하우징의 내벽에 구비되어 고전압 케이블(10)에 고전압의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나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차폐판(30)과, 하우징(20)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전압 케이블(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0)은 하우징(20)의 내측에 수용되는 단부의 일부분이 피복이 제거되며, 피복이 제거된 단부의 일부분에는 전자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메쉬형 쉴드(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메쉬형 쉴드(11)의 외주면에는 케이블(10)과 차폐판(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2)가 메쉬형 쉴드(11)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씰링부재(23)에 의하여 고정된다.
하우징(20)은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관상의 외부하우징(21)과, 외부하우징(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차폐판(30)이 외부하우징(21)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내부하우징(22)으로 이루어진다.
외부하우징(21)의 단부 외주면에는 또 다른 커넥터와 체결시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외부하우징(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21a)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하우징(21)과 내부하우징(22) 사이에는 전자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전압 케이블(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차폐판(30)이 게재되어 있다.
차폐판(30)은 외부하우징(21)의 내측으로 삽입된 케이블(10)의 단부뿐만 아니라 케이블(10)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40)와, 단자(40)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접속부재(41)까지도 감쌀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된다.
외부하우징(21)과 내부하우징(22)은 양측 단부가 개구 형성되어 일측 개구면에는 고전압 케이블(10)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타측 개구면에는 또 다른 커넥터가 삽입되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21)의 개구면 내측면과 개구 형성된 일측으로 삽입된 고전압 케이블(10)의 외주면 사이에는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씰링부재(23)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하우징(22)의 내측에 수용되는 피복이 제거된 고전압 케이블(10)의 단부에는 또 다른 커넥터와 상호 체결시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40)가 구비되는데, 단자(40)의 일단부에는 내부하우징(2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별도의 접속부재(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는, 케이블(10)의 단부에 단자(40)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고, 메쉬형 쉴드(11)의 외주면에 별도의 연결부재(12)가 구비되도록 한 후에 케이블(10)의 단부를 외부하우징(21)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외부하우징(21)의 내측면과 케이블(10)의 외주면 사이에 별도의 씰링부재(23)를 체결하면서 연결부재(12)와 차폐판(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조립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작업자가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조립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조립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 쉴드를 연결하는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자의 조립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는, 고전압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 단부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전압 케이블에 고전압의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나 전자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차폐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어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와; 상기 차폐판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 주연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측면 일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이 구비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제1경사면에 걸리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하우징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가 상기 차폐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는 피복이 제거된 상기 고전압 케이블에 구비된 편조선과, 상기 편조선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편조선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클램핑 링과, 연장 형성된 상기 차폐판의 일측 단부와 상기 클램핑 링 사이에 상기 차폐판 및 상기 클램핑 링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조선은 그 내측면이 상기 케이블의 외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링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에 삽입시에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측벽과 접촉되는 별도의 씰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는 별도의 홀더가 체결되고, 상기 탄성전도체는 상기 홀더의 내측 판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커넥터 쉴드를 연결하는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자의 조립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는, 고전압 케이블(100)과, 고전압 케이블(100) 단부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전압 케이블(100)에 고전압의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나 전자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차폐판(300)과, 하우징(200)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전압 케이블(100)의 단부에 연결되어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500)와, 차폐판(300)과 고전압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200)이 고전압 케이블(100)의 단부 주연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00)은 전류가 공급되어야 하는 부분과 전류를 공급하는 부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외주면에는 피복이 구비되고, 중심에는 다수의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도체가 마련되며, 도체의 외주면에는 편조선(410)이 구비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00) 단부의 일정 부분은 피복과 편조선(410)이 제거되어 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체의 단부에는 단자(500)가 압착되어 단자(500)와 고전압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00)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관상의 부재로서 일측 단부는 고전압 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전기적인 접속을위하여 또 다른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전압 케이블(100)을 하우징(200)에 삽입시에 내부하우징(220)의 내측벽과 접촉되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혹은 수분 등이 결합부(400) 측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씰링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씰링부재(110)는 내부하우징(220)의 내측벽과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내부하우징(220)의 내측벽과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혹은 고무 등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0)은 커넥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하우징(210)과, 외부하우징(22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외부하우징(2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상대적으로 외부하우징(21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내부하우징(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단면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측면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211)이 구비되고, 내부하우징(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걸리도록 제1경사면(2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경사면(22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하우징(220)을 외부하우징(210)에 삽입하게 되면 외부하우징(210)의 제1경사면(211)에 내부하우징(220)의 제2경사면(221)이 걸리게 됨으로써 내부하우징(220)이 외부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하우징(210) 일단부의 외면 일측에는 또 다른 커넥터와 체결시에 상기 다른 커넥터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턱(2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하우징(210)의 타단부 외면에는 그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213)가 마련되어 홀더(230)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231)에 삽입됨으로써 홀더(230)가 견고하게 외부하우징(210)의 타단부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차폐판(300)은 고전압 케이블(100)을 통하여 고전압의 전류가 흐를 때 고전압 케이블(100)의 주연부에 발생하는 자기장이나 혹은 전자파 등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부재로서, 외부하우징(210)과 내부하우징(2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판(3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외부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단자(500)가 차폐판(3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내부하우징(22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자기장이나 혹은 전자파의 누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400)는 피복이 제거된 고전압 케이블(100)에 구비된 편조선(410)과, 편조선(410)과 접촉된 상태로 편조선(410)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클램핑 링(420)과, 연장 형성된 차폐판(300)의 일측 단부와 클램핑 링(420) 사이에 차폐판(300) 및 클램핑 링(420)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전도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조선(410)은 그 내측면이 고전압 케이블(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에서 클램핑 링(42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편조선(410)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클램핑 링(420)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편조선(410)의 내측면이 고전압 케이블(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뒤집음으로써 클램핑 링(420)을 편조선(410)의 외면에 삽입시에 편조선(410)의 단부가 갈라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삽입 동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클램핑 링(420)은 통전될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그 외면이 탄성전도체(430)와 접촉됨으로써 고전압 케이블(100)과 차폐판(3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클램핑 링(420)의 직경은 고전압 케이블(100)과 고전압 케이블(100)의 외면에 뒤집어진 형태로 구비되는 편조선(410)의 두께를 합친 길이로 형성되어 편조선(410)의 외면에 압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임의로 편조선(410)의 외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전도체(430)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차폐판(300)과 클램핑 링(42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굴곡지게 형성된 부재로서, 굴곡부의 최장 직경은 차폐판(300)과 클램핑 링(420)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차폐판(300)과 클램핑 링(420)에 삽입시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삽입 동작시에 차폐판(300) 및 클램핑 링(420)과 초기 접촉되는 부위는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고전압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하우징(200)의 일측 단부에는 별도의 홀더(230)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하여 차폐판(300)과 클램핑 링(42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30)의 측면에는 그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외부하우징(210)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재(213)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2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30)의 내측 판면에는 복수의 안착홈(232)이 함몰 형성되며, 안착홈(232)에 탄성전도체(430)가 안착되어 홀더(230)를 외부하우징(210)에 체결함과 동시에 탄성전도체(430)가 차폐판(300)과 클램핑 링(42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전압 케이블(100)과 차폐판(30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자(500)는 고전압 케이블(10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또 다른 커넥터와 체결되어 상호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로서, 고전압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내부하우징(220)의 중앙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는 고전압 케이블(100)의 외주면 일측에 편조선(410)과 접촉되도록 구비된 클램핑 링(420)과 차폐판(300) 사이에 탄성전도체(430)가 홀더(230)의 체결에 의하여 삽입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커넥터 쉴드를 연결하는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자의 조립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전압 케이블 110 : 씰링부재
200 : 하우징 210 : 외부하우징
220 : 내부하우징 211 : 제1경사면
212 : 걸림턱 213 : 돌출부재
221 : 제2경사면 230 : 홀더
231 : 체결공 300 : 차폐판
400 : 결합부 410 : 편조선
420 : 클램핑 링 430 : 탄성전도체
500 : 단자

Claims (8)

  1. 고전압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 단부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전압 케이블에 고전압의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나 전자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차폐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어 다른 커넥터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와;
    상기 차폐판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 주연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측면 일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이 구비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제1경사면에 걸리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하우징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내부하우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가 상기 차폐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피복이 제거된 상기 고전압 케이블에 구비된 편조선과, 상기 편조선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편조선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클램핑 링과, 연장 형성된 상기 차폐판의 일측 단부와 상기 클램핑 링 사이에 상기 차폐판 및 상기 클램핑 링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전도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선은 그 내측면이 상기 케이블의 외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링의 내면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에 삽입시에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측벽과 접촉되는 별도의 씰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는 별도의 홀더가 체결되고, 상기 탄성전도체는 상기 홀더의 내측 판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1020110126809A 2011-11-30 2011-11-30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10128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09A KR101283620B1 (ko) 2011-11-30 2011-11-30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09A KR101283620B1 (ko) 2011-11-30 2011-11-30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42A true KR20130060642A (ko) 2013-06-10
KR101283620B1 KR101283620B1 (ko) 2013-07-08

Family

ID=4885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09A KR101283620B1 (ko) 2011-11-30 2011-11-30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6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773A (ko) * 2013-02-28 2014-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102168997B1 (ko) * 2020-09-21 2020-10-2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핀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177270B1 (ko) * 2019-05-23 2020-11-10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핀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CN116008746A (zh) * 2022-12-29 2023-04-25 北京中科科仪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枪用耐压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973B2 (ja) * 1993-06-08 1999-03-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4797892B2 (ja) * 2006-09-07 2011-10-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773A (ko) * 2013-02-28 2014-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102177270B1 (ko) * 2019-05-23 2020-11-10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핀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168997B1 (ko) * 2020-09-21 2020-10-2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핀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CN116008746A (zh) * 2022-12-29 2023-04-25 北京中科科仪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枪用耐压测试装置
CN116008746B (zh) * 2022-12-29 2023-11-03 北京中科科仪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枪用耐压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620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9534B2 (en) Shield connector
US8177584B2 (en) Connector with wire sealing resilient plug
US7064266B2 (en) Shielded connector
JP6517615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20100753A1 (en) L-shaped connector
CN108631095B (zh) 触头载体、电触头单元及制造现成的电缆的方法
US4674807A (en) Shielded connector
US20120034817A1 (en) Shielded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JP2009099266A (ja) 同軸ケーブル用シールド端子
US1179924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including inner conductor and outer conductor
US2022007763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US1010349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 contact
KR101446540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및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1283620B1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20130011430A (ko) 차폐커넥터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255788B1 (ko)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US10553963B1 (en) Insulation crimp with lead-in projection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1283619B1 (ko) 나사 체결식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20210078321A (ko) 커넥터
KR20140087424A (ko) 고전압용 와이어 접지장치
KR20150072189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