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537A - 시스템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537A
KR20160088537A KR1020150007634A KR20150007634A KR20160088537A KR 20160088537 A KR20160088537 A KR 20160088537A KR 1020150007634 A KR1020150007634 A KR 1020150007634A KR 20150007634 A KR20150007634 A KR 20150007634A KR 20160088537 A KR20160088537 A KR 2016008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terlocking
unit
closing memb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669B1 (ko
Inventor
노시청
전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5000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6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시스템 마감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스템 마감장치는: 설치대상부재와, 설치대상부재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마감부재 및 마감부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동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마감장치{APPARATUS FOR FINISHING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기배선이 없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인테리어를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운라이트(DOWN LIGHT, 이하 '매립등' 이라 함)는 천장에 작은 홀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방식으로서, 조명과 건물을 일체화시키는 건축화 조명기법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매립등은 천장에 매입되는 구조로서 조명기구의 노출이 거의 없이 천장면이 정돈되어 보이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천장면이 어두워지는 특징이 있어 분위기 있는 실내공간을 연출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매립등은 상부와 하부가 열린 형태의 외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 중공에 매입되는 내부하우징과, 내외부하우징이 결합되도록 하는 기밀부재와, 투광커버를 내부하우징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2-0096662호(공개일: 2012.08.31)에는 "지중 매립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배선 없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고, 인테리어를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변형 시공이 가능하고, 조립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키며, 재사용이 가능한 시스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는: 설치대상부재와, 상기 설치대상부재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동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설치대상부재에 설치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동작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동작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마감부재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전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연결체 및 상기 전원연결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연결체를 이격 배치하는 절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부는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재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연동부재가 설치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를 지지하는 연동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동작부재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직선형 또는 비직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마감부재가 설치대상부재에 구비되어 별도의 전기배선 없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시 또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장착부에 의해 시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변형 시공이 가능하여 인테리어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대상부재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개별부품화에 의해 운반성이 향상되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부재에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동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마감부재와 동작부재의 결속부위에 따라 동작부재의 전원인가를 단속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전원공급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연동부재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반사갓을 갖는 동작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디바이스부로 스피커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디바이스부로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감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마감부재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마감부재 및 동작부재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전원공급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100)는 설치대상부재(110), 마감부재(130) 및 동작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대상부재(110)로 천장, 벽체 또는 바닥에 구비되는 타일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장, 벽체 또는 바닥을 마감하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마감부재(130)는 설치대상부재(110)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마감부재(130)가 설치대상부재(110)에 구비된다는 것의 기술적 의미는 마감부재(130)가 설치대상부재(11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다른 부재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마감부재(130)는 설치대상부재(110)의 일부가 제거된 중공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부재(110)가 제거되어 형성된 중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치대상부재(110)의 일부가 제거되어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양측 설치대상부재(110)에 마감부재(130)가 구비되며, 마감부재(130)는 장착부(120)에 의해 설치대상부재(110)에 장착된다.
장착부(120)는 마감부재(130)를 설치대상부재(110)에 설치한다. 여기서 "설치"한다는 것의 기술적 의미는 마감부재(130)가 장착부(120)를 매개로 하여 설치대상부재(110)에 설치되거나, 마감부재(130)와 설치대상부재(110) 사이에 장착부(120) 이외의 다른 부재가 매개되어 설치되는 경우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20)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설치대상부재(110)와 마감부재(130)가 동일선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설치대상부재(110)와 마감부재(130)에 접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일 실시예로서, 장착부(120)는 천장 구조물인 T바 또는 M바로 이루어져 설치대상부재(110)와 함께 마감부재(13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31) 및 하우징부(131) 내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3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마감부재(130)는 동작부재(14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32)를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대상부재(110)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장착부(12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부(131)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동작부재(140)와 연결된다.
가이드부(132)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는 내측면에 가이드돌기부(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부(134)와 대응되도록 동작부재(140)의 상하면에는 가이드홈부(144)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44)는 한쌍으로 형성되어 동작부재(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도 3에 부분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재(140)는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44)의 결속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공급부(136)와 동작부재(140)의 접촉을 단속하는 것으로, 한 쌍의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44)가 다 일치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136)와 동작부재(140)가 접촉되어 전원을 동작부재(140)에 공급할 수 있으며, 한 쌍 중 하나의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44)가 일치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136)와 동작부재(140)가 이격되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전원공급부(136)는 마감부재(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마감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동작부재(140)는 마감부재(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된다. 동작부재(140)는 마감부재(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전달되는 바디부(150) 및 바디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바이스부(160)를 포함한다. 바디부(150)는 디바이스부(160)에 마감부재(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하고, 단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디바이스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바디부(150)는 마감부재(130)의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연결체(152) 및 전원연결체(152) 사이에 구비되어 전원연결체(152)를 이격 배치하는 절연블럭(154)을 포함한다.
전원연결체(152)는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절연블럭(154)을 중심으로 대칭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전원연결체(152)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전원연결체(152) 중앙에는 절연블럭(154)이 구비된다. 이때, 절연블럭(154)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154a)가 형성되고, 전원연결체(152)에는 각각 결합돌기(154a)가 결합되는 결합홈부(15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블럭(154)은 절연체로서 한 쌍의 전원연결체(152)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연결체(152)를 이격 배치할 수 있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154a)와 결합홈부(152a)는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돌기(154a)와 결합홈부(152a)의 위치는 상호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전원연결체(152)는 가이드부(1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원공급부(136)와 면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디바이스부(160)는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161),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62)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연동부재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100)는 동작부재(140)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연동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연동부재(170)는 디바이스부(160)에 대응되어 그 기능에 맞게 연동된다.
보다 자세하게 디바이스부(160)는 조명부(1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부(161)는 바디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광원부 및 광원부 전면에 구비되어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동부재(170)은 반사판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켜 실내를 조명할 수 있다.
연동부재(170)는 동작부재(140)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직선형 또는 비직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즉, 연동부재(170)는 설치대상부재(110)가 제거되고 형성된 중공의 상부를 커버함은 물론, 조명부(161)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연동부재(170)는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로 휘어져 내측으로 오목한 아크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빛을 반사하기 위해 내면은 미러코팅된다. 연동부재(170)의 재질을 플라스틱 재질로 한정한 것이 아니며, 탄성력을 지닌 금속재질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연동부재(170)는 연동부재(170)가 설치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설치대상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중공의 길이에 대응되어 확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100)는 연동부재(170)를 지지하는 연동지지부재(180)를 포함한다. 연동지지부재(180)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동부재(170)의 외측면이 연동지지부재(180)의 내측면에 접하므로써, 연동부재(17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연동지지부재(180)와 상기한 장착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즉, 설치대상부재(110)에 마감부재(130)를 장착하는 장착부(120)는 연동지지부재(180)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동지지부재(180)와 장착부(120)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반사갓을 갖는 동작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재(160)에는 조명부(162)에서 조사된 빛을 연동부재(170)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갓(161a)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갓(161a)은 조명부(161)의 전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연동부재(170)측으로 반사시켜 빛이 사용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디바이스부로 스피커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부(160)는 스피커(162)로 이루어져 소리를 발생시키며, 연동부재(170)는 스피커(162)에서 발생된 소리를 징집하여 실내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디바이스부로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부(163)로 이루어져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3)는 프로젝트로 이루어지고, 연동부재(170)는 디스플레이부(16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으로 형성된다. 이때, 연동부재(170)는 디스플레이부(163)의 대향되는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감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30)는 동작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35)를 포함한다. 즉, 하우징부(131)에는 동작부재(140)가 결합되는 가이드부(132)측이 회동되는 각도조절부(135)가 구비되어 동작부재(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부를 조명부(161), 스피커(162) 및 디스플레이부(163)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마감부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마감부재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마감부재 및 동작부재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30)의 가이드부(132)는 하우징부(131)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132)는 하우징부(131)의 중앙에서 'T'자 단면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양측면에 각각 전원공급부(13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부재(140)의 바디부(150)는 상호 이격되는 전원연결체(15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바디부(150)는 가이드부(132)에 의해 전원연결체(152)가 서로 이격된다. 전원연결체(152) 사이에 가이드부(132)가 삽입되면, 가이드부(132)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36)가 전원연결체(152)와 접촉되어 전원을 디바이스부(16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체(152)는 전도성 재질이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50)는 마감부재(130)의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연결부(155)를 더 포함한다. 즉, 바디부(150)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전원연결체(152)와 달리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원공급부(136)의 전원을 디바이스부(160)에 전달할 수 있는 전원연결부(155)가 구비된다.
전원연결부(155)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디바이스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자체 탄성에 의해 가이드부(132)에 결속되며, 가이드부(132)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36)와 접촉되어 디바이스부(1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 9와 같이 가이드부(132)에 의해 전원연결부(155)가 이격될 수 있어 절연블럭을 삭제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설치대상부재(110)의 일부 제거로 형성되는 중공 내부에 연동지지부재(180)를 설치한다. 이후, 연동지지부재(180)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장착부(120)를 이용하여 설치대상부재(110)에 마감부재(130)를 설치한다. 이때, 마감부재(130)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동부재(170)는 마감부재(130)와 연동지지부재(180)의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연동부재(170)는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져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연동부재(17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탄성력을 지니므로 연동부재(170)가 설치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중공의 크기에 따라 그 곡률이 가변되어 대응될 수 있어 설계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이후, 마감부재(130)의 가이드부(132)에 동작부재(140)를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마감부재(130)에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부(136)가 구비되고, 동작부재(140)는 전원공급부(136)의 전원을 전달하는 바디부(150)와, 디바이스부(160)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50)는 절연블럭(154)의 양측에 전원연결체(152)가 결합홈부(152a)와 결합돌기(154a)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바디부(150)가 전원공급부(136)에 접촉되므로써, 디바이스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36)는 마감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므로 가이드부(1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부재(140)는 슬라이드 이동되어 다양한 위치에서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부(136)와 전원연결체(152)가 접촉되면, 디바이스부(160)가 작동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부(160)가 조명부(161)일 경우, 조명부(161)가 발광되고, 조명부(161)의 빛은 연동부재(170)에 반사되어 실내를 조명할 수 있다.
마감부재(130)의 가이드부(132)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동작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동작부재(140) 중 일부 동작부재(140)의 전원인가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이드부(132)로부터 동작부재(140)를 이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이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44)가 다 일치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136)와 전원연결체(152)가 접촉되어 전원을 디바이스부(160)에 공급할 수 있으며, 한 쌍 중 하나의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44)가 일치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136)와 전원연결체(152)가 이격되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처럼 완전 분리하지 않고도 디바이스부(160)의 사용을 단속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동작부재(1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재(140)에는 반사갓(161a)이 구비되어 조명부(161)의 전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연동부재(170)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빛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부(160)가 스피커(162)로 이루어져 스피커(162)를 통해 발생된 소리는 연동부재(170)에 의해 징집되어 실내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부(160)는 프로젝터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163)로 이루어져 영상을 스크린인 연동부재(170)로 출력하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30)에는 각도조절부(135)가 구비되어 동작부재(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조명부(161), 스피커(162) 및 디스플레이부(163)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 또는 연동부재(170)와 연관되는 각도로 동작부재(140)를 조절할 수 있어 디바이스부(160)와 연동부재(170)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한편, 마감부재(130)의 가이드부(132)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31)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T'자 단면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132)의 양측면에 전원공급부(136)가 구비되며, 절연블럭이 제거된 전원연결체(152)가 접촉되어 디바이스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는 절연블럭을 제거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50)가 비전도성일 경우, 바디부(150)는 금속성의 전원연결부(155)가 구비되어 디바이스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자체 탄성력을 지닌 금속성의 전원연결부(155)가 가이드부(132)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36)와 접촉되어 디바이스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마감장치에 의하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마감부재가 설치대상부재에 구비되어 별도의 전기배선 없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고, 시공시 또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장착부에 의해 시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변형 시공이 가능하여 인테리어를 개선할 수 있으며, 설치대상부재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개별부품화에 의해 운반성이 향상되며,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스템 마감장치 110 : 설치대상부재
120 : 장착부 130 : 마감부재
131 : 하우징부 132 : 가이드부
134 : 가이드돌기부 135 : 각도조절부
136 : 전원공급부 140 : 동작부재
144 : 가이드홈부 150 : 바디부
152 : 전원연결체 152a : 결합홈부
154 : 절연블럭 154a : 결합돌기
155 : 전원연결부 160 : 디바이스부
161 : 조명부 161a : 반사갓
162 : 스피커 163 : 디스플레이부
170 : 연동부재 180 : 연동지지부재

Claims (14)

  1. 설치대상부재;
    상기 설치대상부재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동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설치대상부재에 설치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동작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동작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마감부재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전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연결체; 및
    상기 전원연결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연결체를 이격 배치하는 절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부는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연동부재가 설치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를 지지하는 연동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동작부재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직선형 또는 비직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감장치.
KR1020150007634A 2015-01-15 2015-01-15 시스템 마감장치 KR10165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34A KR101653669B1 (ko) 2015-01-15 2015-01-15 시스템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34A KR101653669B1 (ko) 2015-01-15 2015-01-15 시스템 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537A true KR20160088537A (ko) 2016-07-26
KR101653669B1 KR101653669B1 (ko) 2016-09-05

Family

ID=5668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34A KR101653669B1 (ko) 2015-01-15 2015-01-15 시스템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150B1 (ko) * 2020-07-31 2021-03-16 주식회사 락소 조명매립이 간편한 히든 라인조명몰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208B2 (ja) * 1986-11-25 1995-10-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ドアの製造方法
US20060012977A1 (en) * 2004-07-02 2006-01-19 Litesnow Llc Slatwall lighting system
KR20100019771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타미컴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6208B1 (ja) 2011-03-18 2011-10-19 三津男 中村 ライティングダク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208B2 (ja) * 1986-11-25 1995-10-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ドアの製造方法
US20060012977A1 (en) * 2004-07-02 2006-01-19 Litesnow Llc Slatwall lighting system
KR20100019771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타미컴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150B1 (ko) * 2020-07-31 2021-03-16 주식회사 락소 조명매립이 간편한 히든 라인조명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669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718B2 (en) LED decorative illuminated trim system
KR10162202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EP2657590A1 (en) Lighting device with releasable spotlights
KR101532869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1653669B1 (ko) 시스템 마감장치
JP3139175U (ja) 照明器具構造
KR101085225B1 (ko) Led 형광램프 조립체
KR20150088562A (ko) 커튼걸이용 조명장치
WO2016140144A1 (ja) 有機el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及び有機elモジュール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JP5479642B1 (ja) Led照明装置
JP2014093670A (ja) 可視光通信用照明器具
JP2015026494A (ja) Led照明装置
JP2002157916A (ja) 照明器具
KR101655270B1 (ko)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
KR20180020681A (ko) 원격조정형 led 조명장치
JP6200382B2 (ja) Led照明装置
KR101835824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JP6864130B2 (ja) 配線器具
JP2015032569A (ja) 照明器具
KR10160663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KR20190062726A (ko)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KR101591977B1 (ko) 배선분기박스 일체형 등기구 시스템
KR102156888B1 (ko)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WO2017209314A1 (ko) 시스템 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