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714A -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 Google Patents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714A
KR20220006714A KR1020200084446A KR20200084446A KR20220006714A KR 20220006714 A KR20220006714 A KR 20220006714A KR 1020200084446 A KR1020200084446 A KR 1020200084446A KR 20200084446 A KR20200084446 A KR 20200084446A KR 20220006714 A KR20220006714 A KR 20220006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adjustment
replacement
winding drum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8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714A/ko
Publication of KR2022000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대한 가선 및 교체 작업을 주상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구간내의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이 바이패스선을 통해 무정전상 태에서 단일의 가선장치를 통해 기계적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한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선(B)을 통한 무정전 상태하에서 전주상의 기설전선(L1)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110); 로프(R)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감김 구 동되어 기설전선들을 수거하는 제1권취드럼(120); 및 교체전선(L2)이 감겨져 있으며 각 기설전선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교체전선이 해당 기설전선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풀림 구동되 는 제2권취드럼(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Coupling structure for corrugate pipe}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대한 가선 및 교체 작업을 주상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구간내의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이 바이패스선을 통해 무정 전상태에서 단일의 가선장치를 통해 기계적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한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한 배전방법으로는 선로작업 구간 내의 각 전주마다 작업자들이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지상작업자가 교체전선을 주상작업자가 갖고 있는 로프에 묶어주면 주상작업 자가 이 로프를 끌어올린 후에 완금에 설치된 애자에 고정하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들이 전주단위로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한 작업을 전주에 설치된 배전선로들 마다 반복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상의 교체전선을 주상으로 일일이 끌어올리고 전주와 전 주사이에 설치된 교체전선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큰 힘으로 당겨주어야 등 모든 작업을 대부분 인력에 의 존해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인력이 요구됨은 물론 작업성 및 안전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정전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진다.
무정전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공사구간지면에 바이패스선을 포설하고 임시송전하면서 공사구간은 사선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바이패스선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바이패스선을 이용한 방법은 종래에 비하여 무정전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있으나, 케이블차량과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량, 활선바켓트럭 및 기타 활 선작업용 장비들을 모두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대되고, 지면에 포설된 바이패스선이 보행자나 차량 에 의해 빈번하게 손상되면서 바이패스선의 품질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므로 최근 방법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일의 가선장치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교체전선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 장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의하면,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되어 기설전선을 감아주는 제1권취드럼과 기설전선의 타단에 연결되어 교체전선을 풀어주는 제2권취드럼을 단일의 기선장치에 모두 구비시킴으로써, 단일의 가선장치만을 가지고도 배전선로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인력 및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장치에 권취드럼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조정밸브를 설치할 경우, 작업구간의 길이나 교체전선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는 장력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권취드럼의 정지시 부여된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 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 교체전선이 아래로 처지거나 유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체전선에 부여된 장력 때문 에 제1권취드럼이 역회전 되는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와 권취드럼과의 접촉면에 치차가 형성될 경우, 작업중 부여된 장력에 의해 권취드럼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패스선을 통한 무정전 상태하에서 전주상의 기설전선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 로프 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 서 감김 구동되어 기설전선들을 수거하는 제1권취드럼; 및 교체전선이 감겨져 있으며 각 기설전선들에 대응되도 록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교체전선이 해당 기설전선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풀림 구 동되는 제2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 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조정용 가선장치(100)는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110)와, 로프(R)가 감겨진 제1권취드럼(120)과, 교체전선(L2)이 감겨진 복수의 제2권취드럼(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바닥에는 구동롤러(140)가 설치된다. 이 구동롤러(140)는 엔진(E)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50)를 구비하며, 각각의 권취드럼(120,130)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권취드럼들(120,130)을 독립 적으로 정역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장치(15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유압펌프(151)와, 상기 유압펌프(151)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동력을 기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유압모터(152)와, 상기 유압펌프(151)와 유압모터(152)와의 연결유로 상에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153)와, 상기 유압모터(152)에 설치된 감속기(154)와, 상기 유 압펌프(151)와 유압모터(152)와의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장력조정밸브(155)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장력조정밸브(155)는 베이스부(110) 일측에는 돌출된 회전노브(156)의 조작을 통해 작업자가 외부에서 전선의 장력을 매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권취드럼(120)은 복수의 제2권취드럼들(130)과 함께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구동되어야 하므로 큰 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1권취드럼(120)의 구동롤러에는 복수의 유압모터(152)가 구비된 구동장치(150)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장력조정밸브(155)가 유압유로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상기 회전노브(156)가 조작되면 전선에는 장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며, 상기 장력조정밸브(155)가 유압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회전노브(156)가 조작되면 유압모 터(152)의 출력이 떨어지면서 구동롤러(140)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권취드럼에 브레이크 가 걸리면서 전선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장력조정밸브(155)를 통해 작업구간의 길이나 교체전선(L2)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는 장력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한편, 상기 구동롤러(140)와 권취드럼(120)과의 접촉면에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치차(121,1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차(121,141)는 권취드럼(120)이 정지한 상태에서 미세하게 정역 회동되거나 외부에 큰 힘이 인가되어 권취드럼(120)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롤러(14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치차(121,141)가 구동롤러(140)중 일측의 롤러부와 이 일측의 롤러부와 접촉되는 권취드럼(140)의 일측부에만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제1권취드럼(120)은 상기 베이스부(110)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권취드럼(120)에는 로프(R)가 감겨져 있으며, 이 로프(R)는 기설전선(L1)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권취드럼(120)은 로프(R)가 기설전선(L1)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로프(R)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설전선(L1)들을 수거한다.
이때, 상기 로프(R)는 각 기설전선(L1)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권취드럼(120)에는 각각의 로프(R)들을 단독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판(1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획판 (122)은 회수되는 기설전선(L1)들이 제1권취드럼(120)에 감기는 과정에서 엉키지 않도록 한다.
제2권취드럼(130)은 각 기설전선(L1)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10) 상부에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제2권취드럼(130)에는 교체전선(L2)이 감겨져 있으며 이 교체전선(L2)은 해당 기설전선(L1)의 일측단에 연결된다. 상 기 교체전선(L2)은 기설전선(L1)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권취드럼의 풀림구동을 통해 인출된다. 제2권 취드럼의 풀림구동에 의해 인출된 교체전선(L2)은 제1권취드럼(120)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면서 전주상에 설치된 다.
한편, 베이스부(110)에는 구동롤러(140) 위에 올려진 권취드럼(120,130)들의 직경에 따라 상하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포트유닛(160)이 구비된다. 이 서포트유닛(16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110)상에 입설된 가이드포스트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권취드럼들(120,130)의 회전축을 클램 핑 및 회전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 리프트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교체전선(L2)이나 로프(R) 또는 기설전선(L1)이 권취될 때 꼬임을 방지하고 고르게 권취되도록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이 설치된다.
이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은 베이스부(110)의 일측단에 입설된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와, 상기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에 축설 배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172)와, 이송스크류(172)와 각기 평행하게 이송스크류 서포트(17 1)에 횡설된 이송가이드축(173)과, 이송스크류(172)에 각기 결합되어 이송가이드축(17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 선이 해당 권취드럼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이송롤러(174)로 구성된다.
이중, 상기 이송롤러(174)는 제1이송롤러(174a)와 제2이송롤러(174b)로 나뉘어져 설치되는데, 상기 제1이송롤러(174a)는 로프(R)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되어 구획판(122)에 의해 구획된 폭만큼 좌우로 이동하도 록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174b)는 제2권취드럼(130)들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제2권취드럼(130)의 폭만큼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 서포트(171)에는 이송롤러(174)의 전환이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7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172)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별도의 구동장치(150)를 통해 정역회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72)는 리미트스위치(175)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송스크류(172)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도 록 상기 구동장치(150)에 구비된 컨트롤밸브(154)를 통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작업구간 중 최종전주(C) 또는 작업구간 외 전주중 상기 최종전주(C)와 인접한 전주(미도시)의 일측에는 안내롤러(18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내롤러(180)는 로프(R) 및 기설전선(L1)들에 대응되도록 독 립적으로 동작되는 롤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R) 및 기설전선(L1)들은 상기 안내롤러(180)들을 통해 안정 적인 상태로 제1권취드럼(120)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력조정용 가선장치(100)를 이용하면 단일의 가선장치(100)만으로도 일정구간 내의 배전선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작업구간내의 전주중 최초전주 전방에 본 발명의 가선장치(100)가 배치되면, 작업구간 내의 전주에 설치된 바이패스선(B)을 설치하고 점퍼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패스선(B) 양단 작업구간 외측의 전선들과 일대일로 접속시켜 작업구간을 무정전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기설전선(L1)과 작업구간 외측 전주의 전선들을 기접속시키고 있던 점퍼선(미도시)을 분리시켜 기설전선(L1)과 작업구간 외측의 전선들과의 접속을 해제시켜 기설전선(L1)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기설전선(L1)의 접속이 해제되면 접속 해제된 기설전선(L1)의 양단에 각각 교체전선(L2)과 로프(R)를 연결시킨다.
한편,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교체전선(L2)들을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의 이송롤러(174)를 경유하도록 한 다음 해당 기설전선(L1)의 단부에 연결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제1권취드럼(120)을 감김 구동시키고 제2권취드럼(130)을 풀림 구동시킨다. 이때, 컨트롤밸브(154)를 이용하여 제1권취드럼(120)의 감김속도를 상대적으로 조금 빠르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두 권취드럼 (120,130)간에 적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제1권취드럼(120)의 감기는 힘에 의해 제2권취드럼(130)에 감겨진 교체 전선(L2)이 풀어지고 제1권취드럼(120)이 감기면서 기설전선(L1)과의 교체가 한꺼번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꼬임방지유닛(170)이 설치된 경우에는 로프(R) 및 기설전선(L1)들이 엉킴이나 꼬임없이 해당 권취드럼(120)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1권취드럼(120)에 구획판(122)이 설치된 경우에는 기설전선(L1)들을 각 각 분리시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기설전선(L1)이 있던 자리에 교체전선(L2)이 위치되면, 베이스부(110) 외부에 설치된 회전노브(156)를 조작하여 두 권취드럼(120,130)의 장력조정밸브(155)를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서, 교체전선(L2)에 적정한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두 권취드럼(120,130)은 정지된다.
이때, 권취드럼(120,130)들은 장력조정밸브(155)를 통해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이므로 전선의 무게나 관성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제1권취드럼(120)이 역회전되면서 교체전선(L2)에 처짐 및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롤러(140)와 제1권취드럼(120)과의 접촉면에 치차(121,141)가 형성된 경우에는, 제1권취드럼(120)이 정지되어도 상기 치차(121,141)에 의해서 유동이 방지되어 교체전선(L2)에 부여된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권취드럼(120)이 복수의 제2권취드럼(130)으로부터 장력을 부여받는 과정에서 과도한 장력으로 인한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권취드럼들(120,130)의 구동이 완전히 중지되면, 점퍼선을 이용하여 교체전선(L2)과 작업구간 외측 전주의 전선들을 접속시켜 교체전선(L2)에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교체전선(L2)으로부터 기설전선(L1) 을 분리시켜 기설전선(L1)을 완전히 철거한 다음 점퍼선을 바이패스선(B)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바이패스선 (B)을 정전상태로 만든 후에 바이패스선(B)을 철거 회수하면 모든 배선작업은 완료된다.

Claims (4)

  1. 바이패스선을 통한 무정전 상태하에서 전주상의 기설전선들에 대한 가선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프레임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
    로프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기설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상 태에서 감김 구동되어 기설전선들을 수거하는 제1권취드럼; 및
    교체전선이 감겨져 있으며 각 기설전선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교체전선이 해당 기설전선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풀림 구동되는 제2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 력조정용 가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드럼들은 외부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연결된 구동롤러들을 통해 정역회전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권취드럼과의 접촉면에는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권취드럼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동력을 기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모터와의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와,
    상기 유압모터에 설치되어 구동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유압모터로 유입되는 유압유의 압력을 조절하여 권취드럼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조정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밸브는 베이스부 일측에는 돌출된 회전노브의 조작을 통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정 용 가선장치.
KR1020200084446A 2020-07-09 2020-07-09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KR20220006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446A KR20220006714A (ko) 2020-07-09 2020-07-09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446A KR20220006714A (ko) 2020-07-09 2020-07-09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14A true KR20220006714A (ko) 2022-01-18

Family

ID=8005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446A KR20220006714A (ko) 2020-07-09 2020-07-09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283B1 (ko) 장력조정용 가선장치
EP3694064A1 (en) Cable recovery machine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DE102006038468A1 (de) Kabelwinde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027732B1 (ko) 드럼 케이블의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
US5029816A (en) Low friction pulling of fiber optic cable in conduit
CN115051283A (zh) 一种电力电网线路维修工具
KR20220006714A (ko) 기밀성과 밀착력을 강화시킨 공사용 파형관
CA2709556C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machines for laying cables
KR20220006711A (ko) 전력 배선공사용 차량의 배선 작업장치
KR100344522B1 (ko) 공중배선 가선장치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101314637B1 (ko) 긴선 작업을 위한 휴대용 윈치
KR101758700B1 (ko) 전로 설치형 전선포설장치
KR101756055B1 (ko) 다용도 케이블 텐션 유지 및 포설장치
EP1282210B1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machines for laying cables, such as for example conductors, optical fibres, ropes or suchlike, and cable laying machine adopting said device
KR101076306B1 (ko) 전선드럼용 긴장기
CN210129697U (zh) 井道电缆牵引装置及电缆牵引安装结构
CN117068980B (zh) 一种绞磨收线装置及收线控制方法
JP7433731B2 (ja) 架空線自走機
CN220182628U (zh) 一种扩容防缠绕牵引设备
KR102220514B1 (ko)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JPH11122743A (ja) ケーブル布設工法
KR20210132795A (ko) 장거리 배전 케이블 포설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