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738A -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738A
KR20060101738A KR1020050023321A KR20050023321A KR20060101738A KR 20060101738 A KR20060101738 A KR 20060101738A KR 1020050023321 A KR1020050023321 A KR 1020050023321A KR 20050023321 A KR20050023321 A KR 20050023321A KR 20060101738 A KR20060101738 A KR 20060101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necting member
wiring duct
couple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191B1 (ko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5002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19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는 배선용 덕트를 접속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측 공간부에 상부덮개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측 공간부에 베이스 커버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좌우로 연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 하측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로 연속되는 접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장형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제공한 것이다.
또한, 내측으로 복수의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는 좌우로 연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 외측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로 연속되는 접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장형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덕트와 덕트의 본체를 연결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접속재를 통해 본체가 결합된 후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속 구조이다.
배선, 덕트, 접속재, 격벽, 전선, 조명

Description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Duct for Wiring}
도 1은 종래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선용 덕트의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접속재 11, 12: 측벽
13, 14: 절곡부 15: 상단부
16: 골 17: 관통공
18: 돌기 19: 돌출부
20: 본체 21: 격벽
22, 23: 체결턱 24, 25: 안착돌기
26, 27: 결합홈 28, 29a, 29b: 요홈
30: 상부덮개 31, 32: 결합턱
40: 베이스 커버 50: 결합부재
60: 고정부재 100: 덕트
a1-a4: 모따기부 c1, c2: 공간부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는 배선용 덕트를 접속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 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로 배선용 덕트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더욱이 종래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71398호에 개시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 덕트 모듈'에 관한 기술에서는 배선 덕트가 조명용 기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 환경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배선 덕트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배선용 덕트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복수의 덕트를 직선으로 연결 및 조합하거나 직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하였다. 따라서 배선용 덕트를 설치하는 경우에 단순히 설계된 작업도면을 이용하거나 현장에 따라 즉흥적으로 설치하는 등, 배선용 덕트의 설치 및 배치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미관 및 안전을 저해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 덕트를 실내조명을 위하여 직선으로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조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정 등의 구석진 부분이나 중앙 부분 등에서 외관상 미려함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설치도 용이하지 않았고, 조명등의 조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4-96981호의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구조'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첨부된 도 1에서, 배선덕트(110a-110c)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내장형 접속재(111)를 배선덕트(110a-110c)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배선 덕트의 연결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지만, 접속재(111)를 배선덕트(110a-110c) 내측으로 삽입할 때에 접속재의 외측 벽면과 배선덕트의 내측 벽면과의 면 마찰에 의하여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접촉 면적은 줄이면서 유연하고 용이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의 결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측 공간부에 상부덮개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측 공간부에 베이스 커버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좌우로 연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 하측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로 연속되는 접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내측으로 복수의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는 좌우로 연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 외측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로 연속되는 접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배선용 덕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의 본체 구조와, 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접속재의 구조, 그리고 본체와 접속재와의 결합상태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와 견고한 결합력을 도모한 것이다.
본체(20)는 좌우로 연속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측벽 사이에 상측 및 하측의 공간을 가로로 분할하는 격벽(21)이 구비되어 있다. 격벽(21)으로부터 본체(20)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부(c1)에는 상부덮개(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부덮개(30)는 양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턱(31, 32)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20)의 격벽(21) 상단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26, 27)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결합은 결합홈(26, 27)에 결합턱(31, 32)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상방으로부터 억지 끼움으로 눌러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격벽(21)으로부터 본체(20)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c2)에는 베이스 커버(4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베이스 커버(40, 41)는 양단에 상방으로 체결돌기(41, 42)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20)의 격벽(21) 하단에 형성된 체결턱(22, 23)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결합은 체결턱(22, 23)에 체결돌기(41, 42)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거나 하방으로부터 억지 끼움으로 눌러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격벽(21)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요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2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재(10)는 좌우로 연속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c2)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접속재(10)는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18)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18)는 상기 격벽(21) 하단 내측에 면 접촉된다.
상기 접속재(10)의 측벽부(11, 12) 하단은 각각 외측으로 소정 각도로 꺾어진 절곡부(13, 14)가 형성된다. 절곡부(13, 14)는 사선방향, 예를 들어, 외측으로 약 45ㅀ 각도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구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1ㅀ~89ㅀ)로 절곡되어도 좋다. 그리고 절곡부(13, 14)는 본체(20)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c2)의 내측벽으로 결합되면서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c2) 내측벽에 형성된 안착돌기(24, 25)에 올려져 각각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18)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절단된 모따기부(a3)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재(10)의 절곡부(13, 14) 전방 및 후방에는 소정 각도, 예로서 사선방향으로 약 45ㅀ의 각도로 절단된 모따기부(a4)(도 5 참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구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1ㅀ~89ㅀ)의 절단된 모따기 형태이어도 좋다. 이는 접속재(10)를 본체(20)에 삽입할 때에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속재(10)는 측벽부(11, 12)와 상단부(15)가 접하여 직각으로 절곡되는 모서리에 사선방향으로 약 45ㅀ 각도로 모따기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구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1ㅀ~89ㅀ)의 모따기를 하여도 좋다. 이는 모서리에 별도로 모따기를 하는 것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측벽부(11, 12)와 상단부(15)가 사선으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부(a1, a2)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접속재(10)의 상단부(15) 중앙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골(16)이 형성되는 데, 이는 격벽(21)의 형상에 따라 골(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속재(10)의 강성을 도모하거나 격벽(21)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절곡된 형상의 골(16)이 형성되어도 좋다.
더욱이 본체(2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c2)에 결합되는 접속재(10)는 결합된 위치에서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속재(10) 중앙에 형성된 골(16)의 관통공(17)을 통해 고정부재(60)로 격벽(21)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28)에 고정시키는 구조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40)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결합부재(50)가 결합된다. 결합부재(50)는 결합되는 조명등, 예로, 형광등의 길이나 모양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는 배선용 덕트에 접속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접속재(10)의 하단에 절곡부(13, 14)가 각각 형성되고, 다시 절곡부(13, 14)를 사선방향으로 절단한 모따기가 이루 어지며, 본체(20)의 격벽(21) 내측과 접속재(10)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100)가 모여 결합되거나 분기되는 위치에 접속재(10)가 각각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속재(10)를 배선용 덕트의 본체(20)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에 접속의 대상이 되는 배선용 덕트(10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c2)의 격벽(21) 내측에 접속재(10)의 상단을 일치시킨다. 이때 측벽(21)의 내측 표면으로 접속재(10) 상단에 형성된 돌기(18)를 일치시키고, 접속재(10)의 절곡부(13, 14)를 본체(20) 내측의 안착돌기(24, 25)에 위치시킨다.
안착돌기(24, 25)에 절곡부(13, 14)가 각각 삽입될 때에 절곡부(13, 14)의 정면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모따기부(a4)로부터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모따기부(a4)가 안착돌기(24, 25)에 삽입될 때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작업자가 접속재(10)를 본체(20)에 끼울 때에 절단된 모따기부(a4)를 안착돌기(24, 25)에 올려놓은 채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더욱이 접속재(10)의 측벽부(11, 12)와 상단부(15) 사이에도 모따기부(a1, a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2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c2)의 내측과 격벽(21) 사이의 접촉면을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삽입 및 결합할 때에 간섭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한편, 접속재(10)의 상단부(15)에 사다리꼴 형상의 골(16)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20)의 격벽(21)에 형성된 요홈(28)을 통하여 고정부재(60)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즉 골(16)에 복수의 관통공(17)을 형성시켜 고정부재(60)로 요홈(28)에 고정 및 결합함으로써 본체(20)의 격벽(21)과 접속재(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골(16)의 형태는 격벽(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복수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접속재(10)를 본체(20)에 삽입하여 결합된 후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접속재(10)가 본체(2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접속재(10)가 본체(20)에 결합될 때에 마찰면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결합 후에는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배선용 덕트의 본체(20)로부터 접속재(10)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마찰면적이 적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접속재(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본체(20)의 상단 및 하단에 상부덮개(30) 및 베이스 커버(40)를 삽입하거나 억지 끼움 등으로 결합함으로서 배선용 덕트의 연결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20)와 본체(20)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재(10)는 본체의 구조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0)의 외관에 접속되는 외장형 접속재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범주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 6에서, 본체(20)는 상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서, 상단에는 요홈(28)이 형성되고, 좌우의 측벽에도 요홈(29a, 29b)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하단에는 베이스 커버(40)와 결합부재(5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체(20)를 접속하여 결합하기 위한 외장형 접속재 (10)는 본체(20)의 상단과 면접촉하는 내측에 복수의 돌기(18)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본체(20)의 외측벽과 면접촉하는 내측에 복수의 돌기(18)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재(10)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3, 14)가 본체(20)의 측벽에 형성된 요홈(29a, 29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하단의 절곡형태는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다시 상단으로 절곡된 형태이어도 좋다. 더욱이 접속재(10)의 상단은 본체(20)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28)에 고정부재(60)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관통공(17)을 갖는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재(10)의 내측으로 형성된 돌기(18)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소정 각도로 모따기부(a3)가 형성되어 있어 접속재(10)를 본체(2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20)의 형태에 따라 변형된 형태의 접속재(10)가 적용된 것이고, 접속재(10)와 본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20)와 접속재(10)가 면접촉되는 부분이 복수의 돌기(18)에 의하여 덕트의 본체(20)를 연결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재(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접속재(10)를 통해 본체(20)가 결합된 후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는 복수로 설치되는 덕트와 덕트의 본체를 연결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접속재를 통해 본체가 결합된 후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속 구조로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종 배선작업에 있어서 제조원가를 절감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측 공간부에 상부덮개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측 공간부에 베이스 커버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좌우로 연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 하측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로 연속되는 접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의 측벽부 하단은 각각 소정 각도로 꺾어진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전방 및 후방에 소정 각도로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재의 측벽부와 상단부가 접하는 모서리가 소정 각도로 모따기부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재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소정 각도로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재의 상단부 중앙에 사다리꼴 형상의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의 절곡부는 본체 하측 공간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각각 올려져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4.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내측으로 복수의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는 좌우로 연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 외측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로 연속되는 접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소정 각도로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외측 상단에 접하는 부분과 본체의 외측벽에 접하는 부분에 각각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요홈에 고정부재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관통공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요홈에 접속재의 하단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20050023321A 2005-03-21 2005-03-21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074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321A KR100745191B1 (ko) 2005-03-21 2005-03-21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321A KR100745191B1 (ko) 2005-03-21 2005-03-21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738A true KR20060101738A (ko) 2006-09-26
KR100745191B1 KR100745191B1 (ko) 2007-08-01

Family

ID=3763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321A KR100745191B1 (ko) 2005-03-21 2005-03-21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1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09Y1 (ko) * 2007-01-25 2008-07-04 정승문 조명등용 프레임
KR100953876B1 (ko) * 2008-01-15 2010-04-20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102165899B1 (ko) * 2020-04-03 2020-10-14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20220045859A (ko) * 2020-10-06 2022-04-13 알앤에스 (주)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21Y1 (ko) 2007-08-14 2009-10-28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형 배선덕트
KR200447906Y1 (ko) 2009-06-29 2010-03-03 주식회사 룩스원 브래킷을 포함하는 에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93Y1 (ko) * 2000-07-07 2000-12-15 김경미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JP4488275B2 (ja) 2001-06-22 2010-06-23 フジプレコン株式会社 収納管路の施工方法及び収納管路用ブロ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09Y1 (ko) * 2007-01-25 2008-07-04 정승문 조명등용 프레임
KR100953876B1 (ko) * 2008-01-15 2010-04-20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102165899B1 (ko) * 2020-04-03 2020-10-14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20220045859A (ko) * 2020-10-06 2022-04-13 알앤에스 (주) 케이블 트레이용 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191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191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US8062042B2 (en) Internal bus bar and an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therefor
US6722918B2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U2018375417B2 (en) Coupler for light fixture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JP2011505783A (ja) 配線モール連結部の被覆具
WO2014057679A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536312B1 (ko) 조립식 조명등 케이스
JP7085765B2 (ja) 電源レールシステム
CN216312106U (zh) 用于连接灯条的连接器
US20070247874A1 (en) Lamp bulb assembly
JP7251271B2 (ja) 照明装置
KR20100019771A (ko)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JP4506974B2 (ja) 照明器具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CN215764790U (zh) 一种灯槽结构
JP6971678B2 (ja) 照明具、照明装置、及び、照明具の製造方法
JP2006090060A (ja) 壁面パネルのコーナー連結構造
KR100884937B1 (ko) 배선 덕트 결합 조정 접속장치
CN214246477U (zh) 一种组合式金属踢脚线
JP6983000B2 (ja) 照明具、照明装置、及び、照明具の製造方法
JP7253870B2 (ja) 照明具及び照明装置
JPH04292885A (ja) ハーネスプラグ
JP2006328900A (ja) 建築用化粧材の取付構造、および当該構造に使用する固定具
JP2019029071A (ja) 照明具、照明装置、及び、照明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