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283B1 -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283B1
KR100842283B1 KR1020070000563A KR20070000563A KR100842283B1 KR 100842283 B1 KR100842283 B1 KR 100842283B1 KR 1020070000563 A KR1020070000563 A KR 1020070000563A KR 20070000563 A KR20070000563 A KR 20070000563A KR 100842283 B1 KR100842283 B1 KR 10084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ing drum
wires
tension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규
노동섭
고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
(주)디.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 (주)디.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
Priority to KR102007000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04H4/0043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mainly made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 E04H4/1236Bottom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대한 가선 및 교체 작업을 주상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구간내의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이 바이패스선을 통해 무정전상태에서 단일의 가선장치를 통해 기계적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한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선(B)을 통한 무정전 상태하에서 전주상의 기설전선(L1)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110); 로프(R)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감김 구동되어 기설전선들을 수거하는 제1권취드럼(120); 및 교체전선(L2)이 감겨져 있으며 각 기설전선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교체전선이 해당 기설전선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풀림 구동되는 제2권취드럼(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중배선, 가선장치, 바이패스, 무정전, 배전

Description

장력조정용 가선장치{Wires distributing apparatus with tension contro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권취드럼이 베이스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장치의 유압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가선장치 110...베이스부
120...제1권취드럼 121,141...치차
122...구획판 130...제2권취드럼
140...구동롤러 150...구동장치
151...유압펌프 152...유압모터
153...컨트롤밸브 154...감속기
155...장력조정밸브 156...회전노브
160...서포트유닛 170...전선꼬임방지유닛
174...이송롤러 B...바이패스선
L1...기설전선 L2...교체전선
R...로프 E...엔진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대한 가선 및 교체 작업을 주상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구간내의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이 바이패스선을 통해 무정전상태에서 단일의 가선장치를 통해 기계적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한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한 배전방법으로는 선로작업 구간 내의 각 전주마다 작업자들이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지상작업자가 교체전선을 주상작업자가 갖고 있는 로프에 묶어주면 주상작업자가 이 로프를 끌어올린 후에 완금에 설치된 애자에 고정하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들이 전주단위로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한 작업을 전주에 설치된 배전선로들 마다 반복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상의 교체전선을 주상으로 일일이 끌어올리고 전주와 전주사이에 설치된 교체전선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큰 힘으로 당겨주어야 등 모든 작업을 대부 분 인력에 의존해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인력이 요구됨은 물론 작업성 및 안전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정전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무정전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공사구간 지면에 바이패스선을 포설하고 임시송전하면서 공사구간은 사선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바이패스선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바이패스선을 이용한 방법은 종래에 비하여 무정전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케이블차량과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량, 활선바켓트럭 및 기타 활선작업용 장비들을 모두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대되고, 지면에 포설된 바이패스선이 보행자나 차량에 의해 빈번하게 손상되면서 바이패스선의 품질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므로 최근 방법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무정전 배전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무정전 배전장치는 작업구간내의 전주상에 설치되어 작업구간을 무정전 상태로 유지시키는 바이패스선과, 기설전선들의 전단에 연결되는 교체전선이 감겨진 권취드럼들을 구비하며 작업구간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교체전선이 인출되도록 상기 권취드럼들을 구동시키는 제1가선장치와, 기설전선들의 후단에 연결되는 로프가 감겨진 권취드럼을 구비하며 작업구간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로프가 감겨지도록 제1가선장치의 권취드럼들과 동시에 권취드럼을 구동시킴으로써 교체전선들 의 설치와 기설전선들의 수거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2가선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정전 배전장치는 작업구간 외측의 각 전선들에 바이패스선이 점퍼선을 통해 일대일로 연결되어 상기 작업구간을 무정전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에 기설전선과 작업구간 외측의 전선들과의 접속을 해제시키고, 접속 해제된 기설전선의 양단에 각각 교체전선과 로프를 연결한 다음, 제1,2가선장치를 동시에 동작시켜 기설전선들을 교체전선으로 한꺼번에 교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무정전 배전방법은 교체전선의 설치와 기설전선의 수거가 가선장치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일거에 수행되므로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작업구간이 길어져 접속개소가 감소되므로 전력품질이 향상되고 활선장비의 이동횟수가 적어져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무정전 배전방법은 반드시 두 대의 가선장치가 요구되므로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중 교체전선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과정에서 제2가선장치에 큰 부하가 걸리면서 제2가선장치의 권취드럼이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상기 권취드럼들이 정지하면서 교체전선에 부여된 장력때문에 역회전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럴 경우, 교체전선측에 충분한 장력이 확보되지 못하면서 작업 완료 후에 교체된 전선이 아래로 처지거나 유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교체전선에 요구되는 장력은 작업구간의 길이나 교체전선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져야 하나 종래의 가선장치로는 이러한 장력조절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일의 가선장치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교체전선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 장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패스선을 통한 무정전 상태하에서 전주상의 기설전선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 로프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감김 구동되어 기설전선들을 수거하는 제1권취드럼; 및 교체전선이 감겨져 있으며 각 기설전선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교체전선이 해당 기설전선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풀림 구동되는 제2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조정용 가선장치(100)는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110)와, 로프(R)가 감겨진 제1권취드 럼(120)과, 교체전선(L2)이 감겨진 복수의 제2권취드럼(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바닥에는 구동롤러(140)가 설치된다. 이 구동롤러(140)는 엔진(E)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50)를 구비하며, 각각의 권취드럼(120,130)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권취드럼들(120,130)을 독립적으로 정역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장치(15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유압펌프(151)와, 상기 유압펌프(151)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동력을 기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유압모터(152)와, 상기 유압펌프(151)와 유압모터(152)와의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153)와, 상기 유압모터(152)에 설치된 감속기(154)와, 상기 유압펌프(151)와 유압모터(152)와의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장력조정밸브(155)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장력조정밸브(155)는 베이스부(110) 일측에는 돌출된 회전노브(156)의 조작을 통해 작업자가 외부에서 전선의 장력을 매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권취드럼(120)은 복수의 제2권취드럼들(130)과 함께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구동되어야 하므로 큰 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1권취드럼(120)의 구동롤러에는 복수의 유압모터(152)가 구비된 구동장치(150)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장력조정밸브(155)가 유압유로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상기 회전노브(156)가 조작되면 전선에는 장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며, 상기 장력조정밸브(155) 가 유압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회전노브(156)가 조작되면 유압모터(152)의 출력이 떨어지면서 구동롤러(140)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권취드럼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전선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장력조정밸브(155)를 통해 작업구간의 길이나 교체전선(L2)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는 장력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140)와 권취드럼(120)과의 접촉면에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치차(121,1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차(121,141)는 권취드럼(120)이 정지한 상태에서 미세하게 정역회동되거나 외부에 큰 힘이 인가되어 권취드럼(120)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롤러(14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치차(121,141)가 구동롤러(140)중 일측의 롤러부와 이 일측의 롤러부와 접촉되는 권취드럼(140)의 일측부에만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제1권취드럼(120)은 상기 베이스부(110)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권취드럼(120)에는 로프(R)가 감겨져 있으며, 이 로프(R)는 기설전선(L1)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권취드럼(120)은 로프(R)가 기설전선(L1)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로프(R)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설전선(L1)들을 수거한다.
이때, 상기 로프(R)는 각 기설전선(L1)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권취드럼(120)에는 각각의 로프(R)들을 단독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판(1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획판(122)은 회수되는 기설전선(L1)들이 제1권취드럼(120)에 감기는 과정에서 엉키지 않도록 한다.
제2권취드럼(130)은 각 기설전선(L1)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10) 상부에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제2권취드럼(130)에는 교체전선(L2)이 감겨져 있으며 이 교체전선(L2)은 해당 기설전선(L1)의 일측단에 연결된다. 상기 교체전선(L2)은 기설전선(L1)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권취드럼의 풀림구동을 통해 인출된다. 제2권취드럼의 풀림구동에 의해 인출된 교체전선(L2)은 제1권취드럼(120)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면서 전주상에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부(110)에는 구동롤러(140) 위에 올려진 권취드럼(120,130)들의 직경에 따라 상하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포트유닛(160)이 구비된다. 이 서포트유닛(16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110)상에 입설된 가이드포스트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권취드럼들(120,130)의 회전축을 클램핑 및 회전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 리프트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교체전선(L2)이나 로프(R) 또는 기설전선(L1)이 권취될 때 꼬임을 방지하고 고르게 권취되도록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이 설치된다.
이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은 베이스부(110)의 일측단에 입설된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와, 상기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에 축설 배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172)와, 이송스크류(172)와 각기 평행하게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에 횡설된 이송가이드축(173)과, 이송스크류(172)에 각기 결합되어 이송가이드축(17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선이 해당 권취드럼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이송롤러(174)로 구성 된다.
이중, 상기 이송롤러(174)는 제1이송롤러(174a)와 제2이송롤러(174b)로 나뉘어져 설치되는데, 상기 제1이송롤러(174a)는 로프(R)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되어 구획판(122)에 의해 구획된 폭만큼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174b)는 제2권취드럼(130)들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제2권취드럼(130)의 폭만큼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에는 이송롤러(174)의 전환이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7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172)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별도의 구동장치(150)를 통해 정역회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72)는 리미트스위치(175)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송스크류(172)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장치(150)에 구비된 컨트롤밸브(154)를 통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작업구간 중 최종전주(C) 또는 작업구간 외 전주중 상기 최종전주(C)와 인접한 전주(미도시)의 일측에는 안내롤러(18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내롤러(180)는 로프(R) 및 기설전선(L1)들에 대응되도록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롤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R) 및 기설전선(L1)들은 상기 안내롤러(180)들을 통해 안정적인 상태로 제1권취드럼(120)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력조정용 가선장치(100)를 이용하면 단일의 가선장치(100)만으로도 일정구간 내의 배전선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작업구간내의 전주중 최초전주 전방에 본 발명의 가선장치(100)가 배 치되면, 작업구간 내의 전주에 설치된 바이패스선(B)을 설치하고 점퍼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패스선(B) 양단 작업구간 외측의 전선들과 일대일로 접속시켜 작업구간을 무정전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기설전선(L1)과 작업구간 외측 전주의 전선들을 기접속시키고 있던 점퍼선(미도시)을 분리시켜 기설전선(L1)과 작업구간 외측의 전선들과의 접속을 해제시켜 기설전선(L1)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기설전선(L1)의 접속이 해제되면 접속 해제된 기설전선(L1)의 양단에 각각 교체전선(L2)과 로프(R)를 연결시킨다.
한편,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교체전선(L2)들을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의 이송롤러(174)를 경유하도록 한 다음 해당 기설전선(L1)의 단부에 연결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제1권취드럼(120)을 감김 구동시키고 제2권취드럼(130)을 풀림 구동시킨다. 이때, 컨트롤밸브(154)를 이용하여 제1권취드럼(120)의 감김속도를 상대적으로 조금 빠르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두 권취드럼(120,130)간에 적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제1권취드럼(120)의 감기는 힘에 의해 제2권취드럼(130)에 감겨진 교체전선(L2)이 풀어지고 제1권취드럼(120)이 감기면서 기설전선(L1)과의 교체가 한꺼번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이 설치된 경우에는 로프(R) 및 기설전선(L1)들이 엉킴이나 꼬임없이 해당 권취드럼(120)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1권취드럼(120)에 구획판(122)이 설치된 경우에는 기설전선(L1)들을 각각 분리시켜 회 수할 수 있게 된다.
기설전선(L1)이 있던 자리에 교체전선(L2)이 위치되면, 베이스부(110) 외부에 설치된 회전노브(156)를 조작하여 두 권취드럼(120,130)의 장력조정밸브(155)를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서, 교체전선(L2)에 적정한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두 권취드럼(120,130)은 정지된다.
이때, 권취드럼(120,130)들은 장력조정밸브(155)를 통해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이므로 전선의 무게나 관성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제1권취드럼(120)이 역회전되면서 교체전선(L2)에 처짐 및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롤러(140)와 제1권취드럼(120)과의 접촉면에 치차(121,141)가 형성된 경우에는, 제1권취드럼(120)이 정지되어도 상기 치차(121,141)에 의해서 유동이 방지되어 교체전선(L2)에 부여된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권취드럼(120)이 복수의 제2권취드럼(130)으로부터 장력을 부여받는 과정에서 과도한 장력으로 인한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권취드럼들(120,130)의 구동이 완전히 중지되면, 점퍼선을 이용하여 교체전선(L2)과 작업구간 외측 전주의 전선들을 접속시켜 교체전선(L2)에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교체전선(L2)으로부터 기설전선(L1)을 분리시켜 기설전선(L1)을 완전히 철거한 다음 점퍼선을 바이패스선(B)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바이패스선(B)을 정전상태로 만든 후에 바이패스선(B)을 철거 회수하면 모든 배선작업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의하면,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되어 기설전선을 감아주는 제1권취드럼과 기설전선의 타단에 연결되어 교체전선을 풀어주는 제2권취드럼을 단일의 기선장치에 모두 구비시킴으로써, 단일의 가선장치만을 가지고도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인력 및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장치에 권취드럼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조정밸브를 설치할 경우, 작업구간의 길이나 교체전선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는 장력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권취드럼의 정지시 부여된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 교체전선이 아래로 처지거나 유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체전선에 부여된 장력 때문에 제1권취드럼이 역회전 되는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와 권취드럼과의 접촉면에 치차가 형성될 경우, 작업중 부여된 장력에 의해 권취드럼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7)

  1. 바이패스선을 통한 무정전 상태하에서 전주상의 기설전선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
    로프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감김 구동되어 기설전선들을 수거하는 제1권취드럼; 및
    교체전선이 감겨져 있으며 각 기설전선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교체전선이 해당 기설전선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풀림 구동되는 제2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드럼들은 외부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연결된 구동롤러들을 통해 정역회전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권취드럼과의 접촉면에는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권취드럼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동력을 기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모터와의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와,
    상기 유압모터에 설치되어 구동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유압모터로 유입되는 유압유의 압력을 조절하여 권취드럼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조정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밸브는 베이스부 일측에는 돌출된 회전노브의 조작을 통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취드럼의 로프는 각 기설전선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권취드럼에는 상기 로프들을 단독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권취드럼상에 전선이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권취되는 전선들을 안내하는 제1, 제2이송롤러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롤러는 기설전선들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되어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폭만큼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1권취드럼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는 제2권취드럼들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권취드럼의 폭만큼 좌우로 이동하도록 해당 제2권취드럼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20070000563A 2007-01-03 2007-01-03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084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63A KR100842283B1 (ko) 2007-01-03 2007-01-03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63A KR100842283B1 (ko) 2007-01-03 2007-01-03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283B1 true KR100842283B1 (ko) 2008-06-30

Family

ID=3977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63A KR100842283B1 (ko) 2007-01-03 2007-01-03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2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08B1 (ko) 2009-04-07 2011-12-08 (주)디.에이치.케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101210483B1 (ko) * 2011-06-17 2012-12-10 (주)디.에이치.케이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견인장치
KR101311439B1 (ko) 2013-06-11 2013-09-25 (주) 창흥전력 가선용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공법
KR101425617B1 (ko) 2013-04-09 2014-08-01 공병화 로터리타입 케이블 조인트
KR101443255B1 (ko) * 2012-10-30 2014-09-22 이재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20180020275A (ko) * 2015-06-24 2018-02-27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KR20180033330A (ko) 2016-09-23 2018-04-03 최동수 가공 전선로 가설 시스템
CN108430162A (zh) * 2018-05-21 2018-08-21 雪龙数控设备(深圳)有限公司 线路板钻孔用的垫板的自动更换装置及方法
KR20200028322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20200028203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3407U (ko) 1987-01-16 1988-07-21
KR19990042913A (ko) * 1997-11-28 1999-06-15 박준형 고압전선의 바이패스 장치
KR200163244Y1 (ko) 1999-07-01 2000-02-15 주식회사동해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JP2001016725A (ja) 1999-06-29 2001-01-19 Aichi Corp ケーブル作業装置
JP2001016726A (ja) 1999-06-28 2001-01-19 Aichi Corp バイパス及び架線作業兼用作業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3407U (ko) 1987-01-16 1988-07-21
KR19990042913A (ko) * 1997-11-28 1999-06-15 박준형 고압전선의 바이패스 장치
JP2001016726A (ja) 1999-06-28 2001-01-19 Aichi Corp バイパス及び架線作業兼用作業車
JP2001016725A (ja) 1999-06-29 2001-01-19 Aichi Corp ケーブル作業装置
KR200163244Y1 (ko) 1999-07-01 2000-02-15 주식회사동해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08B1 (ko) 2009-04-07 2011-12-08 (주)디.에이치.케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101210483B1 (ko) * 2011-06-17 2012-12-10 (주)디.에이치.케이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견인장치
KR101443255B1 (ko) * 2012-10-30 2014-09-22 이재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101425617B1 (ko) 2013-04-09 2014-08-01 공병화 로터리타입 케이블 조인트
KR101311439B1 (ko) 2013-06-11 2013-09-25 (주) 창흥전력 가선용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공법
KR102389655B1 (ko) 2015-06-24 2022-04-21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KR20180020275A (ko) * 2015-06-24 2018-02-27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KR20180033330A (ko) 2016-09-23 2018-04-03 최동수 가공 전선로 가설 시스템
CN108430162A (zh) * 2018-05-21 2018-08-21 雪龙数控设备(深圳)有限公司 线路板钻孔用的垫板的自动更换装置及方法
CN108430162B (zh) * 2018-05-21 2023-09-29 雪龙数控设备(深圳)有限公司 线路板钻孔用的垫板的自动更换装置及方法
KR20200028322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2149524B1 (ko) * 2018-09-06 2020-08-28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102149670B1 (ko) * 2018-09-06 2020-08-31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2220514B1 (ko) * 2018-09-06 2021-02-25 주식회사 남북건설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200028321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200028203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US11848543B2 (en) 2018-09-06 2023-12-19 Sn Enc Co., Ltd.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cable winding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cable spreading system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283B1 (ko)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1027732B1 (ko) 드럼 케이블의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20150087781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086748B1 (ko) 케이블 피더
KR20180086371A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100697324B1 (ko) 엔진구동 유압식 전선 권취장치
KR200450631Y1 (ko) 케이블 포설기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101756055B1 (ko) 다용도 케이블 텐션 유지 및 포설장치
KR100344522B1 (ko) 공중배선 가선장치
JP2018065558A (ja) 索道設備の支索を再配置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220006711A (ko) 전력 배선공사용 차량의 배선 작업장치
KR101758700B1 (ko) 전로 설치형 전선포설장치
KR20220006714A (ko)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KR101076306B1 (ko) 전선드럼용 긴장기
DE508975C (de) Vorrichtung zum Einziehen von Kabeln in Kabelgraeben
KR102077532B1 (ko)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KR101104807B1 (ko) 루프방식 가선공법
KR101261828B1 (ko) 케이블 가이드용 전동롤러장치
KR20110090626A (ko) 다중휠을 이용한 선박용 케이블 포설장치
JP2021087332A (ja) 長尺部材の回収装置
KR101254427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CN211089020U (zh) 具有抗磨损自适应结构的电缆桥架
CN220596598U (zh) 一种电缆放线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