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296B1 -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 Google Patents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296B1
KR100933296B1 KR1020090053438A KR20090053438A KR100933296B1 KR 100933296 B1 KR100933296 B1 KR 100933296B1 KR 1020090053438 A KR1020090053438 A KR 1020090053438A KR 20090053438 A KR20090053438 A KR 20090053438A KR 100933296 B1 KR100933296 B1 KR 10093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over
light
bending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김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영 filed Critical 김근영
Priority to KR102009005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천정 하부 등에 고정 설치되거나 매달아 설치되는 조명등용 조명커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 형태로 된 투광부재의 일표면에 절곡부의 위치 및 개수와 간격에 따라 컷팅홈을 형성하고, 가열된 투광부재를 성형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컷팅홈을 따라 평판 형태의 투광부재가 다양한 각도를 갖는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로 생산되게 함으로써,
이들 컷팅홈을 따라 다양한 절곡부를 갖는 다면형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어 저비용의 생산원가는 물론 생산성 형상과 더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절곡 형태는 물론 크기와 형태의 제한을 받지 않아 소량 다품종의 조명커버를 생산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이며, 절곡 각도의 변화나 절곡부의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명커버는 다양한 표면 요철무늬의 성형이 가능한 평판 형태의 투광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압출이나 사출 성형으로는 불가능한 표면 요철무늬를 갖는 다면형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조명등, 조명커버, 투광부재, 컷팅홈, 절곡, 다면

Description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Method for producing lamp cover having polyhedric shape and lamp cover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천정 하부 등에 고정 설치되거나 매달아 설치되는 조명등용 조명커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의 빛은 확산 투광시키면서도 조명등의 미려한 외장을 연출하기 위한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를 제작함에 있어, 평판 형태로 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부재 표면에 연속하는 컷팅홈을 형성한 후, 상기와 같은 컷팅홈을 이용하여 평판상의 투광부재를 절곡하여 생산함에 따라, 비교적 저비용의 생산비로도 우수한 품질의 다면형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컷팅홈의 위치나 개수에 따라 절곡면의 넓이나 개수 및 각도의 조절이 자유로워 다양한 향태로 된 다면형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과 같은 일반 거주시설은 물론 오피스텔이나 호텔 또는 연회장과 같은 활동시설 및 관공서나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 등의 실 내,외에는 다양한 형태로 된 조명시설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시설에 있어서 실내에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되는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실내의 벽면이나 천정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등은 실내의 벽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천정등은 천정 하부면으로부터 매달아 설치하거나 천정 하부면에 직접 고정 설치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명등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조명등은 천정 직착등으로서, 천정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램프와 안정기 등이 부착되는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로부터 실내를 행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조명커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평면상 원형의 형태로 된 것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선호도에 따라 또는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사각 형태의 것이나 타원형의 형태로 된 조명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전기와 같이 단편 일률적인 형태로 된 조명등으로부터 탈피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 및 디자인을 갖는 조명등을 제작함에 따라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크게 넓히면서도 다양한 실내 인테리어와 부합할 수 있는 제품을 양산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근자의 조명등에 있어서 가장 주목되고 있는 형태의 조명등은 조명커버가 절곡형 다면체로 된 것을 지목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에 의한 조명등은 조명커버 자체가 연출하는 절곡형 다면부에 의해 미려한 외장을 연출하면서도 절곡된 조명커버가 갖는 입체감으로 인해 제품의 다양성은 물론 고급스러움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곡형 다면부를 갖는 조명커버는 다양한 각도의 평면부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갖고 일체로 생산되므로 보는 이의 위치에 따라 반사광이 서로 다르게 연출되는 것이고, 이와 더불에 내부 램프의 점등 빛이 상기와 같은 다각의 절곡면을 통해 서로 다른 밝기를 갖고 간접 점등되므로 조명등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특징을 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는 벽체등이나 천정등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고, 천정등에 있어서도 천정 직착등이나 천정 매다는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조명커버를 생산하기 위한 측면 커버부재로서의 기능도 담당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의 변형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는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압출이나 사출 성형으로만 제작되어야 하는 제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연속 길이방향으로 압출된 형태의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를 필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설계된 치수에 알맞도록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압출이나 사출 성형을 위해서는 대형의 압출금형 또는 사출금형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조명등 전체에서 비교적 낮은 단가부분을 차지하는 조명커버를 생산하기 위해 과도한 금형비의 지출이 뒤따르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출이나 사출성형에 의해 생산되는 조명커버는 합성수지의 수축 작용으로 인해 휨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고, 성형과정에서 긁힘이나 백화현상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므로 불량율 또한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고비용의 원가 부담을 갖고 생산된 다면형의 조명커버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후가공을 통해 다양한 위치에 드릴 천공 작업 등을 통하여 조립공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고, 그에 따라 작업 지연은 물론 균일하고 안정적인 제품의 수급에 대한 차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울러, 상기와 같이 압출금형이나 사출금형으로 생산되는 다면형 조명커버는 항상 동일한 형태와 수치로만 제작되므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조명등을 제작 및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압출금형이나 사출금형을 모두 각기 제작하여야 하므로 소량 다품종의 생산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일률적인 형태의 조명등만을 제한적으로 생산할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생산되는 조명커버의 경우 생산방식으로 인해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무늬를 형성할 수 없는 것으로서, 압출생산의 경우 연속 길이방향으로 제품이 생산되는 방식으므로 표면의 무늬는 압출 길이방향에 대하여만 직선 형태로 형성할 수 밖에 없는 제한성을 갖고 있고, 사출생산의 경우에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전개 가능 범위 내에서 요철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나 역시 다양한 각도와 위치로의 요철무늬는 형성할 수 없는 것이고, 조밀하고 반복되는 요철무늬는 사출성형에서의 작업 속도 지연은 물론 변형이나 휨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압출 또는 사출 생산방식의 조명커버를 제작한 상태에서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작은 유리알갱이 등을 도포 접착하는 후공정을 통해 표면처리를 수행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조명커버는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면서도 많은 작업 공정으로 인해 고비용의 생산비가 요구되므로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 역시 경제적인 압박이 극심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평판 형태로 된 투광부재의 일표면에 절곡부의 위치 및 개수와 간격에 따라 컷팅홈을 형성하고, 가열된 투광부재를 성형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컷팅홈을 따라 평판 형태의 투광부재가 다양한 각도를 갖는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로 생산되게 함으로써,
투광커버가 커팅홈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절곡될 수 있으면서도 컷팅홈의 위치와 개수 및 간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된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다면형 조명커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의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판 형태로 된 투광기 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광기재의 표면에는 나란하게 연속하는 컷팅홈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컷팅홈을 갖는 투광기재가 용융되지 않도록 가열한 상태에서 상부형틀과 하부형틀 사이에 투광기재를 위치시켜 상부형틀의 하강에 의해 투광기재가 상부형틀 및 하부형틀의 형상에 따라 절곡되게 하여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를 제조하되,
상기 컷팅홈은 조명커버의 내측에서 면과 면이 서로 만나는 경계에 위치하여 투광기재의 용이한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구부러짐에 의한 절곡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컷팅홈에 의해 절곡된 투광기재의 외면에는 구분된 절곡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판 형태로 만들어진 투광부재에 다양한 위치와 개수로 컷팅홈을 형성하여 이들 컷팅홈을 따라 다양한 절곡부를 갖는 다면형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어 저비용의 생산원가는 물론 생산성 형상과 더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절곡 형태는 물론 크기와 형태의 제한을 받지 않아 소량 다품종의 조명커버를 생산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이며, 절곡 각도의 변화나 절곡부의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명커버는 다양한 표면 요철무늬의 성형이 가능한 평판 형태의 투광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압출이나 사출 성형으로는 불가능한 표면 요철무늬를 갖는 다면형 조명커버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면형 조명커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가 적용된 조명등의 실시예도이다.
도시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커버(10)는, 각도를 갖고 연속되는 절곡외면(12)(12')과 절곡내면(13)(13')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커버(10)는 절곡내면(13)(13') 간의 경계에 컷팅홈(1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결국 상기의 조명커버(10)는 컷팅홈(11)(11')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를 갖고 서로 대응하는 절곡외면(12)(12')과 절곡내면(13)(13')을 갖는 밴딩체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커버(10)는 별도의 조명본체와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도면에는 미도시함)을 관통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 도 2의 도시와 같은 벽체용 조명등의 고정본체(2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명등용 커버부재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명커버(10)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상세히 설펴보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우선 평판 형태로 된 투광기재(1)를 구비한다. 이때의 투광기재(1)는 조명커버의 특성상 투명이거나 반투명의 형태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투광기재(1)의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로 된 요철무늬(15)를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요철무늬(15)는 평판 형태로 성형되는 투광기재(1)의 특성상 다양한 무늬의 조합이나 배열이 가능할 것이고, 요철무늬(15)를 구성하는 돌기와 홈부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일 수도 있을 것이며, 반투명 혹은 불투명으로 된 작은 알갱이 형태의 글래스샌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요철무늬(15)는 투명재로 된 투광기재(1)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서, 투명재로 된 투광기재(1)가 상기의 요철무늬(15)에 의해 빛의 무수한 난반사가 이루어지면서 반투명인 상태가 되게 하기 때문인 것이다. 이때, 반투명인 투광기재(1)에 요철무늬(15)를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요철무늬(15)는 투광기재(1)의 일측면에만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양측 표면 전체에 모두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하고자 하는 조명커버의 크기와 일치하거나 제작하고자 하는 조명크기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투광기재(1)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의 투광기재(1)의 상부면에는 반복하는 컷팅홈(11)(1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컷팅홈(11)(11')은 단면상 브이홈이거나 반원홈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컷팅홈(11)(11')의 위치와 간격 및 개수는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의 컷팅홈(11)(11')은 평판 형태로 된 투광기재(1)의 절곡부를 의미하는 것이고, 컷팅홈(11)(11') 간의 간격은 평면부에 대한 폭을 결정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컷팅홈(11)(11')의 개수는 단일의 투광기재(1)에 대한 절곡부의 개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컷팅홈(11)(11')의 형성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체결공을 함께 관통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계된 간격과 위치 및 개수를 갖는 컷팅홈(11)(11')이 형성된 상태의 투광기재(1)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부형틀(2)과 하부형틀(3)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부형틀(3)의 상부에 올려지게 되는 것인데, 상부형틀(2)과 하부형틀(3)은 투광기재(1)를 절곡하여 완성하기 위한 조명커버(1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된 가압틀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투광기재(1)는 경화된 상태의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된 합성수지일 것이므로 이와 같은 상태의 투광기재(1)를 단순히 가압하여 절곡하게 되면 상기의 컷팅홈(11)(11')에 해당하는 부분이 부러지거나 꺽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것이므로, 상기의 투광기재(1)를 예비가열한 상태에서 가압 절곡하거나 상기 상부형틀(2) 또는 하부형틀(3)이 자체의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의 용융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가열되는 투광기재(1)는 표면이 용융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와 가열에 의한 구부러짐이 가능할 정도의 온도를 범위 내에서 가열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투광기재(1)의 용융점 보다는 5~10℃ 정도 낮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가열된 상태의 투광기재(1)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 부형틀(2)과 하부형틀(3)의 가압 작용으로 인해 상부형틀(2) 및 하부형틀(3)의 형상을 따라 절곡되는 것이고, 결국 이들 형틀의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는 상기의 컷팅홈(11)(11')과 일치하도록 설계된 것이므로 상기의 투광기재(1)는 컷팅홈(11)(11') 부분이 절곡되면서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10)로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컷팅홈(11)(11')은 상기의 투광기재(1)가 절곡됨에 있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투광기재(1)가 절곡에 의해 변형되거나 늘어짐 또는 갈라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절곡부가 더욱 부드러운 구부러짐이 이루어지게 하며, 절곡분에 대한 코너부분의 라운딩 효과를 최소화하여 절곡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평면부와 평면부 간의 경계가 더욱 두드러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얻어진 조명커버(10)는 다양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절곡외면(12)(12')과 절곡내면(13)(13')을 갖고 완성되는 것이며, 상기 절곡내면(13)(13') 간의 경계에는 절곡 각도에 따라 좁혀진 상태의 컷팅홈(11)(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커버(10)는 전기한 바와 같이 컷팅홈(11)(11')의 위치와 개수 및 간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고,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요철무늬(15)가 형성된 상태로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을 꾀하는데 매우 유리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조명커버(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압 절곡에 의해 얻어진 조명커버(10)의 내측 컷팅홈(11)(11')에 잉크나 수지 로 된 밴드 또는 필름이나 테이프과 같이 색상을 갖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컬러층(14)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컬러층(14)을 갖는 조명커버(10)는 절곡에 의한 평면부가 더욱 두드러지게 구분 표현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조명등의 점등시 상기의 컬러층(14)은 해당의 색상을 통해 반사 투시되면서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게 되므로 더욱 고급스러운 다면형 조명커버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상기의 컷팅홈(11)(11')의 형성 각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컷팅홈(11)(11')의 내각을 절곡하고자 하는 각도와 일치하도록 브이홈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이들 컷팅홈(11)(11')에 의해 해당 부분이 절곡됨에 따라 상기의 컷팅홈(11)(11')은 브이홈 형태가 아닌 직선 형태를 갖고 절곡 완성되므로 전기한 바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동시에 외부로는 컷팅홈(11)(11')이 거의 드러나지 않아 더욱 미려한 외관을 갖는 조명커버(10)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면형 조명커버는 전기한 바와 같이 벽체용 조명등의 전면 커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의 도시와 같이 천정 직착등용 조명등의 고정본체(20)에 직접 고정되는 전면커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도 10의 도시와 같이 천정 직착등의 고정본체(20)의 하부 외측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면커버로도 활용하여 이들 측면커버의 내측으로 평판 형태로 된 전면커버가 함께 결합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면형 조명커버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가 적용된 조명등의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의 제조공정도로서, 평판형태의 투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4의 투광부재에 컷팅홈을 형성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투광부재를 가압 성형하기 위한 공정도
도 6은 도 5의 가압 성형에 의해 투광부재가 절곡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의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를 천정직착등의 조명커버로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형 조명커버를 천정직착등의 측면커버로 적용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투광기재 2 : 상부형틀
3 : 하부형틀
10 : 조명커버 11,11' : 컷팅홈
12,12' : 절곡외면 13,13' : 절곡내면
14 : 컬러층 15 : 요철무늬
20 : 고정본체

Claims (7)

  1. 평판 형태로 된 투광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광기재의 표면에는 나란하게 연속하는 컷팅홈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컷팅홈을 갖는 투광기재가 용융되지 않도록 가열한 상태에서 상부형틀과 하부형틀 사이에 투광기재를 위치시켜 상부형틀 및 하부형틀의 형상에 따라 투광기재가 가압 절곡되게 하여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를 제조하되,
    상기 컷팅홈은 조명커버의 내측에서 면과 면이 서로 만나는 경계에 위치하여 투광기재의 용이한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구부러짐에 의한 절곡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컷팅홈에 의해 절곡된 투광기재의 외면에는 구분된 절곡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한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컷팅홈의 내측에는 컬러층을 형성하여 조명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점등되는 램프의 빛을 통해 상기의 컬러층이 장식성을 연출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평판 형태로 된 투광기재의 표면에 나란하게 연속하는 컷팅홈(11)(11')을 형성하여 이를 가열 상태에서 성형틀에 의해 절곡 형성하여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10)를 형성하되,
    절곡 형성된 상기의 조명커버(10)는, 외면과 내면에 각각 나란하게 연속하는 절곡외면(12)(12')과 절곡내면(13)(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내면(13)(13') 간의 경계에는 컷팅홈(11)(11')이 위치하도록 구성한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에 있어서,
    상기 컷팅홈(11)(11')에는 색상을 갖는 잉크나 밴드 또는 테이프 중 선택된 하나의 것에 의한 컬러층(14)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53438A 2009-06-16 2009-06-16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KR10093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38A KR100933296B1 (ko) 2009-06-16 2009-06-16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38A KR100933296B1 (ko) 2009-06-16 2009-06-16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296B1 true KR100933296B1 (ko) 2009-12-22

Family

ID=4168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438A KR100933296B1 (ko) 2009-06-16 2009-06-16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2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96B1 (ko) * 2014-02-10 2015-08-03 배우기 조명등용 갓
KR20150003953U (ko) 2014-04-21 2015-10-29 (주) 케이엔라이팅 천장직착등 투광커버 형성구조
WO2016013764A1 (ko) * 2014-07-21 2016-01-28 홍순황 시트를 말아서 형성되는 광 확산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등 타입의 led 조명장치
KR101711519B1 (ko) * 2016-12-05 2017-03-02 (주)코앤코 벌레퇴치 기능을 갖는 전등갓
CN110709638A (zh) * 2017-11-20 2020-01-17 首尔半导体株式会社 灯泡型光源
KR20220033378A (ko) * 2020-09-09 2022-03-16 이영묵 자유 변형 레일 장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69Y1 (ko) * 2003-05-09 2003-08-14 주식회사 링크맨 실내 조명등용 커버
KR100504250B1 (ko) 2003-07-25 2005-08-18 박연희 아크릴수지판으로 된 조명등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5090A (ko) * 2002-11-21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060132522A (ko) * 2006-11-20 2006-12-21 최홍석 아크릴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크릴판 조명등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090A (ko) * 2002-11-21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0322669Y1 (ko) * 2003-05-09 2003-08-14 주식회사 링크맨 실내 조명등용 커버
KR100504250B1 (ko) 2003-07-25 2005-08-18 박연희 아크릴수지판으로 된 조명등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2522A (ko) * 2006-11-20 2006-12-21 최홍석 아크릴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크릴판 조명등 커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96B1 (ko) * 2014-02-10 2015-08-03 배우기 조명등용 갓
KR20150003953U (ko) 2014-04-21 2015-10-29 (주) 케이엔라이팅 천장직착등 투광커버 형성구조
KR200481013Y1 (ko) * 2014-04-21 2016-08-03 (주) 케이엔라이팅 천장직착등 투광커버 형성구조
WO2016013764A1 (ko) * 2014-07-21 2016-01-28 홍순황 시트를 말아서 형성되는 광 확산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등 타입의 led 조명장치
KR101711519B1 (ko) * 2016-12-05 2017-03-02 (주)코앤코 벌레퇴치 기능을 갖는 전등갓
CN110709638A (zh) * 2017-11-20 2020-01-17 首尔半导体株式会社 灯泡型光源
KR20220033378A (ko) * 2020-09-09 2022-03-16 이영묵 자유 변형 레일 장식 장치
KR102405487B1 (ko) * 2020-09-09 2022-06-03 이영묵 자유 변형 레일 장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296B1 (ko)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CN208630241U (zh) 一种带光源的沉雕工艺品
KR100800015B1 (ko) 조명등용 아크릴 장식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장식커버
US8858053B1 (en) Systems and methods of eliminating shadowing in recessed luminaire and hydrographic printing of the same
KR100638280B1 (ko)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CN207112503U (zh) 装饰灯
CN200988304Y (zh) 在正面与背面上成形有纹的丙烯酸板
CN206875223U (zh) 一种便于制造的管式灯具
CN201615404U (zh) Led导光体阵列加散光板的灯饰
CN101303107B (zh) 一种软性led灯带及其制造方法
CN102537867A (zh) 一种多次注塑导光板及其制作方法、照明灯具
CN108790573A (zh) 一种沉雕工艺品成像方法和工艺品
CN203413496U (zh) 一种led吸顶灯
CN201858623U (zh) 有散光层和反光罩的led发光体
CN101956967A (zh) 有散光层和反光罩的led发光雕塑、发光浮雕、发光砖、发光体
CN101598271A (zh) 一种led带孔双发光板装饰灯
CN201103841Y (zh) 装饰灯灯罩
KR100631045B1 (ko) 스테인레스 밀러판이나 성형틀을 이용한 아크릴 조명커버의제조방법
KR100762741B1 (ko) 브라켓이 필요없는 투명수지패널 램프
KR100884618B1 (ko) 조명등용 아크릴 장식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장식커버
KR20130077046A (ko) 조명기구용 글로브 및 그 제조방법
CN202501396U (zh) 一种多次注塑导光板及照明灯具
KR100830436B1 (ko)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공존에 의한 장식문양을 갖는조명등용 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조명등용 커버
CN205191251U (zh) 曲面导光灯具
CN215892084U (zh) 装饰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