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19B1 -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 Google Patents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019B1
KR100878019B1 KR1020080049110A KR20080049110A KR100878019B1 KR 100878019 B1 KR100878019 B1 KR 100878019B1 KR 1020080049110 A KR1020080049110 A KR 1020080049110A KR 20080049110 A KR20080049110 A KR 20080049110A KR 100878019 B1 KR100878019 B1 KR 10087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decorative frame
transparent
decoration fram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열
Original Assignee
(주)동화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조명 filed Critical (주)동화조명
Priority to KR102008004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및 관공서 등의 실내 천정에 장착되는 조명등에 있어, 상기의 천정직착등을 형성하기 위한 장식틀체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출 성형되는 장식틀체를 조립하여 제작되는 천정직착등에 있어 상기의 장식틀체를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단일체에 공존하여 성형되게 하되, 상기의 장식틀체에는 투명의 장식부와 장식부 내면의 요철무늬부를 형성하여, 상기의 투명부에 의해서는 조명등 내부 램프의 빛이 그대로 투과되게 하므로 더욱 밝은 상태의 하이라이트 효과가 나타나게 하고, 측면에 해당하는 장식부와 그 내부의 요철무늬부는 상기의 투명부를 통해 램프의 빛이 반사되게 함으로서, 상기의 투명부 보다는 낮은 조도로 점등되는 것과 같은 자체발광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조명등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측면 및 저면의 하이라이트부와 더불어 간접조명에 의한 자체발광 효과를 연출하여 미려한 심미감은 물론 장식성이 뛰어난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에 관한 것이다.
천정, 직착등, 조명등, 장식틀체, 투명부, 불투명부, 장식부, 하이라이트

Description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Decorative frame for ceiling lamp made by double extrusion}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및 관공서 등의 실내 천정에 장착되는 조명등에 있어, 상기의 천정직착등을 형성하기 위한 장식틀체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압출을 통해 투명부와 불투명부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다양한 장식부는 물론 장식부 내면의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투명부에 의한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효과와 더불어 상기 투명부를 통해 반사되는 장식부에 의한 전체적인 발광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조명등 전체의 미려한 심미감과 우수한 장식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주거공간 실내 또는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업무공간 및 학교나 관공서 등의 공공시설의 내부 공간에는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충분한 조도가 확보되지 않는 주간이나 야간시 점등되게 하여 그 실내를 충분히 밝게 비춰주므로 주거 및 업무나 학습에 지장을 주기 않도 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천장의 하부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조명본체와 그 조명본체의 하측으로부터 탈,부착되게 한 반사커버 또는 반사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조명본체의 하부 내측에는 램프와 소켓 및 안정기 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한 조명본체와 반사판 간에는 이들을 서로 간편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한 착탈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조명본체를 천장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한 반사커버를 결합시킴에 따라 조명등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내부의 램프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반사커버를 조명본체로부터 분리시켜 노출 상태의 램프를 교체한 후 분리된 반사커버를 그 조명본체에 재장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조명본체와 반사커버로 된 단순 구조로부터 탈피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된 조명등 및 천정직착등이 제안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은 각기 고유의 형상과 디자인 및 다양한 조립방법이나 구조 등을 적용하여 조명등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실내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미려한 심미감을 연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명등은 조명등 본래의 목적에 충실하여야 하므로 변경 가능한 부분이 극히 제한적이며,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적용하여 미려한 심미감을 갖도록 제작하였다 하더라도 불필요하게 많은 부품의 조합과 많은 단계의 제조 공정을 통해 생산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근자의 추세는 조명본체를 분할 형성하여 측면 유도광 및 반사광이 연출되게 하는 조립식 조명등이 크게 각광받고 있으나, 이와 같은 측판과 고정판 및 이들을 체결할 수 있게 한 프레임체로 된 조명등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의 증가와 부품수의 증가 및 원자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소비자는 물론 제조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불이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새롭게 제작된 조명등이라 할지라도 단순히 구조의 변경이나 재질의 변경에 국한되므로 단조롭기는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등과 마찬가지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압출 성형되는 장식틀체를 조립하여 제작되는 천정직착등에 있어 상기의 장식틀체를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단일체에 공존하여 성형되게 하되, 상기의 장식틀체에는 투명의 장식부와 장식부 내면의 요철무늬부를 형성하여, 상기의 투명부에 의해서는 조명등 내부 램프의 빛이 그대로 투과되게 하므로 더욱 밝은 상태의 하이라이트 효과가 나타나게 하고, 측면에 해당하는 장식부와 그 내부의 요철무늬부는 상기의 투명부를 통해 램프의 빛이 반사되게 함으로서, 상기의 투명부 보다는 낮은 조도로 점등되는 것과 같은 자체발광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조명등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측면 및 저면의 하이라이트부와 더불어 간접조명에 의한 자체발광 효과를 연출하여 미려한 심미감은 물론 장식성이 뛰어난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불투명재로 된 장식틀체의 일측에는, 고정본체를 체결하기 위한 횡상의 체결돌출부와, 반사판이 밀착되는 지지부를 상,하로 형성하고, 상기 장식틀체의 타측에는 상,하로 연속하는 아치형의 투명재로 된 장식부와 내면의 요철무늬를 형성하며, 최하단의 장식부는 요철무늬를 갖는 투명의 연장부를 통해 상기의 지지부와 연결되게 하되, 상기 장식부의 대향 단부가 연결되는 장식틀체에는 길이방향의 측면투명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와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경계에는 저면투명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측부와 저면에 형성된 투명부에 의해서는 조명등 내부 램프의 빛이 그대로 투과되게 하므로 더욱 밝은 상태의 하이라이트 효과가 나타나게 하고, 측면에 형성된 반복의 장식부와 그 내부의 요철무늬부는 상기의 투명부를 통해 램프의 빛이 반사되게 함으로서, 상기의 투명부 보다는 낮은 조도로 점등되는 것과 같은 자체발광 효과를 갖게 함으로써, 조명등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측면 및 저면의 하이라이트부와 더불어 간접조명에 의한 자체발광 효과를 연출하여 미려한 심미감은 물론 그 장식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의 측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를 이용한 천정직착등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를 이용한 천정직착등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를 이용한 천정직착등의 측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10)는 불투명 수지와 투명 수지를 이중으로 주입시켜 이들을 성형틀에 따른 형상으로 압출 생산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성형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은 물론 투명부와 불투명부의 자유로운 조합 성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이중 압출기술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장식틀체(10)가 완성되는 것인데, 수직의 장식틀체(10)에는 일측으로 체결돌출부(11)와 지지부(12)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체결돌출부(11)는 천정에 직접 고정되기 위한 고정본체(20)를 체결볼트 등에 의해 직접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하부의 지지부(12)는 조명등 내부의 램프 빛을 실내로 고르게 확산시키면서도 내부 램프를 은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반사판(30)이 밀착 형성되기 위한 것이다.
이때의 반사판(30)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평판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의 고정본체(20)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배치된 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의 반사판(30)을 상기의 포스트에 장식너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포스트 및 장식너트 등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조명등의 기본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틀체(10)의 타측면에는 아치형태로 된 장식부(13)(13')(13") 가 상,하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장식부(13")는 연장부(15)를 통해 상기의 지지부(12) 단부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장식부(13)(13')(13")와 연장부(15)는 모두 투명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반면, 상기의 장식틀체(10) 및 체결돌출부(11)와 지지부(12)는 불투명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투명의 소재와 불투명의 소재를 동시에 사용하여 이중 압출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장식부(13)(13')(13")의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장식틀체(10)를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투명부(16)(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지지부(12) 단부에 연장부(15) 단부가 마주하여 연결되는 부분에는 역시 투명의 저면투명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식틀체(10)를 이용하여 천정직착등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의 고정본체(20) 내에 위치하는 램프의 점등시 상기의 측면투명부(16)(16')와 저면투명부(17)를 통해 내부 램프의 빛이 그대로 투과되므로 상기의 측면투명부(16)(16')와 저면투명부(17)는 밝게 빛나는 하이라이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측면에 형성되는 고도의 밝기를 갖는 측면투명부(16)(16')에 의한 측면 장식성은 물론 실내측을 향하는 저면투명부(17)에 의한 고도의 밝기를 갖는 띠 형태의 장식부를 연출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측면투명부(16)(16')와 저면투명부(17)를 통해 투과되는 내부 램프의 빛은 투명재로 된 장식부(13)(13')(13")와 연장부(15)로 반사되므로 상기의 장식부(13)(13')(13")와 연장부(15) 역시 밝게 점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장식부(13)(13')(13")와 연장부(15)는 상기의 측면투명부(16)(16')와 저면투명부(17) 보다는 낮은 조도를 갖고 점등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의 장식부(13)(13')(13")와 연장부(15)의 내면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요철무늬(14)는 평상시 소등시에는 요철무늬(14) 자체의 각도에 따른 자연광의 반사율에 따른 장식 효과를 연출하면서도, 내부 램프의 점등에 따라 장식부(13)(13')(13")와 연장부(15)에 빛이 전달되면 상기의 빛을 다양한 각도에 따른 반사율에 의해 시원스럽고 미려한 선 형태의 장식성을 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장식틀체(10)에는 상기의 체결돌출부(11)와 지지부(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보강대(18)(18')에 의해 상기 장식틀체(10)의 강도를 향상시켜 내부 램프의 고열에 의한 장식틀체(10)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의 장식틀체(10)를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향 경사 형태로 형성하고, 그 일측면에 상기의 경사각에 따라 형성되는 장식부(13)(13')(13")를 형성함에 따라 저면 즉, 실내 바닥측에서 천정직착등을 주시하는 경우 경사 형태의 장식틀체(10)와 그 장식부(13)(13')(13")에 의해 상기의 장식부(13)(13')(13")가 계단 형태로 순차적으로 돌출된 형상 및 심미감을 얻을 수 있어 더욱 뛰어난 장식성과 인테리어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를 이용한 천정직착등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를 이용한 천정직착등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를 이용한 천정직착등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틀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틀체 11 : 체결돌출부
12 : 지지부 13,13',13" : 장식부
14 : 요철무늬 15 : 연장부
16,16' : 측면투명부 17 : 저면투명부
18,18' : 보강대
20 : 고정본체
30 : 반사판

Claims (3)

  1. 압출물에 의한 장식틀체(10)와, 상기 장식틀체(10)의 상측에 체결되는 고정본체(20) 및 장식틀체(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반사판(30)으로 된 천정직착등의
    불투명재로 된 장식틀체(10)의 일측에는, 고정본체(20)를 체결하기 위한 횡상의 체결돌출부(11)와, 반사판(30)이 밀착되는 지지부(12)를 상,하로 형성하고,
    상기 장식틀체(10)의 타측에는 상,하로 연속하는 아치형의 투명재로 된 장식부(13)(13')(13")와 장식부(13)(13')(13") 내면의 요철무늬(14)를 형성하며,
    최하단의 장식부(13")는 요철무늬(14)를 갖는 투명의 연장부(15)를 통해 상기의 지지부(12)와 연결되게 하되,
    상기 장식부(13)(13')(13")의 대향 단부가 연결되는 장식틀체(10)에는 길이방향의 측면투명부(16)(16')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12)와 연장부(15)가 서로 연결되는 경계에는 저면투명부(17)를 형성한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에 있어서,
    체결돌출부(11)와 지지부(12)의 사이에는 장식틀체(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대(18)(18')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2. 삭제
  3. 삭제
KR1020080049110A 2008-05-27 2008-05-27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KR10087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110A KR100878019B1 (ko) 2008-05-27 2008-05-27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110A KR100878019B1 (ko) 2008-05-27 2008-05-27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019B1 true KR100878019B1 (ko) 2009-01-13

Family

ID=4048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110A KR100878019B1 (ko) 2008-05-27 2008-05-27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288B1 (ko) * 2015-02-16 2016-07-25 주식회사 태영엘에스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80B1 (ko) * 2006-07-19 2006-10-31 진성라이텍(주)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80B1 (ko) * 2006-07-19 2006-10-31 진성라이텍(주)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288B1 (ko) * 2015-02-16 2016-07-25 주식회사 태영엘에스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661B1 (ko) 가로등용 조립식 엘이디 장식 조명기구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KR200481461Y1 (ko) 조명등용 프레임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KR200415524Y1 (ko) 조립식 연꽃등
KR100878019B1 (ko) 이중압출에 의한 천정직착등용 장식틀체
KR100898415B1 (ko) 엘이디와 크리스탈 반사체에 의한 부분 장식 조명부를 갖는천정 직착등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20180002293U (ko) Led용 천장 매립 등기구 장치
KR101260449B1 (ko) 돌출형 엘이디 광 장식부를 갖는 천장매입등
KR200430712Y1 (ko) 천장등
KR101273368B1 (ko) 난간대 지주 장착용 태양전지 경관등
KR100715285B1 (ko) 엘이디 장식조명등
CN211203712U (zh) 一种内置灯具的屋顶装饰条
KR200468543Y1 (ko) 투톤 칼라로 조사되는 엘이디 조명등
KR101181492B1 (ko) 빛 장식부가 연출되게 한 천정직착등
CN205025056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收边装饰条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100963582B1 (ko) 차등의 밝기에 의한 장식 조명부를 갖는 천정 매립등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KR100958789B1 (ko) 조명등 케이스
CN216010693U (zh) 一种车灯结构
CN209130652U (zh) 一种提高光利用率的新型吸顶灯
KR100978365B1 (ko) 하측 조명부를 구비한 벽체 설치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