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82Y1 -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82Y1
KR200464582Y1 KR2020100011051U KR20100011051U KR200464582Y1 KR 200464582 Y1 KR200464582 Y1 KR 200464582Y1 KR 2020100011051 U KR2020100011051 U KR 2020100011051U KR 20100011051 U KR20100011051 U KR 20100011051U KR 200464582 Y1 KR200464582 Y1 KR 200464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line
circuit breaker
connection termi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124U (ko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8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를 제공한다. 상기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선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가 내장되는 전자 회로부로부터 연장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 및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끼워져 압착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하여 전원을 상기 전자 회로부에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의 전자 회로부로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를 전원 공급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 사이에 끼워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전원 공급 라인의 연결 공정시 요구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신속하게 전원 공급 라인을 그립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PRESSING TYP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PART FOR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전 차단기의 전자 회로부로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를 전원 공급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 사이에 끼워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전원 공급 라인의 연결 공정시 요구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신속하게 전원 공급 라인을 그립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누전 차단기는 누설 전류, 지락 및 인체 감전 사고 발생과 같은 이상 전류의 발생을 감출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안전 장치 중의 하나이다.
상기 누전 차단기는 상기 이상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전자 회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회로부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된다.
종래에는 상기 전자 회로부에서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을 전원 공급부에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연결 구조를 이루었다.
도 1을 참조 하여, 종래의 전원 공급부와 전자 회로부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전자 회로부(미도시)의 일정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1)을 준비한다. 상기 전원 공급 라인(1)의 끝단은 링 단자(20)가 연결된다. 상기 링 단자(20)의 일단에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1)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제 1체결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0)는 내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금속편과 같은 연결편(11)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편(11)에는 제 2체결홀(11a)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링 단자(20)의 제 1체결홀(21)과 연결편(11)의 제 2체결홀(11a)을 일치 시키고, 이들을 볼트(30)를 사용하여 서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링 단자(20)는 연결편(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로부터의 전원은 전원 공급 라인(1)을 통하여 전자 회로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체결 볼트(30)를 사용하여 링 단자(20)와 연결편(11)을 연결하는 데에는 볼트(30)와 같은 부품의 종의 수가 증가되고, 이 부품들의 분실 가능성이 높으며, 수개의 볼트(30)를 사용하여 링 단자(20)와 연결편(11)을 연결함에 따르는 조립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전 차단기의 전자 회로부로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를 전원 공급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 사이에 끼워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전원 공급 라인의 연결 공정시 요구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신속하게 전원 공급 라인을 그립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를 제공한다.
상기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선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가 내장되는 전자 회로부로부터 연장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 및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끼워져 압착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하여 전원을 상기 전자 회로부에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일정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몸체와,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압착되는 금속재질의 연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와 체결 볼트를 통하여 체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를 에워싸 고정되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와, 상기 절곡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와, 상기 연장 몸체의 끝단에서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외압에 의하여 서로 압착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압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일정 내경을 갖는 라인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인 공정홈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고 서로 다른 내경을 이루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 몸체의 하단 일측과 상기 절곡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연장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는 상기 연장 몸체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몸체는 상기 절곡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체결 볼트의 체결 여부에 따라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의 전자 회로부로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를 전원 공급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 사이에 끼워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전원 공급 라인의 연결 공정시 요구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신속하게 전원 공급 라인을 그립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누전 차단기의 전자 회로부의 전원 공급 라인과 전원 공급부와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부에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압착 고정된 상태의 누전 차단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그립 몸체 사이에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압착 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라인 고정홈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연장 몸체가 절곡 몸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연장 몸체가 절곡 몸체에서 탈착 가능한 다른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를 갖는 누전 차단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고안의 누전 차단기는 크게 도 4에 도시되는 전원 공급 라인(50)이 마련되는 전자 회로부(190)와,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의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 단부(50a)를 압착 고정시키어 상기 전자 회로부(1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0)를 갖는다.
상기 전자 회로부(190)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선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가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5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은 내부에 와이어(50a)가 형성되고 와이어 외주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절연 피복층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의 일단은 전자 회로부(190)의 도시되지 않은 접속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 또는 단부(50a)는 일정 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피복층이 제거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좋다.
상기 전원 공급부(100)는 전원 공급부 몸체(101)와,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피복층이 제거된 전원 공급 라인(50)의 단부(50a)를 그립하여 압착 고정하는 연결부(2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연결부(200)는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외면에 밀착되고,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원 공급부(100)와 체결 볼트(B)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체결홀들(211)이 형성되는 고정 몸체(210)와, 상기 고정 몸체(2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101)를 에워싸 고정되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 몸체(220)와, 상기 절곡 몸체(220)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230)와, 상기 연장 몸체(230)의 끝단에서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외압에 의하여 서로 압착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24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홀들(211)과 위치가 일치되는 다른 체결홀들(미도시)이 형성되고, 체결 볼트들(B)이 상기 체결홀(211) 및 다른 체결홀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 몸체(210)는 상기 전원 공급부(101) 일면에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절곡 몸체(220)는 상기 고정 몸체(21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연장된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된 상태의 절곡 몸체들(220)은 서로 마주 보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 몸체(220)는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외주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 몸체들(220)은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외주에 결합되고, 고정 몸체(210)는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일면에 체결 볼트들(B)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한 쌍의 절곡 몸체(220)의 단부에는 상하를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걸침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걸침홈(221)에는 전원 공급부 몸체(101)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120)이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절곡 몸체(220)는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 몸체(210)와 상기 고정 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곡 몸체들(220)은 전원 공급부 몸체(101)의 일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설치홈(110)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210)의 좌우로의 틀어짐은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몸체(23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절곡 몸체들(220)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서 세워져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 몸체(230)의 하단 일측과 상기 절곡 몸체(220)의 어느 하나의 상단 사이에는 지지부(2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31)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연장 몸체(230)가 파손되거나 기형적으로 구부러지는 등의 구조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장 몸체(23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그립 몸체(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240)의 단부는 상기 연장 몸체(23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을 따라 서로 일정 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240)의 사이에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의 단부(50a,피복층이 제건된 부분)는 상기 사이 공간에 끼워지고, 외압에 의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 몸체들(240)이 서로 압착되면서,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은 단부(50a)는 압착된 그립 몸체들(240) 사이에 끼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24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정의 외압 작용 여부에 따라 벌어짐 또는 오므림이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240)는 연장 몸체(230)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는 것이 좋다. 즉, 전원 공급부 몸체(101)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240)는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어 벌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원 공급 라인(50)의 단부(50a)를 상기 그립 몸체들(240)의 사이 공간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의 단부(50a)는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들(240)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내경을 이루는 라인 고정홈(241)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 고정홈(241)의 내경은 상기 전원 공급 라인(50)의 단부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한 쌍의 그립 몸체(240')의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고 서로 다른 내경을 이루어 라인 고정홈(241,242,243)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수개의 라인 고정홈들(241,242,243)은 피복층이 제거된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원 공급 라인들(50,51,52)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규격에 요구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외경 사이즈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연장 몸체(230',230")는 절곡 몸체(220',220") 중 어느 하나와 체결 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 하면, 절곡 몸체(220')의 상단 일측에는 안착홈(220'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20'a)에는 연장 몸체(23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220'a)에서의 절곡 몸체(220')와 연장 몸체(230')를 관통하는 볼트홀(230'a)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230'a)에는 체결 볼트(B)가 끼워져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 몸체(230')는 체결 볼트(B)의 체결 여부에 따라 절곡 몸체(22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도 8을 참조 하면, 절곡 몸체(220")의 상단 양측에는 레일홈(220"a)이 형성된다. 절곡 몸체(220")의 상단에는 연장 몸체(230")가 끼워진다. 상기 연장 몸체(230")의 하단에는 상기 절곡 몸체(22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슬라이딩 홀(230"a)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230"a)의 내측 양벽에는 상기 레일홈(220'b)에 끼워지는 레일(230"b)이 헝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 몸체(230")는 레일(230"b)이 레일홈(220'b)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절곡 몸체(220")를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곡 몸체(220")의 상단과 연장 몸체(230")의 하단은 관통하는 볼트홀(22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홀(220"a)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를 이루어 형성될 수도 있고,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220"a)에는 체결 볼트(B)가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이동되는 연장 몸체(230")는 일정 위치에서 체결 볼트(B)의 체결 여부에 따라 위치 고정이 가능하다.
50 : 전원 공급 라인
100 : 전원 공급부
190 : 전류 회로부
200 : 연결부
210 : 고정 몸체
220 : 절곡 몸체
230 : 연장 몸체
240 : 그립 몸체
241 : 라인 고정홈

Claims (7)

  1.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선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가 내장되는 전자 회로부로부터 연장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원 공급 라인; 및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끼워져 압착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하여 전원을 상기 전자 회로부에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일정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몸체와,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압착되는 금속재질의 연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와 체결 볼트를 통하여 체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부 몸체를 에워싸 고정되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와, 상기 절곡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와, 상기 연장 몸체의 끝단에서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외압에 의하여 서로 압착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일정 내경을 갖는 라인 고정홈이 형성되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고정홈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고 서로 다른 내경을 이루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몸체의 하단 일측과 상기 절곡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연장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는 상기 연장 몸체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몸체는 상기 절곡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체결 볼트의 체결 여부에 따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KR2020100011051U 2010-10-27 2010-10-27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KR200464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051U KR200464582Y1 (ko) 2010-10-27 2010-10-27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051U KR200464582Y1 (ko) 2010-10-27 2010-10-27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24U KR20120003124U (ko) 2012-05-07
KR200464582Y1 true KR200464582Y1 (ko) 2013-01-11

Family

ID=4660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051U KR200464582Y1 (ko) 2010-10-27 2010-10-27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8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286A (ko) * 1998-04-17 1999-11-25 마리오 파텍 긴홈이형성되는접촉라인용전류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286A (ko) * 1998-04-17 1999-11-25 마리오 파텍 긴홈이형성되는접촉라인용전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24U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2070B2 (en) Spring loaded clamp
US9660358B2 (en) Contact elemen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device
WO2007143603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teth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CN107000659A (zh) 汽车用电源供给装置
FR2877150B1 (fr) Procede de montage d'un connecteur electrique sur un cable coaxial, et un tel connecteur
KR100834499B1 (ko)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KR101022874B1 (ko) 다중 요철 구조의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의 결합방법
US8585431B2 (en) Electrical connection clamp
KR200464582Y1 (ko)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FI70098B (fi) Kabelklaemma
US7402061B1 (en) Structure of energy-efficient lamp base
KR101346470B1 (ko)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CN209496670U (zh) 便捷式柱式绝缘子导线固定夹
KR20080022892A (ko) 전선접속장치
KR20080003684U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JP6499409B2 (ja) 電源分岐構造
KR100941924B1 (ko) 배전선로의 더블류형 분기슬리브
KR200430965Y1 (ko) 케이블의 통전장치
US20220302606A1 (en) Insulation piercing tap connectorsfor electrical conductors
KR200214748Y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KR200421637Y1 (ko) 원형 밴드 케이블
CN106252910B (zh) 高压电缆连接头及其使用方法
KR200298822Y1 (ko) 특고압 배전선로용 피뢰기의 접속 단자 구조
KR200469497Y1 (ko) 케이블 도선 압착홈을 구비한 자동차 배선용 케이블 접속 압착단자
KR20090003046U (ko)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