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143B1 -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 Google Patents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143B1
KR100819143B1 KR1020080006004A KR20080006004A KR100819143B1 KR 100819143 B1 KR100819143 B1 KR 100819143B1 KR 1020080006004 A KR1020080006004 A KR 1020080006004A KR 20080006004 A KR20080006004 A KR 20080006004A KR 100819143 B1 KR100819143 B1 KR 10081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fixed
distribut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혜연
Original Assignee
육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혜연 filed Critical 육혜연
Priority to KR102008000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01R11/15Hook in the form of a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하기 쉬우며, 단열재가 내장되어 접속부위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하우징의 발열을 방지하는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12)가 있는 몸체가 형성되고, 하우징반체(11)의 상단 다수곳에 고정부(15)가 형성되어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볼트로 서로 결합되며, 하우징반체(11)의 상단 서로 마주보는 곳에 배전선단자홀부(13)가 형성되고, 배전선단자홀부(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전력선홀더홀부(14)가 하우징반체(11)에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10); 전력선(2)의 일부 피복이 제거되어 피복제거부(3)가 형성되고, 피복제거부(3)의 전후에 각각 고정되되, 전력선(2)은 관체(21) 내부로 삽입되며, 관체(21)의 외경 둘레를 따라 걸림홈부(22)가 형성되어 하우징반체(11)의 전력선홀더홀부(14)에 맞물려 고정되는 전력선홀더(20); 단면이 반원형인 반원형판체(31)의 내측면이 피복제거부(3)에 맞닿게 되고, 반원형판체(31)의 외측면에 접속봉(32)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접속단자(30); 원형관의 중공홀(41) 일측에 접속단자(30)의 접속봉(32)이 삽입되고, 배전선(4)이 배전선단자(50)를 통해 중공홀(4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관의 단부는 배전선단자(50)에 고정되는 단자소켓(40); 원통형 몸체(51)에 중공홀(52)이 형성되고, 몸체(51) 일측단에 걸림턱(53)이 형성되며, 중공홀(52)에 배전선(4)이 삽입되어 단자소켓(40)에 고정되고, 하우징(10)의 배전선단자홀부(13)에 걸림턱(53)이 걸리도록 고정되는 배전선단자(50); 4개로 구성되어 전력선(2)을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하우징(10)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일측에 반원형홈(62)이 형성되어 단자소켓(40)이 끼워지는 단열재(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기슬리브, 하우징, 배전선단자, 단자소켓, 전력선홀더

Description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EJECTION SLEEVE FOR ELECTRIC LINE CONNECTION}
본 발명은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하기 쉬우며, 단열재가 내장되어 접속부위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하우징의 발열을 방지하는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전선인 전력선에서 전주 변압기를 거쳐 각 수용가로 송전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저압전선인 인하선은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에 의해 연결 접속되고 있다.
이런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고압전선인 전력선과 저압전선인 인하선을 연결 접속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닥의 전선을 수용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서 두가닥의 전선을 연결시키는 삽입홈 및 삽입핀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전선의 규격에 상관없이 전선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하면서 전선의 낭비를 막고 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분기슬리브 제작시 두가닥의 전선 즉, 고압전선과 저압전선을 분기슬리브에 연결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삽입홈과 삽입핀의 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분기슬리브의 연속생산이 불편하였으며 작업시 핀을 구부려 주어야 하는 등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압전선인 전력선 일부가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외부에 드러나기 때문에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절연이 가능하도록 테이프를 접착시키거나 절연체로 케이블의 노출부위를 격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쉽게 접속부위가 벗겨지거나 훼손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누전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랐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의 주선에서 주상변압기의 인하선을 간선에서 분기하는 경우, 분기슬리브를 이용하게 되어 있는데, 종래 이와 같은 분기슬리브는 분기고리를 갖춘 활선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하선을 주선에서 분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활선 클램프에 주상변압기의 인하선을 볼트로 연결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체력에 따라 볼트조임력이 상이하므로 아이볼트가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여 경년 변화 내지는 충격에 의하여 주선에서 분기된 인하선이 탈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활선 작업시 2가지 자재, 즉 활선클램프와 분기고리에 맞는 공구들을 각각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접속부위를 완전히 덮는 분기슬리브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분기슬리 브는 접속부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하기 쉬운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분기슬리브 내부의 접속부위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접속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없애서 내부로 먼지나 수분이 들어가 누전이나 기타 전기 사고를 일으킬 우려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하우징반체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몸체가 형성되고, 하우징반체의 상단 다수 곳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두개의 하우징반체가 볼트로 서로 결합되며, 하우징반체의 상단 서로 마주보는 곳에 배전선단자홀부가 형성되고, 배전선단자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전력선홀더홀부가 하우징반체에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 전력선의 일부 피복이 제거되어 피복제거부가 형성되고, 피복제거부의 전후에 각각 고정되되, 전력선은 관체 내부로 삽입되며, 관체의 외경 둘레를 따라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하우징반체의 전력선홀더홀부에 맞물려 고정되는 전력선홀더; 단면이 반원형인 반원형판체의 내측면이 피복제거부에 맞닿게 되고, 반원형판체의 외측면에 접속봉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접속단자; 원형관의 중공홀 일측에 접속단자의 접속봉이 삽입되고, 배전선이 배전선단자를 통해 중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관의 단부는 배전선단자에 고정되는 단자소켓; 원통형 몸체에 중공홀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중공홀에 배전선이 삽입되어 단자소켓에 고정되고, 하우징의 배전선단자홀부에 걸림턱이 걸리도록 고정되는 배전선단자; 4개로 구성되어 전력선을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하우징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일측에 반원형홈이 형성되어 단자소켓이 끼워지는 단열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어서 접속부위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고, 전력선과 분기선이 서로 접속되는 부분을 감싸면서 하우징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절연의 효과도 있다.
배전선단자와 전력선홀더가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각각의 구성이 결합될 때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내부에 먼지등이 들어가지 않아 이물질에 의한 단선이나 단락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하나로 결합되어 하우징(10)이 형성되고 그 내부로 전력선(2)이 지나가고, 전력선(2)과 접속되도록 접속단자(30)가 형성되며, 접속단자(30)와 배전선(4)이 배전선단자(50)와 단자소켓(40)에 의해 접속되고, 전력선(2)은 전력선홀더(20)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하우징(10)은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12)가 있는 몸체가 형성되고, 하우징반체(11)의 상단 다수곳에 고정부(15)가 형성되어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볼트로 서로 결합된다.
하우징반체(11)의 상단 서로 마주보는 곳에 반원형 배전선단자홀부(13)가 형성되고,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합쳐지면서 배전선단자홀부(13)는 하나의 원형 홀로 형성된다.
배전선단자홀부(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반원형 전력선홀더홀부(14)가 하우징반체(11)에 상단에 형성되고,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합쳐지면서 하나의 원형홀이 된다.
전력선홀더(20)는 전력선(2)을 하우징(10)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관체(21)의 외경 둘레를 따라 걸림홈부(22)가 형성되어 하우징반체(11)의 전력선홀더홀부(14)에 맞물려 고정된다. 걸림홈부(22)는 관체(21)의 둘레를 따라 두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면서 홈부를 이룬다.
전력선(2)은 일부 피복이 제거되어 피복제거부(3)가 형성되고, 피복제거부(3)의 전후에 전력선홀더(20)가 각각 고정되며, 전력선(2)은 전력선홀더(20)의 관체(21)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접속단자(30)는 단면이 반원형인 반원형판체(31)의 내측면이 피복제거부(3)에 맞닿게 되고, 반원형판체(31)의 외측면에 접속봉(3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단자소켓(40)과 같이 배전선(4)에 접속된다.
단자소켓(40)은 원형관의 중공홀(41) 일측에 접속단자(30)의 접속봉(32)이 삽입되고, 배전선(4)이 배전선단자(50)를 통해 중공홀(4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관의 단부는 배전선단자(50)에 고정된다.
배전선단자(50)는 원통형 몸체(51)에 중공홀(52)이 형성되고, 몸체(51) 일측단에 걸림턱(53)이 형성된다. 배전선단자(50)의 중공홀(52)에 배전선(4)이 삽입되어 단자소켓(40)에 고정되고, 하우징(10)의 배전선단자홀부(13)에 걸림턱(53)이 걸리도록 고정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단열재(60)가 고정되는데, 단열재(60)는 네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전력선(2)을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하우징(10)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단열재(60)의 일측에 반원형홈(62)이 형성되어 단자소켓(40)이 끼워져 단자소켓(40)을 둘러싸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분기슬리브 2 : 전력선
3 : 피복제거부 4 : 배전선
10 : 하우징 11 : 하우징반체
12 : 공간부 13 : 배전선단자홀부
14 : 전력선홀더홀부 15 : 고정부
20 : 전력선홀더 21 : 관체
22 : 걸림홈부 30 : 접속단자
31 : 반원형판체 32 : 접속봉
40 : 단자소켓 41 : 중공홀
50 : 배전선단자 51 : 몸체
52 : 중공홀 53 : 걸림턱
60 : 단열재 61 : 몸체
62 : 반원형홈

Claims (1)

  1.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12)가 있는 몸체가 형성되고, 하우징반체(11)의 상단 다수곳에 고정부(15)가 형성되어 두개의 하우징반체(11)가 볼트로 서로 결합되며, 하우징반체(11)의 상단 서로 마주보는 곳에 배전선단자홀부(13)가 형성되고, 배전선단자홀부(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전력선홀더홀부(14)가 하우징반체(11)에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10);
    전력선(2)의 일부 피복이 제거되어 피복제거부(3)가 형성되고, 피복제거부(3)의 전후에 각각 고정되되, 전력선(2)은 관체(21) 내부로 삽입되며, 관체(21)의 외경 둘레를 따라 걸림홈부(22)가 형성되어 하우징반체(11)의 전력선홀더홀부(14)에 맞물려 고정되는 전력선홀더(20);
    단면이 반원형인 반원형판체(31)의 내측면이 피복제거부(3)에 맞닿게 되고, 반원형판체(31)의 외측면에 접속봉(32)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접속단자(30);
    원형관의 중공홀(41) 일측에 접속단자(30)의 접속봉(32)이 삽입되고, 배전선(4)이 배전선단자(50)를 통해 중공홀(4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관의 단부는 배전선단자(50)에 고정되는 단자소켓(40);
    원통형 몸체(51)에 중공홀(52)이 형성되고, 몸체(51) 일측단에 걸림턱(53)이 형성되며, 중공홀(52)에 배전선(4)이 삽입되어 단자소켓(40)에 고정되고, 하우징(10)의 배전선단자홀부(13)에 걸림턱(53)이 걸리도록 고정되는 배전선단자(50);
    4개로 구성되어 전력선(2)을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하우징(10) 내측면에 밀착 되어 고정되고, 일측에 반원형홈(62)이 형성되어 단자소켓(40)이 끼워지는 단열재(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20080006004A 2008-01-21 2008-01-21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1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004A KR100819143B1 (ko) 2008-01-21 2008-01-21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004A KR100819143B1 (ko) 2008-01-21 2008-01-21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143B1 true KR100819143B1 (ko) 2008-04-04

Family

ID=3953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004A KR100819143B1 (ko) 2008-01-21 2008-01-21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1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03Y1 (ko) 2008-12-08 2009-07-17 박종경 멀티형 분기 슬리브
KR100934485B1 (ko) 2009-05-28 2009-12-3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배전선로 분기용 슬리브
KR102379310B1 (ko) * 2021-11-30 2022-03-25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28Y1 (ko) 2001-07-09 2001-11-17 평일산업 주식회사 배전 선로형 정션 유니트
KR20050074722A (ko) * 2004-01-14 2005-07-19 김성환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20060011391A (ko) * 2004-07-30 2006-02-03 황인영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의 결합구조
KR100751518B1 (ko) 2006-12-19 2007-08-23 (주)신명이앤씨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28Y1 (ko) 2001-07-09 2001-11-17 평일산업 주식회사 배전 선로형 정션 유니트
KR20050074722A (ko) * 2004-01-14 2005-07-19 김성환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20060011391A (ko) * 2004-07-30 2006-02-03 황인영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의 결합구조
KR100751518B1 (ko) 2006-12-19 2007-08-23 (주)신명이앤씨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03Y1 (ko) 2008-12-08 2009-07-17 박종경 멀티형 분기 슬리브
KR100934485B1 (ko) 2009-05-28 2009-12-3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배전선로 분기용 슬리브
KR102379310B1 (ko) * 2021-11-30 2022-03-25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64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JP6262269B2 (ja) 分離可能コネクタ用の複数部品ジャケット
KR100748932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MX2011004213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alineacion.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US10256620B2 (en) Sleeve for shielding electrical joint
US7639113B2 (en) Enclosed insulator assemb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0847019B1 (ko)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1423948B1 (ko)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KR101346470B1 (ko)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KR200447586Y1 (ko) 고전압 케이블 접속용 엔드월 커넥터
KR101571469B1 (ko)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전신주용 커플러
KR102485151B1 (ko) 엘보 접속재 연결구
KR101093284B1 (ko)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클램프형 접지단자
KR200443613Y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200273405Y1 (ko) 접속슬리브를 내입할 수 있는 전선 고정용 클램프의 절연보호커버
KR200165191Y1 (ko)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KR20240020450A (ko) 엘보 접속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