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75B1 - 케이블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송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75B1
KR102622475B1 KR1020230064759A KR20230064759A KR102622475B1 KR 102622475 B1 KR102622475 B1 KR 102622475B1 KR 1020230064759 A KR1020230064759 A KR 1020230064759A KR 20230064759 A KR20230064759 A KR 20230064759A KR 102622475 B1 KR102622475 B1 KR 10262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cable
output shaft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티
Priority to KR102023006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0Devices controlling the forwarding speed to synchronise with supply, treatment, or take-up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6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dc dynamo-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케이블 송출 장치가 개시된다. 케이블 송출 장치는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홀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모터;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과 중첩되는 제2홀을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제1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출력축과, 상기 제1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출력기어 및,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블을 송출하기 위한 제1송출부재를 포함하는 제1송출부; 상기 제2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장착되는 제2출력기어 및,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을 송출하기 위한 제2송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송출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2송출부; 및 상기 구동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송출 장치{CABLE SEND-OUT DEVICE}
아래의 설명은 케이블 송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의 전송, 배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케이블의 시공은 지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 철탑 또는 지중에 배치된 공동구를 사용한다. 한편, 전력 케이블이 폭이 넓은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가로질러 시공되는 경우에는, 전력 케이블은 수상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교량에 포설된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을 교량 등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전력 케이블이 권취된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전력 케이블을 인출하여 교량에 설치된 포설 위치까지 인출하게 되며, 인출된 전력 케이블을 올리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교량까지의 높이로 가설되는 포설 비계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전력 케이블을 전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캐터빌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캐터필러는 케이블의 외면을 지지하며 케이블을 일 방향으로 송출하도록 작동하는데, 종래의 캐터필러는 중량이 무거워 설치 작업이 어렵고, 협소한 공간내에 배치되기가 어려워 작업 안정성과 작업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고려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목표 지점으로 송출하기 위한 케이블 송출 장치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3472호는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송출할 수 있는 케이블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따라 송출부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에 대해 호환성,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반대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수직한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홀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면에 장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모터;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과 중첩되는 제2홀을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제1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출력축과, 상기 제1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출력기어 및,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블을 송출하기 위한 제1송출부재를 포함하는 제1송출부; 상기 제2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장착되는 제2출력기어 및,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을 송출하기 위한 제2송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송출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2송출부; 및 상기 구동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나란한 축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1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홀에 중첩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을 회전시키는 연결기어; 상기 연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에 연결되는 제1입력기어; 및 상기 연결축에 이동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출력기어에 연결되는 제2입력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과 중첩되는 상기 연결축의 외면 부위에는 상기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어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축에 대한 상기 제2입력기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송출 장치는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송출 장치는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대한 연결 위치가 조절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대한 사익 연결 부재의 연결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롯 상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및 이동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홀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송출 장치는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보조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송출 장치는 상기 제1출력축 또는 제2출력축의 회전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측정부 및 상기 토크 측정부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송출 장치는 상기 구동모터 및 연결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 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 기어부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지지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는 복수의 감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속 기어 중 상기 지지 샤프트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감속 기어가 상기 구동 기어 및 연결 기어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한 쌍의 송출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케이블의 송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연결축이 한 쌍의 송출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짐으로써, 한 쌍의 송출부재의 회전 상태를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는 한 쌍의 송출부재 사이의 간격 변화 및 케이블의 송출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측면, 특징 및 이점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에서 송출 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동력전달부 및 제2송출부를 도시하는 도 3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동력전달부 및 제1송출부를 도시하는 도 3의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이동부재 및 연결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에서 송출 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동력전달부 및 제2송출부를 도시하는 도 3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동력전달부 및 제1송출부를 도시하는 도 3의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의 이동부재 및 연결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1)는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송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송출 장치(1)는 케이블 드럼(미도시)에 권취된 케이블을 일 방향(예: 도 1의 +Y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 송출 장치(1)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10)와, 구동 모터(110)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송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은 도 1과 같이, 한 쌍의 송출부재 사이에 끼워져 외면이 송출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송출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일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 송출 장치(1)는 지지 플레이트(100), 구동 모터(110), 이동부재(150), 제1송출부(130), 제2송출부(140), 동력 전달부(120), 및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0)는 제1면(1001)과, 제1면(1001)에 반대되는 제2면(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에는 구동 모터(110)가 배치되고, 제2면(1002)에는 한 쌍의 송출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이 - Z를 향하고, 제2면(1002)이 + Z를 향하도록, 케이블 송출 장치(1)가 배치된 상태를 중심으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면(1001)에 수직한 '높이 방향'은 Z축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0)에는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홀(101) 및 가이드 슬롯(1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101) 및 가이드 슬롯(102)은 지지 플레이트(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슬롯(102)은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에서, 길이 방향(D1)(예: X축에 평행한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홀(101) 및 가이드 슬롯(102)은 지지 플레이트(100)의 서로 다른 부위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에서, 제1홀(101)은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D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홀(101)에는 후술하는 제1출력축(13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 모터(110)는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는 동력, 예컨대,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11)과, 구동축(111)에 장착된 구동기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축(111)은 제1면(1001)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구동축(111)의 축 방향(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50)는 지지 플레이트(1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50)는 가이드 슬롯(102)에 장착되고,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50)는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위치 조절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가이드부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50)는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에 위치하는 제1부분(152)과 제1부분으로부터 가이드 슬롯(102)을 관통하여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2면(1002)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150)의 제1부분(152) 및 제2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개별 부분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슬롯(102)은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홀(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151)은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에서 가이드 슬롯(102)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홀(151)에는 후술하는 제2출력축(14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는 구동 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케이블을 일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송출부(140)는 이동부재(150)에 연결되고,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이동부재(150)에 위치에 따라 제1송출부(130)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송출부(130)는 제1출력축(131), 제1출력기어(132) 및 제1송출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출력축(131)은 제1홀(10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출력축(131)의 축 방향(A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출력축(131)은 적어도 일부가 제1홀(101)에 배치되고, 축 방향(A1)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2면(100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출력축(131)의 축 방향(A2)은 제1면(1001)에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출력기어(132)는 제1출력축(13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력기어(132)는 제1홀(101)에 위치하도록 제1출력축(131)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출력기어(132)는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20)의 제1입력기어(123)와 맞물려 연결되고 구동 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출력축(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송출부재(133)는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2면(100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송출부재(133)는 제1출력축(131)에 연결되고, 제1출력축(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1송출부재(133)는 외면이 케이블이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통해 케이블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송출부재(133)는 케이블에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송출부(140)는 제2출력축(141), 제2출력기어(142) 및 제2송출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송출부(140)는 이동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출력축(141)은 이동부재(150)의 제2홀(1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출력축(141)의 축 방향(A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출력축(141)은 이동부재(150)의 제2홀(151) 및 지지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슬롯(102)을 관통하여 축 방향(A2)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2면(100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출력축(131)의 축 방향(A1) 및 제2출력축(141)의 축 방향(A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슬롯(102)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출력축(141)이 제1출력축(13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150)의 이동에 따라, 제1출력축(131) 및 제2출력축(14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출력기어(142)는 제2출력축(14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출력기어(142)는 이동부재(150)의 제2홀(151)에 위치하도록 제2출력축(141)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출력기어(142)는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20)의 제2입력기어(124)와 맞물려 연결되고 구동 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출력축(14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출력기어(142)는 제1출력기어(13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출력기어(142)는 제1출력기어(132)와 동일한 기어비를 가질 수 있다. 제1출력기어(132) 및 제2출력기어(142)는 동력 전달부(120)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제1출력축(131) 및 제2출력축(141)을 각각의 축 방향(A1, A2)을 중심으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송출부재(143)는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2면(100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송출부재(143)는 제2출력축(141)에 연결되고, 제2출력축(1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송출부재(143)는 외면이 케이블이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통해 케이블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송출부재(143)는 케이블에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는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을 양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케이블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 전달부(120)는 구동 모터(110)의 동력을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20)는 구동 모터(110)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111)의 회전에 따라 제1출력축(131) 및 제2출력축(141)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 전달부(120)는 연결축(121), 연결기어(122), 제1입력기어(123), 제2입력기어(124) 및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축(121)은 제1면(1001)에 배치되고 연결축(121)의 축 방향(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축(121)은 제1면(1001)에 배치된 회전 지지부(125)에 베어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축(121)의 축 방향은 제1면(1001)에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축(121)의 축 방향은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에서, 연결축(121)은 가이드 슬롯(102)을 길이 방향(D1)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슬롯(102)의 외측에 위치한 연결축(121)의 단부(예: 도 3의 -X 방향을 향하는 연결축(121)의 단부)는 제1홀(101)에 중첩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에서, 연결축(121)의 적어도 일부는 제2홀(151)에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홀(151)이 형성된 이동부재(150)가 가이드 슬롯(102) 상에서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에서 연결축(121)은 항상 제2홀(151)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면(1001)을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가이드 슬롯(102)과 중첩되는 연결축(121)의 외면에는 연결축(121)의 축 방향(X2)을 따라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1211)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 홈(1211)은 축 방향(X2)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축(121)은 외면에 가이드 홈을 갖는 구조를 가지므로, 구동 모터(110)로부터의 동력을 제1출력축과 제2출력축에 동일한 출력으로 두 축이 서로 연동되도록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기어(122)는 연결축(121)에 장착되고, 구동 모터(110)의 구동기어(112)와 동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기어(122)는 구동기어(112)와 직접적으로 맞물리거나, 도 7과 같이 감속 기어부(290)에 의해 간접적으로 맞물려 구동 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결축(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0)에는 표면을 관통하는 연결 슬롯이 형성되고, 연결기어(122)는 연결 슬롯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슬롯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연결기어(122)는 설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 및 기어비를 가지는 연결기어(122)가 연결축(121)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입력기어(123)는 제1홀(101)에 인접한 연결축(121) 부위에 장착되고, 제1출력기어(132)와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입력기어(123) 및 제1출력기어(132)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입력기어(123) 및 제1출력기어(132)에 의해 연결축(121)의 회전에 따른 동력이 제1출력축(131)의 회전으로 수직하게 변경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입력기어(124)는 연결축(121)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2송출부(140)의 제2출력기어(142)와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입력기어(124) 및 제2출력기어(142)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입력기어(124) 및 제2출력기어(142)에 의해 연결축(121)의 회전에 따른 동력이 제2출력축(141)의 회전으로 수직하게 변경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입력기어(124)는 제1입력기어(123)와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되, 연결축(121)에 대해 제1입력기어(123)와 대칭되는 형태를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축(121)이 회전하는 경우, 제1입력기어(123) 및 제2입력기어(124)는 동일한 출력으로 제1출력축(131) 및 제2출력축(141)에 회전력을 전달하되, 제1출력축(131) 및 제2출력축(141)을 각각의 축 방향(A1, A2)을 따라 서로 반대 회전 방향(R1, R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입력기어(124)는 연결축(121)의 축 방향(X2)을 따라 가이드 슬롯(102)에 중첩된 연결축(121) 부위에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입력기어(124)는 연결축(121)의 외면에 축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연결축(121)에 대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슬롯(102)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에 따라, 제2홀(151)에 배치된 제2출력기어(142)의 위치가 변화하므로, 연결축(121)에 대한 제2입력기어(124)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2입력기어(124) 및 제2출력기어(142)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70)는 연결축(121)에 대한 제2입력기어(124)의 연결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70)는 이동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슬롯(102)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에 따라 고정부재(170)가 함께 이동하면서 연결축(121)에 대한 제2입력기어(124)의 장착 위치를 대응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 전달부(120)는 구동 모터(110)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을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에 동시에 전달하므로,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의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입력기어(123) 및 제2입력기어(124)는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고, 제1출력기어(132) 및 제2출력기어(142)는 동일한 기어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모터(110)가 동력 전달부(120)에 전달하는 회전 토크의 변화에 관계없이, 제1출력축(131) 및 제2출력축(141)에 일정한 회전 토크가 전달되므로,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를 통한 케이블의 송출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 송출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모터(110) 및 동력 전달부(120)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회전 방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방지부(126)는 지지 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연결축(12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방지부(126)는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에 배치되고, 동작에 따라 연결기어(122)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연결축(12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긴급 상황 또는 케이블 송출 장치(1)의 수리/보수 과정에서, 구동 모터(110)가 작동하더라도 회전 방지부(126)를 통해 연결축(121)의 회전을 제한해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가 회전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는 지지 플레이트(100)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 조절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는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한 쌍의 지지부재(161a, 161b), 가이드 부재 및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부재(161a, 161b)는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00)의 제1면(100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부재(161a, 161b)에는 연결축(121)이 베어링 연결되어, 연결축(121)의 연결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써, 한 쌍의 지지부재(161a, 161b)는 연결축(121)의 회전 동작에 간섭하지 않도록 연결축(121)과 중첩되는 부위가 개방되거나, 연결축(121)이 위치하는 부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부재(161a, 161b) 사이에는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162a, 162b)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162a, 162b)에는 이동부재(1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162a, 162b)는 도 3과 같이 이동부재(150)를 양 측에서 지지하는 제1가이드 부재(162a) 및 제2가이드 부재(162b)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가이드 부재(162a)만 배치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50)는 가이드 부재(162a, 162b)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 부재(162a, 16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가이드 슬롯(102)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고정부는 가이드 부재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고정부는 위치 조절부재(163) 및, 연결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조절부재(163)는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지지부재(161a, 161b)에 연결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재(163)는 조작에 의해 위치 조절부재(163))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재(163)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조절부재(163)는 조작에 따라, 지지부재(161a, 161b)에 대한 연결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64)는 위치 조절부재(16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64)는 위치 조절부재(16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위치 조절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부재에 대한 연결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64)는 이동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조절부재(163)에 대한 연결부재(164)의 연결 위치에 따라,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D1)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절부재(16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예: 도 3에서X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연결부재(164)는 위치 조절부재(163)의 길이 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64)에 의해 가이드 부재(162a, 162b)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위치 조절부재(16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예: 도 3에서 X축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연결부재(164)는 위치 조절부재(163)의 길이 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64)에 의해 가이드 부재(162a, 163b)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조절부재(163)의 조작에 따라, 이동부재(150)가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이동하므로, 이동부재(150)에 장착된 제2송출부(140)가 제1송출부(13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가 지지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조절부재(163)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나, 조작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절부재(163)에는 위치 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보조 모터(예: 도 7의 보조 모터(26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64)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64)에 대해 길이 방향(예: 도 3의 X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64)에는 가이드 슬롯(102)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연결바(166)가 배치되고, 이동부재(150)는 연결바(16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164)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64) 및 이동부재(150) 사이에는 탄성부재(167)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이동부재(150)를 제1홀(101)을 향하는 방향(예: 도 3의 -X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재(15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64)에 대해 제1홀(101) 방향으로 밀려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재(150)에 제1홀(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 도 3의 +X축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동부재(150)는 탄성부재(167)를 압축시키며 연결부재(164)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가 케이블을 양측에서 지지하여 송출하는 과정에서, 지지된 케이블의 단면이 커지는 경우(예: 케이블을 연결한 연결부위로 인해 송출부재들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 단면이 증가하는 경우), 이동부재(150)가 연결부재(164)에 의해 부분적으로 움직이며 제2송출부재(143)를 제1송출부재(133)로부터 일부 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단면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 사이의 간격이 일부 증가하면서 안정적인 케이블의 지지력 확보가 가능하다. 반면, 증가한 케이블의 단면이 다시 감소하게 되면, 이동부재(150)는 탄성부재(167)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부재(164)에 의해 부분적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 사이의 간격이 다시 가까워질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164)에 대한 이동부재(150)의 부분적인 위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송출되는 케이블의 단면 사이즈가 부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한 안정적인 케이블의 지지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 송출 장치(1)는 토크 측정부(미도시)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토크 측정부는 제1출력축(131) 또는 제2출력축(141)의 회전 토크를 접촉 또는 비 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토크 측정부는 출력축의 회전 토크 변화에 기초하여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가 케이블을 지지하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110) 또는 보조 모터(예: 도 7의 보조모터(26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110)가 일정한 출력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토크 측정부를 통해 검출된 출력축(131, 141)의 회전 토크가 증가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가 충분한 정도의 힘으로 케이블을 가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토크 측정부를 통해 검출된 출력축(131, 141)의 회전 토크가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가 과도한 정도의 힘으로 케이블을 가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보조모터(예: 도 7의 보조 모터(2630))의 작동을 제어하여 위치 조절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송출부(130) 및 제2송출부(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80)는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가 설정된 범위의 외력만큼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모터(2630)의 제어를 통해 이동부재(150)의 위치 조절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구동 모터(110)의 작동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케이블의 인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110)의 작동 출력을 제어하여 제1송출부재(133) 및 제2송출부재(143)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기재와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실시 예의 구성은 도 7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 송출 장치(2)는 구동모터(210), 동력 전달부, 제1송출부(130), 제2송출부(140) 및 감속 기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모터(210)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11)과, 구동축(211)에 장착된 구동기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211)은 구동축(211)의 축 방향(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 전달부는 연결축(221), 연결기어(222), 제1송출부(130)와 연결되는 제1입력기어(223) 및, 제2송출부(140)와 연결되는 제2입력기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221)은 연결축(221)의 축 방향(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축(221)의 축 방향(X2)은 구동축(211)의 축 방향(X1)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기어(222)는 구동기어(212)와 동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축(221) 및 구동축(211) 사이의 거리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21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축(211)의 축 방향(X1)에 수직한 방향(예: 도 7의 Y축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구동모터(2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연결축(221) 및 구동축(21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속 기어부(290)는 구동모터(210) 및 연결축(221)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감속 기어부(290)는 구동모터(210)의 동력에 따른 회전 토크를 변화시켜 연결축(2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속 기어부(290)는 지지 샤프트(291) 및, 복수의 감속 기어(292a, 292b, 292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샤프트(291)는 구동축(211) 및 연결축(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샤프트(291)에는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는 복수의 감속 기어(292a, 292b, 292c)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감속 기어(292a, 292b, 292c) 중 지지 샤프트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감속 기어(예: 도 7의 감속기어(292a)는 구동 기어 및 연결 기어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 기어(212) 및 연결 기어(222)를 연결하기 위한 감속 기어(292a, 292b, 292c)의 크기에 대응하여 구동축(211) 및 연결축(22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케이블 송출 장치(2)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감속 기어(292a, 292b, 292c) 중 적합한 감속 기어를 통해 구동 기어(212) 및 연결 기어(222)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210f) 및 연결축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케이블 송출 장치
100: 지지 플레이트
110: 구동 모터
120: 동력 전달부
130: 제1송출부
140: 제2송출부
150: 이동부재

Claims (10)

  1.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반대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 수직한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홀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면에 장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모터;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과 중첩되는 제2홀을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제1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출력축과, 상기 제1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출력기어 및,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축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블을 송출하기 위한 제1송출부재를 포함하는 제1송출부;
    상기 제2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장착되는 제2출력기어 및,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력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을 송출하기 위한 제2송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송출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2송출부; 및
    상기 구동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축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1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홀에 중첩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을 회전시키는 연결기어;
    상기 연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출력기어에 연결되는 제1입력기어; 및
    상기 연결축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출력기어에 연결되는 제2입력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과 중첩되는 상기 연결축의 외면 부위에는 상기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기어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면에 장착되는
    케이블 송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에 대한 상기 제2입력기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대한 연결 위치가 조절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롯 상의 위치가 조절되는,
    케이블 송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 및 이동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홀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보조 모터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축 또는 제2출력축의 회전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측정부; 및
    상기 토크 측정부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및 연결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 기어부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지지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는 복수의 감속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속 기어 중 상기 지지 샤프트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감속 기어가 상기 구동 기어 및 연결 기어를 연결하는,
    케이블 송출 장치.
KR1020230064759A 2023-05-19 2023-05-19 케이블 송출 장치 KR10262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759A KR102622475B1 (ko) 2023-05-19 2023-05-19 케이블 송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759A KR102622475B1 (ko) 2023-05-19 2023-05-19 케이블 송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475B1 true KR102622475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759A KR102622475B1 (ko) 2023-05-19 2023-05-19 케이블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55A (ja) * 1992-10-30 1994-05-31 Towa Supply:Kk 電気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JP2000197230A (ja) * 1998-12-24 2000-07-14 Toenec Corp ケーブル送り装置およびケーブル敷設工法
KR102187338B1 (ko) * 2020-06-12 2020-12-04 허효원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20210147403A (ko) * 2020-05-28 2021-12-07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및 전력 케이블 풀러 시스템
KR102403739B1 (ko) * 2021-10-20 2022-05-30 이상우 케이블 풀러
KR102473373B1 (ko)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케이블 송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55A (ja) * 1992-10-30 1994-05-31 Towa Supply:Kk 電気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JP2000197230A (ja) * 1998-12-24 2000-07-14 Toenec Corp ケーブル送り装置およびケーブル敷設工法
KR20210147403A (ko) * 2020-05-28 2021-12-07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및 전력 케이블 풀러 시스템
KR102187338B1 (ko) * 2020-06-12 2020-12-04 허효원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102403739B1 (ko) * 2021-10-20 2022-05-30 이상우 케이블 풀러
KR102473373B1 (ko)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케이블 송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actuation
KR102473373B1 (ko) 케이블 송출장치
CN105239997A (zh) 一种钻孔开孔方位角、倾角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CN106769396B (zh) 一种水平定向钻钻杆疲劳损伤检测系统
KR102622475B1 (ko) 케이블 송출 장치
KR102622480B1 (ko) 케이블 송출 장치
US7118094B2 (en) Rotatable cable guide with cable switching feature
KR20190097601A (ko) 커플링의 성능 시험 장치
WO2021109800A1 (zh) 一种调整装置
KR102219079B1 (ko) 원격조종 시스템이 구비된 하수관 보수 자동 견인장치
KR102396099B1 (ko)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CN210775538U (zh) 一种悬索桥as工法卷扬机的测力测速装置
KR102622477B1 (ko) 케이블 송출 장치
JP2021035240A (ja) ケーブル布設装置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CN105675011A (zh) 一种用于电力管道轨迹测量仪的自动牵引装置及方法
CN111319141A (zh) 一种定向钻孔的装置和应用方法
CN212428578U (zh) 一种非开挖定向钻机
CN201408970Y (zh) 转速自动匹配的电动铲运机电缆卷筒
CN111391143A (zh) 一种沿期望路径钻孔的装置和应用方法
KR20230017521A (ko) 지중 경사계용 센싱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지중 경사계
KR20210036461A (ko) 케이블 견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저케이블 견인 어셈블리
KR102622478B1 (ko) 파워볼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 시스템
CN108106606B (zh) 一种防翻转水文缆道系统
US4893786A (en) Cable conduit apparatus
US20200354202A1 (en) Rope guiding device and a method for guiding a r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