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771A -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771A
KR20100019771A KR1020080078488A KR20080078488A KR20100019771A KR 20100019771 A KR20100019771 A KR 20100019771A KR 1020080078488 A KR1020080078488 A KR 1020080078488A KR 20080078488 A KR20080078488 A KR 20080078488A KR 20100019771 A KR20100019771 A KR 2010001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light emitting
finishing material
emitting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미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미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미컴
Priority to KR102008007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9771A/ko
Publication of KR2010001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가지는 건축물의 마감재에 있어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라인과,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다수의 접속 피스가 체결되어 전원라인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접속 피스를 통해서 전원라인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가 마련되는 발광소자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라인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접속 피스의 체결만으로 발광소자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발광소자의 개수에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고정부재를 다수로 설치하더라도 전원라인간의 접속을 통해서 어느 한 쌍의 전원라인에만 전원을 공급해도 되기 때문에 설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단일의 아답터만으로도 구동하며,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P1020080078488
프레임, 고정부재, 발광소자 모듈, 본체, PCB, 접속 피스

Description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FINISHING MEMBER HAVING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며, 손쉽게 다수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경우 거주자의 편리함을 위한 기능적인 요소가 고려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다양한 심미적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장식적인 요소가 고려되며, 이러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구조와 함께 실내 인테리어도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추세로 인하여 단독 주택, 아파트 등의 거주공간 뿐만 아니라 빌딩 등의 사무실, 나아가 호텔이나 백화점 등의 문화 공간 등에서도 장식미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천장과 벽면의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마감재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간접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적인 요소를 돋보이기 위하여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재도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재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제10-2005-0037206호의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으로서, 마감 몰딩본체부(100)와, 마감 몰딩본체부(100)의 내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전원장치부(30)와, 전원장치부(30)의 저면에 발광소자(50)가 배열 장착된 PCB 기판(60)을 포함한다.
전원장치부(30)는 몰딩본체부(100)의 내부면에 착탈이 되도록 구성하고, 안정기 회로부의 절연이 되도록 커버를 끼워 구성하고, 절연된 회로부에 탄성체 클립(10)으로 끼워 몰딩본체부(100)에 끼워 결합한다.
PCB 기판(60)은 몰딩본체부(100)의 내부면에 착탈이 되도록 구성하고, PCB 기판(60)에 장착된 절연러버(40)와, 절연러버(40)가 끼워진 PCB 기판(60)을 보조패널의 내부에 끼워 고정하고, 보조패널의 외부면에는 탄성체 클립(10)을 끼워 고정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재는, 발광소자가 설치된 PCB 기판과 전원장치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길이가 길어질수록 필요한 안정기 회로부와 아답터 등의 개수가 늘어남으로써 시공 비용을 높이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안정기 회로부의 제조에 대한 한계로 인해서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며, 손쉽게 다수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건축물의 마감재에 있어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라인과,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다수의 접속 피스가 체결되어 전원라인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접속 피스를 통해서 전원라인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가 마련되는 발광소자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원라인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접속 피스의 체결만으로 발광 소자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발광소자의 개수에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고정부재를 다수로 설치하더라도 전원라인간의 접속을 통해서 어느 한 쌍의 전원라인에만 전원을 공급해도 되기 때문에 설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단일의 아답터만으로도 구동하며,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10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0)와, 고정부재(1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라인(130)과, 고정부재(120)에 고정되어 전원라인(130)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발광소자(141)가 마련되는 발광소자 모듈(14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건축물, 예컨대, 천장(1)과 벽면(2)의 연결부위 또는 벽면(2)과 바닥면의 연결부위 그 밖에 필요한 위치에 양면 테이프, 접착제, 스테이플러, 스크루 등을 사용하여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장식미를 위하여 알루미늄(Al)이나 그 밖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내측의 공간(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개방 형성되는 부위에 고정부재(120)가 설치되되, 발광소자(141)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수직의 벽면(2)에 경사진 방향으로 조사됨으로써 광이 실내에 적절하게 발산되도록 고정부재(120)가 발광소자(141)를 경사진 상태로 노출시키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프레임(110)은 고정부재(120)가 비스듬하게 고정되도록 개방 부위의 양측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 1 및 제 2 결합돌기(112,113)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결합돌기(112,113)가 고정부재(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21,122)에 결합된다.
고정부재(120)는 프레임(110)의 개방된 측에 고정되는 경우 프레임(110)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조립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돌기(123)가 마련되고,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발광소자 모듈(140)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4)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발광소자 모듈(140)과의 사이에 전원라인(130)이 안착되는 안착홈(1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전원라인(130)은 피복을 가지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하지 않고 피복을 가지지 아니하는 전선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아답터 를 통해서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소자(141)에 제공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12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고, 고정부재(120)의 안착홈(125)에 안착됨으로써 설치된다.
발광소자 모듈(140)은 고정부재(120)에 고정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접속 피스(142)가 관통하여 전원라인(130)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접속 피스(142)를 통해서 전원라인(130)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발광소자(141)가 마련되며, 접속 피스(142)는 일 예로 나사못이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 모듈(140)은 고정부재(120)에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접속 피스(142)가 전원라인(130)을 관통하여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2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부재(120)에 고정된다.
발광소자 모듈(140)은 일측면에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접속 피스(142)에 의해 전원라인(130)으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다수의 발광소자(141)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고정부재(120)에 단일로 장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고정부재(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다수로 이루어지며, 나아가서, 각각은 전원라인(130)마다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피스(142)가 삽입되는 한 쌍의 콘택홀(143a)이 PCB(Printed Circuit Board, 143)에 형성됨과 아울러 PCB(143)의 일측면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소자(141)가 마련된다.
PCB(143)는 콘택홀(143a)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전원이 발광소자(141)를 구동시키기도록 회로 패턴을 가진다.
한편, 고정부재(120)는 발광소자 모듈(140)을 덮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나 아크릴 등과 같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126)가 설치되고, 커버(126)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127)에 커버(126) 양측의 걸림돌기(126a)가 삽입되어 커버(126)의 휨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체결된다.
고정부재(120)는 프레임(110)에 단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발광소자(141)의 설치 영역을 용이하게 확장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10)에 다수로 장착되며, 이 때, 고정부재(120)에 설치된 전원라인(130)이 이웃하는 다른 고정부재(120)에 설치된 전원라인(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수단(150)이 마련된다.
접속수단(150)은 고정부재(120)의 일단에 마련되거나, 양쪽 끝단에 마련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고정부재(120)의 일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접속 피스(142) 또는 양쪽 끝단마다 위치하는 한 쌍의 접속 피스(142)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전원라인(1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151)을 가지는 피메일(female) 커넥터(152) 또는 메일(male) 커넥터(153)이다. 즉, 접속수단(150)은 고정부재(12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끝단에 위치함으로써 전원라인(130) 각각에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 피스(142)를 통해서 전원라인(1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151)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152) 또는 메일 커넥터(153)로서, 이웃하는 전원라인(13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로 암수 형태를 가지고서 결합되는 피메일 커넥터(152)와 메일 커넥터(153) 중 어느 하나를 적절히 선택된다.
커넥터(152,1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0)와 프레임(11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111)에 설치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접속수단(150)은 발광소자 모듈(140)의 접속 피스(142)를 대신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편(160)에 설치되는 연결 피스(16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되고자 하는 길이에 맞추기 위해 전원라인(130)과 함께 고정부재(120)를 절단하여 연결되는 부위나 고정부재(120)가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접속피스(142)에 비하여 직경이 큰 연결 피스(161)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원라인(130)을 연결시키는데 유용하며, 이를 위해 고정부재(120)의 일단 또는 양쪽 끝단마다 설치되는 고정편(160)에 체결되어 전원라인(130) 각각에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 피스(161)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전원라인(1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151)을 가지는 피메일(female) 커넥터(152) 또는 메일(male) 커넥터(153)가 사용되며, 서로 접속되는 커넥터(152,153)는 고정부재(120)와 프레임(110) 사이에 마련되는 내측의 공간(111; 도 5에 도시)에 설치된다.
한편, 고정편(160)은 고정부재(120)에 스크루나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 또는 접착제에 의해 직접 고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결 피스(161)가 전원라인(130)을 관통하여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2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부재(120)에 고정된다.
연결 피스(161)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 예로 나사못이 사용된다.
발광소자 모듈(140)은 전력 소모를 줄임과 아울러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의 접 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141)가 605 ∼ 615nm의 광 파장을 가지는 LED(Light Emitting Diode)임이 바람직하며, LED의 광 파장이 610nm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과 벽면(2)이 연결되는 위치 또는 건축물의 원하는 위치에 프레임(110)을 양면 테이프, 접착제, 스테이플러, 스크루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수의 발광소자 모듈(140)이 접속 피스(142)에 의해 전원라인(130)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된 고정부재(120)를 프레임(110)을 따라 다수로 장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재(120)의 전원라인(130)에 연결되는 피메일(female) 커넥터(152)와 메일(male) 커넥터(153)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어느 한 쌍의 전원라인(130)만을 아답터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발광소자 모듈(140)의 발광소자(141)를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서로 결합된 커넥터(152,1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0)와 프레임(110)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1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접속수단(150)은 발광소자 모듈(140)의 접속 피스(142)를 대신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편(160)에 설치되는 연결 피스(16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되고자 하는 길이에 맞추기 위해 전원라인(130) 과 함께 고정부재(120)를 절단하여 연결되는 부위나 고정부재(120)가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접속피스(142)에 비하여 직경이 큰 연결 피스(161)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원라인(1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발광소자 모듈(140)에 접속 피스(142)의 체결만으로 전원라인(130)으로부터 발광소자(14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120)에 설치되는 발광소자(141)의 개수에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141)에 전원 공급을 위한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한다.
또한, 고정부재(120)를 다수로 설치하더라도 전원라인(130)간의 접속을 통해서 어느 한 쌍의 전원라인(130)에만 전원을 공급해도 되기 때문에 설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단일의 아답터만으로도 구동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발광소자 모듈(140)은 발광소자(141)가 605 ∼ 615nm의 광 파장을 가지는 LED(Light Emitting Diode)임으로써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고, 이러한 LED의 사용으로 인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에서 발광소자의 광 파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111 : 공간
112 : 제 1 결합돌기 113 : 제 2 결합돌기
120 : 고정부재 121 : 제 1 결합홈
122 : 제 2 결합홈 123 : 지지돌기
124 : 가이드돌기 125 : 안착홈
126 : 커버 126a : 걸림돌기
127 : 걸림홈 130 : 전원라인
140 : 발광소자 모듈 141 : 발광소자
142 : 접속 피스 143 : PCB
143a : 콘택홀 150 : 접속수단
151 : 케이블 151a : 접속와셔
152 : 피메일 커넥터 153 : 메일 커넥터
160 : 고정편 161 : 연결 피스
1 : 천장 2 : 벽면

Claims (16)

  1. 조명기구를 가지는 건축물의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라인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다수의 접속 피스가 체결되어 상기 전원라인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속 피스를 통해서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가 마련되는 발광소자 모듈
    을 포함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발광소자를 경사진 상태로 노출시키도록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부위의 양측에 서로 높 이를 달리하는 제 1 및 제 2 결합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양측에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제 1 및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고정부재가 다수로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전원라인이 이웃하는 다른 고정부재에 설치된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수단이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접속 피스 또는 양쪽 끝단마다 위치하는 한 쌍의 접속 피스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원라인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가지는 피메일(female) 커넥터 또는 메일(male) 커넥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또는 양쪽 끝단마다 설치되는 고정편에 체결되어 상기 전원라인 각각에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 피스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원라인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가지는 피메일(female) 커넥터 또는 메일(male) 커넥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연결 피스가 상기 전원라인을 관통하여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양측에 지지돌기가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모듈은,
    상기 접속 피스가 상기 전원라인을 관통하여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광소자 모듈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3.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광소자 모듈과의 사이에 상기 전원라인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4.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광소자 모듈을 덮도록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5.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모듈은,
    상기 전원라인마다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피스가 삽입되는 한 쌍의 콘택홀이 PCB에 형성되고, 상기 PCB의 일측면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발광소자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16.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가 605 ∼ 615nm의 광 파장을 가지는 LED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KR1020080078488A 2008-08-11 2008-08-11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KR20100019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88A KR20100019771A (ko) 2008-08-11 2008-08-11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88A KR20100019771A (ko) 2008-08-11 2008-08-11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771A true KR20100019771A (ko) 2010-02-19

Family

ID=4208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488A KR20100019771A (ko) 2008-08-11 2008-08-11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97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76B1 (ko) * 2012-06-01 2013-01-09 권태훈 Led 조명기구
KR20160088537A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필룩스 시스템 마감장치
KR20160092156A (ko) * 2015-01-27 2016-08-04 임한민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KR102443328B1 (ko) * 2022-02-04 2022-09-15 (주)메지엠씨 조명 설치용 가이드를 이용해 설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라인 조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76B1 (ko) * 2012-06-01 2013-01-09 권태훈 Led 조명기구
KR20160088537A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필룩스 시스템 마감장치
KR20160092156A (ko) * 2015-01-27 2016-08-04 임한민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KR102443328B1 (ko) * 2022-02-04 2022-09-15 (주)메지엠씨 조명 설치용 가이드를 이용해 설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라인 조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718B2 (en) LED decorative illuminated trim system
RU2512061C2 (ru) Удлиненный светильник и способ прикрепления светильника к поверхности
JP5954665B2 (ja) 照明器具
KR101713384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JP5486727B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WO2014057679A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US9800038B2 (en) Wall structure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11258474A (ja) 照明装置
KR20100019771A (ko)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JP6149688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WO2014057661A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4078427A (ja) 照明器具
US7604209B2 (en) Support for luminaire
KR100920793B1 (ko) Led타입 또는 전구타입 조명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원터치식 매입등 케이스
KR200405073Y1 (ko) 엘이디 모듈을 갖는 건축용 패널 구조
KR20210047479A (ko) 개선된 설치 방식을 갖는 led 조명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JP6179052B2 (ja) 照明器具
KR101739523B1 (ko) 천장 직착형 평판조명기구
KR101161363B1 (ko)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JP4315103B2 (ja) 棚板装置
KR20100003749A (ko)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KR20220160397A (ko) 라인 타입 조명기구
JP5492344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