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469B1 -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469B1
KR101571469B1 KR1020150052748A KR20150052748A KR101571469B1 KR 101571469 B1 KR101571469 B1 KR 101571469B1 KR 1020150052748 A KR1020150052748 A KR 1020150052748A KR 20150052748 A KR20150052748 A KR 20150052748A KR 101571469 B1 KR101571469 B1 KR 10157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urrent
cables
transmission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김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102015005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며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신주에 구성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써, 천재지변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케이블이 단락되어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플러를 구성하여 제 1케이블과 제 2케이블의 양측 끝부를 전류통전부로 상호 이음 연결하여 제 1케이블의 전류와 제 2케이블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통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케이블 또는 제 2케이블이 단락되어도 상기 전류통전부와 연결된 별도의 보조공급부를 통해 단락되지 않은 케이블로 전류를 공급시킬 수 있는 커플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각각 구성되는 송배전케이블을 일정 간격 이격하며 상호 이음 연결할 수 있고,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이 이격되어도 상기 송배전케이블의 구리선이 연결된 전류통전부를 통해 전류가 통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중에서 하나의 케이블이 외부충격 또는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단락 시, 상기 전류통전부와 연결된 보조공급부에서 단락되지 않은 송배전케이블로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어 전류의 흐름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비상시에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커플러에 대한 효율성이 높으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실용성을 높인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Connectors for eac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ables that interconnect telephone pole }
본 발명은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며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신주에 구성되는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신주의 외주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이음부를 상호 연결하여 이음 시켜 전류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이음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구성을 대략 살펴보면, 케이블의 이음부를 볼트 또는 연결부재로 이음 연결 한 후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도록 커버로 감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박스 형태로 이음부를 감싸되 이음부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커버의 연결되는 부분에 패킹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들은 또한, 이에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패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장치들의 부수적인 목적은 케이블이 연결되되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종래 기술들은 등록번호 10-0846136(특)호의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와, 등록번호 10-0904384(특)호의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및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블이 이음 연결된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전신주에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 구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천재지변 또는 무게하중 등으로 인해 케이블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외부의 충격 또는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케이블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 질 경우 케이블이 단락 될 수 있는 문제점들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그 구성을 함에 있어 설치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이음부분에 대한 구성요소 및 구조가 복잡하여 실질적으로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천재지변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케이블이 단락되어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플러를 구성하여 제 1케이블과 제 2케이블의 양측 끝부를 전류통전부로 상호 이음 연결하여 제 1케이블의 전류와 제 2케이블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통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케이블 또는 제 2케이블이 단락되어도 상기 전류통전부와 연결된 별도의 보조공급부를 통해 단락되지 않은 케이블로 전류를 공급시킬 수 있는 커플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창안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끝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은 제 1케이블과 제 2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케이블과 제 2케이블의 끝부에 각각 연결 구성되되 일 측은 상기 제 1, 2케이블의 끝부를 각각 감싸고, 타 측은 외주에 각각의 걸림 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1, 2케이블 내부의 구리선이 관통되도록 각각의 관통 홈이 형성된 제 1결합부재와 제 2결합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제 2결합부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 1, 2결합부재가 연결되는 양측 끝부에는 상기 제 1, 2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에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케이블의 전류를 제 2케이블로 공급시켜 전류를 상호 통전시키되 상기 제 1, 2케이블의 구리선 끝부가 인입되도록 인입 홈이 양측에 형성된 전류통전부가 형성된 연동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2케이블의 양측 끝부와 제 1, 2결합부재 및 연동부재를 감싸며 수지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제 1, 2케이블을 감싸는 부분의 내측에는 이물질방지돌기가 다수개가 형성된 제 1커버와 제 2커버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연동부재의 전류통전부와 연결되되 제 1케이블 또는 제 2케이블이 단락 시, 단락되지 않은 케이블로 전류를 공급하여 통전시키는 보조공급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의하면, 각각 구성되는 송배전케이블을 일정 간격 이격하며 상호 이음 연결할 수 있고,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이 이격되어도 상기 송배전케이블의 구리선이 연결된 전류통전부를 통해 전류가 통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중에서 하나의 케이블이 외부충격 또는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단락 시, 상기 전류통전부와 연결된 보조공급부에서 단락되지 않은 송배전케이블로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어 전류의 흐름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비상시에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커플러에 대한 효율성이 높으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실용성을 높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플러가 전신주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플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플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플러의 구성 중 제 1케이블과 제 1결합부재의 연결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커플러의 구성 중 제 2케이블과 제 2결합부재의 연결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커플러의 구성 중 연동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커플러의 구성 중 연동부재와 제 1, 2케이블 및 제 1, 2결합부재의 연결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제 1커버와 제 2커버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1의 커플러에 보조공급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에 본 발명인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인 커플러(10)는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끝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은 제 1케이블(110)과 제 2케이블(12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케이블(110)과 제 2케이블(120)의 끝부에 각각 연결 구성되되 일 측은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끝부를 각각 감싸고, 타 측은 외주에 각각의 걸림 홈(211, 22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 내부의 구리선(130)이 관통되도록 각각의 관통 홈(213, 223)이 형성된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220)가 구성되며, 상기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2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가 연결되는 양측 끝부에는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211, 221)에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3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케이블(110)의 전류를 제 2케이블(120)로 공급시켜 전류를 상호 통전시키되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구리선(130) 끝부가 인입되도록 인입 홈(321)이 양측에 형성된 전류통전부(320)가 형성된 연동부재(300)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양측 끝부와 제 1, 2결합부재(210, 220) 및 연동부재(300)를 감싸며 수지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을 감싸는 부분의 내측에는 이물질방지돌기(430)가 다수개가 형성된 제 1커버(410)와 제 2커버(420)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연동부재(300)의 전류통전부(320)와 연결되되 제 1케이블(110) 또는 제 2케이블(120)이 단락 시, 단락되지 않은 케이블로 전류를 공급하여 통전시키는 보조공급부(500)가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커플러(10)는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끝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에 대해 제 1케이블(110)과 제 2케이블(120)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송배전케이블로써, 도 3 내지 도 5,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구리선(130)이 구성되고, 외부에는 절연피복이 상기 구리선(130)을 감싸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2케이블(110, 120)은 상기 각각의 제 1, 2결합부재(210, 220)와 연결되는 제 1, 2케이블(110, 120)의 끝부에 구리선(130)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절연피복을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탈피시킨다.
이는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에서 전류가 흐르는 구리선(130) 부분만 하기 설명하는 전류통전부(32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케이블(110)과 연결되는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케이블(120)과 연결되는 제 2결합부재(220)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와 도 7, 8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220)는 제 1케이블(110)과 제 2케이블(12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써, 각각의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는 일 측이 각각의 제 1, 2케이블(110, 120)의 끝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2케이블(110, 120)의 절연피복까지 감싸며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감싸지는 부분에 대해 일정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가 제 1, 2케이블(110, 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별도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압력을 가하기 전에는 도 4, 5의 (B)와 같지만, 일정 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4, 5의 (A)와 같이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절연피복에 일정 깊이를 가지며 눌러지게 되어 결속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제 1, 2결합부재(210, 220)의 타 측은 외주에 각각의 걸림 홈(211, 22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 내부의 구리선(130)이 관통되도록 각각의 관통 홈(213, 2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홈(211, 221)은 외주에 일정 깊이를 가지되,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어 상기 걸림 홈(211, 221)에 걸림 되는 연동부재(300)의 걸림돌기(310)가 걸림 시, 손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관통 홈(213, 223)은 제 1, 2케이블(110, 120) 각각의 끝부에서 절연피복이 탈피되어 일정 길이 돌출된 구리선(130)이 관통되는 홈으로써, 상기 관통 홈(213, 223)을 관통한 구리선(130)은 하기 설명하는 전류통전부(3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길게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연동부재(300)는 도 3,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220)를 양측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가 연결되는 양측 끝부에는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211, 221)에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3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10)는 상기 각각의 걸림 홈(211, 221)에 걸림 되도록 일정 각도를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의 걸림 홈(211, 221)과 연동부재(300)의 걸림돌기(310)는 도면에서 각각 단일로 형성하며 도시하였지만, 이는 결속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으로 도시된 걸림 홈(211, 221)과 걸림돌기(310)의 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겠다.
상기 연동부재(300)의 내부에는 제 1케이블(110)의 전류를 제 2케이블(120)로 공급시켜 전류를 상호 통전시키되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구리선(130) 끝부가 인입되도록 인입 홈(321)이 양측에 형성된 전류통전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류통전부(320)는 제 1, 2케이블(110, 120)에 대한 전류를 상호 통전시키는 것으로써, 각각의 제 1, 2케이블(110, 120)에 구성된 구리선(130)의 끝부가 전류통전부(320)의 인입 홈(321)에 각각 인입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 1, 2케이블(110, 120)에 구성된 각각의 구리선(130)은 전류통전부(320)의 인입 홈(321)에 인입되지 않게 되면, 전류가 통전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제 1, 2케이블(110, 120)의 절연피복을 탈피 시에는 상기 전류통전부(320)의 인입 홈(321)까지 구리선(130)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게 탈피한다.
제 1커버(410)와 제 2커버(420)에 대해 도 2, 도 3,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양측 끝부와 제 1, 2결합부재(210, 220) 및 연동부재(300)를 감싸며 수지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제 1, 2커버(410, 420)는 수지재질로 성형되어 있어 제 1, 2케이블(110, 120)의 구리선(130)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제 1, 2결합부재(210, 220)와 연동부재(30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 1, 2커버(410, 420)의 결합은 제 1커버(410)를 제 1케이블(110)로 우선하여 감싸지도록 하고, 제 2커버(420)를 제 2케이블(110)로 우선하여 감싸지도록 한 후,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에 제 1, 2결합부재(210, 220)를 상호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를 연동부재(300)와 결합시킨 후, 상기 제 1, 2커버(410, 420)를 상호 연결시키는 결합방법을 일반적으로 제시하며 이는 사용자에 따라 결합방법이 가변될 수 있음으로 상기한 결합방법과 순서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겠다.
상기 제 1, 2커버(410, 420)의 양측 끝부 내측에는 이물질방지돌기(4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이물질방지돌기(430)는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을 감싸지는 부분으로 먼지, 이물질 및 별도의 물기(빗물 또는 눈으로 인한 물기)가 제 1, 2커버(410, 4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이물질방지돌기(430)는 제 1, 2케이블(110, 120)의 외주에 닿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제 1, 2커버(410, 420)가 상호 결합 시에는 상기 제 1, 2커버(410, 420)가 커플러(10)를 이루는 외측방향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상호 연결을 이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방지돌기(430)가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인 커플러(10)는 도 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20)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상기 커플러(10)가 전신주(20)의 상측에 연결되는데, 상기한 커플러(10)를 전신주(20)에 연결하는 구조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신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하는 방법 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부분에 안착되도록 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커플러(10)와 전신주(20)의 연결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보조공급부(500)도 전신주(20)에 연결되는데, 상기 보조공급부(500)에 대한 전신주(20)와의 연결에 대해서도 상기 커플러(10)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신주(20)에 연결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 인해 연결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구성되는 송배전케이블을 일정 간격 이격하며 상호 이음 연결할 수 있고,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이 이격되어도 상기 송배전케이블의 구리선(130)이 연결된 전류통전부(320)를 통해 전류가 통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중에서 하나의 케이블이 외부충격 또는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단락 시, 상기 전류통전부(320)와 연결된 보조공급부(500)에서 단락되지 않은 송배전케이블로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어 전류의 흐름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비상시에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커플러에 대한 효율성이 높으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10)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실용성을 높였다.
10 : 커플러 20 : 전신주
110 : 제 1케이블 120 : 제 2케이블 130 : 구리선
210 : 제 1결합부재 211 : 걸림 홈 213 : 관통 홈
220 : 제 2결합부재 221 : 걸림 홈 223 : 관통 홈
300 : 연동부재
310 : 걸림돌기 320 : 전류통전부 321 : 인입 홈
410 : 제 1커버 420 : 제 2커버 430 : 이물질방지돌기
500 : 보조공급부

Claims (1)

  1. 각각의 송배전케이블 끝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은 제 1케이블(110)과 제 2케이블(12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케이블(110)과 제 2케이블(120)의 끝부에 각각 연결 구성되되 일 측은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끝부를 각각 감싸고, 타 측은 외주에 각각의 걸림 홈(211, 22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 내부의 구리선(130)이 관통되도록 각각의 관통 홈(213, 223)이 형성된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220)가 구성되며,
    상기 제 1결합부재(210)와 제 2결합부재(2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가 연결되는 양측 끝부에는 상기 제 1, 2결합부재(210, 220)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211, 221)에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3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케이블(110)의 전류를 제 2케이블(120)로 공급시켜 전류를 상호 통전시키되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구리선(130) 끝부가 인입되도록 인입 홈(321)이 양측에 형성된 전류통전부(320)가 형성된 연동부재(300)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의 양측 끝부와 제 1, 2결합부재(210, 220) 및 연동부재(300)를 감싸며 수지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제 1, 2케이블(110, 120)을 감싸는 부분의 내측에는 이물질방지돌기(430)가 다수개가 형성된 제 1커버(410)와 제 2커버(42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KR1020150052748A 2015-04-14 2015-04-14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KR10157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748A KR101571469B1 (ko) 2015-04-14 2015-04-14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748A KR101571469B1 (ko) 2015-04-14 2015-04-14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469B1 true KR101571469B1 (ko) 2015-11-24

Family

ID=5484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748A KR101571469B1 (ko) 2015-04-14 2015-04-14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4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004Y1 (ko) 2003-11-11 2004-02-14 이정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004Y1 (ko) 2003-11-11 2004-02-14 이정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EP0070696B1 (en) Cable jointing connector and method
US2014853A (en) Cable joint
CA2921403C (en) Multi-piece jacket for separable connectors
JPS5939970B2 (ja) 内部伝熱ジヤケツトを持つたスプライス・コネクタ
KR102003263B1 (ko)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GB2116381A (en)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US1152005A (en) Coupling-connector for submarine cables.
CA2561526C (en)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571469B1 (ko)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MX2015000569A (es) Acopladores de cable de mineria.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RU2641892C2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кожух для разбор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EP4054027A1 (en) Electric power cable connector arrangement
KR20190046303A (ko)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KR20180056981A (ko) 절연유 차단구조를 포함하는 xlpe-of 케이블간 이종 케이블 접속재
KR102393110B1 (ko) 케이블 종단 접속장치
KR101900399B1 (ko)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200374519Y1 (ko) 다수개의 소켓이 부착된 파워케이블
NZ785808A (en) Electric power cable connector arrangement
KR100929729B1 (ko) 이중 노이즈 차단 기능을 갖는 통신 라인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