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156A -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156A
KR20160092156A KR1020150012434A KR20150012434A KR20160092156A KR 20160092156 A KR20160092156 A KR 20160092156A KR 1020150012434 A KR1020150012434 A KR 1020150012434A KR 20150012434 A KR20150012434 A KR 20150012434A KR 20160092156 A KR20160092156 A KR 2016009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olding body
light
cov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691B1 (ko
Inventor
임한민
Original Assignee
임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민 filed Critical 임한민
Priority to KR102015001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6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발본 발명은 건축물의 모서리를 장식하는 몰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은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몰딩본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커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개방부로 투과되도록 상기 발광소자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발광소자가 빛을 발산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가 모서리 부분을 빛으로 표시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람이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The Molding with Light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모서리를 장식하는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몰딩 마감재란 건물 내부 공간의 벽면과 천장이 만나는 모서리부 또는 벽면과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부 등에 부설하여 주로 심미감을 부여하는 장식적인 효과와 벽면을 보호하는 기능적인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건축 내장재를 말한다.
이러한 건축 몰딩 마감재는 주로 금속, 목재, PVC, 세라믹,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며,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부설하거나 또는 시공이 끝난 후에 별도로 부설한다.
이러한 건축 몰딩 마감재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0443호(공고 2000. 2. 15.)의 "건축 내장용 몰딩"으로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건축 내장용 몰딩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통상의 건축용 몰딩1과 몰딩1의 표면부2측에 숯가루코팅4를 일체적으로 피복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건축 내장용 몰딩은 벽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외관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건축 내장용 몰딩은 건축 몰딩 마감재가 설치된 벽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가 주변에 비해 어두워서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로 돌출된 몰딩1에 사람이 부딪혀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증가시키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은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몰딩본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커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개방부로 투과되도록 상기 발광소자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개방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외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몰딩본체의 길이를 가늠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상기 몰딩본체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일부 파인 절취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상기 몰딩본체의 폭 또는 길이에 대해 45°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과 탄성편 사이의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본체는 벽과 상기 몰딩본체 사이에 공기가 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몰딩본체의 부분 중 벽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부분이 일부 면취된 면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몰딩본체의 횡단면의 형상이 사각 또는 삼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과의 결합 시 휘어질 수 있는 연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빛이 외부로 넓게 확산되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무늬가 형성된 무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가 빛을 발산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가 모서리 부분을 빛으로 표시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람이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면취부가 발광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여 발광소자의 고장률을 감소시키고 몰딩본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눈금이 몰딩본체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의 몰딩본체와 커버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이 벽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발광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발광소자(110)는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써 하기에 설명될 몰딩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110)는 몰딩본체(12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배열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소자(110)와 발광소자(110) 사이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11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110)는 예컨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또는 형광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몰딩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몰딩본체(120)는 발광소자(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0a)과 발광소자(110)의 빛을 투과시키는 개방부(12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써, 일부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의 형상이 사각 또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몰딩본체(120)는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몰딩본체(120)는 결합부(121), 끼움홈(123), 눈금(124), 탄성편(126), 고정고리(127), 및 면취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 또는 (d)와 같이, 결합부(121)는 개방부(120b), 더 구체적으로는 개방부(120b)를 형성하는 몰딩본체(120)의 양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고, 끼움홈(123)은 하기에 설명될 커버(130)와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결합부(121)에 커버(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 또는 (e)와 같이, 결합부(121)는 무늬형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무늬형성부(122)는 개방부(120b)의 둘레에 무늬를 형성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121)의 외면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결합부(121)의 끝단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21)에 무늬형성부(122)가 연장 형성될 경우, 무늬형성부(122)의 끝단에 끼움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124)은 몰딩본체(120)의 길이를 가늠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눈금(1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눈금(124)은 절취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절취홈(125)은 몰딩본체(120)의 절단시 절단장치 예컨대, 칼의 삽입을 안내하여 절단이 용이하도록 눈금(124)이 일부 파인 홈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눈금(124)은 90°각도 예컨대, 몰딩본체(120)를 직각으로 연결할 때, 몰딩본체(120)가 서로 겹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몰딩본체(120)의 폭 또는 길이에 대해 45°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26)은 발광소자(1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써, 수용공간(120a)의 내부, 더 구체적으로는 발광소자(110)가 부착되는 몰딩본체(12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편(126)은 발광소자(110)가 발산하는 빛이 개방부(120b)에 직접적으로 투과되지 않도록 몰딩본체(120)의 내측면 중 개방부(120b)와 마주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편(126)은 몰딩본체(1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편(126)은 발광소자(11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한 쌍이 한 조를 이뤄 구성될 수 있다.
고정고리(127)는 전선(111)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써, 끝단이 구부러진 형태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20a)의 내부, 더 구체적으로는 몰딩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탄성편(126)과 탄성편(126) 사이마다 위치되며, 몰딩본체(12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렇듯, 고정고리(127)는 발광소자(110)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111)을 용이하게 몰딩본체(110)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몰딩본체(1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을 정리함으로써, 발광소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전선에 가려져 외부에서 전선이 투과되어 보이거나, 전선의 그림자에 의해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면취부(128)는 벽(10)의 모서리(20)와 몰딩본체(120) 사이에 공기가 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몰딩본체(120)의 부분 중 벽(10)의 모서리(20)에 위치되는 모서리 부분을 일부 깎아내는 형태로 몰딩본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면취부(128)는 발광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몰딩본체(1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발광소자(110)가 고장나거나 몰딩본체(12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몰딩본체(120)와 벽(10) 사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통로(150)를 형성함으로써, 유통되는 공기에 의해 몰딩본체(120)의 온도를 낮추거나, 몰딩본체(120)의 내부 열을 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이때, 면취부(128)는 발광소자(110)에서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면취부(128)는 방열공(129)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열공(129)은 면취부(128)를 관통하는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몰딩본체(120) 내부의 공기와 몰딩본체(120)의 외부의 공기가 면취부(128)를 관통하는 형태로 서로 유통시켜 방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버(130)는 개방부(120b)를 밀폐하여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즉, 커버(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성 재질로 두께가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끝단이 끼움홈(123)에 끼워지는 형태로 개방부(120b)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130)는 연질부(131), 돌출부(133), 및 무늬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131)는 커버(130)가 끼움홈(123)과의 결합 시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커버(130)에서 끼움홈(123)과 결합되는 부분에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질부(131)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끼움홈(123)과 끼움 결합 시에는 유연하게 휘어져 삽입되고, 끼움홈(123)과 끼워진 뒤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커버(130)를 끼움홈(123)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연질부(131)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연질PVC(Poly Vinyl Choloride), 실리콘, NBR(Nityl Butadiene Rubber),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외부 압력에 의해 잘 휘어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33)는 발광소자(110)에서 발생하는 빛이 몰딩본체(120)의 외부로 넓게 확산되도록 커버(13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2의 (c) 또는 (f)참조).
그리고, 무늬층은 커버(13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써 커버(130)의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무늬층은 커버(13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요철을 형성하는 형태거나 무늬가 형성된 점착 시트 부착하는 형태, 도료에 의해 임의의 무늬를 도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반사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반사부재(1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120a)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공간(120a)에서 발광소자(110)의 빛이 발산되는 부분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소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직접조명이 아닌 간접조명이 되도록 발광소자(110)의 광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반사부재(140)는 발광소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반사부재(140)를 통해 개방부(120b)로 투과하도록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간접조명할 수 있다.
이때, 반사부재(140)는 알루미늄, 거울 등과 같이 평면방향에서 받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반사부재(140)가 발광소자(110)의 빛이 발산되는 부분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없는 경우에는 몰딩본체(120)의 내측면이 거울, 알루미늄과 같은 광 반사 효율이 높은 소재의 반사층으로 구현되어 몰딩본체(120)의 내측면이 발광소자(110)의 광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부재(140)의 반사면은 반사 각도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발광소자(110)가 몰딩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편(126)과 결합하고, 고정고리(127)에 전선(111)이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고리(127)가 전선을 몰딩본체(120)의 내측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사부재(140)는 몰딩본체(120)의 내부에서 발광소자(110)의 빛이 발산되는 부분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130)의 연질부(131)가 끼움홈(123)에 결합하는 형태로 커버(130)와 몰딩본체(120)를 결합한다. 이때, 커버(130)의 연질부(131)가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130)가 끼움홈(123)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렇듯,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벽(10)과 벽(10) 사이의 모서리(20) 부분에 설치하기 위해 모서리(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절단시킨다.
이때, 몰딩본체(120)에는 눈금(124)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길이를 잴 수 있는 자 없이도 몰딩본체(120)의 길이를 가늠하여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을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눈금(124)에는 절취홈(125)이 형성되어 있어 절단 작업시 절단장치의 삽입을 안내하여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눈금(124)은 몰딩본체(120)의 폭 또는 길이에 대해 45°각도로 이루어져 있어 90°각도 예컨대, 몰딩본체(120)를 직각으로 연결할 때, 절단장치를 몰딩본체(120)의 폭 또는 길이에 대해 45°각도로 안내할 수 있어 절단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절단된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면취부(128)가 벽(10)과 벽(10)사이의 모서리(20)에 향하도록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을 설치한다.
이때, 면취부(128)는 벽(10)과 몰딩본체(120) 사이에 차가운 공기가 분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면취부(128)가 발광소자(11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함으로써 발광소자(110)의 고장률을 감소시키고, 몰딩본체(12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110)가 빛을 발산하도록 발광소자(110)에 전원을 공급하면, 반사부재(140)가 빛의 경로를 개방부(120b)로 변경하여 커버(130)를 투과하는 빛을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이때, 커버(130)에는 무늬층이 결합되어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100)은 발광소자(110)가 빛을 발산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0)가 모서리 부분을 빛으로 표시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람이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면취부(128)가 발광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여 발광소자(110)의 고장률을 감소시키고 몰딩본체(12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 벽 20 : 벽과 벽 사이의 모서리
100 :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110 : 발광소자 111 : 전선
120 : 몰딩본체 120a : 수용공간
120b : 개방부 121 : 결합부
122 : 무늬형성부 123 : 끼움홈
124 : 눈금 125 : 절취홈
126 : 탄성편 127 : 고정고리
128 : 면취부 129 : 방열공
130 : 커버 131 : 연질부
133 : 돌출부 140 : 반사부재
150 : 통로

Claims (12)

  1.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몰딩본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커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개방부로 투과되도록 상기 발광소자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개방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외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몰딩본체의 길이를 가늠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눈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상기 몰딩본체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일부 파인 절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상기 몰딩본체의 폭 또는 길이에 대해 45°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과 탄성편 사이의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는
    벽과 상기 몰딩본체 사이에 공기가 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몰딩본체의 부분 중 벽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부분이 면취된 면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는
    상기 몰딩본체의 횡단면의 형상이 사각 또는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과의 결합 시 휘어질 수 있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빛이 외부로 넓게 확산되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무늬가 형성된 무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KR1020150012434A 2015-01-27 2015-01-27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KR10166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34A KR101667691B1 (ko) 2015-01-27 2015-01-27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34A KR101667691B1 (ko) 2015-01-27 2015-01-27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156A true KR20160092156A (ko) 2016-08-04
KR101667691B1 KR101667691B1 (ko) 2016-10-26

Family

ID=567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434A KR101667691B1 (ko) 2015-01-27 2015-01-27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48611A (ja) * 2022-03-30 2023-10-13 大建工業株式会社 廻り縁カバー及び廻り縁カバー取付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08Y1 (ko) * 2005-01-20 2005-04-18 (주)동광조명 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천장용 조명커버
KR20080088327A (ko) * 2007-03-28 2008-10-02 선세근 표면에 눈금이 형성된 인테리어 몰딩
KR20100019771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타미컴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KR20100054633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08Y1 (ko) * 2005-01-20 2005-04-18 (주)동광조명 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천장용 조명커버
KR20080088327A (ko) * 2007-03-28 2008-10-02 선세근 표면에 눈금이 형성된 인테리어 몰딩
KR20100019771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타미컴 조명기구를 가지는 마감재
KR20100054633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48611A (ja) * 2022-03-30 2023-10-13 大建工業株式会社 廻り縁カバー及び廻り縁カバー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691B1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6537B2 (ja) 表示灯
JP5490951B1 (ja) Led照明装置
EP3102874B1 (en) Light assembly with light guide
KR101667691B1 (ko) 조명기능이 부가된 몰딩
CN106051510A (zh) 新型led柔性线条灯的制作方法及新型led柔性线条灯
KR20160000824U (ko) 조명등용 프레임
JP5814451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発光ユニット
CN108443788B (zh) 五面发光的吊线灯灯壳结构
JP5823594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発光ユニット
KR100557741B1 (ko) 방수 및 3차원 조형이 용이한 백라이트 유니트
CN216716096U (zh) 一种灯管及灯具
JP2015026494A (ja) Led照明装置
KR20090004381U (ko) 조명 액자형 재귀반사 타일 구조체
KR101038480B1 (ko) Led 등기구
US10775005B2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LED strip
JP6200382B2 (ja) Led照明装置
KR20120004032U (ko) 기존의 엘이디 모듈이 결합되는 조립식 라인바 장치
CN111963951A (zh) 一种线形灯
KR20160099888A (ko)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KR102204019B1 (ko) 조립식 화장실의 조명장치
KR100958789B1 (ko) 조명등 케이스
KR100963582B1 (ko) 차등의 밝기에 의한 장식 조명부를 갖는 천정 매립등
US10422511B1 (en) Covers for emergency egress light fixtures
KR200485995Y1 (ko) 조명거울
JP3053864U (ja) 階段用ノンス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