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280B1 -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 Google Patents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280B1
KR100638280B1 KR1020060067268A KR20060067268A KR100638280B1 KR 100638280 B1 KR100638280 B1 KR 100638280B1 KR 1020060067268 A KR1020060067268 A KR 1020060067268A KR 20060067268 A KR20060067268 A KR 20060067268A KR 100638280 B1 KR100638280 B1 KR 10063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parent
lighting
insertion guide
translu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천섭
Original Assignee
진성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라이텍(주) filed Critical 진성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060067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및 연회장 등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있어서, 특히 조명커버의 테두리부에 결합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식용 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 그 장식용 프레임을 내부 공간이 형성된 "ㄴ"자형 압출물로 형성하고, 그 압출물의 내측부에는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안료가 혼합된 반투명부를 형성하고 압출물의 외측부에는 내측면에 요철무늬가 형성된 투명부를 형성하되, 이들 반투명부와 투명부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해 완성함으로써,
조명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조명등 설계의 다양성을 제공하면서도, 그 프레임이 갖는 이중 압출 성형구조에 의해 내부 반투명부가 은은하게 투시 관측되게 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며, 투명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내부의 요철무늬와 상기 반투명부는 간결하고 심플한 외형을 연출하면서도, 내부 공간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반투명부는 관측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표현하므로 조명등의 실내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조명등, 프레임, 조명커버, 반투명부, 불투명부, 내부공간, 이중압출

Description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frame for lighting lamp and the fram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이 적용된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에 의해 완성된 조명등의 실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의 타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의 또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명커버 2 : 조명본체
3 : 천정 4 : 램프
10 : 프레임체 11 : 내부공간
12 : 반투명부 13 : 투명부
14 : 삽입유도부 15 : 계지공간
16 : 경사부 17 : 압지부
18 : 요철무늬 19 : 투광공
20 : 삽입공 21 : 장식핀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및 연회장 등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있어 그 조명등의 외곽을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한 장식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의 본체 하측에 위치하면서도 그 조명커버가 결합되는 별도의 압출상 프레임을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은 제1압출기와 제2압출기를 통해 내,외측이 서로 다른 투명도를 갖도록 이중 압출 성형함으로서 외측의 투명부를 통해 내측의 반투명부가 은은하게 비쳐 보일 수 있게 하여 더욱 고급스러운 장식성을 부여하면서도 그 투명의 외측 내부에 형성된 요철무늬로부터 간결하고 심플한 심미감을 연출하므로, 조명등의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도 인테리어의 효과가 우수한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의 경우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반드시 설치되는 것이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식당, 전시장, 연회장 등 상기한 조명등은 거의 모든 시설의 내부에 설치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조명등은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 장착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실내의 측벽이나 실외에 설치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천정용 조명등은, 내부에 램프와 안정기 등이 장착된 고정본체와; 그 고정본체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램프의 빛을 고르게 확산 및 분포시키는 조명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한 고정본체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된 금속의 절곡체로 이루어져 있어 건축물의 천정 등에 견고하게 장착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반면, 상기한 조명커버는 유백색으로 된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그 본체 내부의 램프가 점등되면 이를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명등은 조명본체와 전등커버로 된 기본적인 분할구조를 갖고 있어 설계의 다양성에 있어 큰 제약이 뒤따르게 되어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 입체감 등을 추구하는 사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명등은 본체와 커버의 형태의 변경을 통해 설계 및 디자인의 변화를 고려하고 있으나, 원형이나 사각형태 등 기본적인 형태의 변화에 의한 제한 적인 변형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표면의 색상 변화나 무늬 등을 가미하여 설계하는 등 극히 제한적인 요소만을 반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극히 단순하여 무난한 설치 형태를 제공하는 면은 있으나, 실내 인테리어와의 부조화를 초래하게 되고 일반적인 형태로부터 식상해하는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커버의 테두리부에 결합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식용 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 그 장식용 프레임을 내부 공간이 형성된 "ㄴ"자형 압출물로 형성하고, 그 압출물의 내측부에는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안료가 혼합된 반투명부를 형성하고 압출물의 외측부에는 내측면에 요철무늬가 형성된 투명부를 형성하되, 이들 반투명부와 투명부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해 완성함으로써,
조명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조명등 설계의 다양성을 제공하면서도, 그 프레임이 갖는 이중 압출 성형구조에 의해 내부 반투명부가 은은하게 투시 관측되게 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며, 투명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내부의 요철무늬와 상기 반투명부는 간결하고 심플한 외형을 연출하면서도, 내부 공간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반투명부는 관측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표현하므로 조명등의 실내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투명수지를 공급하는 제1압출기와, 안료가 배합된 반투명수지를 공급하는 제2압출기에 의해 이중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체를 성형하되,
상기 프레임체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ㄴ"자 형상으로 압출하여, 상기 "ㄴ"자의 압출물 내측에는 반투명부가 되게 하고, 압출물의 외측에는 투명부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투명부의 내측면에는 반복 형성된 요철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반투명부에는 일체로 돌출된 삽입유도부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조명커버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본체와 고정된 프레임체는, 상기 요철무늬의 투시 및 그 내측의 반투명부가 입체적으로 투시 관측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부터 완성된 장식용 프레임체의 구성은,
조명커버(1)의 측단부가 삽입되게 한 프레임체(10)를 이중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체(10)는 내부공간(11)을 갖는 "ㄴ"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프레임체(10)의 내측부는 안료가 배합된 반투명부(12)로 구성하고, 프레임체(10)의 외측부는 투명부(13)로 각각 구성하며,
상기 반투명부(1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된 삽입유도부(14)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반투명부(12)의 바닥면과 삽입유도부(14)의 저면 사이에 상기 조명커버(1)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계지공간(15)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삽입유도부(14)의 단부에는 상향의 경사부(16)를 형성하여 상기 조명커버(1)의 유도 삽입을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그 삽입유도부(14)의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구형의 압지부(17)를 형성하여 삽입된 조명커버(1)의 고정력이 증대되게 하며,
상기 투명부(13)의 내측면에는 반복 형성된 요철무늬(18)를 형성하여, 프레임체(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요철무늬(18)가 입체적으로 투시되게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삽입유도부(14)의 상측에 해당하는 반투명부(12)에는 관통상의 투광공(19)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조명등 내부의 빛이 상기 투광공(19)을 통해 투시되게 구성하거나,
상기한 삽입유도부(14)의 상측에 해당하는 반투명부(12)와, 그 반투명부(12)와 수평 위치인 투명부(13)에는 삽입공(20)을 각각 관통 형성하여, 이에 투광체로 된 장식핀(21)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제조방법에 의한 본 발명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의 제조공정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은 조명등의 하부 조명커버(1)를 결합시키면서 그 조명본체(2)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도 4를 보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프레임체(10)에 조명커버(1)의 측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를 조명본체(2)와 체결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한 조명본체(3)는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의 체결구조는 상기 조명커버(1)와 조명본체(2)가 지지봉 등에 의해 고정되게 하거나 상기 프레임체(10)가 직접 조명본체(2)와 체결되게 하는 등 다양한 체결방법을 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체(10)는, 내부공간(11)을 갖는 "ㄴ"자 형태로 압출 생산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반투명부(12)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투명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이중 압출 성형구조를 갖게 된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1압출기와 제2압출기로부터 각기 다른 투명도를 갖는 수지가 공급되는 이들 이종의 투명도를 갖는 수지는 몰드의 내부에서 경계면이 서로 용융 접합되면서 일체의 압출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출물은 상기와 같이 그 내측부에는 다양한 색상의 안료가 배합되어진 반투명(12)가 위치하게 되고, 그 나머지의 부분인 외측부에는 색상을 전혀 갖지 않는 투명부(13)가 형성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반투명부(12)에는 상기한 조명커버(1)의 측단에 삽입할 수 있게 된 삽입유도부(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삽입유도부(14)는 그 반투명부(12)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어 소정의 계지공간(15)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그 프레임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한 계지공간(15)을 이용하여 그 조명커버(1)의 측단에 프레임체(10)를 결합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삽입유도부(14)의 단부에는 상향의 경사부(16)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그 조명커버(1)의 측단에 삽입됨에 있어 보다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삽입유도부(14)의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압지부(17)를 형성하여 상기 계지공간(15) 내에 위치하고 있는 조명커버(1)의 측단부를 압압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갖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투명부(13)에는, 상기 내부공간(11)에 해당하는 내측면에 반복 형성된 요철무늬(18)를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한 요철무늬(18)는 그 외측면에 직접 형성된 것이 아니라 내측면에 형성되어 투명부(13)를 통해 반사되거나 투시되므로 이들 요철무늬(18)의 경계선이 비쳐보이면서 외관상 매우 간결하고 심플한 심미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체(10)를 갖는 조명등에 전원이 인가되어 그 램프(4)가 점등되면 그 빛은 하부의 조명커버(1)로부터 확산되어 실내를 비추게 됨은 물론 상기한 프레임체(10)의 반투명부(12)를 투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램프(4)를 통해 밝은 상태의 반투명부(12)는 상기 투명부(13)를 통해 비쳐보이는 것으로서, 반투명부(12)와 투명부(13)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11)에 의해 조명등의 외부에서 관측할 경우 상기 반투명부(12)는 입체적인 형태로 투시되는 것이며 관찰 각도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모습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체(10)는 그 장식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프레임체(10)의 반투명부(12)에 관통된 투광공(19)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서 그 조명등 내부의 빛이 상기 투광공(19)을 통해 직접 투과되므로, 상기 반투명부(12)와 투광공(19)을 통한 빛의 밝기가 서로 달라, 더욱 밝은 상태의 투광공(19)은 연속되는 점 형태의 장식성을 갖게 된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반투명부(12)와 투명부(13)에 서로 일치하는 축선을 갖는 삽입공(20)을 연속하여 관통 형성하고, 그 삽입공(20)에는 투광이 가능한 장식핀(21)을 삽입함으로써, 그 장식핀(21)을 통해 투과되는 내부 램프의 빛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장식 효과를 갖게 하면서도, 상기 장식핀(21)에 색상을 부여함에 따라 전혀 다른 색상의 표현을 통해 그 장식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 프레임은, 조명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조명등 설계의 다양성을 제공하면서도, 그 프레임이 갖는 이중 압출 성형구조에 의 해 내부 반투명부가 은은하게 투시 관측되게 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며, 투명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내부의 요철무늬와 상기 반투명부는 간결하고 심플한 외형을 연출하면서도, 내부 공간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반투명부는 관측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표현하므로 조명등의 실내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투명수지를 공급하는 제1압출기와, 안료가 배합된 반투명수지를 공급하는 제2압출기에 의해 이중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체를 성형하되,
    상기 프레임체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ㄴ"자 형상으로 압출하여, 상기 "ㄴ"자 형상의 압출물 내측에는 반투명부가 형성되고 압출물의 외측에는 투명부가 형성되어, 이들 경계부는 서로 용융상태에서 일체로 접합되게 하며,
    상기 투명부의 내측면에는 반복 형성된 요철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반투명부에는 일체로 돌출된 삽입유도부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조명커버의 측단부가 프레임체의 일측으로 삽입 고정되며, 조명본체 내측의 빛은 투명부의 요철무늬 투시 및 그 내부공간을 통한 반투명부가 입체적으로 투시 관측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
  2. 조명커버(1)의 측단부가 삽입되게 한 프레임체(10)를 이중 압출 성형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체(10)는 내부공간(11)을 갖는 "ㄴ"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프레임체(10)의 내측부는 안료가 배합된 반투명부(12)로 구성하고, 프레임체(10)의 외측부는 투명부(13)로 각각 구성하며,
    상기 반투명부(1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된 삽입유도 부(14)를 구성하여 이에 의해 반투명부(12)의 바닥면과 삽입유도부(14)의 저면 사이에 상기 조명커버(1)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계지공간(15)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삽입유도부(14)의 단부에는 상향의 경사부(16)를 형성하고, 그 삽입유도부(14)의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구형의 압지부(17)를 형성하며,
    상기 투명부(13)의 내측면에는 반복 형성된 요철무늬(18)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삽입유도부(14)의 상측에 해당하는 반투명부(12)에는 관통상의 투광공(19)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조명등 내부의 빛이 상기 투광공(19)을 통해 투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4. 제 2항에 있어서,
    삽입유도부(14)의 상측에 해당하는 반투명부(12)와, 그 반투명부(12)와 수평 위치인 투명부(13)에는 삽입공(20)을 각각 관통 형성하여, 이에 투광체로 된 장식핀(21)을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KR1020060067268A 2006-07-19 2006-07-19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KR10063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268A KR100638280B1 (ko) 2006-07-19 2006-07-19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268A KR100638280B1 (ko) 2006-07-19 2006-07-19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280B1 true KR100638280B1 (ko) 2006-10-31

Family

ID=3762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268A KR100638280B1 (ko) 2006-07-19 2006-07-19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2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19B1 (ko) * 2008-05-27 2009-01-13 (주)동화조명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KR101972280B1 (ko) 2018-12-14 2019-08-16 이수빈 조명등 본체 둘레판 및 그 조명등 본체 둘레판 제조방법
KR102054593B1 (ko) 2018-09-20 2019-12-10 양병모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한 조명등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명등 프레임
KR102146406B1 (ko) * 2020-02-10 2020-08-20 박래상 압출제품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19B1 (ko) * 2008-05-27 2009-01-13 (주)동화조명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KR102054593B1 (ko) 2018-09-20 2019-12-10 양병모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한 조명등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명등 프레임
KR101972280B1 (ko) 2018-12-14 2019-08-16 이수빈 조명등 본체 둘레판 및 그 조명등 본체 둘레판 제조방법
KR102146406B1 (ko) * 2020-02-10 2020-08-20 박래상 압출제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280B1 (ko)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KR100934683B1 (ko) 청색광원 사용에 따른 안정된 실내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천정등
CN105042434A (zh) 能够结合到建筑顶层上的灯具骨架结构及集成灯岛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KR100933296B1 (ko)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KR200481461Y1 (ko) 조명등용 프레임
CN208630241U (zh) 一种带光源的沉雕工艺品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CN204164935U (zh) 一种玩具灯具
CN207112503U (zh) 装饰灯
CN201747214U (zh) 具有异形镜饰和照明设备的门
KR101642288B1 (ko)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KR200396987Y1 (ko) 조경용 조립식 등기구
CN203413496U (zh) 一种led吸顶灯
CN201652005U (zh) 墙面装饰线条灯
KR101780585B1 (ko) 착탈형 장식 부재를 갖는 조명등 커버
KR101181492B1 (ko) 빛 장식부가 연출되게 한 천정직착등
KR20090066536A (ko) 반복 배열된 장식타공으로부터 개별 노출되는 투명장식구를갖는 천정매립등
CN201858623U (zh) 有散光层和反光罩的led发光体
CN206593047U (zh) 一种新型的灯臂结构
KR100933083B1 (ko) 타공부에 대한 광택 장식이 이루어지게 한 조명등용 본체
KR200382108Y1 (ko) 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천장용 조명커버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CN202724675U (zh) 一种星光灯毛绒玩具
KR20090066535A (ko) 장방향 슬릿공에 안치되는 투명장식구를 갖는 천정매립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