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797B1 - 자주식 유압 릴 풀러 - Google Patents

자주식 유압 릴 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797B1
KR102234797B1 KR1020200143130A KR20200143130A KR102234797B1 KR 102234797 B1 KR102234797 B1 KR 102234797B1 KR 1020200143130 A KR1020200143130 A KR 1020200143130A KR 20200143130 A KR20200143130 A KR 20200143130A KR 102234797 B1 KR102234797 B1 KR 10223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r
capstan
messenger wire
ree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인호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20014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40Pow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유압 릴 풀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를 건설함에 있어 지중선로로 케이블을 포설하거나 또는 가공선로로 전선을 가설할 때, 엔진의 동력으로 캡스턴 윈치를 돌려서 전선 또는 전력케이블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고, 캡스턴 윈치가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 릴이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서 권취함으로써 전력케이블을 풀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른 풀링장소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엔진의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自走式) 풀러(Puller)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주식 유압 릴 풀러{Self propelled reel type hydraulic puller}
본 발명은 자주식 유압 릴 풀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전력 및 통신 부문의 각종 케이블 시공(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 및 관로의 건설)에 있어, 엔진의 동력을 이용한 윈치와 윈치에 탑재된 캡스턴으로 케이블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고, 캡스턴 윈치가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 릴이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서 권취함으로써 케이블을 풀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른 시공장소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엔진의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는 자가주행(자주식, 自走式) 풀러(Puller)에 관한 것이다.
전력이나 통신선로를 시공함에 있어,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케이블 풀러(Cable Puller, 권취기)가 사용된다. 케이블 풀러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가장 기본적인 풀링 방법은, 전력구나 관로 내에 일차로 메신저 와이어를 포설하고, 메신저 와이어의 일단에 전력케이블을 연결한 뒤, 메신저 와이어와 케이블이 연결된 반대쪽에서 메신저 와이어의 종단을 케이블 풀러의 캡스턴에 감은 뒤, 동력에 의하여 캡스턴을 회전시켜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면서, 당겨지는 메신저 와이어를 뒤쪽에 배치된 권취 릴에 감아서 회수하면서 전력구나 관로에 케이블이 당겨져서 들어오는 방식이다. 도 1은 케이블 풀러(10)를 사용하여 지중 전력관로(40) 내에 전력케이블(30)을 포설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력선을 시공함에 케이블 풀러(10)를 이용하여, 지중관로 맨홀(50)을 통하여 나온 메신저 와이어(35)를 캡스턴 윈치(11)에 감아 엔진(16)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당기면, 전력케이블(30)은 메신저 와이어(35)에 클램프(31) 등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드럼(20)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30)이 풀어지면서 지중 전력관로(40) 안으로 딸려 들어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메신저 와이어(35)나 전력케이블(30)이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요소요소에 활차(51, 도르래)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당겨지는 메신저 와이어(35)는 와이어드럼(12)에 감겨지도록 하여 회수하게 된다.
철탑 또는 전주에 전선을 가선하는 선로 가선공사의 경우에도 케이블 풀러(10)가 사용된다. 송전선로 공사를 위해서는, 일정 간격으로 철탑 또는 전주를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철탑 또는 전주의 상단에 전선(30)을 올려서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드럼에 감긴 전선(30)의 끝단에 클램프(31) 등을 이용하여 메신저 와이어(35)를 연결한 후,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35)를 철탑 또는 전주의 선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메신저 와이어(35)의 일단을 케이블 풀러(10)의 캡스턴 윈치(11)에 감은 뒤, 엔진(16)의 동력에 의하여 캡스턴 윈치(11)를 회전시키면, 캡스턴 윈치(11)의 회전력에 의하여 메신저 와이어(35)가 당겨지고, 이에 따라 풀러(10)의 반대쪽에 있는 케이블 드럼(20)에 감겨있던 전선(30)이 풀리면서 당겨져서 철탑 또는 전주의 상단으로 당겨져서 올라가게 된다. 이때 풀러(10)의 캡스턴 윈치(11)에 감겨지는 메신저 와이어(35)는 캡스턴 윈치(11)의 후단에 배치되는 와이어드럼(12)에 감겨지면서 회수되게 된다. 그리고 철탑 또는 전주의 상단으로 당겨져서 올라간 전선(30)을 애자에 고정함으로써 선로 가선공사가 진행된다.
이렇게 전력구, 지중관로나 송전선로 가공선로의 선로공사에 사용되는 케이블 풀러(10)는 대부분 엔진(16)의 동력으로 캡스턴 윈치(11) 및 와이어드럼(12)을 돌리게 된다. 한편 케이블 풀러(10) 중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퀴(14)가 부착되어 있고, 캡스턴 윈치(11)를 가동하는 엔진(16)의 동력으로 바퀴(14)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이동이 가능한 풀러(10)가 있는데, 이러한 풀러(10)를 자주식(自走式) 풀러(Puller)라고 한다. 자주식 풀러에는 조향장치(핸들, 13)나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등 주행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자주식 풀러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668호(2014.12.15.), 한국 등록특허 제10-1311439호(2013.09.16.)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0491639호(2005.05.18.)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주식 풀러는 대부분, 등록특허 제10-1311439호처럼 엔진(16)으로부터 바퀴(14)에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공을 위해 작업장소로 이동하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15)로 차체를 높여 놓은 뒤, 풀러(10)에 장착되어 있던 바퀴(14)를 분해하여 분리한 후, 바퀴(14)의 회전축(18)에 캡스턴(11)을 결합하여야 풀링작업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회전축(18)에서 바퀴(14)를 분해한 뒤 캡스턴(11)을 결합하는데 따른 불편함은 물론 준비과정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한편, 캡스턴(11)에 바퀴(14)가 결합되어 있어서 바퀴(14)만 분해하면, 풀링작업이 가능한 자주식 풀러(10)도 있으나, 바퀴(14)의 분해에 따른 번거러움과 시간 및 인력의 소모는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바퀴(14)의 회전축(18)에 연결되는 캡스턴(11)에 의하여 케이블(30)을 풀링하다 보니, 양쪽 바퀴(14) 모두에 캡스턴(11)을 연결하여 양쪽 모두에서 풀링작업을 동시에 하지 않는 한, 차체(17)의 한쪽으로만 장력이 가해지게 되고, 차체(17)에 한쪽으로만 장력이 가해지다 보면, 차체(17)에 불균형 장력이 계속하여 가해지게 되어, 반복되는 풀링작업을 통해 차체(17)의 변형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풀러(10)의 내구연한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풀링과정에서 장애물을 만나거나 지중관로의 곡선구간 등에서, 갑작스럽게 장력이 증가하면, 급작스런 불균형 장력 발생으로 인하여 차체(17)가 옆으로 돌아가게 되는 경우도 많아서 작업자의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는데, 심한 경우 풀러(10) 자체가 전도되는 사고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아웃트리거(15)로 차체(17)를 높여 놓은 뒤에야, 바퀴(14)를 캡스턴(11)으로 변경하거나 캡스턴(11)을 바퀴(14)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풀링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여 풀러(10)의 위치를 다소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캡스턴(11)에서 메신저 와이어(35)를 제거한 후 바퀴(14)를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 풀링작업이 시작된 뒤에는 장소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소나 위치를 꼭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캡스턴(11)에 감긴 메신저 와이어(35)를 모두 풀어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이 상당히 소비되므로 풀링작업에 따른 능률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풀러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력이 인가되는 바퀴는 복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바퀴(14)에 캡스턴(11)이 부착되어 있거나, 바퀴(14)를 빼내고 캡스턴(11)으로 사용하는 방식인 경우, 복륜바퀴를 사용하게 되면 차체 폭이 너무 넓어지거나, 교체과정이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에 복륜바퀴를 사용하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단륜바퀴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풀러의 안정성을 높이기가 어려웠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0491639호처럼, 바퀴(14)에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동력전달체계를 가지는 자주식 풀러라 하더라도, 동력전달수단의 구조상 어쩔 수 없이 캡스턴 윈치(11)가 차체의 양쪽 또는 한쪽에 배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문제, 즉 차체(17)에 불균형 장력이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작업자가 캡스턴 윈치(11)의 조작을 위해서는 운전석(19)에 앉아서 엑셀레이터를 계속하여 밟아 줘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성도 많이 있어왔다. 그리고 운전석(19)에서는 맨홀 내에서 메신저 와이어가 인출되는 상황을 직접 관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맨홀을 관찰하는 사람으로부터 상황을 전달받아서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급격한 상황변화에 즉시 대응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았었다.
또한, 효율적인 풀링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캡스턴 윈치(11)를 맨홀구멍(50)의 바로 위에도 놓을 수 있어야 하는데, 바퀴(14)의 회전축(18)에 캡스턴(11)을 끼워야 하는 자주식 풀러의 경우, 바퀴(14)가 맨홀구멍 위에 놓인 상태에서 아웃트리거(15)를 세우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캡스턴 윈치(11)를 맨홀구멍(50)의 바로 위에 놓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웃트리거(15)가 세워지는 위치를 감안하여 캡스턴 윈치(11)를 맨홀구멍으로부터 어느 정도 띄어놓을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활차(51a) 등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풀러(10)의 최대 인장력까지 발휘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등록특허 제10-0491639호처럼, 바퀴(14)와는 별도의 동력전달을 받는 캡스턴 윈치(11)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즉 맨홀구멍(50)의 바로 위에 캡스턴 윈치(11)를 놓기 위해서는 바퀴(14)가 맨홀(50) 위로 지나가거나, 맨홀(50) 옆을 우회해서 여러 번 왕복하면서 핸들을 조작해야 하는데, 바퀴(14)가 맨홀(50) 위로 지나가는 것은 맨홀구멍으로 인하여 불가능하며, 맨홀(50) 옆을 우회해서 여러 번 왕복하면서 핸들을 조작하는 것은 풀러(10)의 전륜과 후륜 사이가 너무 짧기 때문에 이 또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75668호(2014.12.15) 한국 등록특허 제10-1311439호(2013.09.16.) 한국 등록특허 제10-0491639호(2005.05.18.)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는, 풀링이 필요한 장소까지 직접 주행이 가능한 풀러로서, 주행에 사용되는 바퀴를 캡스턴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아웃트리거만 세우면 케이블 풀링이 즉시 가능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케이블 풀링에 따른 장력이 차체의 너비방향 중심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불균형 장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차체가 변형되지 않고, 풀링작업 중 차체가 옆으로 돌아가거나 전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풀링작업을 하는 도중에도 필요에 따라 풀러의 위치나 방향을 다소간에 조절하는 것이 용이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주식 풀러이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에 쓰이는 엔진을 사용하여 캡스턴을 회전시키더라도, 풀러 차량의 측면에서 캡스턴을 회전시키지 않고, 차체의 중심에서 캡스턴이 회전하면서 메신저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풀링장소에서 맨홀구멍의 크기나 위치를 감안하여 캡스턴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를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체의 너비방향으로도 회전하여 확장하는 것이 가능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을 통하여 당겨진 후 회수되는 메신저 와이어가 꼬이거나 엉킴이 없이, 일정한 장력에 의하여 권취 릴에 나란히 감길 수 있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을 맨홀 구멍의 직 상부에도 위치하게 할 수 있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풀러를 가동하는 동안 작업자가 엔진의 엑셀레이터를 밟고 있지 않아도 되며, 작업자가 풀러의 가동을 조작하면서 맨홀 내부에서 메신저 와이어가 당겨지는 상황 등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엔진에 인버터를 연동함으로써, 풀링작업 현장에서 교류전원으로 작동되는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메신저 와이어에 대한 텐션 및 길이측정 등을 위한 센서신호로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시험성적서 등을 현장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노트북이나 프린터 등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기타 다양한 전기 및 전자기기들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풀링작업 과정에서 풀링되는 메신저 와이어의 길이나 메신저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을 쉽게 알 수 있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를 엔진의 동력으로 당겨서 풀링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풀러로서, 상기 풀러의 후미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는 캡스턴;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캡스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풀러 위에서,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 릴;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상기 권취 릴 쪽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전환로울러; 상기 전환로울러와 상기 권취 릴 사이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가 상기 권취 릴의 외주면에 나란히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메신저 와이어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왕복 이동시키며 가이드하는 레벨와인더; 상기 풀러의 후미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지면을 받쳐서 상기 풀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웃트리거;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풀러를 이동시키는 바퀴;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 중 제1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는 그 상단이 수평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삽입되어 있다가 일정 길이가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간에는, 상기 수평지지대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꺾일 수 있도록, 관절형 조인트를 포함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풀러의 후미 중 일 부분이 돌출되는 기어박스 안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은, 상기 풀러의 너비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스턴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캡스턴의 일 측면과 상기 기어박스 사이의 공간은 상기 풀러의 후미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전환로울러의 외주면 중심선은, 상기 캡스턴의 양면 중 상기 기어박스와 마주하는 측면에 일치하는 선과 상기 캡스턴 외주면의 중심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서 돌출된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 중 상기 기어박스가 돌출되지 않은 쪽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 모두에 더하여 상기 레벨와인더는, - 상기 권취 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 -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과 평행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 및 - 수평롤러와 두 쌍의 수직롤러를 가지고,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메신저 와이어는 상기 두 쌍의 수직롤러 사이 및 상기 수평롤러 위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권취 릴에 감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엔진에 연결된 제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수단, 상기 레벨와인더, 상기 권취 릴 및 상기 아웃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 및 상기 제어패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스턴이 풀러의 후미에 돌출되어 있는 기어박스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에 사용되는 바퀴를 캡스턴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아웃트리거만 세우면 케이블 풀링이 즉시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풀러의 후미 일 부분에 돌출되는 기어박스의 회전축에 캡스턴이 고정되므로, 캡스턴이 풀러의 후미 중앙에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구조 때문에, 전력케이블 풀링에 따른 장력이 차체의 중심으로 집중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풀러는, 장력 불균형으로 인한 차체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아지게 되며, 풀링작업 시 차체가 옆으로 돌아가거나 전도되는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이 바퀴의 회전축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풀링작업을 하는 도중에도 위치나 방향 등의 일부 변경이 필요한 경우, 아웃트리거만 들어 올린 후 풀러를 운전하여 풀링하는 위치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이 풀러의 후미 중앙에 있는 반면, 제1아웃트리거는 후미에서 돌출된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 또한 후미 중앙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1아웃트리거 및 제2아웃트리거를 맨홀 주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캡스턴을 맨홀구멍 바로 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맨홀구멍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메신저 와이어가 캡스턴까지 도달하기 까지의 활차(51, 도르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마찰손실 등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차의 설치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의 절감 등 풀링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이 풀러의 후미 중앙에 있고, 제1아웃트리거는 후미에서 돌출된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를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한 후, 차체의 너비방향을 향하여 옆으로 돌려서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캡스턴과 두 개의 아웃트리거 각각을 이등변삼각형의 세 점이 되도록 배치해 놓고, 이등변삼각형의 꼭지점에 캡스턴이 오도록 한 후 풀링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풀러에 걸리는 힘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러의 무게중심이 가장 안정적으로 되는 자세에서 풀링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맨홀구멍의 크기가 크더라도 맨홀구멍에 가까이 접근하여 캡스턴을 맨홀구멍의 직 상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2아웃트리거를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옆으로 돌려서 굴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맨홀구멍의 크기나 위치를 감안하여 캡스턴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맨홀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장애물이 없는 쪽에 아웃트리거들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풀링작업 시 풀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권취 릴 쪽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전환로울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로울러와 권취 릴 사이에서 메신저 와이어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메신저 와이어를 왕복 이동시키며 가이드하는 레벨와인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캡스턴을 통하여 당겨진 후 회수되는 메신저 와이어가 꼬이거나 엉킴이 없이 권취 릴의 외주면에 나란히 감길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스턴의 일 측면과 기어박스 사이의 공간은 풀러의 후미 중심에 위치하고, 전환로울러의 외주면 중심선은, 캡스턴의 양면 중 기어박스와 마주하는 측면에 일치하는 선과 캡스턴 외주면의 중심선 사이에 위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신저 와이어가 캡스턴에 감겨지면서 당겨진 후 전환로울러를 거쳐서 권취 릴로 갈 때, 캡스턴에 감기는 메신저 와이어들이 서로 꼬이거나 겹쳐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엔진에 연결된 제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풀링작업을 하는 현장에서 교류전원이 필요한 장치나 장비들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메신저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텐션게이지, 당겨진 메신저 와이어의 길이측정 수단 등 다양한 측정수단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받아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성적서 등을 현장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노트북 등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기타 다양한 전기 및 전자기기들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원공급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수단, 레벨와인더, 권취 릴 및 아웃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어패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풀러를 가동하는 동안 작업자가 엔진의 엑셀레이터를 밟고 있지 않아도 되는 등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고, 편리하게 풀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풀러를 제어하는 동안 맨홀 내부 등과 같은 상황을 직접 관찰하면서 제어하고 상황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케이블 풀러로 지중선로의 케이블 풀링작업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풀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좌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우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뒤쪽 모습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풀러의 뒤쪽에 있는 캡스턴(a) 및 전환로울러(b)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를 뒤에서 본 후면도와 가이드롤러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캡스턴을 맨홀구멍 위에 배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캡스턴과 두 개의 아웃트리거를 이등변삼각형의 세 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에 포함된 제2아웃트리거가 후미에 삽입된 상태(a)와 인출된 상태(b)를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에 포함된 제2아웃트리거가 후미에서 인출된 후 30도 꺾인 상태(a)와 90도 꺾인 상태(b)를 위에서 본 모습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좌측면도를, 도 5는 우측면도를, 도 6은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의 뒤쪽 모습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는, 전력케이블(30)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35)를 엔진(830)의 동력으로 당겨서 풀링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830)의 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풀러(10)로서, 상기 풀러(10)의 후미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는 캡스턴(100)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캡스턴(100)은 상기 엔진(8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수단(7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캡스턴(100)은 상기 구동수단(700)과 결합되어 캡스턴 윈치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700)은 상기 풀러(10)의 차체(800) 후미 중 일부분이 돌출되는 기어박스(710) 안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3의 상단에 있는 기어박스 내부투시도(빨간점선 4각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700)은 상기 풀러(10)의 엔진(830)으로부터 바퀴(810) 중 후륜(810b)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전달받는 기어장치들의 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700)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의 회전축은 상기 후륜(810b)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캡스턴(100)에 전달되는 캡스턴기어(701)의 회전축은 상기 풀러(10)의 너비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기어박스(710)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스턴(100)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풀러(10)에는 상기 엔진(830)으로부터 상기 후륜(810b)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후륜동력 차단레버(850) 및 상기 엔진(830)으로부터 상기 후륜(810b)에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700)에 동력을 공급하는 윈치동력 공급레버(86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풀러(10) 위에는, 상기 캡스턴과 운전석(840) 사이에, 상기 캡스턴(100)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35)를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 릴(400)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릴(400)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권취할 메신저 와이어의 길이(예; 400m, 600m 등)에 따라 크기가 다른 권취 릴(400)을 바꿔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권취 릴(400)은 유압모터(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메신저 와이어(35)를 권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압모터(410)는 상기 엔진(830)에 의하여 가동되는 유압펌프(미도시)에서 공급된 압축오일을 이용하고, 유압탱크(870)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캡스턴(100)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35)를 상기 권취 릴(400)에 감기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신저 와이어(35)를 상기 권취 릴(400) 쪽으로 유도시켜 방향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전환로울러(20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환로울러(200)와 상기 권취 릴(400) 사이에는, 상기 메신저 와이어(35)가 상기 권취 릴(400)의 외주면에 나란히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메신저 와이어(35)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35)를 왕복 이동시키며 가이드하는 레벨와인더(30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신저 와이어(35)는 상기 캡스턴(100)에 5~6회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강하게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며, 상기 캡스턴(100)에 의하여 당겨지는 메신저 와이어(35)는 상기 전환로울러(200)를 통해서 상기 권취 릴(400) 쪽으로 방향이 유도되어 전환되며, 상기 권취 릴(400) 전에 상기 레벨와인더(300)를 통과한 후, 상기 유압모터(410)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권취 릴(400)에 감겨서 회수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벨와인더(300)는 상기 풀러(10)의 너비방향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즉 상기 메신저 와이어(35)가 당겨지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하기 때문에 상기 메신저 와이어(35)는 상기 권취 릴(400)의 외주면에 겹쳐지거나 꼬이지 않으며 나란히 감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환로울러(200) 및 상기 레벨와인더(300)의 상세구조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풀러(10)의 후미 양쪽에는 한 쌍의 아웃트리거(500)가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500) 각각은 유압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지면을 받쳐서 상기 풀러(1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500)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압축오일은 상기 유압탱크(870)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풀러(10)의 후미에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500) 중 제1아웃트리거(500a)는, 상기 풀러(10)의 후미에서 돌출된 상기 기어박스(710)의 후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는 상기 풀러(10)의 후미 중 상기 기어박스(710)가 돌출되지 않은 쪽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는 그 상단이 수평지지대(510)에 연결도록 하고, 상기 수평지지대(510)는 상기 풀러(10)의 후미에 삽입되어 있다가 일정 길이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지지대(510)의 중간에는, 상기 수평지지대(510)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꺾일 수 있도록, 관절형 조인트(52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는 차체(800)의 길이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너비방향을 향해서 바깥쪽으로 회전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풀러(10)에는 상기 엔진(8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풀러(10)를 이동시키는 바퀴(810) 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풀러(10)가 이동할 때는 상기 엔진(830)이 발생하는 동력이 상기 바퀴(810) 로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풀러(10)가 전력케이블(30)에 대한 풀링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기 엔진(830)이 발생하는 동력은 상기 구동수단(700)을 통하여 상기 캡스턴(100)에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 전환을 위하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륜동력 차단레버(850) 및 상기 윈치동력 공급레버(86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10)의 후미에 결합되는 상기 캡스턴(100) 및 상기 전환로울러(200)의 구체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10)에서 상기 캡스턴(100)의 일 측면, 즉 상기 캡스턴(100)의 양면 중 상기 기어박스(710)와 마주하는 측면과 상기 기어박스(710) 사이의 공간(101, 빨간 점선 내부)은 상기 풀러(10)의 후미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a)에서 보듯이 상기 기어박스(710)와 마주하는 측면과 상기 기어박스(710) 사이의 공간(101)을 통과하는 임의의 선 S는 상기 풀러(10) 후미의 너비(W)의 절반되는 지점(W/2)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상기 메신저 와이어(35)를 당길 때 상기 캡스턴(100)에 걸리는 장력은 상기 공간(101)을 중심으로 집중될 수 있는데, 상기 공간(101)은 상기 풀러(10)의 너비방향 중심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 풀러(10)의 차체에 인가되는 장력은 좌우가 동일한 장력이 된다. 따라서, 풀링과정에서 차체가 돌아가거나, 전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풀링작업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차체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8(b)는 상기 전환로울러(200)의 구체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에서 보듯이 상기 전환로울러(200)의 외주면 중심선(C)은 메신저 와이어(35)가 맞닿아 회전하게 되는 부분인데, 상기 캡스턴(100)의 양면 중 상기 기어박스와 마주하는 측면에 일치하는 선(A)과 상기 캡스턴(100) 외주면의 중심선(B) 사이에 상기 전환로울러(200)의 외주면 중심선(C)을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메신저 와이어(35)는 상기 캡스턴(100) 외주면의 중심선(B)의 아래쪽(도 8(b) 기준)에서부터 감기기 시작하여 상기 중심선(B)을 지나 상기 기어박스(710)와 마주하는 측면 쪽으로 감겨오다가, 상기 전환로울러(200)쪽으로 회수되게 되므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35)가 상기 캡스턴(100)의 외주면에 감길 때 서로 겹쳐지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10)의 상기 레벨와인더(30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 릴(40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340)을 포함하도록 하고,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이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340)과 평행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이드롤러(31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가이드롤러(310)는 수평롤러(312)와 두 쌍의 수직롤러(311)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두 쌍의 수직롤러(311) 사이에 상기 수평롤러(312)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신저 와이어(35)가 상기 두 쌍의 수직롤러(311) 중 첫 번째 수직롤러(311a) 사이를 통과한 다음 상기 수평롤러(312) 위를 통과한 후, 두 번째 수직롤러(311b)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권취 릴(400)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35)가 상기 권취 릴(400)에 감겨지는 동안 상기 가이드롤러(310)가 수평으로 왕복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35)는 상기 권취 릴(400)에 감겨질 때 서로 겹쳐지지 않고 나란히, 차곡차곡 감겨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10)를 뒤에서 본 후면도와 상기 가이드롤러(310)에 대한 확대도(빨간색 사각형 부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310)의 아랫부분에 고정된 삽입날(315)이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의 나사산(351) 사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롤러(310)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34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한쪽 끝까지 오게 되면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의 나사산(351)이 이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날(315)이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나사산(351) 사이에 삽입되게 되므로, 역방향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310)는 계속하여 왕복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은 상기 권취 릴(400)을 회전시키는 상기 유압모터(410)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권취 릴(400) 및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350)의 회전축에는 상기 유압모터(410)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가 결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10)는, 상기 캡스턴(100)이 풀러(10)의 후미 중앙에 있는 반면,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는 후미에서 돌출된 기어박스(7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미 중앙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500b)의 경우 상기 수평지지대(510)를 인출하면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가 위치한 만큼 후미 중앙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 및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와 상기 후륜(810b) 양쪽을 맨홀(50) 주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스턴(100)을 맨홀구멍(50) 바로 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캡스턴(100)은 맨홀구멍(50)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메신저 와이어(35)를 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메신저 와이어(35)가 상기 캡스턴(100)까지 도달하기까지의 활차(51, 도르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중케이블의 풀링과정에서 메신저 와이어(35)의 마찰손실 등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차(51)의 설치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의 절감 등이 가능하여 풀링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10)의 캡스턴(100)을 맨홀구멍(50) 위에 배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처럼 풀러(10)를 후진하여 후륜(810b)을 맨홀구멍(50)에 가깝게 접근하여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가 맨홀구멍(50)을 벗어난 지점에 도달하면, 도 1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의 수평지지대(510)를 인출하도록 한 후(화살표 참조), 도 10(d)에서처럼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 및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를 아래쪽으로 확장하여 지지하게 되면, 상기 캡스턴(100)이 상기 맨홀구멍(50)의 직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풀링할 준비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캡스턴(100)에 메신저 와이어(35)를 감아서 풀링하게 되면, 메신저 와이어(35)가 수직방향으로 위로 당겨지게 되며, 상기 후륜(810b) 양쪽과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 및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가 바닥에 대하여 단단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메신저 와이어(35)를 당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캡스턴(100)이 풀러(10)의 후미 중앙에 있고,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는 후미에서 돌출된 상기 기어박스(7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는 차체(800)의 진행방향으로 확장한 후, 차체(800)의 너비방향을 향하여도 다양한 각도로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캡스턴(100)과 두 개의 아웃트리거(500) 각각을 이등변삼각형의 세 점이 되도록 배치해 놓고, 이등변삼각형의 꼭지점에 상기 캡스턴(100)이 오도록 한 후 풀링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캡스턴(100)과 두 개의 아웃트리거(500) 각각이 이등변삼각형의 세 점에 배치되도록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를 차체(800)에서 인출하여 차체(800)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한 후, 바깥쪽으로 30도를 꺾은 모습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를 확장 및 굴절시켜 놓은 후 상기 두 개의 아웃트리거(500)들을 수직방향으로 확장하여 바닥에 도달하게 한 후 차체(800)의 후미를 들어 올리면, 상기 두 개의 아웃트리거(500)들과 상기 캡스턴(100)은, 상기 캡스턴(100)이 위치한 지점(T1)을 꼭지점으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아웃트리거(500)들이 위치하는 두 점(T2, T3)을 잇는 이등변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풀링작업을 하게 되면, 풀러(10)에 걸리는 힘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러(10)의 무게중심이 가장 안정적으로 되는 자세에서 풀링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제1아웃트리거(500a)는 후미에서 돌출된 상기 기어박스(7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는 차체(800)의 진행방향으로 확장한 후, 차체(800)의 너비방향을 향하여도 다양한 각도로 굴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맨홀구멍(50)의 크기나 위치를 감안하여 상기 캡스턴(100)의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맨홀(50)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장애물이 없는 쪽에 아웃트리거들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풀링작업 시 풀러(1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유압 릴 풀러에 포함된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가 후미에 삽입된 상태(a)와 인출된 상태(b)를 위에서 본 모습이며, 도 13은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가 후미에서 인출된 후 30도 꺾인 상태(a)와 90도 꺾인 상태(b)를 위에서 본 모습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맨홀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상기 제2아웃트리거(500b)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상기 캡스턴(100)을 최적의 위치에 놓고 풀링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는 또한 상기 엔진(830)에 연결된 제네레이터(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함께 교류전원을 인출해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등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하는 경우 풀링작업 현장에서 전기기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구동수단(700), 상기 레벨와인더(300), 상기 권취 릴(400) 및 상기 아웃트리거(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600)과 함께 상기 제어패널(60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패널(600) 및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경우, 풀러(10)를 가동하는 동안 작업자가 엔진(830)의 엑셀레이터를 밟고 있지 않아도 되는 등 편리하게 풀러(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풀러(10)를 제어하는 동안 맨홀(50) 내부 등과 같이 와이어가 당겨지는 상황을 직접 관찰하면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케이블 풀러
11 캡스턴 윈치 12 와이어드럼
13 핸들 14 바퀴
15 아웃트리거 16 엔진
17 차체 18 바퀴회전축
19 운전석
20 케이블 드럼
30 전력케이블
31 클램프 35 메신저 와이어
40 전력관로
50 맨홀
51 활차(도르래)
100 캡스턴
101 공간
200 전환로울러
210 고정브라켓
300 레벨와인더
310 가이드롤러 311 수직롤러
312 수평롤러 313 가이드브라켓
315 삽입날 340 가이드레일
350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 351 나사산
370 조정핸들
400 권취 릴
410 유압모터
500 아웃트리거
500a 제1아웃트리거 500b 제2아웃트리거
510 수평지지대 520 관절형 조인트
600 제어패널
700 구동수단
701 캡스턴기어 710 기어박스
800 차체
810a 바퀴(전륜) 810b 바퀴(후륜)
820 조향장치 830 엔진
840 운전석 850 후륜동력 차단레버
860 윈치동력 공급레버 870 유압탱크

Claims (6)

  1. 삭제
  2. 케이블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를 엔진의 동력으로 당겨서 풀링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풀러로서,
    상기 풀러의 후미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는 캡스턴;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캡스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풀러 위에서,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 릴;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상기 권취 릴 쪽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전환로울러;
    상기 전환로울러와 상기 권취 릴 사이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가 상기 권취 릴의 외주면에 나란히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메신저 와이어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왕복 이동시키며 가이드하는 레벨와인더;
    상기 풀러의 후미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지면을 받쳐서 상기 풀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웃트리거;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풀러를 이동시키는 바퀴;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 중 제1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는 그 상단이 수평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삽입되어 있다가 일정 길이가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간에는, 상기 수평지지대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꺾일 수 있도록, 관절형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풀러의 후미 중 일 부분이 돌출되는 기어박스 안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은, 상기 풀러의 너비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스턴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캡스턴의 일 측면과 상기 기어박스 사이의 공간은 상기 풀러의 후미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로울러의 외주면 중심선은, 상기 캡스턴의 양면 중 상기 기어박스와 마주하는 측면에 일치하는 선과 상기 캡스턴 외주면의 중심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서 돌출된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 중 상기 기어박스가 돌출되지 않은 쪽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
  5. 케이블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를 엔진의 동력으로 당겨서 풀링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풀러로서,
    상기 풀러의 후미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는 캡스턴;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캡스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풀러 위에서,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 릴;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상기 권취 릴 쪽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전환로울러;
    상기 전환로울러와 상기 권취 릴 사이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가 상기 권취 릴의 외주면에 나란히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메신저 와이어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왕복 이동시키며 가이드하는 레벨와인더;
    상기 풀러의 후미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지면을 받쳐서 상기 풀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웃트리거;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풀러를 이동시키는 바퀴;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 중 제1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는 그 상단이 수평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삽입되어 있다가 일정 길이가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간에는, 상기 수평지지대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꺾일 수 있도록, 관절형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와인더는,
    - 상기 권취 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
    -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과 평행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 및
    - 수평롤러와 두 쌍의 수직롤러를 가지고, 상기 이중나선 왕복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메신저 와이어는 상기 두 쌍의 수직롤러 사이 및 상기 수평롤러 위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권취 릴에 감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
  6. 케이블에 연결된 메신저 와이어를 엔진의 동력으로 당겨서 풀링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풀러로서,
    상기 풀러의 후미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당기는 캡스턴;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캡스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풀러 위에서,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 릴;
    상기 캡스턴이 당기는 메신저 와이어를 상기 권취 릴 쪽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전환로울러;
    상기 전환로울러와 상기 권취 릴 사이에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가 상기 권취 릴의 외주면에 나란히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메신저 와이어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상기 메신저 와이어를 왕복 이동시키며 가이드하는 레벨와인더;
    상기 풀러의 후미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유압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지면을 받쳐서 상기 풀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웃트리거;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풀러를 이동시키는 바퀴;
    상기 엔진에 연결된 제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구동수단, 상기 레벨와인더, 상기 권취 릴 및 상기 아웃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 및
    상기 제어패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아웃트리거 중 제1아웃트리거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아웃트리거는 그 상단이 수평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풀러의 후미에 삽입되어 있다가 일정 길이가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간에는, 상기 수평지지대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꺾일 수 있도록, 관절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유압 릴 풀러
KR1020200143130A 2020-10-30 2020-10-30 자주식 유압 릴 풀러 KR10223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30A KR102234797B1 (ko) 2020-10-30 2020-10-30 자주식 유압 릴 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30A KR102234797B1 (ko) 2020-10-30 2020-10-30 자주식 유압 릴 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797B1 true KR102234797B1 (ko) 2021-03-31

Family

ID=7523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130A KR102234797B1 (ko) 2020-10-30 2020-10-30 자주식 유압 릴 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6850A (zh) * 2022-06-23 2022-09-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阴县供电公司 一种电力护管井道下管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39B1 (ko) 2003-02-07 2005-05-30 복기용 송전선 가선용 풀러
KR101311439B1 (ko) 2013-06-11 2013-09-25 (주) 창흥전력 가선용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공법
KR200475668Y1 (ko) 2014-07-04 2014-12-19 채철호 밋션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릴을 설치한 지중선 풀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39B1 (ko) 2003-02-07 2005-05-30 복기용 송전선 가선용 풀러
KR101311439B1 (ko) 2013-06-11 2013-09-25 (주) 창흥전력 가선용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공법
KR200475668Y1 (ko) 2014-07-04 2014-12-19 채철호 밋션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릴을 설치한 지중선 풀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6850A (zh) * 2022-06-23 2022-09-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阴县供电公司 一种电力护管井道下管辅助装置
CN115036850B (zh) * 2022-06-23 2024-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阴县供电公司 一种电力护管井道下管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48089A1 (en) Wire Rope Payout Upon Tensile Demand
KR102234797B1 (ko) 자주식 유압 릴 풀러
CN107787405B (zh) 竖立栓系式风轮机塔架的方法
KR101436595B1 (ko) 케이블 포설장치
CN204858424U (zh) 电缆隧道检查井牵引敷设电缆组合装置
CN102709849A (zh) 手动多功能紧线装置及一种导线紧线方法
CN113998528B (zh) 一种输电线路用放线装置
CN213457464U (zh) 一种带张力监控的光缆收排线装置
CN112478952B (zh) 一种绞磨尾绳收放的驱动装置及方法
CN210326718U (zh) 一种配电网跨公路放线结构
CN110424399B (zh) 交通施工深基坑侧壁偏斜监测装置
CN212895927U (zh) 市政桥梁吊装定位装置
CN212258265U (zh) 一种电缆连续敷设装置
KR102077532B1 (ko)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CN219801699U (zh) 一种电缆牵引装置
CN218909367U (zh) 一种电力施工用电缆放线装置
CN115872301A (zh) 一种自适应吊臂缆风支架及缆风系统、调节方法
CN111232765A (zh) 一种电动卷缆装置
JP4248668B2 (ja) 線条体の架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螺旋状線材送り出し装置
KR101328378B1 (ko)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긴선 공법
CN215924055U (zh) 一种自带动力的电缆盘
CN215808102U (zh) 一种钢塑土工格栅条带机生产专用安全电压照明装置
CN211266263U (zh) 一种多功能绞磨机
CN220570201U (zh) 电缆敷设辅助装置
CN113036667B (zh) 一种线缆铺设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