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799B1 -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799B1
KR102592799B1 KR1020230085285A KR20230085285A KR102592799B1 KR 102592799 B1 KR102592799 B1 KR 102592799B1 KR 1020230085285 A KR1020230085285 A KR 1020230085285A KR 20230085285 A KR20230085285 A KR 20230085285A KR 102592799 B1 KR102592799 B1 KR 10259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underground transmission
cable
base hous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연
Original Assignee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어댑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지중송전선을 삽입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해서,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의 관 내면 또는 외면 및 경질의 관체 내지 절연성 전선 피복 간의 비교적 넓은 면 접촉을 통해 강한 결합력 및 수밀 기능이 확보되는 상태로 두 지중송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는 어댑터 몸체, 케이블 접속구, 케이블 나선부 캡, 케이블 피복구 커버, 지상 인출봉, 베이스 하우징, 소음 감지센서, 진동 감지센서, 저장부,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케이블 매설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Connecting adaptor apparatus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송전 기술 분야 중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어댑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지중송전선을 삽입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해서,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의 관 내면 또는 외면 및 경질의 관체 내지 절연성 전선 피복 간의 비교적 넓은 면 접촉을 통해 강한 결합력 및 수밀 기능이 확보되는 상태로 두 지중송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발전소에서 발전(생산)된 전력은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를 경유하면서 전압강하 등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전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송전선(송전선로)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는 해소되었지만, 필요한 송전선을 연장하는 것이 쉽지 않고, 송전선을 상호 엮어 연장한다 하더라도 엮은 부분이 손쉽게 이탈되어 전력공급이 도중에 차단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군다나 엮은 부분을 통해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할 경우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어 내부에 배선된 지중송전선이 일시에 전부 전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손쉽게 송전선을 연결하면서도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중송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접속어댑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져 왔다.
상술한 이유 등에 따라 한국 등록특허 제10-1031061호인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상기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는 어댑터본체(10), 튜브(20) 및 접속금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댑터본체(10)는 제1본체부(11) 및 제2본체부(12)를 가지며, 제1본체부(11)는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a)이 형성되고, 일단이 길이방향 면으로 개방되고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공(11b)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본체부(12)는 제1본체부(11)와 상호 접하는 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홈(11a)에 결합하는 결합편(12a)과, 선단에 탄성재질의 가압패드(12b-1)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1본체부(11)와 상호 접하는 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통공(11b)에 삽입되는 가압봉(12b)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튜브(20)는 제1본체부(11)의 연통공(11b)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연결부(21)를 갖는 동시에 제1본체부(11)의 관통된 중앙에 배치되어 가압봉(12b)에 의해 가압된 에어를 매개로 팽창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접속금구(30)는 어댑터본체(10)의 관통된 중앙에 배치되되,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제1본체부(11) 또는 제2본체부(12)에 고정되며, 제1본체부(11)와 제2본체부(12)의 개방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접속금구(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의 경우 접속금구를 감싸기 위한 튜브의 팽창을 위해 어댑터본체가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 간 결합이 튜브 팽창과 연계되기 위해 비교적 복잡한 결합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 원가의 상승은 물론 그 설치 작업이 번거로운 것이었고, 튜브 파손 등 튜브의 이상으로 인해 팽창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상적인 팽창 상태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 접속어탭터 전체의 정상적인 설치 및 유지가 보장되지 못하면서 그 절연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위험이 상존하는 것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접속 어댑터의 구조 자체가 비교적 단순한 동시에 그에 대한 지중송전선의 연결 방식이 비교적 단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해당 접속 어댑터 내부에 대한 수밀 기능이 양호하게 발휘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해당 지중송전선 구간의 상측으로부터 진행되는 굴착 공사 시에 해당 지중송전선의 안전성이 보다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31061호(2011.04.25.공고),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한국 등록특허 제10-1424235호(2014.07.28.공고), “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어댑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지중송전선을 삽입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해서,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의 관 내면 또는 외면 및 경질의 관체 내지 절연성 전선 피복 간의 비교적 넓은 면 접촉을 통해 강한 결합력 및 수밀 기능이 확보되는 상태로 두 지중송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그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굴착 공사가 진행 시, 해당 굴착 공사의 작업자에게 아래쪽에 지중송전선이 매설되어 있다는 사실 및 해당 지중송전선의 매설 위치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줌에 따라,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이 그 설치 후 보다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는,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 삽입을 위한 케이블 삽입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삽입홀에는 절연성 및 신축성을 갖는 투명한 실리콘 관이 그 외면을 상기 케이블 삽입홀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결합되고, 투명한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어댑터 몸체와, 상기 실리콘 관의 길이 방향(이하 “수평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콘 관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 삽입홀을 제1 케이블 삽입홀 및 제2 케이블 삽입홀로 분할하며, 상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양면에 각각 상기 지중송전선의 나선부가 삽입되는 케이블 접속홈이 형성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접속구와, 상기 지중송전선의 나선부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시켜 상기 나선부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접속홈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상기 케이블 접속홈의 내면에 밀착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블 접속홈에 삽입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나선부 캡과, 상기 실리콘 관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동시에 상기 지중송전선의 피복부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되, 안쪽의 일부는 신축성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피복부 일단이 감싸지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중송선선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실리콘 관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성의 케이블 피복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피복구 커버는 상기 실리콘 관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동시에 경질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관 및 상기 지중송전선의 피복부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동시에 신축성이 있는 절연성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상기 외부관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상기 외부관에 결합되는 내부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에 상기 지중송전선의 피복부 일단이 감싸지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중송선선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부관이 상기 실리콘 관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는, 상기 어댑터 몸체의 상면에 하단이 탈착과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단은 상기 어댑터 몸체로부터 상측 방향의 지표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어댑터 몸체의 매립 설치 시 토사로 인한 외력에 휨이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지상 인출봉과, 상기 지상 인출봉의 상단에 탈착과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면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지표면에 매입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에 매입 설치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되는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소음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소음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소음 감지센서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에 매입 설치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되는 진동 임계값을 초과하는 진동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진동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진동 감지센서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어댑터 몸체를 중심으로 사전 설정된 지중송전선 표시구역에서의 상기 지중송전선 매설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데이터(이하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라 함)가 저장되되,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는 상기 어댑터 몸체로부터 상측의 지상에 대한 항공사진에 상기 어댑터 몸체 및 지중송전선의 매설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이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저장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소음 감지센서의 소음 신호 및 진동 감지센서의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시 상기 저장부의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동시에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에 화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저장부의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에 음성 송출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어댑터 몸체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굴착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부(951)에 표시되는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의 표시 내용 확인을 요청하는 음성급신호를 출력하는 케이블 매설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어댑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지중송전선을 삽입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해서,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의 관 내면 또는 외면 및 경질의 관체 내지 절연성 전선 피복 간의 비교적 넓은 면 접촉을 통해 강한 결합력 및 수밀 기능이 확보되는 상태로 두 지중송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그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굴착 공사가 진행 시, 해당 굴착 공사의 작업자에게 아래쪽에 지중송전선이 매설되어 있다는 사실 및 해당 지중송전선의 매설 위치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줌에 따라,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이 그 설치 후 보다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는 어댑터 몸체(100), 케이블 접속구(200), 케이블 나선부 캡(300) 및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는 지상 인출봉(500), 베이스 하우징(600), 소음 감지센서(710), 진동 감지센서(720), 저장부(800), 제어부(900), 디스플레이부(950) 및 케이블 매설 알림부(9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댑터 몸체(100)는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10) 삽입을 위한 케이블 삽입홀(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케이블 삽입홀(110)에는 절연성 및 신축성을 갖는 투명한 실리콘 관(120)이 그 외면을 케이블 삽입홀(11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어댑터 몸체(100)는 투명한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케이블 접속구(200)는 실리콘 관(120)의 길이 방향(이하 “수평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실리콘 관(120)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어댑터 몸체(100)의 케이블 삽입홀(110)을 제1 케이블 삽입홀(111) 및 제2 케이블 삽입홀(112)로 분할한다. 그리고 케이블 접속구(200)는 상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양면에 각각 지중송전선(10)의 나선부(11)가 삽입되는 케이블 접속홈(2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케이블 접속구(20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다.
케이블 나선부 캡(300)은 지중송전선(10)의 나선부(11)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시켜 나선부(11)와 결합되며, 이러한 케이블 나선부 캡(300)은 케이블 접속구(200)의 케이블 접속홈(21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케이블 접속홈(210)의 내면에 밀착하는 상태로 케이블 접속홈(210)에 삽입된다. 그리고 케이블 나선부 캡(300)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다.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는 어댑터 몸체(100)의 실리콘 관(120) 내경보다 외경이 큰 동시에 지중송전선(10)의 피복부(12)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는 안쪽의 일부가 신축성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피복부(12) 일단이 감싸지도록 삽입되어 지중송전선(10)과 결합된 상태로 어댑터 몸체(100)의 실리콘 관(12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에 대해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는 어댑터 몸체(100)의 실리콘 관(120) 내경보다 외경이 큰 동시에 경질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관(410)과, 지중송전선(10)의 피복부(12)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동시에 신축성이 있는 절연성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외부관(41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외부관(410)에 결합되는 내부관(42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는 내부관(420)에 지중송전선(10)의 피복부(12) 일단이 감싸지도록 삽입되어 지중송전선(10)과 결합된 상태로 외부관(410)이 어댑터 몸체(100)의 실리콘 관(12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상 인출봉(500)은 어댑터 몸체(100)의 상면에 하단이 탈착과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단은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상측 방향의 지표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상 인출봉(500)은 어댑터 몸체(100)의 매립 설치 시 토사로 인한 외력에 휨이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된다.
베이스 하우징(600)은 지상 인출봉(500)의 상단에 탈착과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면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지표면에 매입 설치된다.
소음 감지센서(710)는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매입 설치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되는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소음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소음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부연 설명하면, 소음 감지센서(710)는 상기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소음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소음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900)에 전송한다.
진동 감지센서(720)는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매입 설치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되는 진동 임계값을 초과하는 진동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진동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부연 설명하면, 진동 감지센서(720)는 상기 진동 임계값을 초과하는 진동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진동 신호를 제어부(900)에 전송한다.
저장부(800)는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저장부(800)는 어댑터 몸체(100)를 중심으로 사전 설정된 지중송전선 표시구역에서의 지중송전선(10) 매설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데이터(이하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라 함)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는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확보된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항공사진에 어댑터 몸체(100) 및 지중송전선(10)이 매설된 깊이, 매설된 방향, 매설된 형태, 매설된 위치, 매설된 좌표 등이 포함되어 표시되는 영상이 증강현실 형상으로 출력되어 표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어부(900)는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제어부(900)는 소음 감지센서(710)에서 감지한 소음 신호 및 진동 감지센서(720)에서 감지한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입력하는 경우 저장부(80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된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시키는 동시에 외부의 수신 대상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후술되는 케이블 매설 알림부(96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950)는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화면부(951)가 노출되도록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950)는 제어부(900)를 통해 출력되고 저장부(80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는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는 동영상 신호와 정지영상 신호가 모두 포함된다.
케이블 매설 알림부(960)는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음성 송출부(961)가 노출되도록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이러한 케이블 매설 알림부(960)는 제어부(900)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굴착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부(950)를 통해 화면부(951)에 표시되는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의 표시 내용 확인을 요청하는 음성급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어댑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지중송전선을 삽입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해서,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의 관 내면 또는 외면 및 경질의 관체 내지 절연성 전선 피복 간의 비교적 넓은 면 접촉을 통해 강한 결합력 및 수밀 기능이 확보되는 상태로 두 지중송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투명 소재의 어댑터 몸체 및 실리콘 관을 통해 어댑터 몸체 내부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상태로 진행됨에 따라, 해당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절연형 접속 어댑터가 그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굴착 공사가 진행 시, 해당 굴착 공사의 작업자에게 아래쪽에 지중송전선이 매설되어 있다는 사실 및 해당 지중송전선의 매설 위치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줌에 따라,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이 그 설치 후 보다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중송전선 11 : 나선부
12 : 피복부 100 : 어댑터 몸체
110 : 케이블 삽입홀 111 : 제1 케이블 삽입홀
112 : 제2 케이블 삽입홀 120 : 실리콘 관
200 : 케이블 접속구 210 : 케이블 접속홀
300 : 케이블 나선부 캡 400 : 케이블 피복부 커버
410 : 외부관 420 : 내부관
500 : 지상 인출봉 600 : 베이스 하우징
710 : 소음 감지센서 720 : 진동 감지센서
800 : 저장부 900 : 제어부
950 : 디스플레이부 951 : 화면부
960 : 케이블 매설 알림부 961 : 음성 송출부

Claims (2)

  1. 삭제
  2. 지중송전선로의 지중송전선(10) 삽입을 위한 케이블 삽입홀(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삽입홀(110)에는 절연성 및 신축성을 갖는 투명한 실리콘 관(120)이 그 외면을 상기 케이블 삽입홀(11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결합되고, 투명한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어댑터 몸체(100): 상기 실리콘 관(120)의 길이 방향(이하 “수평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콘 관(120)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 삽입홀(110)을 제1 케이블 삽입홀(111) 및 제2 케이블 삽입홀(112)로 분할하며, 상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양면에 각각 상기 지중송전선(10)의 나선부(11)가 삽입되는 케이블 접속홈(210)이 형성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접속구(200): 상기 지중송전선(10)의 나선부(11)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시켜 상기 나선부(11)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접속홈(21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상기 케이블 접속홈(210)의 내면에 밀착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블 접속홈(210)에 삽입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케이블 나선부 캡(300): 상기 실리콘 관(120)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동시에 상기 지중송전선(10)의 피복부(12)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되, 안쪽의 일부는 신축성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피복부(12) 일단이 감싸지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중송전선(10)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실리콘 관(120)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성의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를 포함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피복부 커버(400)는 상기 실리콘 관(120)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동시에 경질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관(410) 및 상기 지중송전선(10)의 피복부(12)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동시에 신축성이 있는 절연성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상기 외부관(41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상기 외부관(410)에 결합되는 내부관(42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420)에 상기 지중송전선(10)의 피복부(12) 일단이 감싸지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중송전선(10)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부관(410)이 상기 실리콘 관(12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몸체(100)의 상면에 하단이 탈착과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단은 상기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상측 방향의 지표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어댑터 몸체(100)의 매립 설치 시 토사로 인한 외력에 휨이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지상 인출봉(500):
    상기 지상 인출봉(500)의 상단에 탈착과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면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지표면에 매입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600):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매입 설치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되는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소음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소음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소음 감지센서(710):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매입 설치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되는 진동 임계값을 초과하는 진동 신호 감지 시에 해당 진동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진동 감지센서(720):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상기 어댑터 몸체(100)를 중심으로 사전 설정된 지중송전선 표시구역에서의 상기 지중송전선(10) 매설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데이터(이하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라 함)가 저장되되,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는 상기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상측의 지상에 대한 항공사진에 상기 어댑터 몸체(100) 및 지중송전선(10)의 매설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이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저장부(800):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상기 소음 감지센서(710)의 소음 신호 및 진동 감지센서(720)의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시 상기 저장부(80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된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동시에 외부의 수신 대상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00):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화면부(951)가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90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저장부(800)의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50):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의 상면에 음성 송출부(961)가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600)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900)의 상기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상측의 지상에서 굴착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부(950)를 통해 화면부(951)에 표시되는 상기 케이블 매설 영상데이터의 표시 내용 확인을 요청하는 음성급신호를 출력하는 케이블 매설 알림부(9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KR1020230085285A 2023-06-30 2023-06-30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KR102592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285A KR102592799B1 (ko) 2023-06-30 2023-06-30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285A KR102592799B1 (ko) 2023-06-30 2023-06-30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799B1 true KR102592799B1 (ko) 2023-10-23

Family

ID=8850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285A KR102592799B1 (ko) 2023-06-30 2023-06-30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7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778A (ko) * 2006-05-05 2009-02-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케이블용 관형 종단접속기
KR101031061B1 (ko) 2011-02-15 2011-04-25 오대영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KR101424235B1 (ko) 2014-04-11 2014-07-28 (주)부영이엔지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KR20190046303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778A (ko) * 2006-05-05 2009-02-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케이블용 관형 종단접속기
KR101031061B1 (ko) 2011-02-15 2011-04-25 오대영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KR101424235B1 (ko) 2014-04-11 2014-07-28 (주)부영이엔지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KR20190046303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3832A (en) Apparatus for affixing a strain wire into the wiring of flexible electric conduit
WO2008097947A3 (en) Down hole electrical connector for combating rapid decompression
JPS5990308A (ja) フロアケ−ブルの短絡事故防止方法
TWI266340B (en) Polymer jacket tube and cable terminal connector employing the same
KR102592799B1 (ko) 지중송전선로의 절연형 접속 어댑터 장치
EP2654144A2 (en) Smart bonding method for equipment including a remot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panel having a metal case for underground wells
KR101031061B1 (ko) 지중송전선의 절연형 접속어댑터
CN104054220A (zh) 线束以及连接器套件的固定方法
US9389383B2 (en) Hybrid optical fiber cable
KR20170068132A (ko) 스마트 지중경사계
KR100968921B1 (ko)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CN106356772B (zh) 电缆牵引头及设有该电缆牵引头的电缆结构
JP2016208807A (ja) 計装フランジ組立体及び計装フランジ組立体の施工方法
EP2001090A2 (en) Multiplex extension cord for communications and power cables
CN215725736U (zh) 一种地表变形检测设备及系统
CN208580909U (zh) 一种母线插接装置及电气柜
CN209183283U (zh) 一种复合液压控制电缆
KR20100036801A (ko)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CN113823924B (zh) 一种带深度需求识别功能的接地棒
KR19990023145A (ko) 동축 케이블에의 전자 기기의 부착 방법 및 동축 케이블 부착용전자 기기
KR101689283B1 (ko) 선박, 해양플랜트 작업장에서 복합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CN208806595U (zh) 一种新型电缆铜壳结构
CN109149287A (zh) 一种母线插接装置及电气柜
CN212135992U (zh) 一种柔性防火电缆
CN202906411U (zh) 带压力显示的插拔式避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