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255B1 -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255B1
KR101443255B1 KR1020120120906A KR20120120906A KR101443255B1 KR 101443255 B1 KR101443255 B1 KR 101443255B1 KR 1020120120906 A KR1020120120906 A KR 1020120120906A KR 20120120906 A KR20120120906 A KR 20120120906A KR 101443255 B1 KR101443255 B1 KR 10144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ire
drum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875A (ko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이재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걸 filed Critical 이재걸
Priority to KR102012012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2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선로 작업구간에 있는 각 전주들 사이를 로프로 연결하여 루프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를 순환 구동시켜 가선 및 교체될 전선이 회수 및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선장치의 정, 역회전에 의해 복수의 전선들을 차례로 이송할 수 있고, 각각의 전선들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처럼 순차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전선들을 손쉽게 가이드롤러에서 꺼내 가선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작업방식을 통해 기존의 낡은 전선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가선 및 교체에 필요한 인건비와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A Wiring Apparatus of an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선로 작업구간에 있는 각 전주들 사이를 로프로 연결하여 루프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를 순환 구동시켜 가선 및 교체될 전선이 회수 및 공급되도록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한 가선방법으로는 선로작업 구간 내의 각 전주 및 통신주마다 작업자들이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지상작업자가 교체전선을 주상작업자가 갖고 있는 로프(rope)에 묶어주면 주상작업자가 이 로프를 끌어올린 후에 완금에 설치된 애자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들이 전주(통신주)단위로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한 작업을 전주(통신주)에 설치된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들 마다 반복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상의 교체전선을 주상으로 일일이 끌어올리고 전주(통신주)와 전주(통신주) 사이에 설치된 교체전선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큰 힘으로 당겨주어야 등 모든 작업을 대부분 인력에 의존해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인력이 요구됨은 물론 작업성 및 안전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전력신기술 9호의 다기능 다가선장치및 전력신기술 10호의 전선 이선 공구에 의한 무정전 가선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전력신기술 9호의 다기능 다가선장치는 배전공사 시 가선장치를 이용하여 배전선(통신케이블)의 2~4선 동시가선(연선 및 긴선) 및 동시 교체가 가능한 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선장치는 동시 조작 및 개별 조작이 가능한 4개의 전선드럼을 장착하고, 상기 전선드럼에 공급되는 전선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롤러(텐셔너)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드럼은 폭500~760mm, 외경800~1600mm규격의 드럼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회전롤러는 써포트 실린더에 의해 좌우 이동 및 상, 하 작동되며, 회전롤러의 구동부는 유압모터에 의해 작동되며, 전선장력이 1.5ton을 초과하면 드럼이 정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전선드럼과 회전롤러 사이에는 꼬임방지기를 설치하여 드럼에 전선이 감길 때 전선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시공방법은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첫째, 가선장치와 로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전선(통신케이블)드럼이 장착돤 차량과 로프드럼이 장착된 차량이 각각 작업구간 양끝에 배치되고, 로프를 이용해 전선 및 통신케이블을 끌어서 가선 작업하는 것으로서, 신설 및 병가선로, 3상화 공사 등 대단위 공사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둘째, 가선장치와 기설전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신설 전선(통신케이블)드럼이 장착된 차량과 철거전선(통신케이블) 회수드럼이 장착된 차량이 각각 작업구간 양끝에 배치되고, 기설 전선(통신케이블)에 신설전선(통신케이블)을 연결시켜 가선장치로 끌어당겨 가선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선(통신케이블) 교체공사에 주로 이용되는 공법으로서, 신설전선(통신케이블)이 설치되는 구간에 미리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해 놓음으로써, 무정전 상태의 작업이 가능하다.
셋째, 가선장치와 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주로 신규 선로공사에 이용되는 공법이며, 차도에서 옆으로 3M이내에 설치되는 선로에 시공되는 공법으로서, 가선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에 일정길이 연장되는 붐을 탑재하여 작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력신기술 9호의 공법은 배전선 가선방법을 원시적 인력시공에서 기계화 시공방법으로 개선함으로써, 기존 인력시공에 비해 20.8%의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고, 전선의 표면손상 및 킹크(Kink)발생을 방지하여 시공품질을 높임과 동시에 전선의 재 사용률, 작업의 효율성 등을 높여 경비절감을 제고시킨 공법이다.
그리고, 전력신기술 10호의 전선 이선 공구에 의한 무정전 가선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07376호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한 전력신기술 10호의 공법은, 각 통신주 및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주로 이용되며,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 구 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전선 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되, 한번의 전선이선기구 설치작업 및 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무정전으로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전력신기술 10호의 공법은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는 전선이선기구 설치공정과, 전선이선기구에 의해 철거전선을 다른 곳으로 옮겨 교체 및 이설전선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전선이선공정과,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전선연선기구에 의해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는 공정과, 설치전선과 철거전선의 연결에 의한 바이패스로 정전없이 철거전선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주 내 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공하는데, 전선이선기구를 일측에만 설치하여 일측전선만 타측으로 이선시킨 후, 그 해당 교체전선을 전기한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전선을 교체하되, 나머지 교체전선은 별도의 이선공정이 없이 전기한 기 이선전선을 바이패스선으로 활용하여 전기한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설치전선 설치공정과 철거전선 철거공정과 바이패스에 의한 무정전 연결공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서,신,구 전선의 교체 및 이설 작업시 한번의 전선 이선기구 설치작업과 이에 의한 전선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종래의 가선기술은 가선장치및 텐셔너가 갖추어진 권취드럼이 장착된 작업차량 또는 별도의 가선장치가 작업 선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작업장이 분산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가선 작업 시 작업인원의 분산이 불가피하고, 교통신호수 등의 비 공사인원이 추가로 배치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작업차량 및 가선장치를 투입시키기 위한 진출입로의 확보가 선결되어야 하고, 어느 한쪽이라도 양호한 진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선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선기술은 단순이 가선되어 있는 기설전선(통신케이블)을 철거할 경우에도 맨 후단의 가설전선(통신케이블)은 땅에 떨어지게 되므로 가설전선(통신케이블)의 끝단을 밧줄로 연결하여 떨어지지 않게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철거를 해야 하고, 이는 단순 전선(통신케이블) 철거작업 시에도 실질적인 인원과 장비가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종래의 가선기술은 기설전선(통신케이블) 및 교체전선(통신케이블)를 로프와 직렬로 연결하여 일측의 권취드럼을 이용해 로프를 감는 과정에서 로프에 걸리는 인장하중이 전선(통신케이블)에도 동일하게 걸리게 되고, 고도의 인장하중을 받는 전선(통신케이블)은 가선 작업 시 전선(통신케이블) 소선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전선(통신케이블)피복의 절연체도 늘어나 절연능력에 타격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기술은 동 전선(통신케이블)이나 기타 광케이블 전선(통신케이블)과 같은 통신케이블 등 인장하중에 예민한 공사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선기술은 심한 각도에서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기설전선, 교체전선 및 로프가 전선클립을 이용해 직렬로 연결됨에 따라 곡선부를 통과 시, 이를 가이드 하도록 설치되는 전선가이드롤러에 전선 연결부(전선클립)가 부딛히거나, 곡선부의 각도가 심한 경우, 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곡선부용 3링 로라 등을 설치하여 전선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곡선부용 3링 로라는 가선장치나 텐셔너에서 상부의 전주나 통신주로 올라가는 구간에서만 사용하고 곡선부분의 공사에서는 다시 로프와 전선을 포설하여 서로 슬리브 등으로 압축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 압축방법은 전선의 절연부분을 훼손하고 다시 도체끼리 연결한 후, 커버 등으로 절연력을 확보한 것으로서, 전력전선에는 열화나 소손, 수분침투, 태양열에 의해 접속부분의 손상이 누적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선로사고가 발생되며 코로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통신케이블은 T형 접속을 하여야 하므로 접속재가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일정부분 노이즈가 형성되어 통신품질의 저하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직선구간이 1km이하이거나 차량진입이 불가능한 장소, 곡선가선부분, 인장하중이 허락하지 않는 동전선, 광케이블, 통신선 등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가선장치는 전선 1회선당 1개의 로프를 맛대기로 연결하고, 여기에 가선장치와 텐셔너를 연결하여 가선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예컨대, 현재 일반적으로 가설되는 한전선로서 가공지선, 3상 선로 3가닥, 중성선, 저압전선 순으로 설치할 경우 우선 3상 선로의 로프를 설치하고, 3상 전선을 가선하고, 다시 밧줄을 회수하여 가공지선과 중성선을 가선하고 다시 밧줄을 회수하여 저압선을 설치해야 하는 등 반복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고, 적어도 3개 이상의 권취드럼을 가선장치에 탑재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가선장치및 작업차량의 크기가 크고 복잡해지며 과도한 에너지소비 및 온실가스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선로 작업구간에 있는 각 전주들 사이를 로프로 연결하여 루프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를 순환 구동시켜 가선 및 교체될 전선이 회수 및 공급되도록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로프구동부와, 전선드럼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을 회수하거나 공급하는 드럼구동부 및 상기 로프구동부로부터 로프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로프수납부를 포함하는 일체의 구성을 차량 탑재가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집약시켜 설치되도록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선장치의 크기가 작고 가벼워 한전선로 가선용(5톤)과 통신선로 가선용(1톤)의 크기를 달리하여 1~5톤 트럭에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작업구간의 어느 한쪽 끝에만 가선장치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1~5톤 트럭이 출입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기계화 가선을 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로프구동부; 전선드럼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을 회수하거나 공급하는 드럼구동부; 및 상기 로프구동부로부터 로프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로프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구동부는, 전선을 권취하는 전선드럼; 상기 전선드럼의 회전축을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축가이드부; 상기 전선드럼의 하단이 자중에 의해 접지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접지롤러; 상기 전선드럼의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접지롤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장치; 및 상기 접지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프구동부, 드럼구동부, 로프수납부의 동력원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로프구동부, 드럼구동부, 로프수납부, 동력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로프구동부, 드럼구동부, 로프수납부, 동력발생부, 제어부를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프구동부는, 로프를 권취하여 정 또는 역 구동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전, 후방에서 로프를 권취시켜 로프의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는 슬립방지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구동부는, 전선을 권취하는 전선드럼; 상기 전선드럼의 회전축을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축 가이드부; 상기 전선드럼의 하단이 자중에 의해 접지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접지롤러; 상기 전선드럼의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접지롤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장치; 및 상기 접지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수납부는, 상기 로프구동부로부터 로프를 회수하여 권취하는 로프 수납드럼; 및 상기 로프 수납드럼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엔진; 및 상기 구동엔진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압유를 생성하여 로프구동부, 드럼구동부, 로프수납부의 동력원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구동부에 드럼구동부의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권취안내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권취안내부에 전선의 장력을 검출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측정값을 저장하도록 된 장력검출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구동부, 드럼구동부, 로프수납부를 각각 복수 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선로 작업구간에 있는 각 전주들 사이를 로프로 연결하여 루프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를 순환 구동시켜 가선 및 교체될 전선이 회수 및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선장치의 정, 역회전에 의해 복수의 전선들을 차례로 이송할 수 있고, 각각의 전선들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처럼 순차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전선들을 손쉽게 가이드롤러에서 꺼내 가선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작업방식을 통해 기존의 낡은 전선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가선 및 교체에 필요한 인건비와 작업시간 및 과도하게 소비되던 에너지를 대폭절감하고 아울러 온실가스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로프구동부와, 전선드럼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을 회수하거나 공급하는 드럼구동부 및 상기 로프구동부로부터 로프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로프수납부를 포함하는 일체의 구성을 차량 탑재가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집약시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크기를 작고 가볍게 만들어 운반 및 이동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의 크기를 작고 가볍게 만들어 1~5톤 트럭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선로 작업구간의 어느 한쪽 끝에만 가선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1~5톤 트럭이 출입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기계화 가선을 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구동롤러 및 슬립방지롤러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전선권취안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장력검출부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구동롤러 및 슬립방지롤러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전선권취안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장력검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는 크게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 제어부(500), 및 베이스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로프구동부(100)는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10)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드럼구동부(200)는 전선드럼(210)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20)을 회수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로프수납부(300)는 상기 로프구동부(100)로부터 로프(10)를 회수하여 보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의 동력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600)은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 제어부(500)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구조물이다.
먼저, 로프구동부(100)가 개시된다.
상기 로프구동부(100)는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10)의 일측을 권취시켜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프구동부(100)의 구성은 로프(10)를 권취하여 정 또는 역 구동시키는 구동롤러(110)와, 상기 구동롤러(110)의 전, 후방에서 로프(10)를 권취시켜 로프(10)의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는 슬립방지롤러(120)와, 상기 구동롤러(1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110)는 회전력을 로프(10)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롤러(110)의 외경에는 로프(10)를 다수 회 감아서 통과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10)는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선로 작업구간에 있는 각 전주들 사이를 루프형태로 연결하여 순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로프(10)에는 가선 및 교체될 전선이 매달려 함께 이동하여 가선이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프(10)에는 그에 따른 장력과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롤러(110)와의 사이에 슬립이 일어나 회전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구동롤러(110)와 로프(10) 사이에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동롤러(110)와 로프(10) 사이의 표면 마찰력을 높여 슬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마찰력은 구동롤러(110)의 외면에 로프(10)를 다수 회 권취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다.
또한, 보다 큰 마찰력을 얻기 위해서 구동롤러(110)의 전, 후방에 슬립방지롤러(120)를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슬립방지롤러(120)의 외면에 또 다시 로프(10)를 다수 회 감아서 통과시키게 되면, 보다 큰 마찰력이 제공될 수 있고, 로프(10)의 슬립 문제를 보다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로프(10)를 슬립방지롤러(120)와 구동롤러(110) 사이를 번갈아 권취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권취방법은 8자 및 타원 형태와 같이 교차시켜 권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110)는 제1구동부(130)를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제1구동부(130)는 동력발생부(400)로부터 압유를 제공받아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유압모터(131)와, 상기 유압모터(131)의 출력을 변속(감속)하는 감속기(133)와, 상기 감속기(133)와 구동롤러(11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프로킷(135) 및, 상기 스프로킷(135) 사이를 각각 동력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체인(1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구동부(100)는 구동롤러(110) 및 슬립방지롤러(120)가 설치되는 상부 공간에 전선권취안내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선권취안내부(140)는 전주(미도시) 측으로부터 드럼구동부(200) 측으로 전선(20)이 입출되는 것을 안내하거나 권취되는 방향 및 간격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권취안내부(140)는 구동롤러(110)의 회전축과 스프로킷(145) 및 체인(147)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샤프트(141)가 베이스프레임(600)을 이용해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전선권취안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프트(141)의 양단이 베이스프레임(600) 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41) 상에는 트레바샤(143)가 축 결합되어 샤프트(141) 위를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바샤(143)의 하단을 전선(20)이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트레바샤(14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전선(20)이 따라서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전선드럼(210)의 폭 방향을 따라 전선(20)이 지그재그형태로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바샤(143)는 전주에서 폐전선을 회수하여 전선드럼(210)에 권취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전선드럼(210)에 권취되어 있는 가선용 새 전선(20)을 풀어낼 때에도 샤프트(141) 위를 왕복 운동하면서 이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바샤(143) 전방(전선이 풀려져서 나가는 방향)에는 장력검출부(150)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장력검출부(150)를 통해 전선(20)이 풀려 나가도록 함으로써, 전선(20)의 장력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구동부의 장력검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장력검출부(150)는 전선(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151)와, 상기 안내롤러(151)에 가해지는 압력(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53)와, 상기 센서부(153)에서 검출된 측정값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15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5)는 베이스프레임(60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작업자는 이를 보고 전선(20)에 걸리는 인장력을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드럼구동부(200)의 구동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드럼구동부(200)가 개시된다.
상기 드럼구동부(200)는 전선드럼(210)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20)을 회수하거나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드럼구동부(200)의 구성은, 전선(20)을 권취하는 전선드럼(210)과, 상기 전선드럼(210)의 회전축을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축가이드부(220)와, 상기 전선드럼(210)의 하단이 자중에 의해 접지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접지롤러(230)와, 상기 전선드럼(210)의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접지롤러(23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장치(240)와, 상기 접지롤러(23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250) 및 상기 접지롤러(230)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장치(2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드럼(210)은 전선(20)이 권취된 상태 또는 전선(20)이 권취되지 않은 공드럼 상태로 축가이드부(220)에 자유롭게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가이드부(220)는 전선드럼(210)의 회전축이 공회전되도록 얹혀지는 축거치대(221)와, 상기 축거치대(221)를 레일 결합시켜 수직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2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드럼(210)의 하부에는 접지롤러(230)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드럼(21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접지롤러(230)의 외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롤러(230)는 제2구동부(250)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 또는 역 구동되도록 하는데, 상부에 접지상태의 전선드럼(210)에 회전력을 전달시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전선(20)을 권취하거나 풀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롤러(230)는 전선드럼(2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했을 때, 기준선의 전, 후단에 각각 한 개씩의 접지롤러(230)가 대향 설치되어 동시에 전선드럼(210)이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접지롤러(230) 중 어느 일측의 접지롤러(230)는 회전축에 별도의 제동장치(260)가 구비되도록 하여 전선드럼(210)의 회전에 제동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장치(260)는 디스크 브레이크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단선 등의 비상상황은 물론 전선(20)의 가선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롤러(230)의 회전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250)는 동력발생부(400)로부터 압유를 제공받아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유압모터(251)를 동력원으로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유압모터(251)를 접지롤러(230)의 회전축에 직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중간에 감속기 등과 같은 변속수단을 설치하거나, 스프로킷 및 체인 등과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선드럼(210)의 회전축이 공회전되도록 얹혀지는 축거치대(221)에 승강장치(240)를 연결시켜, 전선이 권취된 전선드럼(210)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접지롤러(23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다음, 이를 크레인 등을 이용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장치(240)는 최초 전선드럼(210)이 가선장치에 탑재되는 과정에서도 전선드럼(210)이 접지롤러(230) 측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서서히 하강하여 접지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로프수납부(300)가 개시된다.
상기 로프수납부(300)는 로프구동부(100)로부터 로프(10)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것으로서, 로프수납부(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로프구동부(100)로부터 로프(10)를 회수하여 권취하는 로프수납드럼(310)와, 상기 로프수납드럼(3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3구동부(320)는 동력발생부(400)로부터 압유를 제공받아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유압모터(321)와, 상기 유압모터(321)의 출력을 변속(감속)하는 감속기(323)와, 상기 감속기(323)와 로프수납드럼(31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프로킷(325) 및, 상기 스프로킷(325) 사이를 각각 동력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체인(32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수납부(300)는 로프수납드럼(310)가 설치되는 상부 공간에 로프권취안내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프권취안내부(330)는 로프구동부(100) 측으로부터 회수되는 로프(10)가 인입되는 것을 안내하거나 권취되는 방향 및 간격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프권취안내부(330)는 로프수납드럼(310)의 회전축과 스프로킷(335) 및 체인(337)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샤프트(331)가 베이스프레임(600)을 이용해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31)의 양단이 베이스프레임(600) 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31) 상에는 트레바샤(333)가 축 결합되어 샤프트(331) 위를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바샤(333)의 하단을 로프(10)가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트레바샤(33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로프(10)가 따라서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로프수납드럼(310)의 폭 방향을 따라 로프(10)가 지그재그형태로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레바샤(333)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주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의 구성설명은 로프(10) 및 전선(20)이 각 1회선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회선(도 2에서는 3회선용 도시)을 동시에 가선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력공급 시스템이 3상의 형태이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가선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되시된 것일 뿐, 이들 구성을 수적으로 증감시켜 회선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취지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를 각각 복수 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동력발생부(400)가 개시된다.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의 동력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엔진(410) 및 상기 구동엔진(410)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압유를 생성하여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의 동력원을 공급하는 유압펌프(4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유압펌프(420)를 통해 생산된 압유는 제1구동부(130), 제2구동부(250), 제3구동부(320)의 유압모터(131,251,321)들로 공급되어 이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사용된다.
이때, 유압모터(131,251,321)들의 가용숫자에 따라 구동엔진(410) 및 유압펌프(420)의 용량이 결정될 수 있고, 유압모터(131,251,321)들의 가용숫자는 가선 및 교체 가능한 전선의 회선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구동엔진(410)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430) 및 상기 발전기(43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44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500)가 개시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장력검출부(150)의 제어 및 측정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 제어부(500)를 설치하도록 된 베이스프레임(600)은 일종의 철골 구조물로서,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이용해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선로 작업구간에 있는 각 전주들 사이를 로프로 연결하여 루프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를 순환 구동시켜 가선 및 교체될 전선이 회수 및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선장치의 정, 역회전에 의해 복수의 전선들을 차례로 이송할 수 있고, 각각의 전선들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처럼 순차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전선들을 손쉽게 가이드롤러에서 꺼내 가선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작업방식을 통해 기존의 낡은 전선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가선 및 교체에 필요한 인건비와 작업시간 및 에너지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로프구동부와, 전선드럼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을 회수하거나 공급하는 드럼구동부 및 상기 로프구동부로부터 로프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로프수납부를 포함하는 일체의 구성을 차량 탑재가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집약시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크기를 작고 가볍게 만들어 운반 및 이동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의 크기를 작고 가볍게 만들어 1~5톤 트럭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선로 작업구간의 어느 한쪽 끝에만 가선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1~5톤 트럭이 출입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기계화 가선을 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로프 20: 전선
100: 로프구동부 110: 구동롤러
120: 슬립방지롤러 130: 제1구동부
131: 유압모터 133: 감속기
135: 스프로킷 137: 체인
140: 전선권취안내부 141: 샤프트
143: 트레바샤 145: 스프로킷
147: 체인 150: 장력검출부
151: 안내롤러 153: 센서부
155: 표시부 200: 드럼구동부
210: 전선드럼 220: 축가이드부
221: 축거치대 223: 가이드레일
230: 접지롤러 240: 승강장치
250: 제2구동부 251: 유압모터
260: 제동장치 300: 로프수납부
310: 로프수납드럼 320: 제3구동부
321: 유압모터 323: 감속기
325: 스프로킷 327: 체인
330: 로프권취안내부 331: 샤프트
333: 트레바샤 335: 스프로킷
337: 체인 400: 동력발생부
410: 구동엔진 420: 유압펌프
430: 발전기 440: 배터리
500: 제어부 600: 베이스프레임

Claims (10)

  1. 삭제
  2. 루프형태로 연결된 로프(10)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로프구동부(100);
    전선드럼(210)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전선(20)을 회수하거나 공급하는 드럼구동부(200); 및
    상기 로프구동부(100)로부터 로프(10)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로프수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구동부(200)는, 전선(20)을 권취하는 전선드럼(210);
    상기 전선드럼(210)의 회전축을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축가이드부(220);
    상기 전선드럼(210)의 하단이 자중에 의해 접지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접지롤러(230);
    상기 전선드럼(210)의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접지롤러(23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장치(240); 및
    상기 접지롤러(23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의 동력원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400);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 동력발생부(400), 제어부(500)를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구동부(100)는, 로프(10)를 권취하여 정 또는 역 구동시키는 구동롤러(110);
    상기 구동롤러(110)의 전, 후방에서 로프(10)를 권취시켜 로프(10)의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는 슬립방지롤러(120); 및
    상기 구동롤러(1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5. 삭제
  6.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수납부(300)는, 상기 로프구동부(100)로부터 로프(10)를 회수하여 권취하는 로프수납드럼(310); 및
    상기 로프수납드럼(3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엔진(410); 및
    상기 구동엔진(410)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압유를 생성하여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의 동력원을 공급하는 유압펌프(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구동부(100)에 드럼구동부(200)의 전선(20)을 안내하는 전선권취안내부(1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권취안내부(140)에 전선(20)의 장력을 검출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측정값을 저장하도록 된 장력검출부(15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10.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구동부(100), 드럼구동부(200), 로프수납부(300)를 각각 복수 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1020120120906A 2012-10-30 2012-10-30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10144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6A KR101443255B1 (ko) 2012-10-30 2012-10-30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6A KR101443255B1 (ko) 2012-10-30 2012-10-30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75A KR20140054875A (ko) 2014-05-09
KR101443255B1 true KR101443255B1 (ko) 2014-09-22

Family

ID=5088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06A KR101443255B1 (ko) 2012-10-30 2012-10-30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138B1 (ko) 2017-12-26 2019-04-15 염길동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KR20190097695A (ko) 2018-02-13 2019-08-21 금호웰빙텍 주식회사 수소 발생기를 구비한 칫솔 살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3407U (ko) * 1987-01-16 1988-07-21
JP2001016725A (ja) * 1999-06-29 2001-01-19 Aichi Corp ケーブル作業装置
KR100842283B1 (ko) * 2007-01-03 2008-06-30 주식회사 동해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1104807B1 (ko) * 2011-10-11 2012-01-16 이재걸 루프방식 가선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3407U (ko) * 1987-01-16 1988-07-21
JP2001016725A (ja) * 1999-06-29 2001-01-19 Aichi Corp ケーブル作業装置
KR100842283B1 (ko) * 2007-01-03 2008-06-30 주식회사 동해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1104807B1 (ko) * 2011-10-11 2012-01-16 이재걸 루프방식 가선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138B1 (ko) 2017-12-26 2019-04-15 염길동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75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IT201900001841A1 (it) Macchina di recupero di un cavo
KR100842283B1 (ko)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CN101001007A (zh) 超长大截面电缆的机械敷设方法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CN113937665A (zh) 一种基于电力工程的线缆架空铺设用线缆拉紧装置
CN213802263U (zh) 电力施工用电缆牵引装置
JP2012244827A (ja) 電線張力低減装置及び電線張力低減工法
IT201900001845A1 (it) Macchina di recupero di un cavo
CN112938661A (zh) 一种电缆智能排缆装置及方法
JP5065814B2 (ja) 電線張替工法
CN201332231Y (zh) 架空线路动力收放线设备
PL190552B1 (pl) Wagon roboczy do zakładania sieci trakcyjnej
CN210926884U (zh) 一种大直径电缆敷设装置
CN1131582C (zh) 高架电源线安装设备
CN102709849A (zh) 手动多功能紧线装置及一种导线紧线方法
CN214733563U (zh) 一种电缆智能排缆装置
CN214850118U (zh) 一种长距离大截面高压电缆敷设的装置
KR101104807B1 (ko) 루프방식 가선공법
CN201191731Y (zh) 电动绞磨
JP3248893B2 (ja) ケーブル多条引き延線工法
CN211655433U (zh) 一种混凝土施工安全防护箱
CN110240076B (zh) 改进的用于调车绞车钢丝绳的更换系统和更换方法
CN112290457A (zh) 一种碳纤维复合芯导线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