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418B1 -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418B1
KR100876418B1 KR1020080079667A KR20080079667A KR100876418B1 KR 100876418 B1 KR100876418 B1 KR 100876418B1 KR 1020080079667 A KR1020080079667 A KR 1020080079667A KR 20080079667 A KR20080079667 A KR 20080079667A KR 100876418 B1 KR100876418 B1 KR 10087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upled
electric cable
ceil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7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 천정에 고정된 베이스의 위치에 상관없이 전기 케이블의 배선 위치(좌우 및 방향)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는, 천정에 매설된 2개 이상의 앵커드럼(2)과;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천정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앵커드럼에 나사 체결되는 앵커볼트(11)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바닥의 안내면(12a)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레일(12)과; 둘레부에 걸림턱(22)이 형성된 평평한 판상이며 상기 레일의 저부에 배치되는 좌우이동판(20)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저면이 볼록한 안내돌기(21a)가 구비되며, 이 안내돌기가 상기 레일의 안내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21)와; 하나 이상의 케이블 안착홈(31a)이 구비된 평평한 판상이며 상기 좌우이동판의 저부에 자전안내축(40)을 통해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조절하는 트레이 본체(31), 상기 트레이 본체의 둘레부에 힌지(32a)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본체에 안착된 전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튼(32), 상기 커튼의 상부에 힌지(33a)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좌우이동판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커튼을 고정하는 행거부(33b)가 구비된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트레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 위치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THE ELECTRIC WIRE DUCT OF AN APARTMENT HOUSE FOR ENABLING POSITION ADJUSTMEN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의 적정 위치에 베이스를 고정하고 전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좌우 및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베이스의 설치 위치와 전기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일치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한편, 공동주택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유선 방송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근래에는 전기 케이블을 천정에 매달기식으로 배선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동주택의 천정 전기 케이블 배선구조는 다음과 같다.
전기 케이블을 천정 슬래브에 배선하기 위하여 상기 천정 슬래브나 천정 프레임에 다수의 체결볼트를 체결하고, 이 체결볼트에 봉 형상의 지지대를 각각 고정하며, 지지대의 하부에 트레이를 너트 체결하여 상기 전기 케이블을 트레이에 안착함으로써 배선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공동주택의 천정 전기 케이블 배선구조에 의하면, 건축물의 구조상 지지대를 설치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이나 천정 프레임 등의 위치에 따라 전기 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지지대를 고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때, 종래 기술은 트레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고정 구조물이기 때문에 전기 케이블을 배선하지 못하거나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물을 천정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지지대를 해체한 후 전기 케이블의 배선 위치에 맞도록 재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해체와 재설치라는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전기 케이블은 반드시 직선으로만 배선되지 않고 배선 방향이 굴절될 수 있지만, 종래 기술은 전기 케이블 자체를 벤딩하여 방향을 바꿀 수 있을 뿐 트레이는 방향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전기 케이블이 굴절되는 부분에서 지지되지 못하므로 전기 케이블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도 전기 케이블의 배선이 용이하도록 트레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트레이의 높이만을 조절할 뿐 전술한 좌 우 위치와 방향 전환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의 구조 상 트레이의 앵커볼트와 전기 케이블의 배선 위치가 다르더라도 트레이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트레이의 재설치없이 전기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는, 천정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저부에 가이드수단을 통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이동판, 상기 좌우이동판에 자전안내축을 매개로 하여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기 케이블이 안착 배선되는 트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에 의하면, 천 정의 구조상 전기 케이블의 배선 위치를 벗어난 곳에 앵커 볼트를 설치할 수밖에 없거나 앵커 볼트의 설치 이후 전기 케이블의 배선 위치가 변경된 경우 앵커 볼트를 해체하지 않고 트레이를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으므로 앵커 볼트의 해체와 재설치에 따른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여 전기 케이블의 배선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에서 트레이의 방향을 전기 케이블의 배선 방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이 방향 전환되는 지점에서도 지지를 받게 되므로 전기 케이블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는, 천정(1)에 고정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우이동판(20), 좌우이동판(2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기 케이블(3)이 안착되는 트레이(30)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트레이(30)를 천정(1)에 고정하는 기초 구조물이다.
베이스(10)는 평평한 판상이거나 채널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며, 천정(1)에 매설된 2개 이상의 앵커드럼(2)에 앵커볼트(11)로 고정된다.
베이스(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11)는 앵커드럼(2)에 나사 체결된다.
베이스(10)는 좌우이동판(2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레일(12)이 구비된다.
좌우이동판(20)은 트레이(30)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매개물이며,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21)가 구비된다.
즉, 좌우이동판(20)은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1)의 안내를 받아 좌우로 이동하여 트레이(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좌우이동판(20)이 레일(12)에서 이탈하지 않고 좌우이동판(20)의 좌우 이동시 동작감을 주기 위하여 레일(12)의 바닥의 안내면(12a)은 요철 형태 예를 들어 파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21)의 저면에는 볼록 형상의 안내돌기(21a)가 형성된다.
좌우이동판(20)의 둘레부에는 후술하는 고정핀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22)이 형성된다.
좌우이동판(20)은 좌우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트레이(30)의 제자리 회전을 안내하는 자전안내축(40)이 결합된다. 자전안내축(40)은 좌우이동판(20)에 제자리 회전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트레이(30)가 제자리 회전되도록 중심을 잡아 준다.
삭제
트레이(30)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안착홈(31a)이 구비된 트레이 본체(31), 트레이 본체(31)에 안착된 전기 케이블(3)의 이탈을 막는 커튼(32), 커튼(32)을 좌 우이동판(20)에 고정하는 고정핀(33)으로 구성된다.
트레이 본체(31)와 자전안내축(40)의 조립구조는, 예를 들어, 트레이 본체(31)의 중앙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자전안내축(40)을 상기 통공에 관통하여 트레이 본체(31)의 저부에서 베어링 등을 결합함으로써 트레이 본체(31)가 자전안내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조립한다.
트레이 본체(31)는 좌우 양측의 커튼(32)이 힌지(32a)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커튼(32)을 젖힌 후 커튼(32)이 세워져 있던 공간을 통해 전기 케이블(3)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할 수 있지만, 커튼(32)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전기 케이블(3)의 수납과 인출이 불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트레이 본체(31)는 자전안내축(40)이 결합되며 케이블 안착홈(31a)이 형성된 고정부(31-1), 일측이 고정부(31-1)에 힌지(31-3)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타측에 힌지(32a)를 매개로 하여 커튼(32)이 결합되는 커버부(32-3)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31-1)는 케이블 안착홈(31a)이 형성되고 자전안내축(40)이 관통되는 구조물이고, 커버부(31-2)는 고정부(31-1)에 힌지(31-3) 결합되어 이 힌지(31-3)를 통해 절첩된다. 도 4에서 처럼, 커버부(31-2)가 고정부(31-1)에서 아래측으로 젖혀지면 트레이 본체(31)는 고정부(31-1)만 남기 때문에 전기 케이블(3)을 간섭하는 길이가 짧아지므로 전기 케이블(3)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할 것이다.
고정핀(33)은 하단부가 커튼(32)에 힌지(33a) 결합되고 상단부에 곡선형의 행거부(33b)가 형성되어 이 행거부(33b)를 통해 좌우이동판(20)의 걸림턱(22)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트레이(30)는 자전안내축(40)에 의해 제자리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좌우이동 판(20)을 통해 좌우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베이스(10)를 앵커볼트(11)의 설치가 용이한 곳에 맞춰 설치한다.
앵커볼트(11)는 앵커드럼(2)에 나사 체결되어 베이스(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1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베이스(10), 좌우이동판(20) 및 트레이(30)는 일체화될 수도 있고, 좌우이동판(20)과 트레이(30)만 일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베이스(10)의 설치시 좌우이동판(20)과 트레이(30)가 간섭될 수 있을 것이므로 좌우이동판(20)과 트레이(30)를 베이스(10)의 설치 후 조립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베이스(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슬라이더(21)를 레일(12)에 맞춰 끼운 후 좌우이동판(20)을 밀거나 당겨 좌우로 이동한다. 레일(12)의 안내면(12a)이 요철 형태이고 슬라이더(21)의 안내돌기(21a)가 볼록형이기 때문에 슬라이더(20)가 레일(12)의 안내면(12a)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안내돌기(21a)가 탄력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좌우이동판(20)이 레일(12)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동작감을 느낄 수 있다.
좌우이동판(20)의 조립시 전기 케이블(3)의 배선 위치에 맞도록 좌우이동판(20)을 이동하여 셋팅한다(도 3참조).
좌우이동판(20)의 위치가 결정되면 전기 케이블(3)의 배선 방향을 확인하여 트레이(30)의 방향을 전기 케이블(3)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트레이(30)는 고정핀(33)이 좌우이동판(2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자전안내축(40)의 안내를 받아 자유자재로 제자리 회전할 수 있으며, 트레이(30)를 회전시켜 전기 케이 블(3)의 배선 방향과 일치시킨다.
지금까지는 전기 케이블(3)의 배선을 위하여 고정핀(33)이 좌우이동판(2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커버부(31-2)가 개방된 상태이다.
트레이(30)의 고정부(1-1)의 안착홈(31a)에 전기 케이블(3)을 각각 안착한 후 고정핀(33)을 좌우이동판(20)의 걸림턱(22)에 걸어 고정하면, 트레이 본체(31)가 좌우이동판(20)에 고정됨과 아울러 커튼(32)에 의해 전기 케이블(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 본체(31)가 고정부(31-1)와 커버부(31-2)로 분할 형성된 경우에는 커버부(31-2)가 힌지(31-3)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고 커튼(32)이 힌지(32a)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여 트레이 본체(31)의 좌우 양측 공간을 폐쇄하여 전기 케이블(3)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케이블(3)이 배선된 상태에서 전기 케이블(3)의 보수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고정핀(33)을 강제로 잡아당기면 커튼(32)이 힌지(32a)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여 케이블 안착홈(31a)의 측방향을 개방하며, 이 개방공간을 통해 전기 케이블(3)을 케이블 안착홈(31a)에 빼낼 수 있다.
트레이 본체(31)가 고정부(31-1)와 커버부(31-2)로 분할 형성된 경우에는 커버부(31-2)가 힌지(31-3)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여 커버부(31-2)가 차지하는 공간만큼의 여유공간이 더 확보되므로 전기 케이블(3)을 더욱 쉽게 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의 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에 적용된 트레이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천정, 2 : 앵커드럼
3 : 전기 케이블, 10 : 베이스
11 : 앵커볼트, 12 : 레일
20 : 좌우이동판, 21 : 슬라이더
30 : 트레이,

Claims (2)

  1. 천정에 매설된 2개 이상의 앵커드럼(2)과;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천정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앵커드럼에 나사 체결되는 앵커볼트(11)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바닥의 안내면(12a)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레일(12)과;
    둘레부에 걸림턱(22)이 형성된 평평한 판상이며 상기 레일의 저부에 배치되는 좌우이동판(20)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저면이 볼록한 안내돌기(21a)가 구비되며, 이 안내돌기가 상기 레일의 안내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21)와;
    하나 이상의 케이블 안착홈(31a)이 구비된 평평한 판상이며 상기 좌우이동판의 저부에 자전안내축(40)을 통해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조절하는 트레이 본체(31), 상기 트레이 본체의 둘레부에 힌지(32a)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본체에 안착된 전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튼(32), 상기 커튼의 상부에 힌지(33a)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좌우이동판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커튼을 고정하는 행거부(33b)가 구비된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트레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는,
    상기 자전안내축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31-1),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31-3)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의 측방향을 개방하는 커버부(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20080079667A 2008-08-13 2008-08-13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087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67A KR100876418B1 (ko) 2008-08-13 2008-08-13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67A KR100876418B1 (ko) 2008-08-13 2008-08-13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418B1 true KR100876418B1 (ko) 2008-12-29

Family

ID=4037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67A KR100876418B1 (ko) 2008-08-13 2008-08-13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4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8269A (zh) * 2013-12-17 2014-03-05 镇江市华阳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桥架
CN107785823A (zh) * 2016-08-24 2018-03-09 向荣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紧固调节功能的水平三通桥架
CN111029998A (zh) * 2019-12-06 2020-04-17 湖南亿网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线管固定用卡板
KR102165899B1 (ko) * 2020-04-03 2020-10-14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404230B1 (ko) 2021-10-29 2022-05-31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 배선덕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77B1 (ko) 2006-09-22 2006-12-15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697644B1 (ko) 2006-11-28 2007-03-20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건축물 및 전기 시설물의 전기 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77B1 (ko) 2006-09-22 2006-12-15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697644B1 (ko) 2006-11-28 2007-03-20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건축물 및 전기 시설물의 전기 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8269A (zh) * 2013-12-17 2014-03-05 镇江市华阳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桥架
CN107785823A (zh) * 2016-08-24 2018-03-09 向荣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紧固调节功能的水平三通桥架
CN111029998A (zh) * 2019-12-06 2020-04-17 湖南亿网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线管固定用卡板
KR102165899B1 (ko) * 2020-04-03 2020-10-14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404230B1 (ko) 2021-10-29 2022-05-31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 배선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418B1 (ko)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0846617B1 (ko)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0972468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분전함
KR10075821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CN103526827B (zh) 一种幕墙立柱与建筑主体连接结构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WO2015102276A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0658661B1 (ko)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2019192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1954847B1 (ko) 지하 전력구 분할 배전선로 지지대
KR20100000053A (ko) 선상이동이 가능한 도어벽체 구조
KR100695784B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102091359B1 (ko)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CN212900146U (zh) 一种大型公共建筑安装工程管线综合排布技术综合支吊架
KR20150022577A (ko) 마감품질을 위해 높낮이 조절되는 가변형 분전함
KR20090032268A (ko) 이동 조명장치
CN113700419A (zh) 一种双开室内隔断
KR102155208B1 (ko) 체결형 ct 및 pt 구조
CN109495060B (zh) 一种太阳能板支撑结构
KR101110872B1 (ko)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CN219874896U (zh) 一种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