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191Y1 -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 Google Patents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191Y1
KR200165191Y1 KR2019990014523U KR19990014523U KR200165191Y1 KR 200165191 Y1 KR200165191 Y1 KR 200165191Y1 KR 2019990014523 U KR2019990014523 U KR 2019990014523U KR 19990014523 U KR19990014523 U KR 19990014523U KR 200165191 Y1 KR200165191 Y1 KR 200165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plug
socket
c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2019990014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케이블이나 산업현장 또는 일반 가정의 케이블 연결용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소켓부(10)와 플러그부(40)를 관단자(32)와 축단자(42)로서 접속할 수 있게 한 케이블 접속구(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에는 본체(11) 일측에 스프링(21)에 의해서 탄지되고 전방에 본체(11)와 직각으로 된 걸림돌기(23)가 형성되며 본체(11) 상면과 접촉부에 패킹(22)이 끼움결합된 뚜껑(20)에 의해서 내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소켓부(10) 내부에 위치하는 접지관단자(31) 및 관단자(32)의 상단에 부싱형의 협지수단(34)을 끼워 내입되는 플러그부(40)의 접지축단자(41)와 축단자(42)를 협지토록 하며, 본체(11)의 상단부에 경사면(12)을 형성하고 이에 돌테(13)를 형성하여 플러그부(40)의 환테(45)가 마련되는 끼움공(46)과 결합하며,
플러그부(40)는 상단 일측방으로 뚜껑(20)의 걸림돌기(23)가 걸리도록 걸림홈(44)을 형성하여 소켓부(10)에 플러그부(40)를 결합시 플러그부(40)를 잡아주도록 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고(高) 암페어용 케이블 접속구{A cable connection device for high eletric current of Ampere}
본 고안은 주로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케이블이나 산업현장의 케이블 연결용으로 사용하는 고(高) 암페어(A)용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산업현장에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케이블의 연결시에는 주로 연결부위를 상호 나비너트를 사용하여 터미널을 채우거나 별도의 소켓과 플러그를 이용하는 접속구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때 전자는 작업자가 도체부분(나비너트)을 직접 손으로 만져서 결선하여야 하므로 메인 스위치를 off시키는 것을 잊어버렸을 때 직접 감전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으며, 상기한 연결방법은 외관이 지저분하고 또한 연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우천시 등에는 전기 감전의 우려가 높고 장기간 사용시 연결부위가 노후되어 각종 전기 감전사고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는 소켓에 플러그를 결속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되는 접속구이기는 하나 이 역시 기후조건에 따라 접속부위에 물이 스며들어 전기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전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도중 외력에 의해 소켓과 플러그가 분리되는 폐단이 있어 각종 용도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연결구로는 사용상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접속구는 끼움결합되는 단자가 헐거워져 이에서 스파크 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접속구는 끼움되는 단자가 헐거운 상태로 있게되므로 작업자가 사용후 소켓에서 플러거를 분리시 전선을 강하게 당겨서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전선이 단락되는 사례가 많으며 이로 인한 감전 우려가 상당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의 접속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접속 후 기후 조건에 따라 수밀성이 보장되어 감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접속구를 구성하는 소켓부에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되는 뚜껑을 마련하고 플러그부와 결합되는 본체 상단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관단자의 표면에 부싱형의 협지수단을 부가하고 플러그부의 끼움공을 소켓부의 경사면과 부합되도록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 플러그부의 축단자가 관단자에 끼움되어 협지수단에 의해서 협지되고 소켓부의 경사면 상부에 플러그부의 경사면으로된 끼움공의 결합으로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접속단자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경사면에 의해서 수밀성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켓부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접속구 10 : 소켓부
11 : 본체 12 : 경사면
13 : 돌테 20 : 뚜껑
21 : 스프링 22 : 패킹
23 : 걸림돌기 31 : 접지관단자
32 : 관단자 34 : 협지수단
40 : 플러그부 41 : 접지축단자
42 : 축단자 44 : 걸림홈
45 : 환테 46 : 끼움공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1는 소켓부10와 플러그부40로 대분된다.
상기 소켓부10에는 본체11 일측에 스프링21에 의해서 탄지되는 뚜겅20에 의해 내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뚜껑20에는 본체11와 접촉되는 부위에 패킹22을 위치시켜 기밀을 유지토록 하며 뚜껑20의 전방에는 뚜껑20과 직각으로 걸림돌기23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11 내부에는 한개의 접지관단자31와 두 개 이상의 관단자32가 보호구30에 끼움되어 있으며 각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33가 형성되어지며 상단에는 부싱형의 협지수단34이 끼워져 있다. 또한 본체11의 상단부에는 경사면12이 형성되며 경사면12에는 돌테13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부40는 내부에 소켓부10의 관단자32에 내입 접속되는 축단자42와 접지축단자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 일측방으로는 전선 내입구멍43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뚜껑20의 걸림돌기23가 걸리도록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는 소켓부20의 본체11 상단부의 경사면12과 돌테13가 끼워지도록 환테45가 마련되는 끼움공46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되는 케이블 접속구1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되어져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1는 먼저 소켓부10의 상부에 있는 뚜껑20을 들고 플러그부40의 축단자42를 소켓부10의 관단자32에 삽입시키고 뚜껑20의 걸림돌기23를 플러그부40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홈44에 끼우면 간단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소켓부10의 관단자32에는 부싱형의 협지수단34이 마련되어 내입되는 축단자42를 협지하여 단자간의 헐거움으로 인한 스파크 현상 등을 방지토록 하였다.
본 고안은 소켓부10의 상단에 뚜껑20을 스프링21에 의해 탄지되도록 구성하였는 바, 이는 소켓부10에 플러그부40를 결합시 플러그부40가 스프링21에 의해 눌려지는 형태로 있게 되어 안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소켓부10와 플러그부40의 결합시 소켓부10의 상단 경사면12과 돌테13와 플러그부40의 끼움공46과 환테45의 결합으로 우천시 등에 빗물이 누수되는 일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 후 소켓부10와 플러그부40를 분리시는 뚜껑20의 걸림돌기23를 걸림홈44에서 분리하고 플러그부40를 상측으로 당기게 되면 간단하게 분리가 된다. 이때 본 고안 뚜껑20은 플러그부40를 결합치 않을 때 소켓부10의 상부와 패킹22이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등으로부터 접지관단자31 및 관단자32를 보호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플러그부40에 연결되는 전선을 당겨서 소켓부10와 플러그부40를 분리하고자 할 때 뚜껑20의 걸림돌기23가 플러그부40의 걸림홈44에 걸려 있게 되어 빠지지 않게 함으로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소켓부10에서 플러그부40를 분리토록 하여 케이블 접속구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면서도 전선이 단락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본 고안은 조선소등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일반가정에서 케이블 접속구1로 사용할 경우 수밀성이 최대한 보장되어 물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득할 수 있고 또한 축단자42와 관자단32가 협지수단34에 의해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호 접촉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단전이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실익이 보장되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소켓부10와 플러그부40를 관단자32와 축단자42로서 접속할 수 있게 한 케이블 접속구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에는 본체11 일측에 스프링21에 의해서 탄지되고 전방에 본체11와 직각으로 된 걸림돌기23가 형성되며 본체11 상면과 접촉부에 패킹22이 끼움결합된 뚜껑20에 의해서 내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소켓부10 내부에 위치하는 접지관단자31 및 관단자32의 상단에 부싱형의 협지수단34을 끼워 내입되는 플러그부40의 접지축단자41와 축단자42를 협지토록하며,
    본체11의 상단부에 경사면12을 형성하고 이에 돌테13를 형성하여 플러그부40의 환테45가 마련되는 끼움공46과 결합하고,
    플러그부40는 상단 일측방으로 뚜껑20의 걸림돌기23가 걸리도록 걸림홈44을 형성하여 소켓부10에 플러그부40를 결합시 플러그부40를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高) 암페어(A)용 케이블 접속구.
KR2019990014523U 1999-07-21 1999-07-21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KR200165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523U KR200165191Y1 (ko) 1999-07-21 1999-07-21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523U KR200165191Y1 (ko) 1999-07-21 1999-07-21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191Y1 true KR200165191Y1 (ko) 2000-02-15

Family

ID=1958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523U KR200165191Y1 (ko) 1999-07-21 1999-07-21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94Y1 (ko) 2007-10-17 2009-08-26 주식회사유래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94Y1 (ko) 2007-10-17 2009-08-26 주식회사유래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274B2 (en) Electronic connection arrangement
RU234925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окопроводящего шланга пылесоса
US7285014B2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US20010023037A1 (en) Vehicle battery plug-in connection arrangement
US11271342B2 (en) Pin and sleeve devices
US8263880B2 (en) Assembly comprising electric and/or electronic components
US10069218B2 (en) Push wire connectors
US3928737A (en) Remote control switching device
US4904195A (en) Twist-lock female-male plug adapter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KR200165191Y1 (ko)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KR100623503B1 (ko) 이탈방지 및 방수구조를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CN111541061A (zh) 一种线路修复装置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US9941605B2 (en) Wire connectors with binding terminals
US7070435B2 (en) Electrical safety plug and socket
KR100659024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US6186822B1 (en) Lamp socket with a pull string switch
CN110911207A (zh) 一种电力配电器件闸刀开关
GB2397953A (en) Electrical cable jointing apparatus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EP1617523A1 (en) Safety multipole electric connector construction
CN217387741U (zh) 一种可拆卸的高压电子连接线
CN216214655U (zh) 一种大电流分流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