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655B1 -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655B1
KR102389655B1 KR1020187002179A KR20187002179A KR102389655B1 KR 102389655 B1 KR102389655 B1 KR 102389655B1 KR 1020187002179 A KR1020187002179 A KR 1020187002179A KR 20187002179 A KR20187002179 A KR 20187002179A KR 102389655 B1 KR102389655 B1 KR 10238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st
tension
drive mechanism
rotation drive
joi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275A (ko
Inventor
야스쓰구 노가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2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선 등의 장설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가선 등의 설치를 행하는 장선 장치를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로서,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2060)을,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하고,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장력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장선 장치를 제어하여, 가선에 생기는 장력에 대응하는 값을 장력계로부터 취득하고, 장력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장선(張線; wire tensioning)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가선(架線; overhead wire) 공사 등에 있어서, 가선 등의 자유단측을 수평 방향 내지는 가로 방향으로 인장(引張)시켜, 전주(電柱) 측에 유지할 수 있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선 공사 등에 있어서의 장설(張設) 작업에는, 복수의 장치를 일반적으로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전선의 장설 작업에서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계(張力計)가 사용된다. 전선 등의 가선 공사에 있어서, 전선의 지지점과 전선이 이루는 곡선의 최저점과의 높이인 이도(弛度; slackness)가 고려된다. 이도를 크게 취함으로써, 전선 자체에 걸리는 장력을 줄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지만, 이도가 너무 크면 철탑 등의 지지물을 높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적당한 이도 장력을 고려하기 위해, 전선의 장설 작업에서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계가 필요해진다.
또한, 가선의 자유단측을 고정해야 할 철탑에 인장시키기 위해, 장선기가 사용된다.
종래의 장선기(張線器)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장선기(1001)는, 장선기 본체부(1002)와, 와이어 그립퍼(wire gripper)(1008)를 장착하기 위한 와이어 그립퍼 장착부(1003)와, 장선기 본체부(1002)와 와이어 그립퍼 장착부(1003)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1004)와, 래칫 핸들(1005)과, 전주(C) 등의 지지 기체(基體)에 장착되는 기체 장착부(1006)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선기(1001)를 사용하여, 전주 사이 등에 가선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장선기(1001)가, 기체 장착부(1006)에 장착된 뒷부분 와이어(1009)를, 전주(C)에 고정함으로써, 전주(C)에 지지된다. 다음에, 와이어(1004)가 장선기 본체부(1002)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가선(1007)의 자유단(1007a) 측이, 와이어 그립퍼 장착부(1003)에 장착된 와이어 그립퍼(1008)에 의해 파지된다. 그리고, 래칫 핸들(1005)이 수동 조작되어, 와이어(1004)가 장선기 본체부(1002)의 내부에 권취되는 것에 의해, 가선(1007)의 자유단(1007a) 측이 전주(C) 측으로 인장되어 유지된다.
복수의 전선의 장설 작업을 행하는 경우, 복수의 장력계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복수의 장력 표시 장치를 준비하고, 그것을 보면서, 상기 장선기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장력의 조정을 행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0―9563호 공보
가선 공사에서는, 예를 들면, 철탑 등의 고소(高所)에 작업대를 설치하고,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 장설 작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기(機器)를 각각 조작하여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선 등의 장설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가선 등의 설치를 행하는 장선 장치를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正逆)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을,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하고,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장력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장선 장치를 제어하여, 가선에 생기는 장력에 대응하는 값을 장력계로부터 취득하고, 장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가선 등의 설치를 행하는 장선 장치를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을,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하고,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복수의 장력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장선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여, 가선에 생기는 장력에 대응하는 값을 복수의 장력계로부터 취득하고, 장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장선 장치에 의한 가선의 인장력이, 설정한 인장력보다도 클 때, 경보를 발하는 경보 수단을,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장력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장선 장치의 회전 구동 기구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은,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한쪽 방향을 향해 설치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경보 수단은, 시켄서에 의해 제어되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을,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1개의 장치 내에서, 장선 장치를 제어하면서, 장선 장치에 의한 전선 등에 생기는 장력을 감시할 수 있어, 장설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선의 장설 작업 시에 필요로 하는 장치를 일체로 하여, 작업대 등의 작업장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장설 작업에 필요한 장치의 운반이 용이해져, 장설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의 조(組)를, 1개의 장치 내에서, 복수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가선의 장력을 1개소에서 동시에 감시할 수 있고, 또한 경보 수단을 구비하므로, 어느 하나의 가선에 이상(異常)인 장력이 생긴 경우에는, 경보 수단에 의해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고를 미리 막을 수가 있다. 또한, 복수의 가선의 장설 작업 시에 필요로 하는 장치를 일체로 하여, 작업대 등의 작업장 스페이스를 절약 할 수 있고, 또한 장설 작업에 필요한 장치의 운반이 용이해져, 장설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선 등의 장설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하우징(housing) 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장력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장선 장치를 사용한 작업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장선 장치 본체부의 정면단면도(正面斷面圖)이다.
도 7은 종래의 장선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그에 계속하여, 전선 등의 장력을 측정하고, 장력에 대응한 전기 신호의 값을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보내는 장력계[로드 셀(load cell)]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선 장치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장선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정면단면도이다. 장선 장치(1)는, 가선 공사 등에 있어서, 가선 등의 자유단측을 전주(C) 측으로 인장시켜 유지할 수 있다.
장선 장치(1)는, 지상에 수직 설치된 전주(C)와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 즉 지상과 평행 내지는 수평의 방향으로, 가선을 인장시켜 설치하는, 이른바 「가로 현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선 장치(1)는, 대략, 장선 장치 본체부(2)와, 와이어 그립퍼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부(5)와, 장선 장치 본체부(2)와 제1 장착부(5)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부인 제1 체인(6)과, 전동 모터를 가지고 있는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와, 장선 장치(1)를 전주(C)에 장착하기 위한 테일 와이어(tail wire)를 파지(把持)하기 위한 제2 장착부(8)와,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9)와, 송신기(9)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0)와, 전동 회전기(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와, 제1 체인(6)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장착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장선 장치 본체부(2)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내장된 후술하는 회전 구동 기구(3) 및 브레이크 기구(機構)(4)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회전 구동 기구(3)를 내장하고 있는 대략 세로로 긴 직사각형 통형(筒形)의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와, 브레이크 기구(4)를 내장하고 있는 대략 원형 통형의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와, 전동 회전기(7)를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와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는, 수직 방향(길이 방향)으로 칸막이벽이 설치되지 않고,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접하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는,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보다도 높은 키로(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의 척(chuck)(720) 측의 선단 부분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내부에 충분히 수납되어, 하우징(2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견인부인 제1 체인(6)이 느슨하게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 구동 기구(3)의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브레이크판(52)과의 상호 간에서의 상면 및 하면 접촉 마찰력은, 느슨하고, 서로 독립되어 있다(프리의 상태이다).
(회전 구동 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의 동작)
다음에, 전동 회전기(7)에 의해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이 구동 회전되면, 제1 회전축(3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기어(32)를 통하여, 회전력이 브레이크 기구(4)의 제3 평기어(46)로 전달되고, 제3 평기어(46)가 회전한다.
제3 평기어(46)는,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端部)(40a)의 수나사부(40c)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제3 평기어(46)의 회전에 따라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40a)에 있어서, 브레이크판(52) 측을 향해 하강한다.
따라서, 제3 평기어(46)와 브레이크판(52)과의 간격은 감소한다.
(장력계의 구성)
도 3의 (a)는, 전선 등의 장력을 측정하고,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장력의 값을 보내는 장력계의 일실시형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상기 장력계의 일실시형태의 저면도이며, 도 3의 (c)는, 상기 장력계의 일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장력계(1100)는, 제1 피장착부(1108)와, 제2 피장착부(1110)와, 장력값 송신부(1112)를 구비한다. 제1 피장착부(1108)는, 예를 들면,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장선 장치(1)의 제2 장착부(8)에 장착되고, 제2 피장착부(1110)는, 예를 들면, 와이어를 통하여 전주(C)에 장착된다.
장력값 송신부(1112)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와 유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장설 작업 시, 장선 장치(1)의 체인이 권취되어 가고, 장력계(1100)에는, 제1 피장착부(1108)와 제2 피장착부(1110)와의 사이에 인장력이 생긴다. 장력계(1100)는, 그 인장력을 수치화(바꾸어 말하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장력값 송신부(1112)를 통하여, 그 값을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의 일실시형태의 하우징 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장선 장치를 사용한 작업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철탑(1320)의 위쪽에 작업대(1314)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대(1314)에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가 설치되어 있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가 설치된 철탑(1320)의 좌측(도 4의 좌측)에 인접하는 철탑에 고정된 가선(1302)에 있어서, 철탑(1320) 측의 자유단에는 하나의 장선 장치(이하, 제1 장선 장치라고 함)(1202)가 장착되어 있고, 제1 장선 장치(1202)는, 또 하나의 장력계(이하, 제1 장력계라고 함)(1102)의 제1 피장착부(1108)에 장착되고, 제1 장력계(1102)의 제2 피장착부(1110)가 예를 들면, 와이어를 통하여 철탑(1320)에 장착된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가 설치된 철탑(1320)의 우측(도 4의 우측)에 인접하는 철탑에 고정된 가선(1304)에 있어서, 철탑(1320) 측의 자유단에는 다른 장선 장치(이하, 제2 장선 장치라고 함)(1204)가 장착되어 있고, 제2 장선 장치(1204)는, 또 다른 장력계(이하, 제2 장력계라고 함)(1104)의 제2 피장착부(1110)에 장착되고, 제2 장력계(1104)의 제2 피장착부(1110)가 예를 들면, 와이어를 통하여 철탑(1320)에 장착된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철탑(1320)의 아래쪽에 있는 발전기(13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발전기(1310)로부터 전력을 얻는다. 발전기(1310)는, 작업대(1314)에 설치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을 위해, 적절히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가선 등의 설치를 행하는 장선 장치(1)를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로서,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과, 장선 장치(1)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2060)을, 1개의 직육면체형의 하우징(2004) 내에,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장선 장치(1)에 연결된 장력계(1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장선 장치(1)를 동시에 제어하여, 장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1조(組)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과, 장선 장치(1)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2060)과, 다른 조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과, 장선 장치(1)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2060)을,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한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장력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장선 장치를 제어하여, 가선에 생기는 장력에 대응하는 값을 장력계로부터 취득하고, 장력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좌측(도 4의 좌측)의 장설 작업을 행하기 위해, 상기 1조의 제1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2)과, 상기 제1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2)의 제1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2)과, 제1 장선 장치(1202)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제1 장력 표시 수단(2062)이 사용되고,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우측(도 4의 우측)의 장설 작업을 행하기 위해, 상기 다른 조의 제2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4)과, 상기 제2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4)의 제2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4)과, 제2 장선 장치(1204)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제2 장력 표시 수단(2064)이 사용된다.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2022, 2024]은, 장선 장치(1)의 회전 구동 기구(3)의 회전의 ON/OFF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2022, 2024]은,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좌측의 장설 작업을 위한 제1 장선 장치(1202)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2)과,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우측의 장설 작업을 위한 제2 장선 장치(1204)를 제어하기 위한 제2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4)을 포함한다. 제1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2)과 제2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4)은, 한쪽을 ON으로 하고, 다른 쪽을 OFF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역 운전 전환 수단)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2042, 2044]은,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에 의해 제어되는 장선 장치(1)의 회전 구동 기구(3)의 회전 방향의 정역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2042, 2044]은, 제1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2)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장선 장치(1202)의 회전 구동 기구(3)의 회전 방향의 정역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2)과, 제2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4)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장선 장치(1204)의 회전 구동 기구(3)의 회전 방향의 정역을 전환하기 위한 제2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4)을 포함한다.
(장력 표시 수단)
장력 표시 수단(2060)[2062, 2064]은, 장력계(1100)[1102, 1104]로부터 보내져 온 값에 기초하여, 전선의 장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력 표시 수단(2060)[2062, 2064]은,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좌측(도 4의 좌측)의 장설 작업을 위한 제1 장력계(1102)로부터 보내져 온 값에 기초하여, 전선의 장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장력 표시 수단(2062)과,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우측(도 4의 우측)의 장설 작업을 위한 제2 장력계(1104)로부터 보내져 온 값에 기초하여, 전선의 장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장력 표시 수단(2064)을 포함한다. 제1 장력 표시 수단(2062) 및 제2 장력 표시 수단(2064)은,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의 정면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장력 표시 수단(2060)[2062, 2064]은, 예를 들면, LCD일수 있다.
(경보 수단)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또한 장선 장치(1)에 의한 가선의 인장력이, 설정한 인장력보다도 클 때, 경보를 발하는 경보 수단(2080)을 구비한다.
경보 수단(2080)은,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좌측의 장설 작업을 위한 제1 장선 장치(1202)에 의한 가선의 인장력이, 설정한 인장력보다도 클 때, 경보를 발하는 제1 경보 수단(2082)과,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장치(2000)의 우측의 장설 작업을 위한 제2 장선 장치(1204)에 의한 가선의 인장력이, 설정한 인장력보다도 클 때, 경보를 발하는 제2 경보 수단(2084)을 포함한다.
경보 수단(2080)은,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과, 장선 장치(1)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2060)과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경보 수단(2080)[2082, 2084]은, 경보 수단(2080)을 ON으로 할 것인지 OFF로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경보 스위치(2086)와, 경보를 발하는 인장력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 장력 설정 수단(2092)을 포함한다. 경보 스위치(2086)[2087, 2088] 및 경보 장력 설정 수단(2092)[2093, 2094]은, 모두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경보 수단(2082)은, 제1 경보 스위치(2087)와 제1 경보 장력 설정 수단(2093)을 포함하고, 제2 경보 수단(2084)은, 제2 경보 스위치(2088)와 제2 경보 장력 설정 수단(2094)을 포함한다.
경보 스위치(2086)[2087, 2088]를 ON으로 한 경우에는, 경보 장력 설정 수단(2092)[2093, 2094]에 있어서 설정된 인장력보다도, 장력계(1100)[1102, 1104]로부터 보내져 온 인장력의 값이 클 때, 경보를 발한다. 경보 스위치(2086)[2087, 2088]를 OFF로 한 경우에는, 경보 장력 설정 수단(2092)[2093, 2094]에 있어서 설정된 인장력보다도, 장력계(1100)[1102, 1104]로부터 보내져 온 인장력의 값이 클 때라도, 경보를 발하지 않는다. 경보 수단(2080)은, 예를 들면, 시켄서에 의해 제어된다.
(기억 수단)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또한 장력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2100)을 구비한다.
기억 수단(2100)은, SD 카드(도시하지 않음)를 꽂아서 SD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SD 카드 슬롯(2106)을 구비한다.
SD 카드 슬롯(2106)에 꽂힌 SD 카드에는, 제1 장력계(1102)로부터 보내진 장력의 값이 보존되고, 또한 제2 장력계(1104)로부터 보내진 장력의 값이 보존된다.
기억 수단(2100)은, 로그 취득을 개시하기 위한 로그 취득 스타트 버튼(2110)과, 로그 취득을 정지하기 위한 로그 취득 스톱 버튼(2112)을 구비한다.
로그 취득 스타트 버튼(2110)을 가압함으로써, 각각의 장력계(1102, 1104)로부터 보내져 온 장력 데이터의 로그 취득이 개시되고, 로그 취득 스톱 버튼(2112)을 가압함으로써, 로그 취득이 정지되고, SD 카드 슬롯(2106)에 꽂힌 SD 카드에 보존된다.
또한, 기억 수단(2100)은, 램프가 점등함으로써 로그 취득 중인 것을 나타내는 로그 취득 표시 램프(2114)를 구비한다. 로그 취득 표시 램프(2114)는, 로그 취득 스타트 버튼(2110)을 가압함으로써, 로그 취득 중인 것을 나타내도록 점등하고, 로그 취득 스톱 버튼(2112)을 가압함으로써, 소등한다.
(통신 수단)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또한 장선 장치의 회전 구동 기구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2120)을 구비한다.
통신 수단(2120)은,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2022, 202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장선 장치의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의 ON/OFF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장선 장치의 수신기에 보낸다.
통신 수단(2120)은,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2020)[2022, 2024] 및 정역 운전 전환 수단(2040)[2042, 20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수단(2120)은 무선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선 장치의 회전 구동 기구와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를 유선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와 장선 장치가, 유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 접속선을 떼어내거나 또는 절단함으로써 장선 장치의 권취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전성이 높아진다.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2000)는,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은,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한쪽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장선 장치를 제어하고, 2개의 장력계로부터 장력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관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3개 이상의 장선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라도 되고, 또한 3개 이상의 장력계로부터 장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라도 된다.
1: 장선 장치
2: 장선 장치 본체부
3: 회전 구동 기구
4: 브레이크 기구
5: 제1 장착부
6: 견인부(제1 체인)
6a: 고정측 단부
6b: 권취측 단부
7: 구동원(전동 회전기)
8: 제2 장착부
9: 송신기
10: 수신기
11: 배터리
12: 제3 장착부
20: 하우징
22: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
24: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
26: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
27: 중간 베이스 시트부
28: 바닥부
30: 제1 회전축
30a: 상측 단부
30b: 하측 단부
32: 제1 평기어
32a, 36a, 45a, 47a, 49a, 50b, 51a: 심부(芯部)
34: 제2 회전축
34a: 상측 단부
34b: 하측 단부
36: 제2 평기어
38: 로드 시브(load sheave)
38a: 포켓
38b: 차
40: 제3 회전축
40a: 상측 단부
40b: 하측 단부
40c: 수나사부
40d: 관통공
41a, 41b: 육각공 볼트
42a, 42b: 스프링 와셔
43: 손잡이
44: 분할핀
44a: 다리
45: 체크 와셔
46: 제3 평기어
46a: 암나사공 심부
47: 디스크
49: 제1 브레이크 라이닝
50: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50a: 톱니부
51: 제2 브레이크 라이닝
52: 브레이크판
53: 피니언
54: 멈춤 클로우
54a: 레버부
54b: 클로우부(claw portion)
55: 래칫 클로우
90: 컨트롤 박스
92: ON 스위치
93: OFF 스위치
96: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100: 수신기 본체
101: 제1 측면부
102: 제2 측면부
103: 배면부
104: 평면부
105: 정면부
106: 바닥면부
107a, 107b: 출력 단자
108a, 108b, 108c: 수신용 포토다이오드
109a, 109b: 입력 단자
110: 상면
112a, 112b: 출력 단자
122: U자형 부재
124: 조인트 볼트
128: 제2 체인
128a: 고정측 단부
128b: 와이어 그립퍼 장착측 단부
220: 상면
222: 바닥면
224: 정면
225: 제1 측면
226: 배면
227: 제2 측면
230: 장착공
232, 239: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
236, 238: 체인 입출구
240: 상면
242: 바닥면
244: 정면
245: 측면
246: 배면
248: 제2 연장부
250: 멈춤 클로우 조작용 창
260: 천정부
262: 정면부
262a: 제1 정면부
262b: 제2 정면부
263: 제1 측면부
264: 배면부
265: 제2 측면부
268: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
270: 슬릿
272a, 272b, 272c: 고정용 볼트
274: 체결 부재
274a: 체결측 단부
274b: 고정측 단부
276: 핸들
278: 퇴피홈
278a: 제1 퇴피홈
278b: 제2 퇴피홈
280a, 280b: 걸림 에지
310: 제1 회전축용 유지 부재
312: 상판
314: 하판
500: 갈고리부
500a: 근원부
500b: 선단부
502: 개폐 부재
502a: 근원부
502b: 선단부
504: 고정축
520: 베이스부
522: 동활차(moved pulley) 수용부
526: 동활차
528: 고정축
700: 전동 회전기 본체
720: 척
722: 걸림 돌출부
740: 핸들
760: 수신기 장착부
760: 장착 금속 부재
C: 전주
1100: 장력계
1102: 제1 장력계
1104: 제2 장력계
1108: 제1 피장착부
1110: 제2 피장착부
1112: 장력값 송신부
1202: 제1 장선 장치
1204: 제2 장선 장치
1302, 1304: 전선
1310: 발전기
1314: 작업대
1320: 철탑
2000: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2004: 하우징
2008: 전원 스위치
2020: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
2022: 제1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
2024: 제2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
2040: 정역 운전 전환 수단
2042: 제1 정역 운전 전환 수단
2044: 제2 정역 운전 전환 수단
2060: 장력 표시 수단
2062: 제1 장력 표시 수단
2064: 제2 장력 표시 수단
2080: 경보 수단
2082: 제1 경보 수단
2084: 제2 경보 수단
2086: 경보 스위치
2087: 제1 경보 스위치
2088: 제2 경보 스위치
2092: 경보 장력 설정 수단
2093: 제1 경보 장력 설정 수단
2094: 제2 경보 장력 설정 수단
2100: 기억 수단
2106: SD 카드 슬롯
2110: 로그 취득 스타트 버튼
2112: 로그 취득 스톱 버튼
2114: 로그 취득 표시 램프
2116: 샘플링 주파수 조절 손잡이
2120: 통신 수단

Claims (7)

  1. 가선 등의 장설을 행하는 장선 장치를 제어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상기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상기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을,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는, 복수의 장력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장선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가선에 생기는 장력에 대응하는 값을 상기 복수의 장력계로부터 취득하고, 장력을 표시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 장치에 의한 가선의 인장력이, 설정한 인장력보다도 클 때, 경보를 발하는 경보 수단을, 상기 하나의 및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하나의 및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상기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 장치의 회전 구동 기구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상기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과, 다른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과,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제어 수단의 정역 운전 전환 수단과, 상기 장선 장치에 의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 수단은,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한쪽 방향을 향해 설치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은, 시켄서에 의해 제어되는,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7. 삭제
KR1020187002179A 2015-06-24 2015-06-24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KR10238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8174 WO2016207998A1 (ja) 2015-06-24 2015-06-24 張線装置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275A KR20180020275A (ko) 2018-02-27
KR102389655B1 true KR102389655B1 (ko) 2022-04-21

Family

ID=5758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79A KR102389655B1 (ko) 2015-06-24 2015-06-24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89655B1 (ko)
CN (1) CN107710536B (ko)
WO (1) WO2016207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2884B (zh) * 2020-08-27 2021-09-1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花兰螺丝位移拉力自动调整机构及其使用方法
WO2024034182A1 (ja) * 2022-08-08 2024-02-15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及び張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30Y1 (ko) * 2004-03-30 2004-07-06 추경엽 장선기의 구조
KR100842283B1 (ko) 2007-01-03 2008-06-30 주식회사 동해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1521829B1 (ko) 2013-12-12 2015-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기의 장력조절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477B2 (ja) * 1990-04-12 1998-09-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張線装置
JPH0710137B2 (ja) * 1992-12-28 1995-02-01 株式会社関電工 架空地線弛度制御張替工法
JP2975592B1 (ja) * 1998-06-19 1999-11-10 中部電力株式会社 懸架式張力測定装置
JP2003224909A (ja) * 2002-01-30 2003-08-08 Ami:Kk 巻取り牽引装置
CN101335435B (zh) * 2008-07-30 2010-12-22 南京线路器材厂 塔上液压紧线方法及其系统
CN203086064U (zh) * 2012-06-04 2013-07-24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重型电缆敷设牵引力监控系统
JP5892869B2 (ja) * 2012-06-08 2016-03-23 株式会社永木精機 張線装置
KR101676801B1 (ko) * 2013-10-23 2016-11-16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장선 장치
CN203747310U (zh) * 2013-11-30 2014-07-30 国家电网公司 一种绞磨式输电线路电缆紧线装置
CN203895857U (zh) * 2013-12-03 2014-10-22 株式会社永木精机 紧线装置
JP5990157B2 (ja) * 2013-12-25 2016-09-07 株式会社永木精機 張線装置の制御装置
CN103899600B (zh) * 2014-03-21 2016-05-25 国家电网公司 一种临时电缆架设支架稳定性自动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30Y1 (ko) * 2004-03-30 2004-07-06 추경엽 장선기의 구조
KR100842283B1 (ko) 2007-01-03 2008-06-30 주식회사 동해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KR101521829B1 (ko) 2013-12-12 2015-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기의 장력조절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10536B (zh) 2022-06-07
WO2016207998A1 (ja) 2016-12-29
CN107710536A (zh) 2018-02-16
KR20180020275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2869B2 (ja) 張線装置
KR102389655B1 (ko)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AU2009336997B2 (en) Intelligent binding system for material circulating cargo
US6178992B1 (en) Hose reel
KR101372457B1 (ko) 와이어 로프 릴 스탠드
JP2008213069A (ja) 電動工具
JP5990157B2 (ja) 張線装置の制御装置
JP2016123244A (ja) 電動張線装置
JP5606187B2 (ja) 張線器
KR101831125B1 (ko) 윈치통합형 모바일 엔드 이펙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로봇 및 이 케이블 로봇의 케이블 자동 장착방법
KR101676801B1 (ko) 장선 장치
CN111387007A (zh) 树木远程砍伐机械臂及使用方法
CN111689417B (zh) 一种建筑用防坠落提升机
CN212151187U (zh) 一种驱动装置及自动收放线缆设备
JP2015101481A (ja) ウインチの遠隔操作構造
CN210027800U (zh) 一种用于裸岩条件下的船载冲击钻引孔装置
CN203895857U (zh) 紧线装置
WO2021062392A1 (en) Remotely controlled cutting tool and method
KR101389342B1 (ko) 충전기능이 구비된 전자척 시스템
KR101068507B1 (ko) 권취장치
CN213679479U (zh) 一种导线架设用升降装置
CN212011928U (zh) 一种输变电线路多功能紧线器
KR102311377B1 (ko)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CN111975095B (zh) 冷剪设备、冷剪上刀片的顶入装置及顶入方法
CN215908980U (zh) 一种自动控制的多功能太阳能警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