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836B1 -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836B1
KR102085836B1 KR1020130124454A KR20130124454A KR102085836B1 KR 102085836 B1 KR102085836 B1 KR 102085836B1 KR 1020130124454 A KR1020130124454 A KR 1020130124454A KR 20130124454 A KR20130124454 A KR 20130124454A KR 102085836 B1 KR102085836 B1 KR 10208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cable
optical
base plate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50A (ko
Inventor
김형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43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with auxiliary facilities for movably aligning or adjusting the fibre within its ferrule, e.g. measuring position or eccentric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광케이블을 가설한 후 발생되는 광케이블 여유장을 전주 또는 조가선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는 베이스판,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 및 결속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며, 광케이블을 고정한다.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하여 인입 및 인출된 광케이블이 소정의 직경으로 감기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결속부는 베이스판을 외부에 하나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조가선 또는 전주에 설치한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Apparatus for mounting extra optical cable and equipment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광케이블을 가설한 후 광케이블 여유장을 전주 또는 조가선에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지면에서 6 내지 7m 정도의 높이로, 30 내지 50m 간격으로 설치된다. 전주는 상단부에 전력공급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이 설치된다. 아울러 전주에는 전력 케이블과 더불어 인터넷, 팩스 등과 같은 전기적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광케이블이 가설될 수 있다.
광케이블은 주로 지하에 매설하게 되는데, 간혹 지하에 매설이 불가능한 지형일 경우 지상에 세워져 있는 전주에 가설된다.
통상적으로 광케이블은 전주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가설되며, 전주에 도달한 양측의 끝단이 케이블 접속함의 내부에서 상호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지상에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전주와 전주 사이에 광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등의 조가선을 가설한 다음, 조가선을 따라 광케이블을 인출한 후, 케이블타이 등과 같은 결속선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조가선에 일정 간격으로 결속시켜 가설한다.
이때 차후 광케이블의 재결합이나 연장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여분인 광케이블 여유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 여유장은 전주의 상단 또는 조가선 상에 여러회 감아 정리하게 된다.
그런데 광케이블 여유장은 작업자에 따라서 감긴 형태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외부에 노출될 경우 그 주변의 환경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광케이블 여유장을 감는 과정에서 감은 광케이블 여유장의 직경이 너무 작을 경우, 감는 과정에서 광케이블의 꺾임에 따른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반대로 직경이 너무 크게 광케이블을 감는 경우, 필요 이상의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여유장에 존재하게 되어 광케이블의 낭비가 발생되고, 전주 또는 조가선에 필요 이상의 하중을 부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41646호, 2013년 04월 25일 공개 (명칭: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행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환경 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광케이블 여유장을 깨끗하게 설치할 수 있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판,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 및 결속부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한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소정의 직경으로 감기도록 유도하여 광케이블 여유장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판을 외부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감기는 광케이블의 궤도 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각각,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나선형의 지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각각 한 쌍이 설치되며, 한 쌍의 케이블 지지암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고정부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제1 광케이블 고정부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지지암은 제1 케이블 지지암과 제2 케이블 지지암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블 지지암은 상기 제2 광케이블 고정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과한 광케이블이 삽입되며, 제2 케이블 지지암을 통과한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 지지암은 상기 제1 광케이블 고정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블 지지암을 통과한 광케이블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광케이블을 상기 제2 케이블 고정부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조가선에 상기 베이스판을 결속하는 조가선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가선 결속부는 케이블타이, 밴드, 클램프 또는 조입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주에 상기 베이스판을 결속하는 전주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주 결속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연결되며, 전주를 향하여 뻗어 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상기 전주에 고정하는 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주와,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양측에 가설되는 조가선과,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조가선에 결속되는 광케이블, 및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양쪽의 광케이블에 연결된 광케이블 여유장을 상기 전주 및 상기 전주에 인접한 조가선 중에 하나에 설치하는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는 베이스판,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 및 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한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소정의 직경으로 감기도록 유도하여 광케이블 여유장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판을 상기 조가선 및 전주 중에 하나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는 광케이블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일정한 형태, 즉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를 가지면서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케이블 고정부와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을 구비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을 감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여유장을 전주 또는 조가선에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을 감아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 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광케이블 여유장을 깨끗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 여유장을 일정 형태를 갖도록 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감는 과정에서 광케이블의 꺾임에 따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감기는 횟수에 따라 광케이블 여유장의 길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여유장에 존재하게 되어 광케이블의 낭비가 발생하거나, 전주 또는 조가선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부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광케이블이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가 조가선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광케이블이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는 광케이블 여유장(16)을 조가선 또는 전주에 설치하는 기구로서, 광케이블 여유장(16)이 감겨 고정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는 베이스판(30),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 및 결속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는 베이스판(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케이블(14)이 인입 및 인출되며, 광케이블(14)을 고정한다.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베이스판(30)에 설치되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 50)를 통하여 인입 및 인출된 광케이블(14)이 일정한 형태, 즉 소정의 직경으로 감기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결속부(70)는 베이스판(30)을 외부에, 예컨대 조가선 및 전주 중에 하나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이용하면, 광케이블 여유장(16)을 일정한 형태, 예컨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감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30)은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 및 결속부(70)가 설치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베이스판(30)은 사각의 판 형태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베이스판(30)은 다각형의 판이나,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판(30)의 소재로는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 금속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판(30)은 일면의 상부 양쪽에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가 설치된다.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 아래쪽의 베이스판(30)의 일면에는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가 설치되는 베이스판(30)의 상단부 쪽에 결속부(70)가 설치된다. 결속부(70)는 베이스판(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는 한 쌍이며, 한 쌍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는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는 베이스판(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케이블 여유장(16)을 형성하는 광케이블(14)이 인입되며, 인입되는 광케이블(14)을 고정한다.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는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이웃하게 베이스판(30)에 설치되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에 감긴 후 인출되는 광케이블(14)을 고정한다.
여기서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는 광케이블(14)이 삽입될 수 있는 관 형태를 갖는다.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판(3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를 통하여 광케이블(14)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경이 삽입되는 광케이블(14)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조가선에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광케이블(14)에 연결된 광케이블 여유장(16)의 광케이블(14)은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를 통하여 삽입된 후,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를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가 동일선상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와 함께 광케이블 여유장(16)이 일정한 형태, 즉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를 가지면서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광케이블 여유장(16)이 감기는 궤도 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베이스판(3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감길 광케이블 여유장(16)의 궤도를 일정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베이스판(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각각, 지지바(63)와 나선형의 지지암(65)을 포함한다. 지지바(63)는 일단이 베이스판(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선형의 지지암(65)은 지지바(63)의 타단에 형성되며 광케이블(14)이 삽입된다. 그리고 나선형의 지지암(65)은 광케이블 여유장(16)의 감김을 안내하며, 감기는 광케이블(14)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광케이블(14)이 꺾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선형의 지지암(65)은 일정 내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지지바(63)에 연결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고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한 쌍이 설치되며, 한 쌍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각각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 아래에 배치된다. 한 쌍의 케이블 지지암(61,69)은 제1 케이블 지지암(61)과 제2 케이블 지지암(69)을 포함한다. 제1 케이블 지지암(61)은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 아래에 배치되며,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를 통과한 광케이블(14)이 삽입되며, 제2 케이블 지지암(69)을 통과한 광케이블(14)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블 지지암(69)은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 아래에 배치되며, 제1 케이블 지지암(61)을 통과한 광케이블(14)이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광케이블(14)을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로 전달한다.
결속부(70)는 조가선에 결속하는 조가선 결속부(71)와, 전주에 결속하는 전주 결속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설치되는 곳이 조가선이냐 전주냐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가선 결속부(71)와 전주 결속부(73)를 함께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둘 중에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조가선 결속부(71)는 베이스판(3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판(75)과, 연결판(75)에 설치된 복수의 결속부재(74)를 포함한다. 복수의 결속부재(74)로는 케이블타이, 밴드, 클램프, 조입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결속부(71)는 연결판(75)을 매개로 복수의 결속부재(74)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조가선 결속부(71)는 복수의 결속부재(74)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결속부재(74)는 베이스판(3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전주에 설치되는 경우, 조가선 결속부(71)의 결속부재(74)는 연결판(75)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전주 결속부(73)는 베이스판(3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판(75)과, 연결판(75)에 설치된 지지대(77) 및 밴드부재(79)를 포함한다. 지지대(77)는 일단이 연결판(75)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78)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밴드부재(79)는 지지대(77)의 타단에 형성되며, 지지대(77)를 전주에 고정한다. 이때 연결판(75)에는 지지대(77)의 일단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한 쌍의 설치판(7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주 결속부(73)는 연결판(75)을 매개로 베이스판(30)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주 결속부(73)는 지지대(77)의 일단이 베이스판(3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조가선에 설치되는 경우, 전주 결속부(73)의 지지대(77) 및 밴드부재(79)는 연결판(75)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는 광케이블(14)이 일정한 형태, 즉 원형이나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40,50)와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61,69)을 구비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감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여유장(16)을 전주(10) 또는 조가선(12)에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감아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 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깨끗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 여유장(16)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14)을 감는 과정에서 광케이블(14)의 꺾임에 따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에 감기는 횟수에 따라 광케이블 여유장(16)의 길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광케이블(14)이 광케이블 여유장(16)에 존재하게 되어 광케이블(14)의 낭비가 발생하거나, 전주 또는 조가선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부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조가선(12)에 설치되는 예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조가선(12)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의 설치 구조(100)는 전주(10), 조가선(12), 광케이블(14) 및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포함하며,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조가선(12)에 결속되어 고정된다.
광케이블(14)은 전주(10)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가설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전주(10)에 도달한 양측의 끝단이 케이블 접속함의 내부에서 상호 신호전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광케이블(14)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등의 조가선(12)이 전주(10)에 가설된다. 이때 조가선(12)은 광케이블(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설될 광케이블(14)의 상부에 가설된다.
광케이블(14)을 가설하는 방법은, 가설된 조가선(12)을 따라 광케이블(14)을 인출한 후, 케이블타이 등과 같은 결속선(18)을 이용하여 광케이블(14)을 조가선(12)에 일정 간격으로 결속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광케이블 여유장(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이용하여 조가선(12)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때 전주(10)를 기준으로 양쪽의 광케이블(14)은 광케이블 여유장(16)을 형성하는 광케이블(14)과 연결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조가선(12)에 결속시켜 고정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는 조가선(12)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주 결속부의 지지대 및 밴드부재는 연결판(75)에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가선 결속부(71)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조가선(12)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광케이블 여유장(16)을 형성할 광케이블(14)을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를 통과한 광케이블(14)을 제1 케이블 지지암(61)과 제2 케이블 지지암(69)에 차례로 삽입하여 적어도 1회 감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14)을 1회 감아 광케이블 여유장(16)을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광케이블 여유장(16)을 다 감은 이후에 광케이블(14)을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에 삽입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 밖으로 인출시킴으로써, 광케이블 여유장(16)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조가선(12)에 먼저 결속하여 설치한 이후에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에 감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에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감은 이후에 해당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조가선(12)에 결속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전주(10)에 설치되는 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전주(10)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의 설치 구조(200)는 전주(10), 조가선(12), 광케이블(14) 및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포함하며,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전주(10)에 결속되어 고정된다.
먼저 전주(10)에 조가선(12) 및 광케이블(14)을 가설하는 방식은 도 3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가 전주(10)에 결속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는 전주(10)에 설치되기 때문에, 조가선 결속부의 결속부재는 연결판(75)에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주 결속부(73)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전주(10)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때 전주 결속부(73)는 밴드부재(79)에 의해 전주(10)에 결속하여 고정된다. 밴드부재(79)에 연결되어 뻗어 있는 지지대(77)에 의해 베이스판(30)이 전주(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광케이블 여유장(16)을 형성할 광케이블(14)을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1 광케이블 고정부(40)를 통과한 광케이블(14)을 제1 케이블 지지암(61)과 제2 케이블 지지암(69)에 차례로 삽입하여 적어도 1회 감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14)을 1회 감아 광케이블 여유장(16)을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광케이블 여유장(16)을 다 감은 이후에 광케이블(14)을 제2 광케이블 고정부(50)에 삽입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 밖으로 인출시킴으로써, 광케이블 여유장(16)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전주(10)에 먼저 결속하여 설치한 이후에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에 감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에 광케이블 여유장(16)을 감은 이후에 해당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20)를 전주(10)에 결속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 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케이블이 일정한 형태, 예컨대 원형이나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케이블 고정부와 케이블 지지암을 구비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을 안정적으로 감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로 광케이블 여유장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 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광케이블 여유장을 깨끗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여유장을 설치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여유장에 존재하게 되어 광케이블의 낭비가 발생하거나, 전주 또는 조가선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부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 전주 12 : 조가선
14 : 광케이블 16 : 광케이블 여유장
18 : 결속선 20 :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30 : 베이스판 40 : 제1 광케이블 고정부
50 : 제2 광케이블 고정부 61 : 제1 케이블 지지암
63 : 지지바 65 : 지지암
69 : 제2 케이블 지지암 70 : 결속부
71 : 조가선 결속부 73 : 전주 결속부
74 : 결속부재 75 : 연결판
76 : 설치판 77 : 지지대
78 : 체결부재 79 : 밴드부재
100, 200 :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의 설치 구조

Claims (9)

  1.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일면의 상부 양쪽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상기 베이스판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 아래쪽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소정의 직경으로 감기도록 유도하여 광케이블 여유장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을 외부에 결속하여 고정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을 전주에 결속하여 고정하는 전주 결속부;를 포함하며,
    전주 결속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연결되며, 전주를 향하여 뻗어 있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전주에 고정하는 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감기는 광케이블의 궤도 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각각,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나선형의 지지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은 각각 한 쌍이 설치되며, 한 쌍의 케이블 지지암은 한 쌍의 광케이블 고정부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고정부는 제1 광케이블 고정부와 제2 광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지지암은,
    상기 제2 광케이블 고정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과한 광케이블이 삽입되며, 제2 케이블 지지암을 통과한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케이블 지지암;
    상기 제1 광케이블 고정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블 지지암을 통과한 광케이블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광케이블을 상기 제2 광케이블 고정부로 전달하는 제2 케이블 지지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조가선에 상기 베이스판을 결속하는 조가선 결속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8. 삭제
  9. 전주;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양측에 가설되는 조가선;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조가선에 결속되는 광케이블;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양쪽의 광케이블에 연결된 광케이블 여유장을 상기 전주 및 상기 전주에 인접한 조가선 중에 하나에 설치하는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일면의 상부 양쪽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상기 베이스판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 아래쪽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상기 광케이블이 소정의 직경으로 감기도록 유도하여 광케이블 여유장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케이블 지지암; 및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을 상기 전주에 결속하여 고정하는 전주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주 결속부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광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연결되며, 전주를 향하여 뻗어 있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상기 전주에 고정하는 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의 설치 구조.
KR1020130124454A 2013-10-18 2013-10-18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KR10208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54A KR102085836B1 (ko) 2013-10-18 2013-10-18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54A KR102085836B1 (ko) 2013-10-18 2013-10-18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50A KR20150045150A (ko) 2015-04-28
KR102085836B1 true KR102085836B1 (ko) 2020-05-27

Family

ID=5303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454A KR102085836B1 (ko) 2013-10-18 2013-10-18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6759A1 (en) * 2018-04-23 2023-01-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unting bracket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9929B (zh) * 2023-02-13 2023-08-25 卓信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通讯线路用的保护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2418A (ja) * 2003-03-20 2004-10-28 Totsu Soken:Kk ケーブル留め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646A (ko) 2011-10-17 2013-04-25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행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2418A (ja) * 2003-03-20 2004-10-28 Totsu Soken:Kk ケーブル留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6759A1 (en) * 2018-04-23 2023-01-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unting bracket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50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US11726289B1 (en) Components for fiber optic cable installation on a powerline conductor
KR102348455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2085836B1 (ko)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WO2007102853A1 (en) Coiled wire armored cable
KR200473979Y1 (ko) 고강도 천을 이용한 케이블 정리장치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US11569648B2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CN202616650U (zh) 一种gis光学电流互感器安装装置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JP2007110792A (ja) 螺旋状ケーブル支持具およびケーブル通線方法
JP4637552B2 (ja) 鳥害防止具仮支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間接活線工法
JP5694438B2 (ja) 引下線固定具
KR101222156B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함체
KR102634673B1 (ko) 피뢰 기능을 갖는 가공 배전선 고정 장치
KR102485150B1 (ko) 전선 스페이서
CN102761073B (zh) 一种gis光学电流互感器安装装置
US20220342173A1 (en) Cable wiring method
JP5186618B2 (ja) 鳥害防止用装置
KR20140003215U (ko) 전선 보호용 평철 전로
KR20240015396A (ko) 변압기용 지지장치
JP4181507B2 (ja) 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構造、敷設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KR20210055168A (ko) 결속기용 가이드 장치
RU143787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вода навивного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от несущего элемента или жгута
KR20020018538A (ko) 결선여유길이를 내포한 와이어 일체형 배관조립체 및 그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