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99B1 -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99B1
KR102165899B1 KR1020200041203A KR20200041203A KR102165899B1 KR 102165899 B1 KR102165899 B1 KR 102165899B1 KR 1020200041203 A KR1020200041203 A KR 1020200041203A KR 20200041203 A KR20200041203 A KR 20200041203A KR 102165899 B1 KR102165899 B1 KR 10216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member
member installation
cove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영
Original Assignee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4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25Pl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베란다와 접하는 실내의 가장자리에 차광을 위한 차광부재(커튼, 블라인드 등)를 설치하도록 천정부에 바닥을 향해 개방되는 홈의 공간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배선함과 아울러 차광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는, 내부에 전기 배선부(15)와 차광부재 설치부(16)의 공간이 구비되며 공동주택의 슬래브나 벽체에 고정되는 덕트 몸체(10)와; 상기 전기 배선부 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선을 지지하는 전기선 홀더(20)와; 상기 덕트 몸체의 전기 배선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배선부 덮개(30)와; 상기 배선부 덮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를 포함하여, 공동주택의 천정부 가장자리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되며 차광부재의 미사용 시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를 통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가 폐쇄되고, 상기 덕트 몸체는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의 전후방에 각각 하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후방 벽(12,13) 및 중앙의 격벽(14)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 배선부와 차광부재 설치부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배선부 덮개는 상기 전기 배선부를 덮는 면적이며 저부에 안내레일(32)이 구성되고, 일측이 상기 덕트 몸체의 후방 벽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는 상기 배선부 덮개의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를 개폐하는 한편, 선단부의 록킹돌기(41)가 상기 덕트 몸체의 전방 벽에 형성되는 록킹홈(17)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덕트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를 폐쇄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An electrical wiring duct in an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주거 공간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공간을 전기 배선의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차광부재의 설치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공동주택은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한편, 공동주택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유선 방송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근래에는 전기 케이블을 천정에 매달기식으로 배선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78226호는 단면이 십자형상으로 십자몸체가 케이블이 설치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십자몸체 돌출된 부분 단부 양측단에 힌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십자몸체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봉이 돌출 형성되고, 고정봉의 단부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덕트본체; 십자몸체의 돌출된 길이만큼의 폭을 가진 네쌍의 장방형 판체의 일측단에 힌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덕트본체의 힌지부와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판체의 힌지부 반대편 단부에서 길이방향 양단에 홈부와 돌출부가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판체의 단부가 서로 맞닿을 때 홈부에 돌출부가 삽입되고, 홈부에 돌출부가 삽입되었을 때 홈부와 돌출부의 측부로 사각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덮개판체;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봉체의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자성을 띄도록 형성되는 자석봉; 행거봉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고 고정봉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양측 홀의 내경에 각각 형성된 커플러;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용 덕트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는 전기선의 배선만 가능할 뿐이고 또한, 별도의 공간을 준비하여 설치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7822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베란다와 접하는 실내의 가장자리에 차광을 위한 차광부재(커튼, 블라인드 등)를 설치하도록 천정부에 바닥을 향해 개방되는 홈의 공간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배선하도록 하고 또한, 커튼 등의 차광부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는, 내부에 격벽을 통해 서로 구획되면서 각각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전기 배선부와 차광부재 설치부의 공간이 구비되며 공동주택의 슬래브나 벽체에 고정되는 덕트 몸체와; 상기 전기 배선부 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선을 지지하는 전기선 홀더와; 상기 덕트 몸체의 전기 배선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배선부 덮개와; 상기 배선부 덮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를 포함하여, 공동주택의 천정부 가장자리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되며 차광부재의 미사용 시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를 통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가 폐쇄되고, 상기 덕트 몸체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후방에 각각 하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후방 벽 및 중앙의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 배선부와 차광부재 설치부가 저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면서 서로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배선부 덮개는 상기 전기 배선부를 덮는 면적이며 저부에 안내레일이 구성되고, 일측이 상기 덕트 몸체의 후방 벽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는 상기 배선부 덮개의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를 개폐하는 한편, 선단부의 록킹돌기가 상기 덕트 몸체의 전방 벽에 형성되는 록킹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덕트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천정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공간에 전기배선부와 차광부재 설치부의 공간을 마련하여 전기선을 배선함으로써 별도의 공간 확보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차광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덮개를 통해 홈을 막아 천정의 일관성도 부여함으로써 미관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덮개에 필터를 적용하여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쾌적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적용된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의 필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에 적용된 전기 배선박스와 차광부재 설치박스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100)는, 내부에 전기선(1)이 배선되는 전기 배선부(11)와 차광부재(커튼, 블라인드 등)(2)의 설치를 위한 차광부재 설치부(12)의 공간이 구비되는 덕트 몸체(10), 덕트 몸체(10) 내부에 장착되며 전기선(1)을 지지하는 전기선 홀더(20), 덕트 몸체(10)의 전기 배선부(11)를 개폐하는 배선부 덮개(30), 덕트 몸체(10)의 차광부재 설치부(12)를 개폐하는 커는부 덮개(4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 실내의 천정부 가장자리에 차광부재(2)의 설치를 위하여 바닥을 향해 개방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전기선을 배선하도록 구성된다.
덕트 몸체(10)는 상부판(11), 이 상부판(11)의 전후방에 각각 하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후방 벽(12,13) 및 이들(12,13) 사이의 격벽(14)으로 구성되어 저부를 향해 개방되며 서로 구획되는 공간인 전기 배선부(15)와 차광부재 설치부(16)가 형성된다.
전후방 벽(12,13)과 격벽(14)은 전기 배선부(15) 공간의 과열 방지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환기홀(12a,13a,14a)을 포함한다.
차광부재 설치부(16)는 빈 공간으로 차광부재(2)의 설치를 위한 봉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 상기 봉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덕트 몸체(10)는 바람직하게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며 앵커를 통해 공동주택의 슬래브 또는 벽체에 고정된다.
덕트 몸체(10)는 공동주택의 설계와 면적 등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도록 2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배열되어 사용되고 물론 배선부 덮개(30)와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전기선 홀더(20)는 덕트 몸체(10)의 전기 배선부(15) 안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또는 피스)로 고정되는 고정부, 일측이 개방된 원의 형태로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전기선(1)이 수용되는 행거부로 구성되며 덕트 몸체(10)의 전기 배선부(15)에 2개 이상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배선부 덮개(30)는 덕트 몸체(10)의 전기 배선부(15)의 개방부를 덮는 면적의 판재이며 일측이 덕트 몸체(10)의 후방 벽(13)에 힌지(경첩)로 연결되어 회동식으로 동작하면서 전기 배선부(15)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배선부 덮개(30)는 상기 힌지의 반대쪽인 자유단부가 격벽(14)의 저부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또는 피스)로 고정되고, 이 때, 격벽(14)의 저부에는 상기 체결구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하여 횡방향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너트부가 구성된다.
배선부 덮개(30)는 전기선(1)의 분기 작업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분기홀(31)을 포함한다.
또한, 배선부 덮개(30)는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지지기반으로도 사용되며, 저부에 안내레일(32)이 구비된다.
안내레일(32)은 배선부 덮개(30)의 길이방향 양쪽 즉 2개소에 턱의 형태로 형성되어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의 양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는 차광부재 설치부(16)를 개폐하는 면적의 판재로서 차광부재(2)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 1과 같이 차광부재 설치부(16)를 폐쇄하여 공동주택의 천정부를 홈이 없는 동일 평면으로 보이도록 하고 차광부재(2)를 사용할 때 도 3과 같이 차광부재 설치부(16)를 개방하여 차광부재(2)를 사용하도록 한다.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는 길이방향의 양쪽이 배선부 덮개(30)의 안내레일(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는 구조적으로 차광부재 설치부(16)를 폐쇄할 경우 후단부만 안내레일(32)에 지지되어 선단부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단부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41)가 형성되고 이 록킹돌기(41)는 덕트 몸체(10)의 전방 벽(12)에 형성되는 록킹홈(17)에 삽입 결합된다. 즉,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는 선단부가 덕트 몸체(10)에, 후단부가 배선부 덮개(30)에 지지되기 때문에 처짐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설치.
공동주택의 천정부 가장자리에 있는 홈에 본 발명에 의한 전기 배선 덕트(100)를 설치하며, 이 때 전기 배선 덕트(100)는 상기 홈의 밑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이다. 전기 배선 덕트(100)의 설치는 덕트 몸체(10)를 슬래브나 벽체에 앵커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2. 전기선 배선.
공동주택의 신축 공사 또는 전기선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 전기 배선부(15)를 개방한다. 이 때, 배선부 덮개(30)는 일측이 힌지를 통해 덕트 몸체(10)에 연결되어 있고 자유단부가 덕트 몸체(10)에서 분리되어 전기 배선부(15)를 개방하는 것이다.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는 배선부 덮개(30)의 안내레일(32)에 수납되어 함께 동작하지만 차광부재(2)의 사용을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선 홀더(20)가 노출되며, 전기선(1)을 전기 배선부(15) 안에 삽입한 후 전기선 홀더(20)에 걸어 고정하는 방법으로 배선한다.
전기선(1)의 배선을 완료한 후 배선부 덮개(30)를 전기 배선부(15)의 개방부로 올린 후 자유단부를 체결구로 격벽(14)에 고정하면, 전기 배선부(15)는 배선부 덮개(30)를 통해 폐쇄된다.
차광부재(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를 배선부 덮개(30)에서 인출하여 차광부재 설치부(16)를 폐쇄한다.
3. 차광부재 설치.
차광부재(2)를 사용할 경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를 배선부 덮개(30) 밑으로 슬라이딩시켜 차광부재 설치부(16)를 개방한다.
이렇게 개방된 차광부재 설치부(16) 안에 차광부재(2)용 봉(2a)(원형봉이나 사각형 프레임 등)을 조립하고 봉(2a)에 차광부재(2)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를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가 판재이면서 길이방향 양쪽을 제외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이용하여 이 부분에 필터(50)(도 4 참고)를 적용한다.
필터(50)는 차광부재 설치부(16)의 개방 시와 폐쇄 시 모두 먼지의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에 상하로 관통하는 사각형의 필터홀을 형성하며, 필터(50)를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필터홀에 삽입 장착한다. 필터(50)는 끼움식, 피스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은 덕트 몸체(10)의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로 분할 구성되어 각각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높이조절 베이스(60)를 더 포함하고, 전기 배선박스(15-1)에는 배선부 덮개(30) 및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가 전술한 일체형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차광부재 설치박스(16-1)가 높이조절되는 경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가 배선부 덮개(30) 안에 삽입 수납되기 때문에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는 자유롭게 높이조절된다.
높이조절 베이스(60)는 천정부에 앵커를 통해 고정되고,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전후 양쪽에 높이조절 볼트(61,62)가 구성되고, 높이조절 볼트(61,62)에는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 너트(63,64)가 포함된다. 높이조절 너트(63,64)는 후술하는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의 날개부(15-2,16-2)의 상하 양쪽에 각각 체결 가능하다.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는 서로 반대쪽에 높이조절 볼트(61,62)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15-2,16-2)가 구성되어, 각각 승강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이 때,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는 마주하는 면에 각각의 높이조절 시 서로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안내돌기(15-3)와 안내홈(16-3)이 구성된다. 안내돌기(15-3)와 안내홈(16-3)은 전후좌우 비틀림을 막으면서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위하여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형성된다.
즉, 높이조절 너트(63,64)를 풀고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를 함께 승강시켜 높이를 맞춘 후 높이조절 너트(63,64)를 체결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한편, 전기 배선박스(15-1)와 차광부재 설치박스(16-1) 중 어느 하나만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며, 이 때, 일측은 날개부(15-2,16-2)를 통해 높이조절 볼트(61,62)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안내돌기(15-3)와 안내홈(16-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기선(1) 배선과 차광부재(2)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공동주택의 환경 등에 맞는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교체가 필요한 것만 선택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할 수 있다.
10 : 덕트 몸체, 11 : 상부판
12,13 : 전후방 벽, 14 : 격벽
15 : 전기 배선부, 15-1 : 전기 배선박스
15-2,16-2 : 날개부, 15-3 : 안내돌기
16 : 차광부재 설치부, 16-1 : 차광부재 설치박스
16-3 : 안내홈, 17 : 록킹홈
20 : 전기선 홀더,
30 : 배선부 덮개, 31 : 분기홀
32 : 안내레일,
40 :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 41 : 록킹돌기
50 : 필터, 60 : 높이조절 베이스
61,62 : 높이조절 볼트, 63,64 : 높이조절 너트

Claims (4)

  1. 내부에 전기 배선부(15)와 차광부재 설치부(16)의 공간이 구비되며 공동주택의 슬래브나 벽체에 고정되는 덕트 몸체(10)와;
    상기 전기 배선부 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선을 지지하는 전기선 홀더(20)와;
    상기 덕트 몸체의 전기 배선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배선부 덮개(30)와;
    상기 배선부 덮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40)를 포함하여, 공동주택의 천정부 가장자리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되며 차광부재의 미사용 시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를 통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가 폐쇄되고,
    상기 덕트 몸체는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의 전후방에 각각 하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후방 벽(12,13) 및 중앙의 격벽(14)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 배선부와 차광부재 설치부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배선부 덮개는 상기 전기 배선부를 덮는 면적이며 저부에 안내레일(32)이 구성되고, 일측이 상기 덕트 몸체의 후방 벽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는 상기 배선부 덮개의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를 개폐하는 한편, 선단부의 록킹돌기(41)가 상기 덕트 몸체의 전방 벽에 형성되는 록킹홈(17)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덕트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를 폐쇄하고,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배선부 덮개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는 좌우 양측이 상기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는 공동주택의 실내에 있는 대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여 여과하는 필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몸체의 전후방 벽과 격벽에 각각 형성되는 환기홀,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에 형성되는 환기홀을 포함하여, 상기 차광부재 설치부 덮개의 개방 시와 폐쇄 시 모두 상기 전기 배선부가 환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천정부에 고정되는 높이조절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몸체는 상기 전기 배선부와 차광부재 설치부가 단품으로 전기 배선박스(15-1) 및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 베이스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높이조절 베이스는 저면의 전후 양쪽에 형성되는 높이조절 볼트(61,62) 및 상기 높이조절 볼트에 체결되는 높이조절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배선박스(15-1) 및 차광부재 설치박스(16-1)는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 볼트가 끼워지는 날개부(15-2,16-2) 및 서로 마주하는 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돌기(15-3)와 안내홈(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0200041203A 2020-04-03 2020-04-03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16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03A KR102165899B1 (ko) 2020-04-03 2020-04-03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03A KR102165899B1 (ko) 2020-04-03 2020-04-03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99B1 true KR102165899B1 (ko) 2020-10-14

Family

ID=7284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03A KR102165899B1 (ko) 2020-04-03 2020-04-03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9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19Y1 (ko) * 2002-01-21 2002-04-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60101738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0761047B1 (ko) * 2007-04-10 2007-09-21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79667B1 (ko) * 2007-04-24 2007-11-26 (주)이도엔지니어링 기술사사무소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80043487A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창호용 배선정리 커버
KR100876418B1 (ko) * 2008-08-13 2008-12-29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0978226B1 (ko) 2010-03-26 2010-08-26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용 덕트
KR101019126B1 (ko) * 2010-04-14 2011-03-07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101640351B1 (ko) * 2015-12-11 2016-07-15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1876564B1 (ko) * 2018-04-11 2018-07-10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19Y1 (ko) * 2002-01-21 2002-04-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60101738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20080043487A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창호용 배선정리 커버
KR100761047B1 (ko) * 2007-04-10 2007-09-21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79667B1 (ko) * 2007-04-24 2007-11-26 (주)이도엔지니어링 기술사사무소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76418B1 (ko) * 2008-08-13 2008-12-29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위치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100978226B1 (ko) 2010-03-26 2010-08-26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용 덕트
KR101019126B1 (ko) * 2010-04-14 2011-03-07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101640351B1 (ko) * 2015-12-11 2016-07-15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1876564B1 (ko) * 2018-04-11 2018-07-10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US6253711B1 (en) Window mounted pet portal
KR102165899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ITBO20060169A1 (it) Porta di tipo apribile e richiudibile tramite automatismo.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0652890B1 (ko) 건축물 창문틀용 방충망 구조
KR100682465B1 (ko)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
KR101044100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
JPH06158961A (ja) 網戸装置
CN210422388U (zh) 智慧型太阳能阻尘灭蚊多功能窗系统
DE3643075A1 (de) Vorhangbeleuchtung
JP5197450B2 (ja) ガラリ戸付き建物
JPH0691861B2 (ja) カーテン材料取り付け器具
SE504736C2 (sv) Inbyggnad vid balkonger
US3921619A (en) Fireplace safety and decorative closure device
KR101366508B1 (ko)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CN213807416U (zh) 多功能组合式窗体结构
AU2009100180A4 (en) Closure Panelling
JPS5927818Y2 (ja) 組み合わせ洗面化粧台
GB2147043A (en) Window construction incorporating means for cultivation of plants
KR102532157B1 (ko) 다용도 커튼박스
JP4926849B2 (ja) シャッターユニット
JPH0413353Y2 (ko)
JPH0444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