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24U - 조명등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명등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24U
KR20160000824U KR2020140006385U KR20140006385U KR20160000824U KR 20160000824 U KR20160000824 U KR 20160000824U KR 2020140006385 U KR2020140006385 U KR 2020140006385U KR 20140006385 U KR20140006385 U KR 20140006385U KR 20160000824 U KR20160000824 U KR 201600008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llumination
frame
transmissiv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461Y1 (ko
Inventor
윤병철
김순녀
Original Assignee
윤병철
김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철, 김순녀 filed Critical 윤병철
Priority to KR2020140006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6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사출에 의해 조명빛의 투과 및 산란효과에 의해 조명효율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투과부를 일체 성형으로 구성하되, 산란효과에 의한 불빛을 분산시켜 은은한 효과를 줌으로써 조명효과를 높이며 적용되는 조명등의 외관 표출을 미려함을 구현하여 인테리어 상품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등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불투명수지로서 수평방향의 천장조립부(110)와, 상기 천장조립부에 절곡 성형된 측면부(120)로 성형되는 프레임본체(100)와, 상기 측면부(120)에 일정간격으로 갖고 이중사출에 의해 라인 상으로 일체 성형되는 다수의 투광체(210)로 구성된 투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체(210)는 산란효과를 갖도록 내부에 요철홈면(220)과 외부에 볼록렌즈면(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조명등용 프레임{FRAME FOR ILLUMINATING LIGHT}
본 고안은 조명등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사출에 의해 조명빛의 투과 및 산란효과에 의해 조명효율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투과부를 일체 성형으로 구성하되, 산란효과에 의한 불빛을 분산시켜 은은한 효과를 줌으로써 조명효과를 높이며 적용되는 조명등의 외관 표출을 미려함을 구현하여 인테리어 상품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등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및 건물 내의 식당, 전시장, 연회장 등에서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조명등은 장식효과가 아닌 경우에 대부분이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천정용 조명등은, 내부에 램프(형광등, LED등)와 안정기 등이 장착된 조명등본체를 지지하는 조명등용 하우징과, 상기 조명등용 하우징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조명등본체의 램프의 빛을 고르게 확산 및 분포시키는 조명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조명등용 하우징은 압출 또는 사출 등에 의해 제작된 프레임 간의 조립에 의해 소정형상(삼각, 사각, 오각, 육각)의 틀체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천정을 형성한 골조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등용 하우징에 조립 또는 체결 되는 상기한 조명커버는 색상이 있거나 유백색으로 된 투과재질(투명,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램프의 시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조명등용 하우징에 적용되는 조명등용 프레임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서 제작되나, 단순히 틀체 기능에 적용됨으로서 내부의 램프의 빛을 외부로 발산하여 장식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리하여, 조명등 기능과 장식효과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있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가 개시되었다.
즉, 특허문헌 1은 조명판(조명커버)을 둘레와 중심부로 구분하여 둘레는 전등을 은닉시킬 수 있는 폭의 반투명부로 구성하고 중심부는 투명부로 구성하여 외형의 변화와 더불어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의 효과를 구현 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장식기능이 조명판(조명커버)을 불투명과 투명으로 구획 성형되어 조명 빛의 발산이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을 구현함으로서 측면 발산에 의함 천정부분으로 은은한 조명 빛응 발산하여 간접조명에 의한 장식미 효과를 제공할 수 없어 시각적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일체로 성형되는 조명커버의 측주면에 수직부와 수평부를 각각 형성하고, 그 수직부를 횡상으로 절단하여 그 절단단부의 사이에 투명의 투시반사체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투시반사체의 단부가 조명등 내부의 빛이 실내 사용자측을 향하여 효과적으로 반사되게 한 투시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조명등 내부의 빛을 반사하여 외부로 투시되게 하므로 그 투시반사체에 의한 보조광 또는 색다른 이중 조명 구조를 실현하여 더욱 화려하고 미려한 조명 효과를 연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조명등의 미려함이나 장식미를 위해서는 별도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투시반사체를 조립한 구조로서, 빛이 투과되는 상기 반투명 또는 투명의 합성수지 등을 조립하여 하나의 틀체로 구축에 따른 부피증가, 제조원가가 많이 들고, 형상에 있어서도 중간의 조명기능의 투시반사체의 변형 시에는 조립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장식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투과성 프레임을 조립하는 기본적으로 분할구조를 갖고 있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조립부분(계면)에서 열변형으로 이탈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조명의 빛 투과와 불투과층의 다층 구성에는 다수의 분할된 프레임의 조립구조와 이에 따른 원가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게다가 설계의 다양성 및 설치에 있어 큰 제약이 따르게 되어 최근의 인테리어 다양성이 요구되는 디자인과 입체감 등을 추구하는 사용자 측의 구매욕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실용 제20-0295736호(2002년 11월 06일) 특허문헌 2 : 한국 등록실용 제20-0427474호(2006년 09월 20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불투명 프레임의 측부에 빛이 투과하는 라인상의 투과부를 이중사출로 일체 성형하여 상기 다수의 라인투과부에 의한 조명 불빛이 측부로 산란 투과하도록 하여 은은한 효과를 줌으로써 조명효과를 높이며 적용되는 조명등의 외관 표출을 미려함을 구현하여 인테리어 상품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등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용 프레임은,
불투명수지로서 수평방향의 천장조립부와, 상기 천장조립부에 절곡 성형된 측면부로 성형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측면부에 일정간격으로 갖고 이중사출에 의해 라인 상으로 일체 성형되는 다수의 투광체로 구성된 투과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체는 산란효과를 갖도록 내부에 요철홈면과 외부에 볼록렌즈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투과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투광체에 의한 빛의 산란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하향으로 확장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광체의 볼록렌즈면은 천정면에 빛의 산란 량이 많도록 상향투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체는 투명수지로서 상기 요철홈면은 라운드형 굴곡홈과 굴곡돌기가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체는 투명수지로서 상기 요철홈면은 산형홈과 산형돌기가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일 프레임의 측면부에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를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조명등 구축을 위한 조명등 하우징의 조립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명등 설계의 다양성과 실내 장식을 위한 조명등을 제공하여 인테리어 제품으로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라인상의 투광체가 경사도를 갖는 측면부에 다수 형성됨으로서 조명등 하우징의 구축에 의한 다수의 투광체에 의한 조명 빛이 천정면에 보다 효율적인 입체감을 갖고 비추어짐으로서 실내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인테리어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등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조명등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명등용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4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빛의 산란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발췌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조명등하우징을 구축하는 조명등 프레임에 빛이 산란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투과부를 불투명수지의 프레임본체의 측면부에 다수개로 라인 상으로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등용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조명등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명등용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은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상호간 조립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명등용 하우징(300)을 조립하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에 조명커버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천정면에 조립된 조명등본체와 체결되어 사용된다.
본 고안의 조명등용 프레임은 프레임본체(1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투과부(200)로 크게 구분된다.
프레임본체(100)은 불투명수지로서 수평방향의 천장조립부(110)와, 상기 천장조립부(110)에 절곡 성형된 측면부(120)로 “ㄱ”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120)에 성형되는 투과부(200)는 일정간격을 갖는 라인 상으로 성형된 다수의 투광체(210), 바람직하게는 3열로서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투과부(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투광체(210)는 조명등에서 발산하는 빛이 통과하면서 외부에 산란효과를 투과하는 요철홈면(220)과 산란빛을 외부에 확산시키는 볼록렌즈면(2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측면부(120)는 상기 투과부(200)을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투광체(210)에 의한 빛의 산란이 상향(천정면)으로 향하도록 하향으로 확장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부(120)의 경사도(a)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도~30도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광체(210)는 투명수지로서, 상기 볼록렌즈면(230)는 천정면에 빛의 산란 량이 많도록 상향투과면(2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체(210)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홈(220)은 라운드형 굴곡홈과 굴곡돌기가 연속 형성되거나, 산형홈과 산형돌기가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본체(100)의 측면부(120)에 성형된 투시부(200)를 통해 발산된다.
이때, 조명빛은 다수의 투광체(210)에 구성된 내측의 요철홈면(220)을 통과하면 산란되고, 이렇게 산란된 빛은 볼록렌즈면(230)을 통해 외부로 확산된다.
이렇게 확산되는 빛은 상기 볼록렌즈면(230)에 형성된 상향투과면(213)에 의해 조명등용 프레임(300)의 설치된 천장 면에 확산 투시된다.
이렇게 확산 투시되는 조명빛에 의해 은은한 효과를 줌으로써 조명과 동시에 조명등의 외관 표출을 미려함을 구현하여 인테리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투시부(200)을 구성하는 투광체(210)의 재질이 투명재질로 설명하였으나, 반투명재질에 의해 빛 투과효과를 보다 은은하게 비추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건물의 인테리어 제품으로 최근 활성화된 장식기능의 조명등에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프레임 본체
110 : 천장조립부
120 : 측면부
200 : 투과부
210 : 투광체
220 : 요철홈면
230 : 볼록렌즈면

Claims (5)

  1. 불투명수지로서 수평방향의 천장조립부(110)와, 상기 천장조립부에 절곡 성형된 측면부(120)로 성형되는 프레임본체(100);
    상기 측면부(120)에 일정간격으로 갖고 이중사출에 의해 라인 상으로 일체 성형되는 다수의 투광체(210)로 구성된 투과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체(210)는 산란효과를 갖도록 내부에 요철홈면(220)과 외부에 볼록렌즈면(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20)는 상기 투과부(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투광체(210)에 의한 빛의 산란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하향으로 확장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체(210)의 볼록렌즈면(230)은 천정면에 빛의 산란 량이 많도록 상향투과면(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체(210)는 투명수지로서 상기 요철홈면(220)은 라운드형 굴곡홈과 굴곡돌기가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체(210)는 투명수지로서 상기 요철홈면(220)은 산형홈과 산형돌기가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조명등용 프레임.
KR2020140006385U 2014-08-28 2014-08-28 조명등용 프레임 KR200481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85U KR200481461Y1 (ko) 2014-08-28 2014-08-28 조명등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85U KR200481461Y1 (ko) 2014-08-28 2014-08-28 조명등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24U true KR20160000824U (ko) 2016-03-10
KR200481461Y1 KR200481461Y1 (ko) 2016-10-07

Family

ID=5553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85U KR200481461Y1 (ko) 2014-08-28 2014-08-28 조명등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03B1 (ko) * 2019-04-16 2020-02-17 문철영 조명 장치
KR200492303Y1 (ko) * 2019-06-18 2020-09-15 박상훈 Led 등기구용 커버
KR20210119072A (ko) * 2020-03-24 2021-10-05 이경철 반사판이 구비된 직화등용 절곡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321B1 (ko) * 2020-03-24 2022-02-28 이경철 직화등용 절곡 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736Y1 (ko) 2002-08-30 2002-11-18 (주)아티그램 조명등
KR200427474Y1 (ko) 2006-07-18 2006-09-27 박갑종 투시 반사체가 결합된 조명커버
KR20080005330U (ko) * 2008-03-10 2008-11-12 (주)이프리시스템 Led감성조명장치
KR20090008567U (ko) * 2008-02-21 2009-08-26 김석훈 천장용 조명등
KR20110067854A (ko) * 2009-12-15 2011-06-22 (주)라눅스 엘이디 평판램프형 조명기구
KR20130061215A (ko) * 2011-12-01 2013-06-11 조길제 내구성이 향상된 음량 기반형 led 회전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736Y1 (ko) 2002-08-30 2002-11-18 (주)아티그램 조명등
KR200427474Y1 (ko) 2006-07-18 2006-09-27 박갑종 투시 반사체가 결합된 조명커버
KR20090008567U (ko) * 2008-02-21 2009-08-26 김석훈 천장용 조명등
KR20080005330U (ko) * 2008-03-10 2008-11-12 (주)이프리시스템 Led감성조명장치
KR20110067854A (ko) * 2009-12-15 2011-06-22 (주)라눅스 엘이디 평판램프형 조명기구
KR20130061215A (ko) * 2011-12-01 2013-06-11 조길제 내구성이 향상된 음량 기반형 led 회전 조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03B1 (ko) * 2019-04-16 2020-02-17 문철영 조명 장치
KR200492303Y1 (ko) * 2019-06-18 2020-09-15 박상훈 Led 등기구용 커버
KR20210119072A (ko) * 2020-03-24 2021-10-05 이경철 반사판이 구비된 직화등용 절곡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61Y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461Y1 (ko) 조명등용 프레임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EP2309170A1 (en) Embedded lamp with auxiliary illumination
JP3173328U (ja) 電球型ledランプ
US20050213316A1 (en) Illuminated post system
JP3176534U (ja) ウォールウォッシュライト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200427474Y1 (ko) 투시 반사체가 결합된 조명커버
KR100638280B1 (ko)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KR101642288B1 (ko)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KR20090066536A (ko) 반복 배열된 장식타공으로부터 개별 노출되는 투명장식구를갖는 천정매립등
KR101836347B1 (ko) 엘이디 조명등
KR200382108Y1 (ko) 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천장용 조명커버
KR102437945B1 (ko) 반사판이 구비된 직화등용 절곡 프레임
KR200362105Y1 (ko) 천정등의 투광장식재 조립구조
JP2006198020A (ja) 収納棚
KR102368321B1 (ko) 직화등용 절곡 프레임
KR102026295B1 (ko) 천정 직착등용 커버 조립체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CN110720010A (zh) 模块化天花板套件
KR102541432B1 (ko) Led 인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06387B1 (ko) 장식 조명 기능을 갖는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
KR20130005916U (ko) 조립식 전등갓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KR100878019B1 (ko)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KR20100011567U (ko)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