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470B1 -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470B1
KR101346470B1 KR1020120022009A KR20120022009A KR101346470B1 KR 101346470 B1 KR101346470 B1 KR 101346470B1 KR 1020120022009 A KR1020120022009 A KR 1020120022009A KR 20120022009 A KR20120022009 A KR 20120022009A KR 101346470 B1 KR101346470 B1 KR 10134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insulator
terminal
rod
light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616A (ko
Inventor
정석철
오영식
남상수
김기배
박상태
박무윤
이현철
김국용
Original Assignee
오성하이텍(주)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하이텍(주),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오성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2002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4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피뢰도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완벽한 접속력을 가지며 체결력이 안정됨과 아울러 조립, 분해 및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가 개시된다.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는 낙뢰를 유도하기 위한 피뢰침과 연결되어 낙뢰를 지면으로 유도하는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접속부는 피뢰침을 고정하는 것으로 피뢰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전부와, 방전부를 지지부에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절연체와, 방전부에 체결되어 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절연체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는 터미널 및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낙뢰를 지면으로 유도하는 피뢰도선을 구비한다. 따라서, 피뢰도선 및 터미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오랜 기간 사용 시에도 부식되지 않고, 피뢰도선의 연결 접속력이 우수해지며 낙뢰 시 신속한 방전으로 낙뢰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APPARATUS FOR JOINING LIGHTNING ARRESTER}
본 발명은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뢰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피뢰침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뢰침은 낙뢰에 의한 충격 전류를 지면으로 안전하게 유도하여, 낙뢰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물의 보호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47374호에는 피뢰침 고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피뢰침 접속장치는 낙뢰를 받도록 최상부에 위치하는 피뢰침과, 피뢰침을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와, 피뢰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으로 낙뢰 전류를 유도하기 위한 피뢰도선 및 피뢰도선을 지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극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낙뢰보호 피뢰침이 설치된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피뢰침 접속장치를 낙뢰보호 피뢰침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의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지지부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피뢰침 접속장치(10)는 접속부(30)와 지지부(20)로 이루어지며, 접속부(30)의 상부로 피뢰침(1)이 연결되며, 지지부(20)는 구조물(7)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피뢰침(1)은 상부에 피뢰침봉(3)이 고정 설치되며, 피뢰침봉(3)의 외측을 하우징이 감싸 고정하고 있다. 피뢰침(1)의 하우징 하단에는 후술할 접속부(30)의 상단과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5)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30)는 피뢰침(1)의 수나사부(5)가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부(31)와, 터미널(43)과 피뢰도선(41) 및 절연체(33)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1)의 상부에는 피뢰침(1)의 수나사부(5)를 삽입시켜 나사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35)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터미널(4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홈(37)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43)은 고정 볼트(45)를 고정나사홈(37)에 나사 체결하여 체결부(31)에 고정된다. 상기 피뢰도선(41)은 터미널(43)로부터 하부에 연결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며, 지면에 매설된 접지극에 연결된다. 상기 절연체(33)는 체결부(31)의 하부로 구비되며, 하단에 후술할 지지부(2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 연결나사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봉(21)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봉(21)의 일 측에는 터미널(43)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피뢰도선(41)을 내측으로 지지봉(21) 내로 삽입시키기 위한 도선 인입공(25)이 형성된다. 아울러, 지지봉(21)의 상단에는 지지부 연결홈(32)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절연체 체결부(2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부(20)는 후술할 구조물(7)에 고정 거치된다.
상기 구조물(7)은 지지부(20)의 지지봉(21)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것으로서, 건물, 송전 철탑, 송수신 철탑 등이 될 수 있으며, 다수의 고정 밴드(9)를 통해 지지봉(21)은 구조물(7)에 결합된다. 즉, 고정 밴드(9)는 지지봉(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져 지지봉(21)의 외면을 감싸며, 고정 밴드(9)의 양측에는 볼트 결합공(9a)이 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봉(21)은 구조물(7)까지 소정의 길이로 하부로 연장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 밴드(9)를 이용하여 볼트(2)로 구조물(7)에 체결된다. 구조물(7)에는 고정 밴드(9)의 볼트 결합공(9a)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종래의 피뢰침 접속장치는 터미널 및 피뢰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 시 쉽게 부식이 일어나고, 낙뢰가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 및 피뢰도선을 충격할 경우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구조물에 지지부를 체결하는 구조가 고정 밴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러 개의 고정 밴드를 사용하여 체결할 경우에도 지지봉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조립, 분해 및 체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47374호, 2006.01.20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뢰도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완벽한 접속력을 가지며 체결력이 안정됨과 아울러 조립, 분해 및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낙뢰를 유도하기 위한 피뢰침이 결합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일측으로 피뢰침이 결합되며 타측으로 구비된 중공체인 절연체(13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방전부와, 상기 방전부의 타측으로 구비된 중공체인 절연체와, 절연체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는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방전부는 하부로 단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절연체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제1 단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체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삽입부는 제1 단차부의 하부로 단면적이 감소하여 형성되는 제2 단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차부의 하부로 삽입부의 외측과 절연체의 내측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상기 제2 단차부의 하부로 삽입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절연체의 상부에는 지지 삽입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지지 삽입공으로 삽입된 렌치가 상기 삽입부의 외측을 가압하여, 절연체가 방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삽입부에는 상기 제2 단차부의 하부로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에도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삽입부에 볼트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볼트의 길이는 제2 단차부의 하부로 형성되는 삽입부의 외측과 절연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절연체의 내측 하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단부 외측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플랜지와, 상단에 상기 제1 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봉의 제1 플랜지의 하부가 삽입되는 중공체인 외측봉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봉의 하단에는 고정판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외측봉 외측으로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외측봉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단차부의 하부로 구비된 상기 삽입부에는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되고, 터미널은 세면 이상의 편평한 면을 가지는 상단 연장부을 가지며, 상단 연장부가 오목홈에 안착한 후 볼트 체결되어 터미널이 삽입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는 피뢰도선 및 터미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오랜 기간 사용 시에도 부식되지 않고, 피뢰도선의 연결 접속력이 우수해지며 낙뢰 시 신속한 방전으로 낙뢰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볼의 풀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터미널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는 별도의 고정용 밴드와 같은 체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지지부를 용이한 작업을 통해 조립, 분해 및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되어 강한 체결력을 갖고 고정부에 접속장치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낙뢰보호 피뢰침 및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피뢰침과 함께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지지봉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뢰침 접속장치를 피뢰침과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의 접속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의 지지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지지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뢰침 접속장치를 피뢰침과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의 접속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구비되는 방전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의 지지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지지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100)는 접속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130)에 지지부(120)가 연결되며, 상기 접속부(130)의 일측으로 피뢰침(1)이 연결된다.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서, 상기 접속부(130)는 일측으로 피뢰침이 결합되며 타측으로 구비된 중공체인 절연체(13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311)를 구비하는 방전부(131)와, 상기 방전부(131)의 타측으로 구비된 중공체인 절연체(133)와, 절연체(133)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삽입부(1311)에 고정되는 터미널(143)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속부(130)가 세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접속부(130)의 하부로 절연체(133)와, 터미널(143)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피뢰침(1)은 낙뢰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피뢰침봉(3)이 고정 설치되고, 피뢰침봉(3)의 외측을 하우징이 감싸고 있다. 피뢰침(1)의 하우징 하단에는 후술할 접속부(130)의 상단과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5)가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된다(도 2 참조).
상기 접속부(130)는 피뢰침(1)과 연결되어, 피뢰침(1)을 충격한 낙뢰를 지면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지지부(120)는 접속부(130)의 하부로 연결되며,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되는 수단으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구조물은 송신 철탑과 같은 고지대에 설치되는 구조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130)는 방전부(131)와 절연체(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전부(131)에 터미널(143)이 연결되며, 터미널(143)에 피뢰도선(41)이 연결된다. 상기 피뢰도선(41)은 터미널(143)의 하부로 연결된다. 터미널(143)의 하단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피뢰도선(41)을 터미널(143)의 하단부에 삽입한 후 터미널(143)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결합한다.
상기 방전부(131)는 피뢰침(1)을 고정하여 낙뢰를 신속히 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피뢰침(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전부(131)는 전도성이 우수한 황동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부(131)의 상부는 원형의 단면에서 양측으로 평탄한 물림면(1314)을 가공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물림면(1314)은 접속장치의 체결 및 해제 시 공구로 파지하기 위하여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물림면(1314)은 서로 배향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전부(131)의 상단에는 피뢰침(1)의 수나사부(5)를 삽입시켜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1317)가 요입 형성되며, 암나사부(1317)의 피뢰침(1)과의 체결 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와샤 체결홈(1318)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와샤 체결홈(1318)은 암나사부(1317)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암나사부(1317)의 상부로 형성된다. 상기 피뢰침(1)의 체결 시 상기 스프링와샤 체결홈(1318)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와샤가 삽입되어 진동 등에 의하여 피뢰침(1)의 나사 체결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며, 완벽한 체결로 접속력을 높이고 낙뢰 시 완벽한 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3)는 방전부(131)를 지지부(120)에 지지 고정하여 방전부(131)와 지지부(120) 간의 절연 기능을 수행하는 중공체로서, 단면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로 절연체(133)가 연결되고, 절연체(133)의 상부로 방전부(131)가 연결되며, 피뢰침(1)은 지지부(120)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절연체(133)는 상하로 관통 개구되며, 내부가 중공의 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절연체(133)의 하부 개구부에는 내측으로 암나사부(1331)가 형성되어 지지부(120)가 나사 체결된다.
상기 터미널(143)은 방전부(131)에 체결되어 방전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방전부(131)와 피뢰도선(4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터미널(143)은 절연체(133)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절연체(133)의 내부로 삽입되어 절연체(133)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다. 결국, 터미널(143)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절연체(133)에 의해 외부의 낙뢰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피뢰도선(41)은 터미널(1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낙뢰를 지면으로 유도함으로써 유입된 전류를 접지로 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절연체(133)의 내부 중공부를 통해 하부로 연장되어 지면까지 연결되어 있다. 결국, 피뢰도선(41)도 터미널(143)과 동일하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절연체(133)에 의해 외부의 낙뢰로부터 보호된다.
결국, 피뢰도선(41) 및 터미널(14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오랜 기간 사용 시에도 부식되지 않고 피뢰도선(41)의 연결 접속력이 우수해지며 낙뢰 시 신속한 방전으로 낙뢰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전부(131)의 하단에는 절연체(133)의 상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1 단차부(1319)가 형성되고, 제1 단차부(1319)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절연체(133)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311)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체(133)의 상단에는 방전부(131)의 제1 단차부(1319)가 안착되며, 방전부(131)의 삽입부(1311)는 절연체(133)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절연체(13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방전부(131)의 삽입부(1311)에는 터미널(143)과의 체결 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제2 단차부(1316)가 더 형성되고, 터미널(143)은 삽입부(1311)의 외측 중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고정된다.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상부의 삽입부(1311)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의 삽입부(1311)의 단면은 원형에서 일측을 제거한, 즉 원호부를 이루는 곡면과 직선을 이루는 평판면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단차부(1316)가 방전부(131)의 삽입부(1311)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진 공간을 통해 터미널(143)의 상단 연장부(1431)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삽입부(1311)는 곡면과 평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2 단차부(1316)은 평면의 상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구비된 상기 삽입부(1311)의 평면에는 오목하게 오목홈(1312)이 형성되어, 터미널(143)의 편평한 양면을 가지는 상단 연장부(1431)가 안착 삽입되며, 상기 터미널(143)의 상단 연장부(1431)에는 볼트 삽입공(1433)이 형성되며, 삽입부(1311)의 오목홈(1312)이 형성된 부분에는 볼트 삽입홈(1313)이 형성되어, 볼트의 체결을 통해 터미널(143)이 삽입부(1311)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오목홈(1312)에 상단 연장부(1431)가 안착할 때, 상단 연장부(1431)의 양측은 오목홈(1312)의 내측 양측에 밀착하며, 볼트 삽입공(1433)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상단 연장부(1431)의 삽입부(1311)를 향하는 면은 오목홈(1312)의 바닥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오목홈(1312)의 형성에 의하여 터미널(143)과 삽입부(1311)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143)의 상단 연장부(1431)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오목홈(1312)에 의하여 지지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상단 연장부(1431)와 절연체(133)의 내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며, 이 간격에 볼트의 머리부가 위치하게 된다. 삽입부(1311)의 오목홈(1312)이 형성된 부분과 절연체(133)의 내면 사이에는 형성되는 반경 방향 간격은 볼트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진동 등의 원인에 의하여 볼트가 풀리더라도 절연체(133)의 내면에 의하여 볼트가 지지되므로 볼트가 볼트 삽입홈(13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터널(143)이 방전부(13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절연체(133)의 상부에는 지지 삽입공(133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지지 삽입공(1335)으로 삽입된 지지부재(147)가 삽입부(1311)의 외측을 가압한다. 상기 지지부재(147)의 예로 봉형 상의 막대나, 외경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렌치를 들 수 있으며 것이 가능하며, 렌치로 하는 경우 상기 지지 삽입공(1335)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로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이 노출되지 않고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방전부(131)와 피뢰도선(41)의 터미널(143) 간의 내부 접속부를 평면 면처리 하여 접속면 불량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부(120)는 지지봉(121)과, 제1 플랜지(1213)와, 외측봉(123) 및 지지 부재(121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121)은 상부에 절연체(133)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1211)가 형성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중공체로서 상하단이 개구되며, 제1 플랜지(1213)는 지지봉(121)의 외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판상인 상기 제1 플랜지(1213)는 지지부(121)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외측봉(123)은 상부에 제2 플랜지(1231)가 구비된 상하단이 개구된 중공체로서, 상기 지지봉(121)이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 플랜지(1231)는 제1 플랜지(1213)와 마주하여 접하게 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213)와 제2 플랜지(1231)는 서로 마주 접한 상태에서 제1 플랜지(1213)와 제2 플랜지(123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 볼트(125)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지지 부재(1215)는 지지봉(121)의 하단 외경에 구비되어, 지지봉(121)의 외경과 외측봉(123)의 내경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봉(121)과 외측봉(123)의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 고정한다. 상기 지지 부재(1215)는 환형상을 이룬다. 상기 외측봉(123)의 하부에는 외경을 따라 판상인 고정판(1235)이 결합 설치되고, 외측봉(123)을 고정판(1235)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1239)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1235)에는 체결을 위한 통공(1237)이 복수로 형성되어, 통공(1237)을 통하여 볼트 체결하여 고정판(1235)을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피뢰도선(41)이 결합된 터미널(143)을 절연체(133)의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절연체(133)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노출된 절연체(133)의 상단 연장부(1431)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1433)에 볼트를 삽입시켜 방전부(131)의 볼트 삽입홈(1313)에 나사 체결하여 터미널(143)을 방전부(131)에 고정 결합시킨다. 그리고 방전부(131)의 제1 단차부(1319)가 절연체(133)의 상단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부(1311)를 절연체(133) 내로 삽입한다. 방전부(131)의 제1 단차부(1319)가 절연체(133)의 상단에 접촉한 후, 절연체(133)에 형성된 렌치공(1335)에 지지부재(147)를 체결하여 지지부재(147)의 내측 단부가 삽입부(1311), 보다 정확하게는 제2 단차부(1316)와 제1 단차부(1319) 사이에서 방전부(131)를 가압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용 밴드와 같은 체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지지부(120)를 용이한 작업을 통해 조립, 분해 및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되어 강한 체결력을 갖고 고정부에 접속장치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1: 피뢰침
120 : 지지부 130 : 접속부
131 : 방전부 133 : 절연체
143 : 터미널 41 : 피뢰도선
1319 : 제1 단차부 1316 : 제2 단차부
1311 : 삽입부 1335 : 지지 삽입공
147 : 렌치 121 : 지지봉
1213 : 제1 플랜지 1231 : 제2 플랜지
1215 : 지지 부재 1235 : 고정판
1239 : 브라켓 123 : 외측봉

Claims (6)

  1. 낙뢰를 유도하기 위한 피뢰침이 결합되는 접속부(130)를 구비하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30)는 일측으로 피뢰침이 결합되며 타측으로 구비된 중공체인 절연체(13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311)를 구비하는 방전부(131)와, 상기 방전부(131)의 타측으로 구비된 중공체인 절연체(133)와, 절연체(133)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삽입부(1311)에 고정되는 터미널(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전부(131)는 하부로 단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절연체(133)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단차부(1319)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311)는 제1 단차부(1319)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체(133)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절연체(133)의 상부에는 지지 삽입공(133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지지 삽입공(1335)으로 삽입된 지지부재(147)가 상기 삽입부(1311)의 외측을 가압하여, 절연체(133)가 방전부(13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311)는 제1 단차부(1319)의 하부로 단면적이 감소하여 형성되는 제2 단차부(1316)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삽입부(1311)의 외측과 절연체(133)의 내측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143)은 상기 삽입부(1311)에 형성된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삽입부(13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311)에는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홈(1313)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143)에도 볼트 삽입공(1433)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143)은 상기 삽입부(1311)에 볼트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볼트의 길이는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형성되는 삽입부(1311)의 외측과 절연체(133)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반경 방향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부(1316)의 하부로 구비된 상기 삽입부(1311)에는 오목하게 오목홈(1312)이 형성되고, 터미널(143)은 세면 이상의 편평한 면을 가지는 상단 연장부(1431)을 가지며, 상단 연장부(1431)가 오목홈(1312)에 안착한 후 볼트 체결되어 터미널(143)이 삽입부(13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KR1020120022009A 2012-03-02 2012-03-02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KR10134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009A KR101346470B1 (ko) 2012-03-02 2012-03-02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009A KR101346470B1 (ko) 2012-03-02 2012-03-02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616A KR20130100616A (ko) 2013-09-11
KR101346470B1 true KR101346470B1 (ko) 2014-01-06

Family

ID=4945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009A KR101346470B1 (ko) 2012-03-02 2012-03-02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67B1 (ko) * 2014-05-15 2014-12-10 (주)동성기술감리단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KR101850499B1 (ko) * 2017-05-02 2018-04-19 우성기업(주) 가공 송전철탑의 낙뢰 방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553A (ja) * 1999-03-03 2000-09-14 Masami Fujii 避雷針装置
KR20050096649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텔콘 케이블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통신 기지국용어레스터
KR20090000591U (ko) * 2007-07-16 2009-01-21 조형기 일체형 피뢰기
JP2010205687A (ja) 2009-03-06 2010-09-16 Sankosha Corp 避雷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553A (ja) * 1999-03-03 2000-09-14 Masami Fujii 避雷針装置
KR20050096649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텔콘 케이블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통신 기지국용어레스터
KR20090000591U (ko) * 2007-07-16 2009-01-21 조형기 일체형 피뢰기
JP2010205687A (ja) 2009-03-06 2010-09-16 Sankosha Corp 避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616A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2455B2 (en) Lightning arrester
KR101948550B1 (ko) 폴리머 배전용 피뢰기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2019708B1 (ko) 구조가 개선된 접지장치
KR10151402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력 손실 감시 및 절감장치
KR101470567B1 (ko)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KR101346470B1 (ko)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GB2440533A (en) Insulated wire tensioner for electric fence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JP5149772B2 (ja) がいし連への避雷器取付構造
KR200222355Y1 (ko) 입상용 고압케이블 보호장치
KR101543014B1 (ko)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
KR101085173B1 (ko) 피뢰도선 지지구
KR101915084B1 (ko)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KR10216794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바인드리스 커버
RU187062U1 (ru) Опорный изолятор с мультикамерным разрядником и фиксированным воздушным зазором
KR101112773B1 (ko) 피뢰기 내장형 라인포스트 애자
KR200464582Y1 (ko)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KR200298822Y1 (ko) 특고압 배전선로용 피뢰기의 접속 단자 구조
KR102312537B1 (ko) 지상 변압기용 2차 터미널
KR10200551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JP7261496B2 (ja) 落雷抑制型避雷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34673B1 (ko) 피뢰 기능을 갖는 가공 배전선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