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888B1 -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888B1
KR102156888B1 KR1020180149620A KR20180149620A KR102156888B1 KR 102156888 B1 KR102156888 B1 KR 102156888B1 KR 1020180149620 A KR1020180149620 A KR 1020180149620A KR 20180149620 A KR20180149620 A KR 20180149620A KR 102156888 B1 KR102156888 B1 KR 10215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tlight
lighting
installation
frame
installa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649A (ko
Inventor
허순영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주)디엠라이팅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라이팅, 양경호 filed Critical (주)디엠라이팅
Priority to KR102018014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8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조명 기구와 스포트라이트를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스포트라이트의 설치와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스포트라이트와 프레임 간의 결합 부분이 은폐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일체형의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은,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되어 내부에 조명모듈이 설치되는 조명설치부와; 상기 조명설치부의 상부에 상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조명설치부 또는 고정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외측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포트라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Frame for Installing Lighting Device And Spotlight}
본 발명은 조명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조명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부분과 스포트라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부분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일체형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과 같은 주거시설이나, 사무실,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공간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는데, 상기 조명등은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본래의 목적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로운 디자인을 갖고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품위있고 개성있게 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조명등은 실내 전체의 조명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는 반면, 특정한 부분이나 장소 또는 방향을 비추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는데, 이 때에는 주로 스포트라이트가 적용된다.
스포트라이트는 집광형 반사갓이 내장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제한되고 한정적인 부분만을 집중 조명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그림이나 사진 및 조각품 등을 전시하는 전시장이나 제품 홍보를 위한 판매대, 혹은 실내 내부 인테리어 소품을 직접 조명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집중 조명을 통해 대상물을 더욱 가치있고 고급스럽게 인지되게 함은 물론 하이라이트에 의해 주변으로부터 뛰어난 시인성을 갖게 하여 그 홍보 및 안내 혹은 전시 효과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포트라이트는 통상적으로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되는데, 스포트라이트를 LED 조명 시스템과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포트라이트 고정용 브라켓 또는 프레임을 LED 조명 시스템의 프레임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포트라이트 설치 방식은 스포트라이트가 조명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조명 범위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포트라이트가 설치된 브라켓 또는 프레임을 LED 조명 시스템의 프레임에서 분리한 후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재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한 스포트라이트는 통상적으로 개별 장착되므로 이들을 발광시키기 위한 안정기 등이 상기 스포트라이트와는 별개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며 상기 스포트라이트의 주변에는 안정기가 내장된 함체 또는 본체가 별도로 설치되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않으며 설치 과정 또한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스포트라이트 설치 구조는 스포트라이트의 전원공급기와 안정기 등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심미감이 저해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511호(2017.02.07.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988호(2014.03.2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조명과 같은 일반 조명 기구와 스포트라이트를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스포트라이트의 설치와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스포트라이트와 프레임 간의 결합 부분이 은폐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일체형의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은,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되어 내부에 조명모듈이 설치되는 조명설치부와; 상기 조명설치부의 상부에 상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조명설치부 또는 고정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외측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포트라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조명 모듈을 설치하는 조명설치부 및 고정부의 측면에 스포트라이트를 설치하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포트라이트의 설치 및 위치 조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포트라이트는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잘 드러나지 않으며, 따라서 프레임과 스포트라이트의 결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의 스포트라이트 설치부의 내측에 스포트라이트의 전원공급유닛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전원공급유닛이 레일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 전원과 연결되므로 설치가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스포트라이트 설치부에 스포트라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은, 하부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로 되어 내부에 조명모듈(60)이 설치되는 조명설치부(10)와, 상기 조명설치부(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설치부(10)와 고정부(20)와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조명설치부(10)는 하부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함체 형태를 가지며, 내측 공간 상단부의 양 측에 조명모듈(60)을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지지돌기(11)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설치부(10)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모듈(60)은 복수의 LED(62)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회로기판(61)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61)의 양 끝단을 조명설치부(10)의 일측 끝단에서 지지돌기(11)의 상측에 맞추어 밀어 넣으면 회로기판(61)이 조명설치부(1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조명설치부(10)의 하단부에는 조명모듈(60)을 은폐하기 위한 광투과성 재질의 조명커버(63)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명커버(63)의 설치를 위해 조명설치부(10)의 양 측면 하단부에 복수의 커버고정돌기(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명설치부(10)는 고정부(2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조명설치부(10)의 양 측에는 조명설치부(10)의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부(20)를 가리면서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사각 단면 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한 마감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는 상부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를 가지며, 조명설치부(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는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고정부(20)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역 'U' 자형의 브라켓(50)이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50)을 앵커볼트 등으로 건물의 천장이나 벽 구조물에 결합시켜 고정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조명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기 부품(65)이 설치된다. 상기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기 부품은 고정부(20)와 조명설치부(10)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는 고정부(20)의 양 측면에 대략 사각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면이 개방된 형태인 대략 'ㄷ'자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는 고정부(20)의 양 측면에 설치되지만 고정부(20)의 어느 한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부(20)의 측면이 아닌 조명설치부(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는 스포트라이트(1)를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내측 공간의 상단 및 하단 양측에는 스포트라이트(1)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레일케이블(35)이 결합되는 2개 한쌍의 케이블지지돌기(31)가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돌기(31)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으로부터 하측 및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케이블지지돌기(31)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레일케이블(35)은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측 끝단부가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상부면과 케이블지지돌기(31) 사이 또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하부면과 케이블지지돌기(31) 사이의 공간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절연성 수지 재질의 절연레일(36)과, 상기 절연레일(36)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스포트라이트(1)의 일단부에 구비된 전원공급유닛(2)의 단자와 접촉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단자접속부(37)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속부(37)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스포트라이트(1)의 끝단에는 전원공급유닛(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유닛(2)을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하고 90도로 돌리면 전원공급유닛(2)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2a)가 상기 레일케이블(35)의 단자접속부(37)에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에 결합되는 스포트라이트(1)는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되는 부분이 외부에서 잘 드러나지 않으며, 따라서 프레임과 스포트라이트(1)의 결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끝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프레임의 끝단부에 조명설치부(10) 및 고정부(20)를 폐쇄하는 프레임커버(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40)는 상기 조명설치부(10) 및 고정부(20)의 끝단부에 나사(42)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커버(40)를 조명설치부(10) 및 고정부(20)의 일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명설치부(10)의 양 측면부와 고정부(20)의 내측 공간 양 측면부에 상기 프레임커버(40)를 나사(42)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부(4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커버(40)에는 상기 나사체결부(45)와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42)가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체결공(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은 조명을 설치하는 조명설치부(10) 및 고정부(20)의 측면에 스포트라이트(1)를 설치하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포트라이트(1)의 설치 및 위치 조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내측에 스포트라이트(1)의 전원공급유닛(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는 레일케이블(35)이 설치되어,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에 전원공급유닛(2)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별도의 전선 연결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더욱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포트라이트 2 : 전원공급유닛
3 : 슬라이딩홈부 10 : 조명설치부
11 : 지지돌기 12 : 마감부
20 : 고정부 30 : 스포트라이트 설치부
31 : 케이블지지돌기 35 : 레일케이블
36 : 절연레일 37 : 단자접속부
40 : 프레임커버 45 : 나사체결부
50 : 브라켓 60 : 조명모듈
61 : 회로기판 62 : LED
65 : 전기 부품

Claims (5)

  1.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되어 내부에 조명모듈(60)이 설치되는 조명설치부(10)와;
    상기 조명설치부(10)의 상부에 상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조명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 설치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외측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포트라이트(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 및,
    상기 조명설치부(10) 및 고정부(20)의 끝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명설치부(10) 및 고정부(20)를 폐쇄하는 프레임커버(4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내측 공간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스포트라이트(1)를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레일케이블(35)이 결합되는 2개 한 쌍의 케이블지지돌기(31)가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케이블(35)은,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측 끝단부가 상기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상부면과 케이블지지돌기(31) 사이 또는 스포트라이트 설치부(30)의 하부면과 케이블지지돌기(31) 사이의 공간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절연성 수지 재질의 절연레일(36)과, 상기 절연레일(36)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스포트라이트(1)의 일단부에 구비된 전원공급유닛(2)의 단자와 접촉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단자접속부(37)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속부(37)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조명설치부(10)의 양 측면부와 고정부(20)의 내측 공간 양 측면부에 상기 프레임커버(40)를 나사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부(45)가 일체로 형성된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9620A 2018-11-28 2018-11-28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KR10215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20A KR102156888B1 (ko) 2018-11-28 2018-11-28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20A KR102156888B1 (ko) 2018-11-28 2018-11-28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49A KR20200063649A (ko) 2020-06-05
KR102156888B1 true KR102156888B1 (ko) 2020-09-16

Family

ID=7108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20A KR102156888B1 (ko) 2018-11-28 2018-11-28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8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364A (ja) * 2009-08-31 2011-03-17 Kokuyo Co Ltd 照明装置
JP2018147711A (ja) * 2017-03-06 2018-09-20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88Y1 (ko) 2012-10-25 2014-03-27 이광수 스포트라이트가 장착되는 레일의 고정구
KR20170000511U (ko) 2015-07-28 2017-02-07 최병석 시스템 조명등기구
KR101897673B1 (ko) * 2016-04-08 2018-09-12 김용민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364A (ja) * 2009-08-31 2011-03-17 Kokuyo Co Ltd 照明装置
JP2018147711A (ja) * 2017-03-06 2018-09-20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49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718B2 (en) LED decorative illuminated trim system
KR101235847B1 (ko)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구조
GB2427020A (en) Lamp mounted in wall recessed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680083B1 (ko)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가압 조립식 엘이디 천정등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101764056B1 (ko) 조명장치
KR101669955B1 (ko) 간접조명용 프로파일
KR200471988Y1 (ko) 스포트라이트가 장착되는 레일의 고정구
KR102510960B1 (ko) Led 다운라이트 장치
KR102156888B1 (ko)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20170000511U (ko) 시스템 조명등기구
CN109404803B (zh) 灯组件和驱动器组件之间具有独立调节的嵌入式照明灯具
CN101566316B (zh) 发光二极管灯具
JPH10299211A (ja) 照明付手摺りブラケット
US20140293611A1 (en) Corner wall lamp holding device
KR101468326B1 (ko) 다기능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101522389B1 (ko)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KR102296224B1 (ko) 개선된 조립구조의 주차장용 엘이디 등기구
KR100944262B1 (ko) 조명기구
KR200389278Y1 (ko) 직관형광등기구들의 등간 연결구
KR200490556Y1 (ko)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KR20080004836U (ko) 램프를 갖는 건축용 마감재
KR20090001377U (ko) 천정매립형 등
KR100559780B1 (ko) 등기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