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168A -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168A
KR20200082168A KR1020180172490A KR20180172490A KR20200082168A KR 20200082168 A KR20200082168 A KR 20200082168A KR 1020180172490 A KR1020180172490 A KR 1020180172490A KR 20180172490 A KR20180172490 A KR 20180172490A KR 20200082168 A KR20200082168 A KR 2020008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peed
speed adjusting
member sid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986B1 (ko
Inventor
김기완
김창균
길기남
박동호
Original Assignee
(주)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8017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9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에 케이블을 포설할 때,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거나 동력 머신을 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케이블을 해저에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Apparatus for feeding cable}
본 발명은 해저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포설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저로 케이블을 공급하는 선박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케이블을 압입하는 압입력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배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저 케이블은 대륙과 대륙, 육지와 섬 등과 같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격리된 두 지점 사이의 통신 케이블이나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해저에 포설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해저 케이블은 해저에 포설되기 때문에 해류, 조류, 파도 및 해저 면과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특히 어업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외상으로부터의 보호와 장력에 의해 견딜 수 있도록 외피에 특수 처리된 외장케이블을 해저 케이블로 사용하게 된다.
해저 케이블의 포설 작업 시, 예를 들어 바다를 사이에 두고 격리된 육지와 섬에 포설 시작점과 포설 완료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두 지점을 연결하는 포설 라인을 따라 해저 케이블이 적재된 포설선(선박)을 이동시키며 해저 케이블을 포설하게 된다.
한편, 해저 케이블 포설 시, 포설선이 이동하는 거리만큼 해저 케이블을 해수면에 내려주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다.
해저 케이블을 해수면에 내려주는 장비는, 동력 머신을 활용하며, 이러한 머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력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해저 케이블 포설 시,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동력 머신을 운용할 수 없는 공간에서 해저 케이블을 일정한 속도로 포설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해저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해저에 케이블을 포설할 때,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거나 동력 머신을 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케이블을 해저에 포설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는, 해저에 포설되는 케이블이 유입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와 마주하고, 상기 케이블이 배출되는 배출부재; 및 상기 유입부재와 상기 배출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면 및 하면을 압입하는 압입력을 기초로 상기 배출부재로 배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포설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해저로 상기 케이블을 공급하는 선박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케이블을 압입하는 압입력 및 상기 케이블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유입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와 마주하게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상기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상기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유입부재 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배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와 마주하게 위치하고,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상기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배출부재 측 상기 제2 롤러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배출부재 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유입부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의 상면을 압입하는 제1 속도조절부, 상기 제1 속도조절부와 마주하며, 상기 케이블의 하면을 압입하는 제2 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는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면,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케이블의 유입 및 배출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기초로 상기 제1 속도조절부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잠금부, 상기 제1 속도조절부와 상기 제2 속도조절부가 접하면, 상기 제1 잠금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상기 제1 잠금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속도조절부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 상기 제2 잠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 위치 시,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가 상기 케이블을 압입하는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면,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저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 별도의 구동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블을 해저에 포설할 수 있으므로, 해저 케이블 포설 시,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동력 머신을 운용할 수 없는 공간에서 해저 케이블을 일정한 속도로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선박의 속도에 대응하여 케이블을 배출할 수 있고, 케이블의 배출 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에 케이블이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 케이블이 포설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에 케이블이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방향축은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의 구성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기재한 것이며, 기재된 방향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는, 해저에 설치되는 해저 케이블을 해저에 포설할 때의 케이블 포설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는 해저에 포설되는 케이블이 적재된 선박에서 케이블을 해저로 내려줄 때, 선박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케이블의 포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저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는 유입부재(100), 배출부재(200) 및 속도 조절 부재(300, 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입부재(100)는 해저에 포설되는 케이블(C)이 유입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유입부재(100)는 케이블(C)이 유입부재(100)로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와,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와 마주하게 위치하고,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를 포함한다.
즉, 유입부재(100)가 구동하면,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 및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가 회전한다. 이때,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 및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 사이로 케이블(C)이 유입되면,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 및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에 의해 케이블(C)이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 및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 사이로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와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케이블(C)이 유입부재(100)에 유입되면 유입부재(100)의 구동에 의해 별도의 구성 없이 유입부재(10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입부재(100)는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 및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가 설치되고,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110a)와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110b)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제1 회전축(140)을 포함하는 유입부재 측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재 측 프레임(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유입부재 측 프레임(120)의 상측 및 하측(도 1의 방향축 참고)은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제1 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극(130)은 유입부재(100)로 케이블(C)을 유입시킬 때 보다 쉽게 케이블(C)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극(130)은 유입부재 측 프레임(12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제1 간극(130)의 형성 위치 및 형상 등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출부재(200)는 유입부재(100)와 마주하게 설치되며, 유입부재(100)로 유입된 케이블(C)이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배출부재(200)는 유입부재(100)를 관통한 케이블(C)이 배출되는 배출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와 마주하게 위치하고,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 및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210b)가 회전하면서 유입부재(100)로 유입된 케이블(C)이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 및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210b)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부재(2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재(200)는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 및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210b)가 설치되고,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210a)와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210b)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제2 회전축(240)을 포함하는 배출부재 측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재 측 프레임(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재 측 프레임(220)의 상측 및 하측(도 1의 방향축 참고)은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제2 간극(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극(230)은 배출부재(200)로 케이블(C)을 유입시킬 때 보다 쉽게 케이블(C)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간극(230)은 배출부재 측 프레임(22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제2 간극(230)의 형성 위치 및 형상 등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속도 조절 부재(300, 400)는 유입부재(100)와 배출부재(200) 사이에 설치되고, 케이블(C)의 상면 및 하면을 압입하는 압입력을 기초로 배출부재(200)로 배출되는 케이블(C)의 포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 조절 부재(300, 400)는 해저로 케이블(C)을 공급하는 선박(B_도 4 참고)이 해수면을 이동하는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케이블(C)을 압입하는 압입력 및 케이블(C)의 배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유입부재(100)로 유입된 케이블(C)의 상면 및 하면을 속도 조절 부재(300, 400)가 압입한 상태에서 해저면에 케이블(C)을 내린 후, 선박(B)이 이동하게 되면 선박(B)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C)이 당겨지면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속도 조절 부재(300, 400)는 케이블(C)을 압입한 상태이므로, 케이블(C)에 발생한 장력을 기초로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속도 조절 부재(300, 400)에서 발생한 마찰은, 케이블(C)이 배출부재(2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B)이 이동한 거리 이상의 케이블(C)이 해수면에 투하되지 않을 뿐 아니라 케이블(C)의 배출 정도를 제어하여 케이블(C)이 해저로 배출되는 정도(속도, 빠르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속도 조절 부재(300, 400)는 유입부재(100)를 통과한 케이블(C)의 상면을 압입하는 제1 속도조절부(310), 제1 속도조절부(310)와 마주하며, 케이블(C)의 하면을 압입하는 제2 속도조절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는,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에 압입된 케이블(C)과 마찰이 발생할 수 있도록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속도 조절 부재(300, 400)는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에 케이블(C)이 위치하면,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330, 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잠금부(330, 430)는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가 케이블(C)을 압입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선박(B)의 이동 속도에 따라 해저로 배출되는 케이블(C)의 배출 속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부(330, 430)는 제1 잠금부(330), 제2 잠금부(430), 탄성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330, 430)의 설명에 앞서, 제1 잠금부(330) 및 제2 잠금부(430)는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의 전면 및 후면(도 1의 방향축 참고)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의 전면에 형성된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잠금부(330)는 유입부재(100) 및 배출부재(200)를 따라 유입 및 배출되는 케이블(C)의 이동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도 3의 화살표 참고)으로 기초로 제1 속도조절부(3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잠금부(430)는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가 접하면, 제1 잠금부(330)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 잠금부(330)와 대향되는 위치의 제2 속도조절부(4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잠금부(430)는 제2 속도조절부(410)의 전면(前面) 및 후면에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잠금부(330)는 바(bar) 형상의 제2 잠금부(430)가 삽착되어 압입, 고정되도록 마주하는 한 쌍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잠금부(430) 상단에는 잠금볼트(44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잠금부(430)가 제1 잠금부(330)에 삽착되면 제2 잠금부(430) 상단에 잠금볼트(440)를 설치하여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가 맞물린 구조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와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C)의 마찰력을 높여 케이블(C)의 배출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선박(B)의 속도가 증가할 경우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에서 배출되는 케이블(C)의 배출 속도도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제1 잠금부(330) 및 제2 잠금부(430)의 잠금 정도를 헐겁게 하여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에서 케이블(C)의 배출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선박(B)의 속도가 감속될 경우, 제1 및 제2 잠금부(330, 430)의 잠금 정도를 팽팽하게 하여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에서 케이블(C)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제2 잠금부(430)에는 탄성부(45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50)는 바(bar) 형상의 제2 잠금부(430)에 끼워진 스프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50)는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에 케이블(C)이 위치하면,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가 케이블(C)을 압입하는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잠금부(430)가 제1 잠금부(330)에 삽착되면 제2 잠금부(430) 상단에 잠금볼트(440)를 설치한다. 이때, 제1 잠금부(330)의 하면이 탄성부(450)를 밀어내면서 탄성부(450)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5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와 케이블(C)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450)의 변형 정도가 심한 경우,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가 케이블(C)을 압입하는 정도가 강하므로, 케이블(C)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볼트(440)를 해제하여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의 간격을 넓혀 케이블(C)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탄성부(450)의 변형 정도가 거의 없는 경우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가 케이블(C)을 압입하는 정도가 거의 없으므로,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와 케이블(C) 사이에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볼트(440)를 조여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를 밀착시켜 케이블(C)과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속도 조절 부재(300, 400)는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에 케이블(C)이 위치하면, 제1 속도조절부(310) 및 제2 속도조절부(4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360, 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60, 460)는 제1 속도조절부(3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제1 고정부(360)와 제1 고정부(360)에 대향하도록 제2 속도조절부(4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제2 고정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가 맞물리면, 제1 고정부(360)에 제2 고정부(460)가 삽착되도록 제1 고정부(360)는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460)는 제1 고정부(360) 내부에 삽입되도록 바(bar)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360) 및 제2 고정부(460)는 삽착의 용이함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1 고정부(360) 및 제2 고정부(460)의 형상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360)가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고정부(460)가 제1 고정부(360)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제1 고정부(360) 및 제2 고정부(460)의 형상이 역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속도 조절 부재는 내부에 제1 속도조절부(310)가 삽입되고, 외면에는 제1 잠금부(330), 제1 고정부(360)가 설치되는 제1 프레임(320)과, 내부에 제2 속도조절부(410)가 삽입되고, 외면에 제2 잠금부(430), 제2 고정부(460)의 구성이 설치된 제2 프레임(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20) 및 제2 프레임(420)은 합성수지 및 고무 재질의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이 케이블(C)을 압입할 때,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성을 기초로 도 4를 참고하여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를 이용하여 선박(B)에서 케이블(C)을 해저로 포설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 케이블이 포설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우선 해저로 포설된 케이블(C)을 유입부재(100)로 유입시킨다. 이후, 속도 조절 부재(300, 400)의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 사이에 케이블(C)을 압입시킨 후, 배출부재(200)를 통해 배출시킨다. 유입부재(100) 및 배출부재(200)를 통해 유입 및 배출된 케이블(C)은 속도 조절 부재(300, 400)에 의해 압입된 상태에서 해저면에 내려진다(도 4의 (a) 참고).
이때, 케이블(C)은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에 의해 압입된 상태에서 선박(B)이 이동하게 되면 케이블(C)이 당겨지면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C)은 제1 속도조절부(310)와 제2 속도조절부(410)에 의해 압입된 상태이므로, 케이블(C)과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와 케이블(C) 사이에는 발생한 장력을 기초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도 4의 (b) 참고).
제1 및 제2 속도조절부(310, 410)와 케이블(C) 사이에서 발생한 마찰은 케이블(C)이 배출부재(200)를 통해 배출되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케이블(C)이 배출부재(200)로 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박(B)이 이동한 거리 이상의 케이블(C)이 해수면에 투하되는 것을 제어할 뿐 아니라, 케이블(C)의 배출 정도를 제어하여 케이블(C)이 해저로 배출되는 정도(속도, 빠르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C)이 배출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선박(B)의 이동 속도에 따라 속도 조절 부재(300, 400)의 잠금부(330, 430)의 잠금 상태를 조절하여 케이블(C)의 배출속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B)의 속도가 증가할 경우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에서 배출되는 케이블(C)의 배출 속도도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잠금부(330, 430)늬 제1 잠금부(330) 및 제2 잠금부(430)의 잠금 정도를 헐겁게 하여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에서 케이블(C)의 배출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박(B)의 속도가 감속될 경우, 잠금부(330, 430)의 제1 및 제2 잠금부(330, 430)의 잠금 정도를 팽팽하게 하여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10)에서 케이블(C)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저에 케이블(C)을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 별도의 구동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블(C)을 해저에 포설할 수 있으므로, 해저 케이블 포설 시,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동력 머신을 운용할 수 없는 공간에서 해저 케이블을 일정한 속도로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선박(B)의 속도에 대응하여 케이블(C)을 배출할 수 있고, 케이블(C)의 배출 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케이블(C)을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블을 해저에 포설할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100: 유입부재
200: 배출부재
300, 400: 속도 조절 부재

Claims (8)

  1. 해저에 포설되는 케이블이 유입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와 마주하고, 상기 케이블이 배출되는 배출부재; 및
    상기 유입부재와 상기 배출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면 및 하면을 압입하는 압입력을 기초로 상기 배출부재로 배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포설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해저로 상기 케이블을 공급하는 선박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케이블을 압입하는 압입력 및 상기 케이블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유입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와 마주하게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상기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상기 유입부재 측 제2 롤러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유입부재 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배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와 마주하게 위치하고,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상기 배출부재 측 제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재 측 제1 롤러부 및 배출부재 측 상기 제2 롤러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배출부재 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유입부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의 상면을 압입하는 제1 속도조절부,
    상기 제1 속도조절부와 마주하며, 상기 케이블의 하면을 압입하는 제2 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는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면,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케이블의 유입 및 배출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기초로 상기 제1 속도조절부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잠금부,
    상기 제1 속도조절부와 상기 제2 속도조절부가 접하면, 상기 제1 잠금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상기 제1 잠금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속도조절부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
    상기 제2 잠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 위치 시,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가 상기 케이블을 압입하는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면, 상기 제1 속도조절부 및 상기 제2 속도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KR1020180172490A 2018-12-28 2018-12-28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KR10225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490A KR102255986B1 (ko) 2018-12-28 2018-12-28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490A KR102255986B1 (ko) 2018-12-28 2018-12-28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168A true KR20200082168A (ko) 2020-07-08
KR102255986B1 KR102255986B1 (ko) 2021-05-25

Family

ID=7160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490A KR102255986B1 (ko) 2018-12-28 2018-12-28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9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3410A (ja) * 1987-05-11 1988-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張力制御装置
KR101026840B1 (ko) * 2010-05-20 2011-04-06 대덕전력 주식회사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1291493B1 (ko) * 2011-11-16 2013-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3410A (ja) * 1987-05-11 1988-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張力制御装置
KR101026840B1 (ko) * 2010-05-20 2011-04-06 대덕전력 주식회사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1291493B1 (ko) * 2011-11-16 2013-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986B1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112B1 (en) Active feedback levelwinding system
CN1204033C (zh) 电梯系统及其缆索导向装置
JP5149064B2 (ja) タグボート用ロープウインチ
EP2947040B1 (en) Slack line detection systems for winches
KR102473373B1 (ko) 케이블 송출장치
KR20200082168A (ko)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CA1315996C (en) Method and equipment for laying an elongated element underground
CN109311619B (zh) 地震电缆部署系统
WO1996036554A1 (en) A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winch of a rock drilling equipment
US9671044B2 (en) Linear pipe recovery/lay tensioner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043039B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102014286B1 (ko) 도랑 절삭 장치 및 방법
KR101771688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KR20190123714A (ko) 원격조종 시스템이 구비된 하수관 보수 자동 견인장치
US3334839A (en) Cable reel tension system
EP09519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vibratory driving of an object
US8821069B2 (en) Linear pipe recovery/lay tension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727289B1 (ko) 슬러지 수집기의 장력조절장치
SU1457042A1 (ru) Механизм размотки кабельного барабана кабелеукладчика
CN113165532A (zh) 地下采矿机中的布置结构和方法
CN205780658U (zh) 一种抽油机皮带限位装置
KR101342128B1 (ko) 생태 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CN210510180U (zh) 一种可调节的链条张紧装置
KR101407963B1 (ko) 언릴러 및 이를 포함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설치용 인양장치
US715105A (en) Belt-tightener for water-regulat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