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801B1 - 장선 장치 - Google Patents

장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801B1
KR101676801B1 KR1020157002526A KR20157002526A KR101676801B1 KR 101676801 B1 KR101676801 B1 KR 101676801B1 KR 1020157002526 A KR1020157002526 A KR 1020157002526A KR 20157002526 A KR20157002526 A KR 20157002526A KR 101676801 B1 KR101676801 B1 KR 10167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otary shaft
main body
electric moto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353A (ko
Inventor
히로타카 나가키
준스케 다카다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주)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주)한백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6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가선(架線) 등의 장설(張設)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선 장치를 제공한다.
장선 장치(1)는, 장선기 본체부(2)와, 제1 장착부(5)와, 장선기 본체부(2)와 제1 장착부(5)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부(6)와, 장선기 본체부(2)에 내장된, 견인부(6)를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하여 제1 장착부(5)를 장선기 본체부(2) 측으로 끌어들이도록 동작하는 회전 구동 기구(3)와, 회전 구동 기구(3)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를 가지고 있는 구동원(7)과, 장선기 본체부(2)에 내장된, 회전 구동 기구(3)에 걸려 있는 브레이크 기구(4)와, 장선기 본체부(2)에 설치된 제2 장착부(8)와, 구동원(7)의 전동 모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9)와, 송신기(9)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0)와, 구동원(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는, 주로, 구동원(7)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Description

장선 장치{WIRE TENSIONING DEVICE}
본 발명은, 장선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가선(架線) 공사 등에 있어서, 가선 등의 자유단측을 수평 방향 내지는 가로 방향으로 당겨서, 전주 측(電柱側)에 유지할 수 있는 장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선기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장선기(1001)는, 장선기 본체부(1002)와,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1008)를 장착하기 위한 와이어 그리퍼 장착부(1003)와, 장선기 본체부(1002)와 와이어 그리퍼 장착부(1003)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1004)와, 래칫 핸들(1005)과, 전주(C) 등의 지지 기체(基體)에 장착되는 기체 장착부(100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장선기(1001)를 사용하여, 전주 사이 등에 가선(架線)을 장설(張設)하는 경우에는, 먼저, 장선기(1001)가, 기체 장착부(1006)에 장착된 시테 와이어(shitte wire)(1009)를, 전주(C)에 고정함으로써, 전주(C)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와이어(1004)가 장선기 본체부(1002)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가선(1007)의 자유단(1007a) 측이, 와이어 그리퍼 장착부(1003)에 장착된 와이어 그리퍼(1008)에 의해 그리핑(gripping)된다. 그리고, 래칫 핸들(1005)이 수동 조작되어, 와이어(1004)가 장선기 본체부(1002)의 내부에 권취되는 것에 의하여, 가선(1007)의 자유단(1007a) 측이 전주(C) 측으로 끌어 당겨져서 유지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선기(1)와는 별도로, 윈치 등을 사용하여, 전주 사이 등에 가선을 장설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11-10351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선기(1001)는, 와이어(1004)를 장선기 본체부(1002)의 내부에 권취하기 위하여, 장선기(1001)의 옆에서 래칫 핸들(1005)을 수동 조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와이어(1004)의 권취 중에, 만일, 가선(1007)과 와이어 그리퍼(1008)와의 그리핑이 해제될 때는, 와이어 그리퍼(1008)가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 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윈치 등을 사용하여, 전주간 등에 가선을 장설하는 경우에는, 윈치의 중량이 무겁고, 회전 속도가 늦는 등의 이유로, 신속한 장설 작업은, 곤란했다.
또한, 윈치에 의한 가선의 장설은, 가선을 이른바 「수직 현수」를 위하여, 안전율이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선기(1001)에 의한 가선의 장설은, 가선을 이른바 「수평 현수」하는 구조이지만, 「수직 현수」의 안전율보다 낮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선 등의 장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장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장선기 본체부와, 제1 장착부와, 상기 장선기 본체부와 상기 제1 장착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부와, 상기 장선기 본체부에 내장된, 상기 견인부를 상기 장선기 본체부의 내부에 권취하여 상기 제1 장착부를 상기 장선기 본체부 측으로 끌어들이도록 동작하는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회전 구동 기구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를 가지고, 스위치로 회전이 제어되는 구동원과, 상기 장선기 본체부의 회전 구동 기구의 근방에 내장된, 상기 회전 구동 기구 및 상기 견인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장선기 본체부에 설치된 제2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는 길이를 가지는 체인 또는 띠형체이며, 상기 회전 구동 기구는, 주로, 상기 구동원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브레이크 기구를 통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조이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에 걸리고, 상기 견인부가 느슨해질 때 상기 견인부가 상기 장선기 본체부의 내부로부터 즉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견인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로서 동작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상기 구동원의 전동 모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구동원에 장착된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3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된 제1 평기어와,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된 제2 평기어 및 제2 평기어에 연결된 로드시브(load sheave)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 나사 장착된 제3 평기어와, 브레이크판 및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1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제3 평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2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피니언이 맞물리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4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장선기 본체부는, 회전 구동 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하우징은, 회전 구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통형의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와, 브레이크 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통형의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와, 전동 회전기를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에 고정하기 위한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를 가지고,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와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는, 옆 방향으로 나란히 평행하게 접하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는,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는, 제1 회전축의 상방에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이 형성되고,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은, 전동 회전기의 척(chuck) 측을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5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제1 회전축은, 회전축 방향이 제1 체인이 회전하는 가로 방향과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측 단부는, 제1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킬 때,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의 척에 의해 척킹되도록 형성된, 제3항에 기재된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6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된 제1 평기어와,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된 제2 평기어 및 제2 평기어에 연결된 로드시브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 나사 장착된 제3 평기어와, 브레이크판 및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1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제3 평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2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피니언이 맞물리고, 제3 평기어의 회전에 수반하여, 디스크, 제1 브레이크 라이닝,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이 면접촉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판을 회전시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7항에 관한 장선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 나사 장착된 제3 평기어와, 브레이크판 및 피니언과, 상기 제3 회전축에 삽통(揷通)된 디스크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과, 상기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에 걸림 가능한 클로우(claw)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디스크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과의 면접촉 마찰력 및 상기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에 걸린 클로우에 의하여, 제3 회전축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장선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견인부가, 와이어가 아니고, 체인이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체인을 90°로 굴곡하거나 180°로 절곡할 수 있어, 견인부의 취급 자유도가 높아지고, 가선 등의 신속한 장설 작업에 적합하다.
또한, 회전 구동 기구가, 주로, 구동원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 속도는, 빨라진다. 따라서, 견인부를 장선기 본체부의 내부에 권취하여 제1 장착부를 장선기 본체부 측으로 끌어들이는 동작은, 빨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 모터의 ON/OFF 등이 무선으로 제어되므로, 작업자는, 견인부를 장선기 본체부의 내부에 권취하여 제1 장착부를 장선기 본체부 측으로 끌어들이는 작업을, 장선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가선과 와이어 그리퍼와의 그리핑이 해제되어도, 와이어 그리퍼가 작업자에게 날아와서 다치거나 가선에 접촉되어 감전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는, 무선으로 제어되므로, 신호선이 불필요하여, 가선 등의 신속한 장설 작업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동원에 장착되고, 배터리가 구동원과 일체화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전원 코드가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가선 등의 신속한 장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원은 전동 드릴로 하면, 구동원이 전동 드릴과 겸용됨으로써, 전동 드릴을 별도로 휴대하는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 기구가, 회전 구동 기구에 구조적으로 간소하게 걸리도록 하고 있으므로, 장선기의 소형화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선 등의 장설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장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한층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선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선기 본체부의 정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장선기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장선기 본체부의 우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장선기 본체부를 뒤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장선기 본체부의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장선기 본체부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장선기 본체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a는 장선기 본체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0b는 장선기 본체부의 저면 단면도이다.
도 10c는 로드시브의 도해도이다.
도 11에서 (A)은 장선기 본체부의 일부 우측면 단면도이며, (B)는 장선기 본체부의 평면 도해도이다.
도 12는 회전 구동 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구동원(전동 회전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외관 사시도이며, (B)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장선 장치의 사용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장선 장치의 사용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래칫 핸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며, (B)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장선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장선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선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장선 장치(1)는, 가선 공사 등에 있어서, 가선 등의 자유단측을 전주(C) 측으로 끌어당겨 유지할 수 있다.
장선 장치(1)는,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전주(C)와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 즉 지상과 평행 내지는 수평한 방향으로, 가선을 끌어당겨 장설하는, 이른바 「수평 현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선 장치(1)는, 대략, 장선기 본체부(2)와, 제1 와이어 그리퍼(900)(후술함)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부(5)와, 장선기 본체부(2)와 제1 장착부(5)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부인 제1 체인(6)과, 전동 모터를 가지고 있는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와, 장선 장치(1)를 전주(C)에 장착하기 위한 꼬리 와이어(830)(후술함)를 파지하기 위한 제2 장착부(8)와,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9)와, 송신기(9)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0)와, 전동 회전기(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와, 제1 체인(6)을 고정하기 위한 제3 장착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선 장치(1)는, 최대 사용 장력이 30 kN이며, 총 중량이 16 kg이다. 장선기 본체부(2)는 12 kg이다. 전동 회전기(7)는 2.2 kg이다.
(장선기 본체부의 구성)
도 3은 장선기 본체부(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평면도이며, 도 5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장선기 본체부(2)를 뒤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장선기 본체부(2)의 좌측면도이며, 도 8은 저면도이다. 장선기 본체부(2)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내장된 후술하는 회전 구동 기구(3) 및 브레이크 기구(4)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회전 구동 기구(3)를 내장하고 있는 대략 세로로 긴 직사각형 통형의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와, 브레이크 기구(4)를 내장하고 있는 대략 원형 통형의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와, 전동 회전기(7)를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에 고정하기 위한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와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는, 수직 방향(길이 방향)으로 구분벽이 설치되지 않고, 옆 방향으로 나란히 평행하게 접하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는,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보다 높게(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는,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의 선단 부분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내부에 충분히 수납되고, 하우징(2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의 구성)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는, 대략, 평판형의 상면(220)과, 평판형의 바닥면(222)과, 평판형의 정면(224)과, 평판형의 제1 측면(225)과, 평판형의 배면(226)과, 평판형의 제2 측면(227)을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정면(224)의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볼트 장착 시트부(228)가 설치되어 있다. 볼트 장착 시트부(228)에는, 수직 방향으로 축을 가지고 있는 장착공(2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상면(220)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며, 개구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제1 측면(225)의 상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232)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232)을 통하여, 전동 회전기(7)의 척(720)이 회동 조작된다. 제1 측면(225)의 하부에는, 제1 돌출부(234)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1 돌출부(234)의 아래에는,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출입시킬 때의 출입구가 되는 2개의 체인 입출구(236, 238)가, 병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체인 입출구(236, 238)는 각각 십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제1 체인(6)이 얽히지 않고, 장선기 본체부(2)의 폭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배면(226)의 상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239)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239)을 통하여, 전동 회전기(7)의 척(720)이, 회동 조작된다. 배면(226)의 하부에는, 제2 장착부(8) 및 제3 장착부(12)를 장선기 본체부(2)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70)가, 배면(226)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7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수평부(70a) 및 제2 수평부(70b)와, 제1 수직부(70c) 및 제2 수직부(70d)로 이루어진다.
제1 수직부(70c)에는,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볼트(74)가, 볼트 축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삽통한 상태로 너트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제2 측면(227)에는, 구분벽이 설치되지 않고,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가 나란히 접하고 있다.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바닥면(222)에는, 회전 구동 기구(3)의 제2 회전축(34)의 하측 단부(34b)(후술함)가, 관통하여 돌출되고, 너트 체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의 구성)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는, 대략, 상면(240)과, 바닥면(242)과, 정면(244)과, 측면(245)과, 배면(246)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의 우측면은,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가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좌측에 나란히 접하고 있으므로, 존재하지 않는다.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의 정면(244)은, 횡단면 형상(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원호형이며,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정면(224)에 연설(連設)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의 상면(240)은, 폐구되어 있고,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제2 측면(227)에 연설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의 배면(246)은,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배면(226)에 연설되어 있다. 배면(246)의 중앙부에는, 제2 돌출부(248)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2 돌출부(248)에는, 클로우 조작용 창(250)이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 조작용 창(250)으로부터는, 클로우(54)의 레버부(54a)(후술함)가 인출되어 있다.
제2 돌출부(248)의 하방에는, 고정 부재(70)의 제2 수직부(70d) 측의 대략 절반이, 배면(246)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의 바닥면(242)은,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바닥면(222)에 연설되어 있다. 바닥면(242)에는, 브레이크 기구(4)의 제3 회전축(40)의 하측 단부(40b)가, 관통하여 돌출되고, 너트 체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의 구성)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인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4개의 모서리 중 3개의 모서리에 배치된 3개의 고정용 볼트(272a, 272b, 272c)에 의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상면(220)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전동 회전기(7)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천정부(260)와, 천정부(260)의 사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정면부(262)와 제1 측면부(263)와 배면부(264)와 제2 측면부(26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바닥판을 가지고 있지 않다. 천정부(260)의 중앙에는,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직경은,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의 선단 부분을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유지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에는, 슬릿(270)이 연설되어 있다. 슬릿(270)은,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천정부(260)의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다. 정면부(262)는, 제1 측면부(263)와 제2 측면부(265)로 슬릿(270)에 의해 분할되고, 분할된 정면부(262)의 제1 측면부(263) 측의 제1 정면부(262a)와 제2 측면부(265) 측의 제2 정면부(262b)를 구비한다.
체결 부재(274)는, 고정용 볼트(272c)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용 볼트(272c)는, 제1 정면부(262a)로부터 제2 정면부(262b)에 걸쳐 건너질러져 설치되어 있다.
제1 정면부(262a)는, 고정용 볼트(272c)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제2 정면부(262b)에, 체결 부재(274)의 회동에 의해 접근하거나 이격된다. 바꾸어 말하면, 슬릿(270)은, 한쪽에만 고정용 볼트(272c)가 배치되어 있는 제2 정면부(262b)와 제1 정면부(262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그 탄성력으로 축경(縮徑)되어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의 선단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천정부(260)의 배면측에는, 대략 볼트 구조의 체결 부재(274)가,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을 피하여, 천정부(260)와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체결 부재(274)는, 전동 회전기(7)를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에 고정할 때, 슬릿(270)의 간극 폭(d)을 좁히는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체결 부재(274)의 체결측 단부(274a)는, 제1 측면부(263)로부터 정면부(262)에 나사장착되고, 제1 측면부(263)를 관통하여 핸들(276)에 접합되어 있다. 체결 부재(274)의 고정측 단부(274b)는, 정면부(262)을 따라 슬릿(270)의 위치를 넘어 천정부(260)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은,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의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의 선단 부분을 감삽(嵌揷)하기 위하여,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은, 전동 회전기(7)의 척(720)의 상방에서,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부(722)를 삽입하기 위하여, 릴리프홈(relief groove)(278)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있다.
릴리프홈(278)은,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을 부분적으로 노치하여 형성되고, 앞쪽과 뒤쪽으로 나누어져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제1 릴리프홈(278a)은, 슬릿(270)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제1 릴리프홈(278a)과 뒤쪽의 제2 릴리프홈(278b)은, 대략 회전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은,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의 바닥면 측에, 전동 회전기(7)의 걸림 돌기부(722)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걸기 위해, 걸림 가장자리(280a)와 걸림 가장자리(280b)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가장자리(280a)와 걸림 가장자리(280b)는,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내주 가장자리와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동 회전기(7)의 걸림 돌기부(722)는, 척(720)의 상방에서, 좌우로 나누어져 형성된 돌조(突條)이며, 그 상측 둘레가 수평면형 내지는 전방을 향해 약간 하강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에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이 감삽되고, 즉,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릴리프홈(278)에 전동 회전기(7)의 걸림 돌기부(722)가 감삽된다. 전동 회전기(7)는, 전동 회전기(7)의 척(720)의 중심축의 둘레를 1회전의 1/36 내지 1/24 회전시켜(회전각은 대략 10°∼15°), 전동 회전기(7)의 걸림 돌기부(722)를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걸림 가장자리(280a) 및 걸림 가장자리(280b)에 걸리게 한다.
따라서, 전동 회전기(7)의 걸림 돌기부(722)와 걸림 가장자리(280a) 및 걸림 가장자리(280b)는, 전동 회전기(7)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동 회전기(7)의 낙하를 방지한다.
전동 회전기(7)가 장선기 본체부(2)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체결 부재(274)의 핸들(276)이 수동으로 정회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체결되고, 그리고, 무단계적으로, 슬릿(270)의 간극 폭(d)은 좁혀져서, 축경된다. 이로써,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직경은, 작아져,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의 선단 부분은,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전동 회전기(7)가 장선기 본체부(2)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체결 부재(274)의 핸들(276)이 수동으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풀어져서, 슬릿(270)의 간극 폭(d)을 넓힐 수 있다. 이로써,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직경은, 커지고, 전동 회전기(7)의 척(720) 측의 선단 부분은,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회전 구동 기구의 구성)
도 9는 장선기 본체부(2)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10은 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장선기 본체부(2)의 일부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회전 구동 기구(3) 및 브레이크 기구(4)의 분해 사시도이다.
회전 구동 기구(3)는,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하여, 제1 장착부(5)를 장선기 본체부(2) 측으로 끌어들이도록 동작한다. 즉, 회전 구동 기구(3)는,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출입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회전 구동 기구(3)는, 주로,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조이다.
도 9∼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에 내장되어 있는 회전 구동 기구(3)는, 대략, 제1 회전축(구동축)(30)과, 제1 회전축(3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기어(32)와, 제1 회전축(30)을 유지하기 위한 제1 회전축용 지지 부재(310)와, 제2 회전축(종동축(縱動軸))(34)과, 제2 회전축(34)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차례로 고정되어 있는, 제2 평기어(36)와, 로드시브(38)를 가지고 있다.
제1 회전축용 지지 부재(310)는, 복수의 고정 볼트(316)를 이용하여,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하방이면서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의 상방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회전축용 지지 부재(310)는, 상판(312)과, 하판(314)과, 측판(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제1 회전축(30)은, 대략 원기둥형 봉강(棒鋼)으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축(30)은, 회전축 방향이 수직 방향, 즉 제1 체인(6)이 회전하는 가로 방향과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회전축용 지지 부재(3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축(30)의 상측 단부(30a)는, 육각 기둥형이며, 구동 회전축 지지 부재(310)의 상판(312)을 관통하여 위쪽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이 상측 단부(30a)는, 제1 회전축(30)을 회전 구동시킬 때,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의 척(720)에 의해 척킹된다.
제1 회전축(30)의 하측단부(30b)는, 구동 회전축 지지 부재(310)의 하판(3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축(30)을 지지할 때, 베어링은, 하중이 걸리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제1 평기어(32)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이며, 그 중심에 그 외주의 잇줄(tooth trace)에 평행한 중공(中空)의 심부(芯部)(32a)를 구비한다.
제1 평기어(32)는, 제1 회전축용 지지 부재(310)의 상판(312)과 하판(3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평기어(32)는, 그 회전축인 심부(32a)가 제1 회전축(30)과 동심으로 되도록, 제1 회전축(3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평기어(32)와 브레이크 기구(4)의 제3 평기어(46)(후술함)는, 맞물려 있다.
제2 회전축(34)은, 대략 원기둥형 봉강으로 이루어진다.
제2 회전축(34)은, 회전축 방향이 수직 방향, 즉 제1 체인(6)이 회전하는 방향과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회전축(34)의 상측 단부(34a)는,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회전축(34)의 하측 단부(34b)는, 하우징(20)의 바닥부(28)(바꾸어 말하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바닥면(222)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너트 체결되어 있다.
제2 평기어(36)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이며, 그 중심에 그 외주의 잇줄에 평행한 중공의 심부(36a)를 구비한다.
제2 평기어(36)는,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평기어(36)는, 그 회전축인 심부(36a)가 제2 회전축(34)과 동심으로 되도록, 제2 회전축(34)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평기어(36)와 브레이크 기구(4)의 피니언(53)(후술함)은, 맞물리고 있다.
로드시브(38)는, 제2 평기어(3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시브(38)는, 기어(38b)의 회전축이 제2 회전축(34)과 동심으로 되도록, 제2 회전축(34)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시브(38)는, 제1 체인(6)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포켓(38a) 및 톱니를 가지는 기어(38b)를 구비하고 있고, 제2 회전축(34)과 직교하는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제1 체인(6)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켓(38a)은, 제2 회전축(34)의 둘레를 수평 방향으로 주회(周回)하고 있고, 기어(38b)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38b)의 톱니가 제1 체인(6)과 맞물려, 제1 체인(6)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로드시브(38)에는, 견인부인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후술함)가 고정되어 있다. 제2 회전축(34)이 회전하면, 제1 체인(6)은 로드시브(36)의 둘레에 권취된다.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브레이크 기구(4)는, 회전 구동 기구(3)에 걸리고,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느슨하게 할 때, 제1 체인(6)이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즉시 인출되지 않도록, 제1 체인(6)의 이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로서 동작한다.
도 9,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에 내장되어 있는 브레이크 기구(4)는, 대략, 제3 회전축(종동축)(40)과, 노브(43)와, 제3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는 제3 평기어(46), 브레이크판(52) 및 피니언(53)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3 회전축(40)에 삽통되어 있는 디스크(47),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클로우(54)와, 래칫 클릭(55)을 가지고 있다.
제3 회전축(40)은, 회전축 방향이 수직 방향, 즉 제1 체인(6)이 회전하는 가로 방향과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회전축(40)의 중앙 부분은, 브레이크판(52)을 통하여,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회전축(40)의 하방 부분은, 하우징(20)의 바닥부(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회전축(40)을 지지할 때, 베어링은, 하중이 걸리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40a)에는, 제3 평기어(46)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즉, 제3 평기어(46)는, 중앙에 암나사 공심부(孔芯部)(46a)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평기어(46)는,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40a)의 수나사부(40c)에 암나사 공심부(46a)를 나사 결합하고, 제3 평기어(46)의 회전에 수반하여 수나사부(40c)를 따라 하방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브(43)는, 제3 평기어(46)와의 사이에 갈래 핀(44) 및 체크 와셔(45)를 배치하고, 육각혈(六角穴)이 형성된 볼트(41a, 41b) 및 스프링 와셔(42a, 42b)를 이용하여, 제3 평기어(46)에 고정되어 있다. 제3 회전축(40)의 하측 단부(40b)는, 하우징(20)의 바닥부(28)(바꾸어 말하면,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24)의 바닥면(242)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너트 체결되어 있다. 제3 평기어(46)와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평기어(32)는, 맞물려 있다.
갈래 핀(44)은, 제3 평기어(46)가 상측 단부(40a)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단부(40a)의 수나사부(40c)로부터 상방에 형성된 관통공(40d)에 갈래 핀(44)의 다리(44a)를 감삽하여, 고정되어 있다.
체크 와셔(45)는, 중앙의 심부(45a)를 형성하고, 그 외주 에지에 걸림 볼록부(40b)를 형성하어 있다. 체크 와셔(45)는, 심부(45a)에서 걸림 볼록부(40)의 상측 단부(4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47)는, 원판형체이며, 그 중심에 중공의 심부(47a)를 가지고 있다.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은, 합성 수지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유연성을 가지는 원판형체이며, 그 중심에 중공의 심부(49a)를 가지고 있다.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는, 원판형체이며, 외주면에 톱니부(50a)가 병렬되고, 그 중심에 중공의 심부(50b)를 가지고 있다.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은, 합성 수지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유연성을 가지는 원판형체이며, 그 중심에 중공의 심부(51a)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는, 각각, 그 회전축의 방향이 제3 회전축(40)의 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제3 회전축(40)에 고정되지 않고, 제3 회전축(40)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47)는 심부(47a)에 있어서,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은 심부(49a)에 있어서,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는 심부(50b)에 있어서,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는 심부(51a)에 있어서, 제3 회전축(40)에 감삽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는, 제3 평기어(46)와 브레이크판(5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판(52)은,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회전축이 제3 회전축(40)과 동심으로 되도록, 제3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판(52)은, 제3 회전축(40)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피니언(53)은,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53)은, 그 회전축이 제3 회전축(40)과 동심으로 되도록, 제3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다. 즉, 피니언(53)은, 제3 회전축(40)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피니언(53)과 회전 구동 기구(3)의 제2 평기어(36)는, 맞물려 있다.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의 상면에는, 클로우(54)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에 걸림 가능한 상태에, 고정축(56)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로우(54)는, 레버부(54a)와 클릭부(54b)를 가지고, 레버부(54a)를 수동으로 전환 조작함으로써, 클릭부(54b)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의 톱니에 맞물리거나(걸리거나), 톱니로부터 이격된다.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의 회전 방향은, 클로우(54)가 걸린 상태에 있어서,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제한되며,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또한, 하우징(20)의 중간 베이스 시트부(27)의 상면에는, 래칫 클릭(55)이, 탄성 부재(스프링 부재)(58)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고정축(57)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클릭(55)은, 탄성 부재(스프링 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의 한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톱니에 걸리고 있다. 래칫 클릭(55)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회전 구동 기구(3) 및 브레이크 기구(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 회전 구동 기구(3)의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브레이크판(52)과의 상호 사이에서의 상면 및 하면 접촉 마찰력은, 느슨하며, 서로 독립하고 있다(프리의 상태임).
다음으로, 전동 회전기(7)에 의해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이 구동 회전되면, 제1 회전축(3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기어(32)를 통하여, 회전력이 브레이크 기구(4)의 제3 평기어(46)에 전달되어 제3 평기어(46)는 회전한다.
제3 평기어(46)는,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40a)의 수나사부(40c)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3 평기어(46)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40a)에 있어서, 브레이크판(52) 측을 향해 하강한다.
이렇게 하여, 제3 평기어(46)로 브레이크판(52)과의 간격은 줄어든다.
브레이크 기구(4)의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은, 제3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즉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 회전축(40)이 회전해도,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은, 즉시 제3 회전축(40)과 함께 회전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제1 회전축(30) 및 제1 평기어(3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제3 평기어(46)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제3 회전축(40)의 상측 단부(40a)에 있어서, 하강한다. 이에 수반하여, 제3 평기어(46)에 가압된 디스크(47)와 브레이크판(52)은 접근하고, 그리고,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브레이크판(52)과의 상호 사이에서의 상면 및 하면 접촉 마찰력은, 서서히 강해진다.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브레이크판(52)과의 상호 사이에서의 면 접촉 마찰력이 강해지면, 제3 평기어(46)의 회전력은,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에 서서히 전달된다. 즉,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브레이크판(52)은, 회전하게 된다.
제3 평기어(46)의 회전에 수반하여, 브레이크판(52)이 회전하면, 제3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53)은, 회전한다. 그리고, 피니언(53)의 회전력은, 피니언(53)에 걸려 있는 회전 구동 기구(3)의 제2 평기어(36)에 전달된다. 제2 평기어(36)는, 제2 회전축(3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회전력은 제2 회전축(34)에 전달된다.
제2 회전축(34)이 회전하면, 제2 회전축(34)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시브(38)의 기어(38b)는, 회전하고, 그리고, 제1 체인(6)은, 기어(38b)에 맞물려 로드시브(36)의 포켓(38a)의 둘레를 주회하여, 제1 장착부(5)가 장선기 본체부(2) 측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 때, 클로우(54) 및 래칫 클릭(55)이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에 걸리고, 정방향(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작용함으로써,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에는, 클로우(54)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로부터 분리하여, 전동 회전기(7)를 역회전시켜 느슨하게 한다.
래칫 클릭(55)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에 걸어서, 정방향(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작용한다.
이 때, 디스크(47)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49)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와 제2 브레이크 라이닝(51)과 브레이크판(52)이, 마찰력에 의해 면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1 체인(6)은,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즉시 인출되지는 않는다. 즉, 이 마찰력이 제1 체인(6)의 이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의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동 회전기(7)는, 브레이크 기구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회전 구동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즉시 브레이크가 걸려 회전 구동이 정지한다.
따라서, 전술한 브레이크 기구(4)와 전동 회전기(7)의 브레이크 기구의 2중 구조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제1 체인(6)이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속도는, 제어되고 있다.
(제1 장착부의 구성)
제1 장착부(5)는, 제1 와이어 그리퍼(900)(후술함)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부(5)는, 훅부(500)와 기부(基部)(520)를 가지고 있다. 훅부(500)는, 훅부(500)의 폭(훅부(500)의 밑동부(500a)와 선단부(500b)의 사이)에, 훅부(500)의 정면 출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 부재(502)를 배치하고 있다.
개폐 부재(502)는, 그 밑동부(502a)가, 훅부(500)의 밑동부(500a)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축(504)에 장착되어 있고, 고정축(504)을 지지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개폐 부재(502)는, 그 선단부(502b)가, 훅부(500)의 선단부(500b)에 압접(壓接)하도록,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훅부(500)에 장착된 제1 와이어 그리퍼(900)는, 잘 빠지지 않게 된다.
기부(520)는, 움직 도르래(526)가 내장되어 있는 움직 도르래 수용부(522)와, 훅부(500)를 회전축(Q)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선단부(524)를 가지고 있다. 움직 도르래(526)는, 움직 도르래 수용부(52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축(5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움직 도르래(526)에는, 견인부인 제1 체인(6)이 걸려 있다.
훅부(500)에는, 사전에 지상에 있어서, 최적인 제1 와이어 그리퍼가 선택되어 장착된다.
(견인부의 구성)
견인부인 제1 체인(6)은, 장선기 본체부(2)와 제1 장착부(5)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부인 제1 체인(6)은, 고정측 단부(6a)가, 장선기 본체부(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인트 볼트(74)에 고정되고, 제1 장착부(5)의 움직 도르래(526)에 권취되어 절곡되고, 권취측 단부(6b)가, 장선기 본체부(2)에 내장되어 있는 회전 구동 기구(3)의 로드시브(38)에 주회(周回)되어 있다.
제2 회전축(34)에 장착된 로드시브(38)의 기어(38b)가 정회전하면,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의 측은, 로드시브(38)에 권취된다.
(제2 장착부의 구성)
제2 장착부(8)는, 장선 장치(1)를 전주(C)에 장착하기 위한 시테 와이어(830)(후술함)를 파지(把持)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부(8)는, 장선기 본체부(2)의 고정 부재(70)의 제2 수직부(70d)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장착부(8)는, 장선기 본체부(2)를 사이에 두고, 제1 장착부(5)나 제3 장착부(12)(후술함)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장착부(8)는, 제1 장착부(5)와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있어서, 장선기 본체부(2)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장착부(8)는, 훅부(800)와 기부(820)를 가지고 있다. 훅부(800)는, 장선기 본체부(2)의 폭 방향, 즉 가로 방향을 향해 기부(820)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훅부(800)는, 훅부(800)의 정면 출입구(훅부(800)의 밑동부(800a)와 선단부(800b)의 사이)에, 훅부(800)의 정면 출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 부재(802)를 배치하고 있다.
개폐 부재(802)는, 그 밑동부(802a)가, 훅부(800)의 밑동부(800a)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축(804)에 장착되어 있고, 고정축(804)을 지지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개폐 부재(802)는, 그 선단부(802b)가, 훅부(800)의 선단부(800b)에 압접하도록,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훅부(800)에 장착된 시테 와이어(830)는, 잘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기부(820)는, 고정 부재(70)의 제2 수직부(70d)를 관통하여, 제1 수평부(70a)와 제2 수평부(7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820)는, 훅부(800)를, 회전축 R(도 6에 도시)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훅부(800)에는, 사전에 지상에 있어서, 최적인 시테 와이어(830)가 선택되고, 직접 또는 훅 등을 통하여 장착된다.
(제3 장착부의 구성)
제3 장착부(12)는,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를, 예를 들면, 볼트 장착 시트부(228)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장착부(12)는, 볼트 장착 시트부(228)의 장착공(230)에 삽입 가능한 조인트 볼트(124)와, 이 조인트 볼트(124)를 정면 출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U자형 부재(122)와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의 선단은, 제3 장착부(12)의 U자형 부재(12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체인(6)의 고정측 단부(6a)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선기 본체부(2)의 고정 부재(70)의 제1 수직부(70c)에 배치된 조인트 볼트(74)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체인(6)은, 제1 장착부(5)에 권취되어, 권취측 단부(6b)가 체인 입출구(238)로부터 장선기 본체부(2)의 로드시프(38)에 들어가고, 로드시프(38)의 포켓(38a)을 주회한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는, 제3 장착부(12)의 U자형 부재(122)에 고정된다.
(구동원의 구성)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는, 회전 구동 기구(3)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전동 모터를 가지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회전기(7)는, 전동 드릴의 회전기이며,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가, 회전 구동 기구(3)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한다.
전동 회전기(7)는, 대략, 전동 회전기 본체(700)와, 전동 회전기 본체(700)에 내장되어 있는 전동 모터 및 브레이크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전동 회전기 본체(700)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전동 회전기 본체(70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척(720)과, 전동 회전기 본체(700)의 중앙부에 설치된 핸들(740)과, 핸들(740)의 하부에 설치된 수신기 장착부(760)와, 수신기 장착부(760)에 설치되어 있는 장착 고정 금구(780)를 가지고 있다.
척(720)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고, 봉형물을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 회전기(7)는, 시판되고 있는 주지의 것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 회전기(7)를 장선기 본체부(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선기 본체부(2)의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상면(220)에 고정되어 있는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으로부터, 전동 회전기 본체(700)의 척(720)은, 삽입된다.
척(720)이,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에 내장된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의 상측 단부(30a)를 둘러싸는 위치에 세팅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 부재(274)의 핸들(276)은, 정회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고, 그리고,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체결된다. 이로써,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직경은, 작아지고, 그리고, 전동 회전기 본체(700)의 척(720) 측의 선단 부분은,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232, 239)을 통하여, 척(720)이 체결된다. 이로써, 척(720)은, 제1 회전축(30)의 상측 단부(30a)를 척킹하고(잡고), 전동 회전기(7)의 구동과 함께, 제1 회전축(30)이 회전 구동하게 된다.
전동 회전기(7)를 장선기 본체부(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232, 239)을 통하여, 척(720)은, 느슨하게 된다. 이로써, 척(720)은, 제1 회전축(30)의 상측 단부(30a)로부터 언척킹된다.
다음으로, 체결 부재(274)의 핸들(276)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는, 느슨하게 된다. 이로써,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직경은, 커지고, 그리고, 전동 회전기 본체(700)는,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 회전기(7)는, 장선기 본체부(2)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전동 회전기(7)는, 송신기(9)(후술함)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후술함)에, 전동 모터의 ON/OFF 제어 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되면, 수신기(10)로부터의 ON/OFF 제어 신호를 수신기 장착부(760)를 통하여 수취하고, 전동 모터의 ON/OFF 제어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전동 회전기(7)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수동으로 「정회전」측으로 전환되고, 또한 장선기 본체부(2)에 설치되어 있는 클로우(54)의 레버부(54a)가, 수동으로 전환 조작된다. 이에 따라, 클로우(54)의 클릭부(54b)는,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에 맞물리도록 걸린다(도 10 및 도 12 참조).
그 후, 송신기(9)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N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의 ON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정회전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이 정회전 구동한다. 이로써, 견인부인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 측이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되어, 제1 장착부(5)가 장선기 본체부(2) 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제1 체인(6)이, 원하는 길이만큼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되면 송신기(9)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FF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 OFF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정지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전축(30)의 회전이 정지한다.
한편, 제1 체인(6)을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인출하여 느슨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전동 회전기 본체(700)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역회전」측으로 전환되고, 또한 장선기 본체부(2)에 설치되어 있는 클로우(54)의 레버부(54a)가, 수동으로 전환 조작되어, 클로우(54)의 클릭부(54b)가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송신기(9)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N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의 ON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역회전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이 역회전 구동한다. 이로써, 견인부인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 측은,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제1 체인(6)이, 원하는 길이만큼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면 송신기(9)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FF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 OFF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정지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장선 장치(1)의 장력은, 이하의 계산식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63 N.m(전동 회전기(7)의 토크)×2/1(기어 비) = 126 N.m
126 N.m×23 T/7 T(장선기 본체부(2)의 감속비) = 414 N.m
414 N.m×2/1(움직 도르래) = 828 N.m = 8280 kg.cm
8280 kg.cm×1/2.575(로드시프(38)의 반경) = 3010 kg
구동원으로서 전동 회전기(7)를 전동 회전기로 하면, 구동원과 전동 회전기가 겸용되고 있는 구성으로 되고, 전동 회전기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가선 등의 장설 작업에 적합하다.
(송신기의 구성)
송신기(9)는,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9)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컨트롤 박스(90)와, 컨트롤 박스(90)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 부품 탑재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컨트롤 박스(9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ON 스위치(92) 및 OFF 스위치(93)와, 컨트롤 박스(90)의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96)를 가지고 있다.
ON 스위치(92)가 눌러지면,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적외선)는,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96)로부터, 수신기(10)를 향해 송신된다. 한편, OFF 스위치(93)가 눌러지면,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적외선)는,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96)로부터, 수신기(10)를 향해 송신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선 장치(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의 ON/OFF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송신기(9)는,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의 ON/OFF 제어만을 행하는 것이지만, 나아가서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등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신기의 구성)
수신기(10)는, 송신기(9)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10)는, 전동 회전기(7)의 수신기 장착부(76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4는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외관 사시도이며, (B)는 저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 부품 탑재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3개의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a, 108b, 108c)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00)는, 장선기 본체부(2) 및 전동 회전기(7) 측의 제1 측면부(101)와, 배터리(11) 측의 제2 측면부(102)와, 배면부(103)와, 평면부(104)와, 정면부(105)와, 저면부(106)를 가지고 있다. 제1 측면부(101)는, 전동 회전기(7)의 수신기 장착부(760)에 면 접촉하고, 제1 측면부(101)에 설치된 한 쌍의 출력 단자(107a, 107b)를 통하여, 수신기(10)와 전동 회전기(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측면부(102)는, 배터리(11)에 면 접촉하고, 제2 측면부(102)에 설치된 웅형(雄型)의 한쌍의 입력 단자(109a, 109b)를 통하여, 수신기(10)와 배터리(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면부(103)에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a)가 배치되고, 평면부(104)에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b)가 배치되고, 정면부(105)에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c)가 배치되어 있다.
평면부(104)는, 장선 장치(1)를 사용하여 전주 사이 등에 가선을 장설할 때는, 하향으로 되므로,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b)와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가지고 있는 송신기(9)의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96)가 서로 마주 보는 면이 된다.
장선 장치(1)를 사용하여 전주(C) 사이 등에 가선을 장설할 때는, 장선기 본체부(2) 및 전동 회전기(7)가 회전하여, 수신기(10)의 상하는, 바뀌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배면부(103) 및 정면부(105)는,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가지고 있는 송신기(9)의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96)로 서로 마주 보는 면이 되는 경우가 있을 때,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의 ON/OFF를 행할 수 있도록,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a) 및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108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수신기(10)는,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의 ON/OFF 제어만을 행하는 것이지만, 나아가서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등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배터리의 구성)
배터리(11)는, 전동 회전기(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1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상면(110)은, 수신기(10)의 제2 측면부(102)에 면 접촉하고 있다. 배터리(11)의 상면(110)에는, 자형(雌型)의 한쌍의 출력 단자(112a, 112b)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출력 단자(112a, 112b)로서, 자형을 채용하였으므로, 불필요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쌍의 자형 출력 단자(112a, 112b)에는, 각각, 수신기(10)의 한 쌍의 웅형 입력 단자(109a, 109b)가 삽입되어, 수신기(10)와 배터리(11)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배터리(11)는, 시판되는 주지의 것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선 장치의 사용 수순)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선 장치(1)를 사용하여, 가선 등의 자유단측을 전주 측으로 끌어당겨, 전주 사이 등에 가선을 장설하는 수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장선 장치(1)의 사용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장선 장치(1)의 사용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1)에서, 장선 장치(1)의 제1 장착부(5)의 훅부(500)에는, 제1 와이어 그리퍼(900)가, 제1 와이어 그리퍼(900)에 설치된 장착공(902)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제2 장착부(8)의 훅부(800)에는, 시테 와이어(830)의 장선기측 장착 단부(830b)가, 훅(832)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다음으로, 단계(S2)에서, 시테 와이어(830), 제1 와이어 그리퍼(900) 및 제2 와이어 그리퍼(920)를 장착한 장선 장치(1)가, 작업자에 의해, 전주(C)의 고소(高所)의 작업 위치까지 휴대된다. 그 후, 시테 와이어(830)의 전주측 장착 단부(830a)가, 전주(C)에 권취된 후, 체결 부재(834)에 의해 체결되어, 장선 장치(1)가 전주(C)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단계(S3)에서, 작업자에 의해, 전동 회전기 본체(700)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전환 스위치가 「역회전」측으로 전환되고, 또한 장선기 본체부(2)에 설치되어 있는 클로우(54)의 레버부(54a)가 전환 조작되어, 클로우(54)의 클릭부(54b)는,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작업자에 의해, 송신기(9)가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N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의 ON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역회전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이 역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견인부인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 측은,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제1 체인(6)이, 원하는 길이만큼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면, 송신기(9)가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FF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 OFF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정지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의 역회전이 정지한다.
제1 체인(6)이 인출된 상태에서, 가선(960)의 자유단(960a) 측이, 장선 장치(1)에 장착된 제1 와이어 그리퍼(900)에 의해 그리핑된다.
다음으로, 단계(S4)에서, 작업자에 의해, 전동 회전기 본체(700)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모터의 정/역회전 전환 스위치가 「정회전」측으로 전환되고, 또한 장선기 본체부(2)에 설치되어 있는 클로우(54)의 레버부(54a)가 전환 조작되어, 클로우(54)의 클릭부(54b)는,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50)에 맞물리도록 걸린다.
그 후, 작업자에 의해, 송신기(9)가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N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의 ON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정회전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이 정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견인부인 제1 체인(6)의 권취측 단부(6b) 측이,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되어, 제1 장착부(5)는, 장선기 본체부(2) 측으로 끌려간다. 이 결과, 가선(960)의 자유단(960a) 측이, 장선 장치(1)와 함께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면서, 전주(C) 측으로 끌어 당겨져서 유지된다.
이 때, 작업자는, 장선 장치(1)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송신기(9)를 조작함으로써, 제1 체인(6)의 권취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가선(960)과 제1 와이어 그리퍼(900)와의 그리핑이 해제되어도, 제1 와이어 그리퍼(900)가 작업자에게 날아와 다치거나, 가선(960)에 접촉되어 감전시킬 우려는, 없어진다.
제1 체인(6)이, 원하는 길이만큼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되면, 송신기(9)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송신기(9)로부터 수신기(10)에, 전동 모터의 OFF 신호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동 회전기(7)는, 수신기(10)로부터 OFF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전동 모터가 정지하여,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의 정회전이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S5)에서, 가선(960)이 충분하게 장설(張設)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가선(960)의 장설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S6)에서, 전주(C) 위의 작업자는, 가선(960)과 전주(C)를 접속한다.
한편, 단계(S5)에서, 가선(960)의 장설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전주(C) 측으로 끌어 당겨져서 유지된 가선(960)의 자유단(960a) 측이, 제3 장착부(12)에 장착된 제2 와이어 그리퍼(920)에 의해 그리핑된다.
다음으로, 제1 와이어 그리퍼(900)로부터 가선(960)이 분리되고, 상기 단계(S3)가 실행된다.
다음으로, 가선(960)의 자유단(960a) 측이, 제1 와이어 그리퍼(900)에 의해 그리핑된 후, 제2 와이어 그리퍼(920)로부터 가선(960)이 분리되고, 상기 단계(S4)가 실행된다.
그리고, 다시, 단계(S5)에서, 가선(960)이 충분히 장설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일, 다시, 가선(960)의 장설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S3)와 단계(S4)가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그리고, 배터리(11)의 축전이 없어진 경우에는, 전동 회전기(7) 대신, 도 17에 나타내는 래칫 핸들(140)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회전 구동 기구(3)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한다. 도 17의 (A)는 래칫 핸들(140)의 정면도이며, (B)는 평면도이다.
래칫 핸들(140)은, 래칫 본체부(142)와, 래칫 본체부(142)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된 소켓부(124)와, 래칫 본체부(142)에 대하여 수평으로 장착된 핸들부(148)를 가지고 있다.
소켓부(144)는, 래칫 본체부(142)에 파지되는 기부(基部)(144a)와, 기부(144a)에 수설된 박스 렌치부(144b)를 가지고 있다. 박스 렌치부(144b)는 통형의 육각 기둥이며, 그 길이(L)는, 장선기 본체부(2)의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22)의 상면(222)에 배치되어 있는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의 위치로부터 회전 구동 기구(3)의 제1 회전축(30)의 상측 단부(30a)까지의 거리보다 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박스 렌치부(144b)의 횡단면의 내주면(145)의 형상은, 제1 회전축(30)의 육각 기둥 형상의 상측 단부(30a)가 끼워지도록, 육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래칫 핸들(140)은,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26)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268)으로부터 삽입되고, 박스 렌치부(144b)의 선단부에, 제1 회전축(30)의 상측 단부(30a)가 끼워넣어지면, 핸들부(148)가 작업자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 조작된다. 이로써, 박스 렌치부(144b)가 회전 구동하고, 또한 제1 회전축(30)이 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선 장치(1)는, 견인부가 와이어와 같은 띠형체가 아닌, 체인이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제1 체인(6)을 90°로 절곡하거나 180°로 절곡할 수 있어, 견인부의 취급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가선 등의 신속한 장설 작업에 적합하다.
또한, 회전 구동 기구(3)가, 주로,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7)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회전 구동 기구(3)의 회전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견인부인 제1 체인(6)을 장선기 본체부(2)의 내부에 권취하여 제1 장착부(5)를 장선기 본체부(2) 측으로 끌어들이는 동작이 빨라진다. 이 결과, 가선 등의 장설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장선 장치(1)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송신기(9)를 조작함으로써, 제1 체인(6)의 권취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가선(960)과 제1 와이어 그리퍼(900)와의 그리핑이 해제되어도, 제1 와이어 그리퍼(900)가 작업자에게 날아와 다치거나 가선(960)에 접촉되어 감전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이 결과, 가선 등의 장설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선 장치(1)는, 종래의 윈치 등과 비교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된다.
1: 장선 장치
2: 장선기 본체부
3: 회전 구동 기구
4: 브레이크 기구
5: 제1 장착부
6: 견인부(제1 체인)
6a: 고정측 단부
6b: 권취측 단부
7: 구동원(전동 회전기)
8: 제2 장착부
9: 송신기
10: 수신기
11: 배터리
12 제3 장착부
20: 하우징
22: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
24: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
26: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
27: 중간 베이스 시트부
28: 바닥부
30: 제1 회전축
30a: 상측 단부
30b: 하측 단부
32: 제1 평기어
32a, 36a, 45a, 47a, 49a, 50b, 51a: 심부
34: 제2 회전축
34a: 상측 단부
34b: 하측 단부
36: 제2 평기어
38: 로드시브
38a: 포켓
38b: 기어
40: 제3 회전축
40a: 상측 단부
40b: 하측 단부
40c: 수나사부
40d 관통공
41a, 41b: 육각혈이 형성된 볼트
42a, 42b: 스프링 와셔
43: 손잡이
44: 갈래 핀
44a: 다리
45: 체크 와셔
46: 제3 평기어
46a: 암나사 공심부
47: 디스크
49: 제1 브레이크 라이닝
50: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50a: 톱니부
51: 제2 브레이크 라이닝
52: 브레이크판
53: 피니언
54: 클로우
54a: 레버부
54b: 클루우부
55: 래칫 클로우
70: 고정 부재
70a: 제1 수평부
70b: 제2 수평부
70c: 제1 수직부
70d: 제2 수직부
74: 조인트 볼트
90: 컨트롤 박스
92: ON 스위치
93: OFF 스위치
96: 송신용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100:수신기 본체
101: 제1 측면부
102: 제2 측면부
103: 배면부
104: 평면부
105: 정면부
106: 저면부
107a, 107b: 출력 단자
108a, 108b, 108c: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
109a, 109b: 입력 단자
110: 상면
112a, 112b: 출력 단자
122: U자형 부재
124: 조인트 볼트
128: 제2 체인
128a: 고정측 단부
128b: 와이어 그리퍼 장착측 단부
140: 래칫 핸들
142: 래칫 본체부
144: 소켓부
144a: 기부
144b: 박스 렌치부
148: 핸들부
220: 상면
222: 바닥면
224: 정면
225: 제1 측면
226: 배면
227: 제2 측면
230: 장착공
232, 239: 전동 회전기 조작용 창
236, 238: 체인 입출구
240: 상면
242: 바닥면
244: 정면
245: 측면
246: 배면
248: 제2 돌출부
250: 클로우 조작용 창
260: 천정부
262: 정면부
262a: 제1 정면부
262b: 제2 정면부
263: 제1 측면부
264: 배면부
265: 제2 측면부
268: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
270: 슬릿
272a, 272b, 272c: 고정용 볼트
274: 체결 부재
274a: 체결측 단부
274b: 고정측 단부
276: 핸들
278: 릴리프 홈
278a: 제1 릴리프홈
278b: 제2 릴리프홈
280a, 280b: 걸림 가장자리
310: 제1 회전축용 지지 부재
312: 상판
314: 하판
500: 훅부
500a: 밑동부
500b: 선단부
502: 개폐 부재
502a: 밑동부
502b: 선단부
504: 고정축
520: 기부
522: 움직 도르래 수용부
526: 움직 도르래
528: 고정축
700: 전동 회전기 본체
720: 척
722: 걸림 돌기부
740: 핸들
760: 수신기 장착부
760: 장착 금속 부재
800: 훅부
800a: 밑동부
800b: 선단부
802: 개폐 부재
802a: 밑동부
802b: 선단부
804: 고정축
820: 기부
830: 시테 와이어
830a: 전주측 장착 단부
900: 제1 와이어 그리퍼
902: 장착공
920: 제2 와이어 그리퍼
922: 장착공
960: 가선
960a: 자유단
C: 전주

Claims (7)

  1. 장선기(張線器) 본체부;
    제1 장착부;
    상기 장선기 본체부와 상기 제1 장착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부;
    상기 장선기 본체부에 내장된, 상기 견인부를 상기 장선기 본체부의 내부에 권취하여 상기 제1 장착부를 상기 장선기 본체부 측으로 끌어들이도록 동작하는 회전 구동 기구(機構);
    상기 회전 구동 기구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를 가지고, 스위치로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원;
    상기 장선기 본체부의 회전 구동 기구의 근방에 내장된, 상기 회전 구동 기구 및 상기 견인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구; 및
    상기 장선기 본체부에 설치된 제2 장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는 길이를 가지는 체인 또는 띠형체이며,
    상기 회전 구동 기구는, 상기 구동원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브레이크 기구를 통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조이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에 걸리고, 상기 견인부가 느슨해질 때 상기 견인부가 상기 장선기 본체부의 내부로부터 즉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견인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로서 동작하는 구조인,
    장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전동 모터를 무선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구동원에 장착된 수신기
    를 구비하고 있는, 장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기구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된 제1 평기어와,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된 제2 평기어 및 제2 평기어에 연결된 로드시브(load sheave)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 나사 장착된 제3 평기어와, 브레이크판 및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1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제3 평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2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피니언이 맞물려 있는, 장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 및 상기 브레이크 기구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 구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통형의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통형의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와, 전동 회전기를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에 고정하기 위한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를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 수용부는, 옆 방향으로 나란히 접하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인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는, 상기 회전 구동 기구 수용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는, 제1 회전축의 상방(上方)에 상기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이 형성되고,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은, 전동 회전기의 척(chuck) 측을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회전축 방향이 제1 체인이 회전하는 가로 방향과 직교 내지는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전동 회전기 고정용 부재의 전동 회전기 삽입용 구멍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측 단부(上側端部)는, 제1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킬 때, 구동원인 전동 회전기의 척에 의해 척킹(chucking)되도록 형성된, 장선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기구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된 제1 평기어와,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된 제2 평기어 및 상기 제2 평기어에 연결된 로드시브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 나사 장착된 제3 평기어와, 브레이크판 및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1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제3 평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회전 구동 기구의 제2 평기어와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피니언이 맞물리고, 제3 평기어의 회전에 수반하여, 디스크, 제1 브레이크 라이닝, 래칫(ratchet)형 브레이크 기어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이 면 접촉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판을 회전시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장선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 나사 장착된 제3 평기어와, 브레이크판 및 피니언과, 상기 제3 회전축에 삽통(揷通)된 디스크와, 제1 브레이크 라이닝과,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및 제2 브레이크 라이닝과, 상기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에 걸림 가능한 클로우(claw)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디스크와, 상기 제1 브레이크 라이닝과, 상기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 및 상기 제2 브레이크 라이닝과의 면 접촉 마찰력 및 상기 래칫형 브레이크 기어에 걸린 클로우에 의해, 상기 제3 회전축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장선 장치.
KR1020157002526A 2013-10-23 2013-10-23 장선 장치 KR101676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8718 WO2015059788A1 (ja) 2013-10-23 2013-10-23 張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53A KR20150063353A (ko) 2015-06-09
KR101676801B1 true KR101676801B1 (ko) 2016-11-16

Family

ID=5299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526A KR101676801B1 (ko) 2013-10-23 2013-10-23 장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676801B1 (ko)
CN (1) CN105684247A (ko)
AU (1) AU2013403576A1 (ko)
WO (1) WO2015059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55B1 (ko) * 2015-06-24 2022-04-21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477B2 (ja) 1990-04-12 1998-09-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張線装置
JP2012016246A (ja) 2010-07-05 2012-01-19 Nagaki Seiki Co Ltd 張線器
JP2013255398A (ja) 2012-06-08 2013-12-19 Nagaki Seiki Co Ltd 張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2718U (ja) * 1983-02-04 1984-08-18 内藤工業株式会社 張線器
JPH02103710U (ko) * 1989-01-30 1990-08-17
JPH02303306A (ja) * 1989-05-18 1990-12-17 Sanwa Tekki Corp 緊線ワイヤ吊上装置
JPH11103513A (ja) 1997-09-29 1999-04-13 Elvec 張線装置
JP2002223518A (ja) * 2001-01-26 2002-08-0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配電線引留クランプ
JP2004304969A (ja) * 2003-04-01 2004-10-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把持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477B2 (ja) 1990-04-12 1998-09-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張線装置
JP2012016246A (ja) 2010-07-05 2012-01-19 Nagaki Seiki Co Ltd 張線器
JP2013255398A (ja) 2012-06-08 2013-12-19 Nagaki Seiki Co Ltd 張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403576A1 (en) 2016-06-09
CN105684247A (zh) 2016-06-15
WO2015059788A1 (ja) 2015-04-30
KR20150063353A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2869B2 (ja) 張線装置
US11853037B2 (en) Electric hoisting machine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70194290A1 (en) Device to enable rope pulling functionality using a rotational power source
US6178992B1 (en) Hose reel
EP3095748B1 (en) Winch with a safety mechanism for switching off winding of a rope
US9156665B2 (en) Pulling tool
US9463965B2 (en) Pulling tool
KR101372457B1 (ko) 와이어 로프 릴 스탠드
US5611386A (en) Electric window blind
KR101676801B1 (ko) 장선 장치
CN109761110B (zh) 一种绕线装置
JP2019202828A (ja) 電線牽引装置、および、電線架設方法
KR200491439Y1 (ko) 무한 양정(揚程) 윈치 호이스트
KR102389655B1 (ko) 장선 장치의 제어 장치
DK201600217A1 (en) Self-contained hoist device and hoist system
JP5990157B2 (ja) 張線装置の制御装置
KR101085952B1 (ko) 캡스턴 호이스트
KR102576857B1 (ko) 유무선 모터 구동형 전선 권취장치
CN203895857U (zh) 紧线装置
JP2011173712A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の突起物に対する保護線の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
JP6871144B2 (ja) 電動巻き上げ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移動体
WO2007103035A2 (en) Device to enable rope pulling functionality using a rotational power source
ES2362986T3 (es) Un dispositivo de elevación.
JPH0645003Y2 (ja) 安全ネット用自動開閉装置
RU2237007C2 (ru) Лебедка руч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