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894B1 -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894B1
KR102155894B1 KR1020190058485A KR20190058485A KR102155894B1 KR 102155894 B1 KR102155894 B1 KR 102155894B1 KR 1020190058485 A KR1020190058485 A KR 1020190058485A KR 20190058485 A KR20190058485 A KR 20190058485A KR 102155894 B1 KR102155894 B1 KR 10215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hape
groove
support device
sl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택
Original Assignee
(주)성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성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5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력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되며 포설되는 케이블이 롤러부를 통해 원활하게 안내되며 포설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회전몸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력구의 내부 구조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는 케이블을 교체 및 보수해야 될 시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내진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샤프트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하되 고정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회전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에 고정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레일부 및 각도조절바를 구성하여 전력구의 내부의 갈림길과 같은 구조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각각의 회전몸체를 개별적으로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바에 의해 회전몸체가 고정되어 송배전 케이블 포설 시에 롤러부를 통해 유동하며 안내되는 케이블에 의해 회전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의 슬라이드홈 및 끼움홈을 이용하여 유동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송배전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해야 될 시, 상기 유동부의 위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킨 후에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삽입홈 및 커버부재에 일 측 및 타 측이 연결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에 내진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완화가 가능토록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abl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력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되며 포설되는 케이블이 롤러부를 통해 원활하게 안내되며 포설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회전몸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력구의 내부 구조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는 케이블을 교체 및 보수해야 될 시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내진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들의 공급은 송배전 케이블을 통해 생산지로부터 소비지로 공급되는 것인바, 이러한 송배전 케이블들은 도시 미관 및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장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지고 있는 것으로, 지상으로부터 일정깊이 이격된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다. 이처럼 송배전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하여 관로인 지중 전력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지중 전력구는 지하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수직구로 연결되어 있다. 지중 전력구의 내부에 송배전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송배전 케이블을 수직구를 통해 진입시켜 지중 전력구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풀링 작업이라고 한다.
한편, 이러한 풀링 작업은 지면에 롤러를 설치하고, 송배전 케이블이 권취된 드럼으로부터 송배전 케이블을 풀링하여 롤러 상에 거치한 후, 롤러를 따라 풀림 되는 송배전 케이블을 전력구 내에 배치하고, 작업자가 배치된 케이블을 들어 전력구 내에 구비된 지지장치에 거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이 전력구 내에 배치될 시, 케이블의 외주 표면이 지면이나 시설물 등에 접촉하면서 손상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전력구 내에 배치된 케이블을 다시 한 번 들어 지지장치 등에 거치시켜야 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며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제 10-2013-0037498호 전주의 외주에 삽입하여 밀착되도록 된 내부케이스와, 이 내부케이스가 내부에 밀착고정되면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된 외부케이스 및, 이 외부케이스의 한쪽에 돌출되어 복수의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춘 로울러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제 10-1053203호 원형의 기둥을 양측에서 감싸도록 수평의 단면이 반원형상인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보다 높이와 주면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한 레일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디의 각 양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와 높이로 맞춤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 맞춤홈에는 상단부로부터 평판의 플랜지판이 반경 방향의 외측 및 하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판부와; 양측의 상기 레일의 외주면을 각각 일부 감싸는 원호형상이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바디와 레일 사이의 공간으로 일부 삽입되게 절곡시켜 상기 레일의 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의 절곡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롤러가 축고정되는 이동판부와; 상기 이동판부의 외주면에서 수직의 방향으로 상하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동일 수직선상에 복수 개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들 사이에는 케이블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탄력지지수단이 상호 대칭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블 지지부와; 일측면에는 엘이디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부착되는 엘이디기판을 병렬로 접속되게 복수 개로 구비하면서 상기 엘이디기판이 상기 이동판부의 일측단면으로부터 호형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일정 높이마다 복수 개로서 형성한 기판 삽입홈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엘이디기판들을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선의 단부는 상기 이동판부의 상부면에 구비한 콘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조명부; 의 결합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공사용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로울러 케이스 또는 탄력지지수단에 롤러가 구비되는 구조로써, 상기 롤러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지지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케이블이 지지되는 다수의 로울러 케이스 또는 다수의 케이블 지지부의 위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워 전력구의 내부 구조에 대응하여 케이블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공동주택의 공사용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케이블 지지부와 연결되는 이동판부가 바디의 레일과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동판부가 바디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작용할 시, 케이블을 거치하는 케이블 지지부와 연결된 이동판부가 회전하여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것은 물론, 상기 이동판부가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이 유동하여 케이블이 유동하는 힘이 지속적으로 케이블 지지부에 가해져 케이블 지지부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고정샤프트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하되 고정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회전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에 고정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레일부 및 각도조절바를 구성하여 전력구의 내부의 갈림길과 같은 구조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각각의 회전몸체를 개별적으로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바에 의해 회전몸체가 고정되어 송배전 케이블 포설 시에 롤러부를 통해 유동하며 안내되는 케이블에 의해 회전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의 슬라이드홈 및 끼움홈을 이용하여 유동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송배전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해야 될 시, 상기 유동부의 위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킨 후에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삽입홈 및 커버부재에 일 측 및 타 측이 연결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에 내진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완화가 가능토록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샤프트(120)로 구성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고정샤프트(120)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고정샤프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몸체(210)와, 상기 회전몸체(210)의 외주에 상, 하측으로 길게 내삽 되어 형성되되 상호 대향을 이루며 형성되고, 내부 최상단에 끼움홈(22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220)과, 상기 슬라이드홈(220)의 하부에 각각 이격을 이루며 내삽 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230)으로 구성되는 몸체부(2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홈(220)에 삽입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23)에 끼움 고정 또는 슬라이드홈(220)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측단면의 형상보다 큰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부(321)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내삽 되는 호형의 홈부(323)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홈부(323)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는 자석(m1)이 내삽 되어 구성되는 유동몸체(320)와, 상기 유동몸체(320)가 슬라이드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타 측에 구성되는 마감부재(330)로 구성되는 유동부(3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측 중앙부에 삽입 고정되는 슬라이드봉(410)과,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봉(410)을 축으로 수직 회전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측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42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롤러부(420)와, 상기 롤러부(420)의 양 측 단부 및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에 상기 관통홀(421)과 연통되는 관통홀(431)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며, 양 측벽의 상부에 상기 유동몸체(320)의 자석(m1)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m2)이 각각 구성되는 커버부재(430)와, 상기 롤러부(420)를 감싸는 커버부재(430)가 슬라이드봉(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타 측에 구성되는 마감부재(440)로 구성되는 지지부(400); 상기 슬라이드봉(410)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당김 성질을 갖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상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1탄성부재(510)와,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하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2탄성부재(520)로 구성되는 탄성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210)의 상부에는 회전몸체(2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는 한 쌍의 레일부(240)가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40)에는 레일부(24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각도조절바(250)가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바(250)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는 고정샤프트(120)의 외주에는 상기 레일부(24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각도조절바(250)의 일 측이 삽입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홈(123)이 동일한 원호 상에 이격을 이루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의하면,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력구의 갈림길과 같은 구조에 대응하여 각각의 회전몸체를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동부 및 지지부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는 케이블을 교체 및 보수 작업해야 될 시에 유동부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원활하게 확보하여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내진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완화가 가능토록 하여 케이블의 단락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도 5는 도 4의 (A ㅡ A')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구성 중 유동부를 도시하지 않고 지지부만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구성 중 유동부를 도시하지 않고 지지부만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력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되며 포설되는 케이블이 롤러부를 통해 원활하게 안내되며 포설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회전몸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력구의 내부 구조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지지장치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는 케이블을 교체 및 보수해야 될 시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내진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샤프트(120)로 구성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고정샤프트(120)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고정샤프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몸체(210)와, 상기 회전몸체(210)의 외주에 상, 하측으로 길게 내삽 되어 형성되되 상호 대향을 이루며 형성되고, 내부 최상단에 끼움홈(22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220)과, 상기 슬라이드홈(220)의 하부에 각각 이격을 이루며 내삽 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230)으로 구성되는 몸체부(2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홈(220)에 삽입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23)에 끼움 고정 또는 슬라이드홈(220)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측단면의 형상보다 큰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부(321)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내삽 되는 호형의 홈부(323)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홈부(323)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는 자석(m1)이 내삽 되어 구성되는 유동몸체(320)와, 상기 유동몸체(320)가 슬라이드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타 측에 구성되는 마감부재(330)로 구성되는 유동부(3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측 중앙부에 삽입 고정되는 슬라이드봉(410)과,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봉(410)을 축으로 수직 회전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측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42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롤러부(420)와, 상기 롤러부(420)의 양 측 단부 및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에 상기 관통홀(421)과 연통되는 관통홀(431)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며, 양 측벽의 상부에 상기 유동몸체(320)의 자석(m1)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m2)이 각각 구성되는 커버부재(430)와, 상기 롤러부(420)를 감싸는 커버부재(430)가 슬라이드봉(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타 측에 구성되는 마감부재(440)로 구성되는 지지부(400); 상기 슬라이드봉(410)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당김 성질을 갖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상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1탄성부재(510)와,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하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2탄성부재(520)로 구성되는 탄성부재(50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부(100)는 베이스판(110) 및 고정샤프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전력구의 내부 지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원형 또는 다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샤프트(120)는 하기될 몸체부(200)가 연결되어 몸체부가(200)가 고정샤프트(120)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00)는 회전몸체(210), 한 쌍의 슬라이드홈(220), 한 쌍의 삽입홈(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몸체(210)는 상기 고정샤프트(120)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고정샤프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몸체(210)가 세 개가 구성되고, 평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220)은 상기 회전몸체(210)의 외주에 상, 하측으로 길게 내삽 되어 형성되되 상호 대향을 이루며 형성되고, 내부 최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2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삽 되는 깊이보다 더 깊게 내삽 되는 끼움홈(2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홈(220)은 하기될 슬라이드부재(310)의 일 측이 삽입 구성되어 슬라이드홈(220)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토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끼움홈(223)은 상기 슬라이드홈(220)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 하기될 슬라이드부재(310)의 일 측을 끼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삽입홈(230)은 하기될 슬라이드봉(410)의 일 측이 회전몸체(21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홈(220)의 하부에 각각 이격을 이루며 내삽 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동부(300)는 슬라이드부재(310), 유동몸체(320) 및 마감부재(3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 유동몸체 (320) 및 마감부재(330)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220)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홈(220)과 동일하게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홈(220)에 삽입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23)에 끼움 고정 또는 슬라이드홈(220)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측단면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를 감싸며 연결 구성되는 유동몸체(320)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를 축으로 360도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는 작업자가 하기될 롤러부(420)에 케이블(c)을 위치시켜 이동시키며 포설하거나 고정 및 분리할 시,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를 이용하여 하기될 유동몸체(320)를 상,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를 상기 끼움홈(223)에 끼움 고정시킨 후에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동몸체(32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측단면의 형상보다 큰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부(321)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내삽 되는 호형의 홈부(323)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홈부(323)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는 자석(m1)이 내삽 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유동몸체(320)는 하부에 하기될 롤러부(420)에 안착되는 케이블(c)의 상부를 감싸도록 홈부(323)가 형성되고, 케이블(c)이 하기될 롤러부(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유동몸체(320)는 하기될 탄성부재(500)가 연결 구성된 커버부재(430) 및 롤러부(420)에 내진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 하기될 커버부재(430) 및 롤러부(420)가 상, 하부로 유동할 시, 커버부재(430)와 맞닿는 유동몸체(320)가 그에 대응하여 상, 하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부(321)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측단면의 형상보다 큰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330)는 상기 유동몸체(320)가 슬라이드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타 측에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00)는 슬라이드봉(410), 롤러부(420), 커버부재(430) 및 마감부재(4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슬라이드봉(410), 롤러부(420), 커버부재(430) 및 마감부재(440)는 상기 한 쌍의 삽입홈(230)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삽입홈(230)과 동일하게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봉(4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측 중앙부에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롤러부(420)가 상기 슬라이드봉(410)을 축으로 수직 회전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롤러부(420)는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봉(410)을 축으로 수직 회전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측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4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홀(421) 및 관통홀(421)과 연통되는 커버부재(430)의 관통홀(431)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측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진 등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힘이 탄성부재(500)와 연결 구성되는 커버부재(430) 및 롤러부(420)에 가해질 시, 상기 커버부재(430) 및 롤러부(420)가 탄성부재(500)를 통해 상, 하부로 이동하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430)는 상기 롤러부(420)의 양 측 단부 및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에 상기 관통홀(421)과 연통되는 관통홀(431)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며, 양 측벽의 상부에 상기 유동몸체(320)의 자석(m1)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m2)이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430)는 케이블(c)을 안내하며 회전하는 롤러부(420)의 외측에 탄성부재(500)를 연결 구성할 수 없더라도 상기 롤러부(420)가 탄성부재(500)에 의해 충격완화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롤러부(420)의 양 측 단부 및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430)의 내측에 위치되는 롤러부(420)가 케이블(c)을 안내하기 위해 회전하는 기능을 그대로 가지면서도 내진 등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힘에 의해 커버부재(430)가 탄성부재(500)를 통해 상, 하부로 이동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며 충격을 완화할 시, 상기 커버부재(430)의 내측에 위치되는 롤러부(420) 또한 동일하게 상, 하부로 이동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30) 상부 및 유동몸체(320)의 하부가 각각의 자석(m2, m1)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맞닿으며 고정됨으로써, 상기 롤러부(4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안내, 고정 및 지지되는 케이블(c)이 롤러부(420)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진 등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힘을 안정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440)는 상기 롤러부(420)를 감싸는 커버부재(430)가 슬라이드봉(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타 측에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슬라이드봉(410)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당김 성질을 갖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 1탄성부재(510) 및 제 2탄성부재(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탄성부재(510)는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상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 2탄성부재(520)는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하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하부에 연결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탄성부재(510) 및 제 2탄성부재(520)로 구성되는 탄성부재(50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430)가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슬라이딩 및 상, 하부로 이동하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의하면,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력구의 갈림길과 같은 구조에 대응하여 각각의 회전몸체를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동부 및 지지부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는 케이블을 교체 및 보수 작업해야 될 시에 유동부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원활하게 확보하여 케이블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내진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완화가 가능토록 하여 케이블의 단락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판
120 : 고정샤프트 123 : 각도조절홈
200 : 몸체부
210 : 회전몸체
220 : 슬라이드홈 223 : 끼움홈
230 : 삽입홈
240 : 레일부 250 : 각도조절바
300 : 유동부
310 : 슬라이드부재 320 : 유동몸체
321 : 관통부 323 : 홈부
330 : 마감부재
400 : 지지부
410 : 슬라이드봉
420 : 롤러부 421 : 관통홀
430 : 커버부재 431 : 관통홀
440 : 마감부재
500 : 탄성부재
510 : 제 1탄성부재 520 : 제 2탄성부재
m1 : 자석 m2 : 자석
c : 케이블

Claims (2)

  1.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샤프트(120)로 구성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고정샤프트(120)를 축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고정샤프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몸체(210)와, 상기 회전몸체(210)의 외주에 상, 하측으로 길게 내삽 되어 형성되되 상호 대향을 이루며 형성되고, 내부 최상단에 끼움홈(22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220)과, 상기 슬라이드홈(220)의 하부에 각각 이격을 이루며 내삽 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230)으로 구성되는 몸체부(2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홈(220)에 삽입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23)에 끼움 고정 또는 슬라이드홈(220)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부재(31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측단면의 형상보다 큰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부(321)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내삽 되는 호형의 홈부(323)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홈부(323)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는 자석(m1)이 내삽 되어 구성되는 유동몸체(320)와, 상기 유동몸체(320)가 슬라이드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타 측에 구성되는 마감부재(330)로 구성되는 유동부(3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측 중앙부에 삽입 고정되는 슬라이드봉(410)과,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외주 일 측을 감싸며 슬라이드봉(410)을 축으로 수직 회전 및 슬라이드봉(41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되 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측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42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롤러부(420)와, 상기 롤러부(420)의 양 측 단부 및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에 상기 관통홀(421)과 연통되는 관통홀(431)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며, 양 측벽의 상부에 상기 유동몸체(320)의 자석(m1)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m2)이 각각 구성되는 커버부재(430)와, 상기 롤러부(420)를 감싸는 커버부재(430)가 슬라이드봉(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슬라이드봉(410)의 타 측에 구성되는 마감부재(440)로 구성되는 지지부(400);
    상기 슬라이드봉(410)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당김 성질을 갖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상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1탄성부재(510)와, 일 측이 상기 삽입홈(230)의 내부 하측에 연결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커버부재(430)의 일 측벽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2탄성부재(520)로 구성되는 탄성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210)의 상부에는 회전몸체(2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는 한 쌍의 레일부(240)가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40)에는 레일부(24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각도조절바(250)가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바(250)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는 고정샤프트(120)의 외주에는 상기 레일부(24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각도조절바(250)의 일 측이 삽입되는 다수의 각도조절홈(123)이 동일한 원호 상에 이격을 이루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90058485A 2019-05-20 2019-05-20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5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485A KR102155894B1 (ko) 2019-05-20 2019-05-20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485A KR102155894B1 (ko) 2019-05-20 2019-05-20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894B1 true KR102155894B1 (ko) 2020-09-15

Family

ID=7246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485A KR102155894B1 (ko) 2019-05-20 2019-05-20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1593A (zh) * 2020-12-04 2021-03-19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电气工程用线缆支撑架
CN113178818A (zh) * 2021-04-30 2021-07-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社旗县供电公司 一种电缆沟多排布线装置
KR102544916B1 (ko) * 2022-12-23 2023-06-20 주식회사 동명전력 송배전용 지중케이블 시공에 이용되는 이송모듈을 위한 맞춤형 브라켓모듈
CN116667228A (zh) * 2023-07-26 2023-08-29 山东省邮电工程有限公司 一种通信工程施工用缆线铺设辅助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029U (ja) * 1991-04-26 1993-09-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給電線支持具のレールへの取付け構造
JPH1035330A (ja) * 1996-07-22 1998-0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線支持部材
JP2001236842A (ja) * 2000-02-22 2001-08-31 Mitsubishi Cable Ind Ltd 自己支持型ケーブ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715788B1 (ko) * 2016-09-29 2017-03-14 (주)효일이엔지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029U (ja) * 1991-04-26 1993-09-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給電線支持具のレールへの取付け構造
JPH1035330A (ja) * 1996-07-22 1998-0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線支持部材
JP2001236842A (ja) * 2000-02-22 2001-08-31 Mitsubishi Cable Ind Ltd 自己支持型ケーブ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715788B1 (ko) * 2016-09-29 2017-03-14 (주)효일이엔지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1593A (zh) * 2020-12-04 2021-03-19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电气工程用线缆支撑架
CN112531593B (zh) * 2020-12-04 2022-04-0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电气工程用线缆支撑架
CN113178818A (zh) * 2021-04-30 2021-07-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社旗县供电公司 一种电缆沟多排布线装置
CN113178818B (zh) * 2021-04-30 2023-04-11 国网河南省电力公司社旗县供电公司 一种电缆沟多排布线装置
KR102544916B1 (ko) * 2022-12-23 2023-06-20 주식회사 동명전력 송배전용 지중케이블 시공에 이용되는 이송모듈을 위한 맞춤형 브라켓모듈
CN116667228A (zh) * 2023-07-26 2023-08-29 山东省邮电工程有限公司 一种通信工程施工用缆线铺设辅助设备
CN116667228B (zh) * 2023-07-26 2023-10-10 山东省邮电工程有限公司 一种通信工程施工用缆线铺设辅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894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67816B1 (ko)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KR10125703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KR10077542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865401B1 (ko) 배전선 위치 조정장치
CN105696837A (zh) 一种电力支架
KR100923920B1 (ko) 케이블 포설용 써포트 로울러
KR101053203B1 (ko) 공동주택의 공사용 케이블 고정장치
KR20180031525A (ko) 케이블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는 회전이 가능한 전신주와 전력구 겸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347883B1 (ko) 공동구의 송배전 케이블 전력구 배열대
KR100876418B1 (ko)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WO2014111167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2148630B1 (ko)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CN210806647U (zh) 一种电气工程电线电缆走线桥架
KR101045105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CN101420887B (zh) 家具
KR20180016135A (ko) 변류기
KR102063421B1 (ko)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83225B1 (ko)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KR101652667B1 (ko)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CN102930793B (zh) 一种支架
WO2014111168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1504130B1 (ko) 지하 전력구 천정 배전선로 지지대
KR101273628B1 (ko) 시추코어 배럴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추코어 배럴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