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711B1 -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 Google Patents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711B1
KR100981711B1 KR1020100028211A KR20100028211A KR100981711B1 KR 100981711 B1 KR100981711 B1 KR 100981711B1 KR 1020100028211 A KR1020100028211 A KR 1020100028211A KR 20100028211 A KR20100028211 A KR 20100028211A KR 100981711 B1 KR100981711 B1 KR 10098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able
phase distribution
pulling
induction bracke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선
김동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filed Critical 대덕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복수개의 배전케이블을 한꺼번에 끌어당길 수 있도록 고정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배전 케이블의 풀링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주고, 배전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뿔 형상을 가지며 중심으로 와이어를 관통시키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3개의 배전케이블을 수용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 상기 머리부내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회전구; 및 상기 회전구와 3개의 배전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3상 배전 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GUIDE HARNESS FOR 3-PHASE CABLE PULLING}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배전케이블을 한꺼번에 끌어당길 수 있도록 고정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배전 케이블의 풀링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주고, 배전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설비는 가공설비에 비해 전력의 안정공급 및 공급신뢰도 향상, 도시환경미화 등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여, 매년 지중배전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중전력구는 지하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수직구로 연결되어 있다. 지중전력구의 내부에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배전케이블을 수직구를 통해 진입시켜 지중전력구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풀링(PULLING) 작업이라고 한다.
배전케이블은 지중전력구에 설치되기도 하고, 지중에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관로상에 설치되기도 하는 이러한 경우에도 배전케이블을 관로의 안으로 끌어 이동시키는 풀링 작업이 필요한다.
종래에는 3상 배전케이블을 풀링할 경우 1개의 케이블씩 풀링 작업을 수행하고 있어서, 3상 배전케이블을 풀링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작업을 3회에 걸쳐서 반복수행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3상 배전케이블을 일정한 자세로 고정하고 풀링할 수 있도록 해주는 3상 배전케이블 유도금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배전 케이블을 동시에 풀링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도 금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케이블의 풀링 공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유도 금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관로 공사에서 풀링 그립으로 3상 배전케이블을 모아서 풀링하고 있었던 것을 대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유도 금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뿔 형상을 가지는 몸체;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회전구; 및 몸체의 후방에 구비되는 3 개의 후방 회전구;를 포함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에,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메라는 수용홈에 내장되어 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몸체의 이동방향 및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G센서를 구비하여 유도금구의 진행방향과 진행속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카메라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유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 회전구는 밑면의 길이가 측면의 길이보다 긴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밑변과 평행한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 회전구는 3개가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뿔 형상을 가지며 중심으로 와이어를 관통시키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3개의 배전케이블을 수용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 상기 머리부내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회전구; 및 상기 회전구와 3개의 배전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3상 배전 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를 제공한다.
상기 머리부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구의 전방을 지지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3개의 배전케이블이 각각 관통할 수 있는 3개의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2개의 가이드홀은 몸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가이드홀은 2개의 가이드홀 사이에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3개의 가이드홀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하나의 윈치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구 풀링 작업 또는 관로 풀링 작업에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는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풀링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는 진행 방향과 진행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케이블 풀링 속도와 방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는 3상 배전케이블이 일정한 자세로 롤러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어 3상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수직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수직단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100)는 원뿔 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 회전구(120)와, 몸체(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3개의 후방 회전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100)는 전력구 내부 또는 지중에 설치된 관로 내부로 케이블을 인입시키는 풀링 작업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금구(100)는 3상 배전케이블을 한꺼번에 풀링 할 수 있도록 3개의 후방 회전구(130)를 구비하고, 3개의 케이블이 일정한 자세로 안정적으로 전력구에 설치된 롤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또는 관로의 내부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원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 케이블은 자체의 중량이 상당하고 길이가 수백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풀링 작업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할 경우 그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시간과 인력이 투여되어야 한다. 따라서 3상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풀링하는 경우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고 일정한 자세로 케이블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배전 케이블은 전력구에 설치된 행거에 설치될 때 아래 2개의 케이블이 배열되고, 그 위에 1개의 케이블이 배열되는 3각형 형태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금구(100)는 풀링시에 3개의 케이블을 3각형 또는 일직선(-)상태로 유도함으로써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해준다.
전방 회전구(120)는 몸체(110)의 전방에 형성되어, 윈치(winch) 등의 견인 수단과 유도선을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유도선이 꼬이지 않도록 하여 유도선의 꼬임에 의하여 유도금구(100)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유도선으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로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후방 회전구(130)는 3상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3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케이블을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배전케이블의 선단에는 전방에 고리 형상을 가지는 클립아이가 구비되는데, 고리의 각도는 권취된 배전케이블마다 상이하다. 후방 회전구(130)가 없다면 클립아이의 고리와 유도금구에 고정된 고리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배전케이블을 비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후방 회전구(130)를 구비하여 배전케이블에 연결된 클립아이 고리가 어떠한 각도로 형성되더라도 배전케이블을 비틀지 않고 유도 금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회전구(130)는 배전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배전케이블에 비틀림힘이 부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도 가져온다. 만일 배전케이블에 비틀림힘이 부여된다면 이로 인하여 배전케이블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전방 회전구(120)와 후방 회전구(130)가 단일 회전구로 구성되어 있으나, 전방 회전구(120) 및 후방 회전구(130)는 회전구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1개의 회전구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2개의 회전구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작업도중 회전구의 고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작업중단이나 작업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후방 회전구(130)의 배열 모양에 따라 3상 배전케이블이 그 모양대로 배열되어 견인되는 것이다. 후방 회전구(130)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거나 일직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금구(100)는 전방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50)는 유도금구(100) 전방의 상황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 또는 감독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카메라(1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카메라장착홈(114)에 형성되어 카메라(150)가 외부 구조물과 직접 충돌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금구(100)는 유도금구(100)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G센서(gravity and geometry sensor)(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센서(160)는 유도금구(100)의 진행속도와 진행방향을 감지한다.
G센서(160)에서 감지된 속도 및 방향에 관한 정보는 카메라(150)의 영상정보와 함께 작업자 또는 감독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G센서(160)에서 감지된 속도는 유도선에 연결된 견인수단(예를 들면 윈치)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견인수단이 끌어 당기는 속도와 G센서(160)에서 감지된 속도가 소정범위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면 케이블이나 유도선에 무리한 장력이 걸리는 것이므로, 속도의 차이를 참조하여 견인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견인수단의 견인속도와 유도금구의 속도가 상이하다는 것은 배전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지고 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이러한 경우 배전케이블이나 내부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인수단이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배면도이다.
배면에는 3개의 후방 회전구(130)가 구비되는데, 그 배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밑변(c)의 길이가 양 측변(a,b)의 길이보다 긴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된 3상 배전케이블은 통상 3각형상의 고정구에 의하여 전력구 내부의 행거에 고정되는데, 견인시부터 3각형 또는 일직선(-)상으로 케이블 꼬임을 방지하게되면 고정구로 옮기고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밑변(c)의 길이가 긴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배치하는 것은 유도금구(100)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유도금구(100)의 배면쪽 하부에는 절단된 형태의 평면부(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부(112)가 롤러의 표면과 접촉하며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유도금구(110)가 항상 일정한 자세로 롤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평면부(112)는 후방 회전구(130)가 형성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에 평면부(112)를 구비하고, 평면부(112)가 하층의 배전케이블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롤러의 위를 통과하는 배전케이블은 아래에 2층이 롤러와 접촉하는 3각형 형상을 유지하며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배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3상 배전케이블을 '-'자 형태로 배치하고, 평면부(112)를 배전케이블들과 평행하게 형성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의 중심부에는 전방 회전구(120)가 구비되며, 전방 회전구(120)의 일측에 카메라(150)가 배치된다. 카메라(150)는 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카메라장착홈(114)의 안쪽에 배치되어 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50)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법으로 작업자 또는 감독자의 모니터링 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 설비는 작업자 또는 감독자의 핸드폰일 수 있으며, 별도의 모니터 장치일 수도 있다.
유선통신으로 연결하는 경우 지상의 드럼에 권취된 배전케이블을 연결할 때 카메라의 연결선을 지상의 작업자 또는 감독자의 장비와 연결한 후 배전케이블 풀링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경우 전력구 내부에 무선통신 서버를 설치하고, 전력구 내부에 복수의 무선 중계기를 배치하여야 한다. 전력구는 지하 수십m 깊이에 설치되는데, 이 경우 지상과의 무선통신이 이루질 수 없으므로, 무선통신 서버를 지상과 유선으로 연결한 후 전력구 내부에서는 무선 중계기를 통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측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후방 회전구(130)가 몸체(110)의 안쪽으로 요입된 홈부(11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방 회전구(130)를 몸체(110)의 안쪽에 형성하게 되면, 후방 회전구(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배전케이블의 일부가 몸체(110)의 안쪽에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롤러를 통과할 때 몸체(110)가 통과한 이후 케이블이 직접 롤러에 접촉하게 되므로 더욱 원활한 풀링 작업이 가능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200)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뿔 형상을 가지며 중심으로 와이어(W)를 관통시키는 머리부(210)와, 상기 머리부(21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3개의 배전케이블을 수용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220)와, 상기 머리부(210)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되는 회전구(215)와, 상기 회전구(215)와 몸체부(220)에 수용되는 3개의 배전케이블(C)을 연결하는 연결선(217)을 포함한다.
제4실시예의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200)는 머리부(210)와 몸체부(220)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회전구(215)와 배전케이블(C)의 전단부를 유도금구(200)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이동시 롤러와의 충격을 최소화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0)의 전방에 머리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기부(222)를 형성하여, 머리부(210)와 몸체부(220)가 중첩되는 구간을 형성하고, 이 구간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10)는 내부에 상기 회전구(215)의 전방을 지지하는 격벽(212)을 구비하여, 회전구(215)가 머리부(210)의 앞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회전구(215)와 배전케이블(C)을 연결선(217)으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후방 회전구가 필요치 않다.
몸체부(220)는 상기 3개의 배전케이블(C)이 각각 관통할 수 있는 3개의 가이드홀(221a, 221b, 221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전케이블(C)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홀(221a, 221b, 221c) 통해 유도금구(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전케이블(C)의 고정을 견고히 하고, 이송시의 충돌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가이드홀(221b)의 전단에는 단턱부(223)가 구비된다. 가이드홀(221b)은 배전케이블(C)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단턱부(223)의 내경은 배전케이블(C) 전단에 부착된 고리(C2)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배전케이블의 전단(C)은 클립아이라는 고정구(C1)가 압착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구(C1)에는 선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C2)가 형성되어 있는데, 고리(C2)의 크기는 배전케이블(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홀(221a, 221b, 221c)의 전단에 상기 고리(C2)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단턱부(223)를 형성하면 배전케이블(C)의 전면이 상기 단턱부(223)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회전구(215)의 견인력이 연결선(217)을 통해 배전케이블(C)로 전달되고, 배전케이블(C)이 끌어 당겨지면서 몸체부(220)를 전면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연결선(217)의 길이를 조정하여 회전구(215)가 격벽(212)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회전구(215)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몸체부(220)가 전면으로 이동하며 그에 연결된 머리부(210)가 함께 전면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몸체부(220)와 머리부(210)가 연결된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은 미약하게 된다.
가이드홀(221a, 221b, 221c)의 배치에 따라 이송되는 3개의 케이블의 자세가 결정된다. 3개의 가이드홀(221a, 221b, 221c)은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홀(221a, 221c)은 몸체부(22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가이드홀(221b)은 2개의 가이드홀(221a, 221c) 사이에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도금구(200)의 폭과 높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3개의 배전케이블을 일렬로 안내할 경우 높이는 낮아지지만 폭이 넓어지게 되므로, 높이와 폭을 모두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2개의 케이블을 양측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높이를 달리하여 1개의 케이블이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유도금구(200)의 폭과 높이에 따라 유도 금구가 통과하게 되는 롤러의 폭과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유도금구(200)의 폭과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롤러는 협소한 전력구 내부의 행거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높이가 높으면 행거에 설치가 곤란하며, 폭이 넓으면 그만큼 롤러의 크기가 커져 롤러의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폭과 높이를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수직단면도이다.
머리부(210) 내부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도시한 같이 회전구(215)를 머리부(210)의 외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는 회전구(215)를 머리부(210)의 전방에 배치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와 제 5 실시예(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4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의 머리부에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여, 진행 방향을 실시간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감시카메라는 상기 머리부에 마련되는 수용홈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G센서를 구비하여 유도금구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유도금구
110 : 몸체
112 : 평면부
120 : 전방 회전구
130 : 후방 회전구
150 : 카메라
160 : G센서
200 : 유도금구
210 : 머리부
212 : 격벽
215 : 회전구
220 : 몸체부
221a, 221b, 221c : 가이드홀

Claims (20)

  1. 원뿔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회전구;
    상기 몸체의 후방에 구비되는 3 개의 후방 회전구;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 및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G센서;를 포함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수용홈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유선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후방 회전구는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후방 회전구는 상기 2개의 후방 회전구 사이에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회전구는 3개가 일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회전구는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1.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뿔 형상을 가지며 중심으로 와이어를 관통시키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3개의 배전케이블을 수용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회전구;
    상기 회전구와 상기 3개의 배전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 및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G센서;를 포함하는 3상 배전 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상기 머리부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에 상기 회전구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 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3개의 배전케이블이 각각 관통할 수 있는 3개의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 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이드홀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가이드홀은 상기 2개의 가이드홀 사이에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가이드홀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머리부에 마련되는 수용홈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028211A 2010-03-29 2010-03-29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KR10098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11A KR100981711B1 (ko) 2010-03-29 2010-03-29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11A KR100981711B1 (ko) 2010-03-29 2010-03-29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711B1 true KR100981711B1 (ko) 2010-09-10

Family

ID=4301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211A KR100981711B1 (ko) 2010-03-29 2010-03-29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65B1 (ko) 2011-09-01 2012-04-12 주식회사 디엔텍 지하관로의 케이블 포설 방법
KR101228524B1 (ko) 2012-06-26 2013-02-26 대덕전력 주식회사 윤활제 분무기능을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분무 유도금구
KR20210017740A (ko) * 2019-08-09 2021-02-17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KR20220112588A (ko) 2021-02-04 2022-08-11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115A (ja) * 2000-12-20 2002-07-05 Yazaki Corp プーリングアイ
KR100362205B1 (ko) * 2000-03-14 2002-11-23 주식회사 머큐리 포설용 케이블
KR100601590B1 (ko) 2006-04-13 2006-07-19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케이블 풀링아이
KR100838256B1 (ko) * 2006-09-25 2008-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윈치 케이블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205B1 (ko) * 2000-03-14 2002-11-23 주식회사 머큐리 포설용 케이블
JP2002191115A (ja) * 2000-12-20 2002-07-05 Yazaki Corp プーリングアイ
KR100601590B1 (ko) 2006-04-13 2006-07-19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케이블 풀링아이
KR100838256B1 (ko) * 2006-09-25 2008-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윈치 케이블 이송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65B1 (ko) 2011-09-01 2012-04-12 주식회사 디엔텍 지하관로의 케이블 포설 방법
KR101228524B1 (ko) 2012-06-26 2013-02-26 대덕전력 주식회사 윤활제 분무기능을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분무 유도금구
KR20210017740A (ko) * 2019-08-09 2021-02-17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KR102316604B1 (ko) * 2019-08-09 2021-10-25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KR20220112588A (ko) 2021-02-04 2022-08-11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KR102511373B1 (ko) * 2021-02-04 2023-03-17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711B1 (ko)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KR101076946B1 (ko) 케이블 포설 장비
CN105870841B (zh) 一种电缆自动牵引装置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CN105896398A (zh) 一种大截面电缆敷设方法
KR102616986B1 (ko)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102616987B1 (ko)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N107389123A (zh) 一种系留气球缆绳导向测力装置
JP2013212027A (ja) ケーブルの架線工法、撤去工法及びこれらの工法に使用する架線装置
WO2013134196A3 (en) Seismic cable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11189999B2 (en) Feed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KR101759988B1 (ko)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배전용 일체형 긴선 장치
CN210926884U (zh) 一种大直径电缆敷设装置
KR101486212B1 (ko)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CN109019383B (zh) 一种全海深延长下放设备及其方法
CN105417271B (zh) 输电线路铁塔桩放线装置及其施工方法
CN115144713B (zh) 一种输电线路电缆绝缘性能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5143168B2 (ja) ケーブル弛み防止装置およびケーブル弛み防止架線工法
CN103730866A (zh) 一种电缆敷设装置
CN201191731Y (zh) 电动绞磨
CN202534991U (zh) 电缆敷设万向平衡板
KR101446587B1 (ko) 선박용 케이블 권상기
KR101026840B1 (ko)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2025155B1 (ko) 견인 어셈블리를 구비한 케이블 견인장치
CN218465180U (zh) 一种漆包线放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