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809Y1 - 조명등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명등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809Y1
KR200440809Y1 KR2020070001369U KR20070001369U KR200440809Y1 KR 200440809 Y1 KR200440809 Y1 KR 200440809Y1 KR 2020070001369 U KR2020070001369 U KR 2020070001369U KR 20070001369 U KR20070001369 U KR 20070001369U KR 200440809 Y1 KR200440809 Y1 KR 200440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pport
auxiliary
plate portion
ver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정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문 filed Critical 정승문
Priority to KR2020070001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등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등을 천정에 지지하기 위한 조명등용 프레임에 있어서, 장방형상의 메인수평판부와 상기 메인수평판부의 길이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메인수직판부를 가지고, 상기 메인수평판부를 통해 건물에 고정되는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수직판부의 사이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고정되는 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배선작업이 용이해 진다.
Figure R2020070001369
조명등, 프레임, 메인지지부, 등지지부

Description

조명등용 프레임{Frame for Illuminating Light}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단면도,
도4, 도5, 도6 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8 및 도9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에 도시된 메인패널지지리브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도1에 도시된 등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의 결합사시도,
도14는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지지부 11 : 메인수평판부
12 : 메인수직판부 13 : 갓고정부
20 : 등지지부 21, 121 : 등지지판부
22 : 등연결판부 23 : 등걸림판부
30 : 보조지지부 31 : 보조수평판부
32 : 보조수직판부 33 : 커버고정부
본 고안은 조명등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조명을 위해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건물에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건물 천정에는 실내공간면적에 따라 적절한 수의 조명등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패널로 마감되어 있는 천정의 경우 조명등은 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매입(埋入)방식으로 설치된다.
도13은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의 결합사시도이다.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상의 등지지판부(121)와, 등지지판부(121)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경사면부(122)와, 각 경사면부(122)의 길이방향 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판부(123)와, 각 수직판부(123)의 연부로부터 2회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절곡부(124)를 갖고 있다.
등지지판부(121)는 양 측 영역에 소켓개구(121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경사면부(122)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수직판부(123)는 등지지판부(121)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각 지지절곡부(124)는 각 수직판부(123)와 협조하여 디귿자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면 전영역에 앵카볼트(201)를 사용하여 티바(202, T Bar)를 설치한다. 여기서 티바(202)는 "C"채널(건물벽면에 매립된 몰드프레임에 연결됨)에 의해 보강 지지된다. 그리고 티바(202)에는 패널(204)이 장착된다.
다음에 조명등 설치영역의 패널(204)을 제거한다.
다음에 소켓개구(121a)에 소켓(205)을 하나씩 장착한다.
다음에 지지절곡부(124)가 티바(202)에 지지되도록 조명등용 프레임을 설치한다. 여기서 조명등용 프레임의 설치작업은 한 쌍의 수직판부(123)가 접근하도록 가압한 후, 가압 해제하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소켓(205)에 조명등(206)을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은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8670호 (고안의 명칭 : 티바를 이용한 천정매입형 조명등 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등용 프레임에 따르면, 조명등용 프레임이 티바(202)를 통해 건물에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선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배선작업이 용이한 조명등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조명등을 천정에 지지하기 위한 조명등용 프레임에 있어서, 장방형상의 메인수평판부와 상기 메인수평판부의 길이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메인수직판부를 가지고, 상기 메인수평판부를 통해 건물에 고정되는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수직판부의 사이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고정되는 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티바 등 다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수직판부는 외표면에 메인패널지지리브를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지지부를 c채널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수평판부는 길이방향 양측연부에 디귿자단면의 메인채널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지지부를 용이하게 메인지지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수직판부는 내표면에 등지지리브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지지부는 등지지판부와 상기 등지지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 된 등연결판부와 상기 등연결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상기 등지지판부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등걸림판부를 가지고, 상기 등걸림판부가 상기 등지지리브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등연결판부가 상기 등지지리브에 가압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수직판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클러, 공조배관 등의 부대설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수평판부와 형태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보조수평판부와 상기 보조수평판부의 길이방향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보조수직판부를 가지고, 상기 보조수평판부가 상기 메인수평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수직판부가 상기 메인수평판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갓과 커버를 용이하게 메인지지부와 보조지지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지지부는 기역자형상의 갓지지꺽쇠부를 가지고 상기 갓지지꺽쇠부의 개구영역이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각 메인수직판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갓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기역자형상의 커버지지꺽쇠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지지꺽쇠부의 개구영역이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각 보조수직판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커버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지지부 상호간 또는 보조지지부와 메인지지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수직판부는 내표면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메인연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수직판부는 내표면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보조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보조연결홈과 상기 메인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판을 통해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디귿자 형상 단면의 메인지지부(10)와, 메인지지부(10)의 내부에 결합된 등지지부(20)와, 메인지지부(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결합된 보조지지부(30)와, 보조지지부(30)의 내부에 결합된 설비지지부(40)를 갖고 있다.
메인지지부(10)는 장방형상의 메인수평판부(11)와, 메인수평판부(11)의 길이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메인수직판부(12)와, 메인수직판부(12)의 내표면에 형성된 갓고정부(13)를 갖고 있다.
메인수평판부(11)는 길이방향 양측연부에 디귿자단면의 메인채널고정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채널고정홈(11a)은 메인지지부(10)를 c채널(203)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각 메인수직판부(12)는 중앙영역이 2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 상측영역에 메인패널지지리브(12a)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표면에 등지지리브(12b)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메인수직판부(12)는 내표면 등지지리브(12b)의 하측영역에 한 쌍의 메인연결홈리브(12c)가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메인연결홈리브(12c)에 의해 각 메인수직판부(12)의 내표면 양단에는 메인연결홈(12d)이 형성 된다.
또한 각 메인수직판부(12)는 등지지리브(12b)와 메인연결홈리브(12c) 사이 및 갓고정부(13)와 메인연결홈리브(12c) 사이에는 메인연결나사공(12e)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갓고정부(13)는 각 메인수직판부(12)의 내표면 보조연결홈(32c)의 하측영역에서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갓지지리브(13a)와, 갓지지리브(13a)로부터 메인수직판부(12)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갓지지수직판부(13b)와, 갓지지수직판부(13b)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기역자형상의 갓지지꺽쇠부(13c)를 갖고 있다.
갓지지꺽쇠부(13c)는 개구영역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등지지부(20)는 등지지판부(21)와, 등지지판부(21)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등연결판부(22)와, 등연결판부(22)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등지지판부(21)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등걸림판부(23)를 갖고 있다.
등지지판부(21)는 양 측영역에 소켓개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등지지부(20)는 등걸림판부(23)가 등지지리브(12b)의 상면에 접촉하고 등연결판부(22)가 등지지리브(12b)에 가압 접촉되도록 메인수직판부(12)에 고정된다. 등걸림판부(23)는 등지지리브(12b)에 볼트체결된다.
등지지부(20)에 의해 메인수직판부(12)의 사이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보조지지부(30)는 메인수평판부(11)와 형태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보조수평판부(31)와, 보조수평판부(31)의 길이방향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보조수직판부(32)와, 보조수직판부(32)의 내표면에 형성된 커버고정 부(33)를 갖고 있다.
보조수평판부(31)는 길이방향 양측연부에 디귿자단면의 보조채널고정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클러개구(31b)와 공조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공조배관개구(3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조수직판부(32)는 중앙영역이 2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 보조패널지지리브(32a)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표면에 설비지지리브(42e)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다.
그리고 각 보조수직판부(32)는 내표면 설비지지리브(42e)의 하측에 한 쌍의 보조연결홈리브(32b)가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조연결홈리브(32b)에 의해 각 보조수직판부(32)의 내표면 양단에는 보조연결홈(32c)이 형성된다.
또한 각 보조수직판부(32)는 보조연결홈리브(32b)의 상측영역 및 커버고정부(33)와 보조연결홈리브(32b)사이에는 보조연결나사공(32d)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커버고정부(33)는 각 보조수직판부(32)의 내표면에서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커버지지리브(33a)와, 커버지지리브(33a)로부터 보조수직판부(32)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커버지지수직판부(33b)와, 커버지지수직판부(33b)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기역자형상의 커버지지꺽쇠부(33c)를 갖고 있다.
커버지지리브(33a)는 갓지지리브(13a)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커버지지꺽쇠부(33c)는 개구영역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지지부(30)는 보조연결홈(32c)과 메인연결홈(12d)에 삽입되는 연결판(212)을 통해 메인지지부(10)에 결합된다. 메인지지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수평판부(31)는 메인수평판부(11)에 연결되고 보조수직판부(32)는 메인수평판부(11)에 연결된다.
설비지지부(40)는 설비지지판부(41)와, 설비지지판부(41)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설비연결판부(42)와, 설비연결판부(42)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설비지지판부(41)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설비걸림판부(43)를 갖고 있다.
설비지지판부(41)는 공조배관통과공(41a)과 스프링클러통과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설비지지부(40)는 설비걸림판부(43)가 설비지지리브(42b)의 상면에 접촉하고 설비연결판부(42)가 설비지지리브(42e)에 가압 접촉되도록 보조수직판부(42)에 고정된다. 설비걸림판부(43)는 설비지지리브(42e)에 볼트체결된다.
설비지지부(40)에 의해 보조수직판부(42)의 사이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용 프레임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4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면 중 조명등 설치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앵카볼트(201)를 사용하여 티바(202)를 설치한다. 여기서 티바(202)는 C채널(203, 건물벽면에 매립된 몰드프 레임에 연결됨)에 의해 보강 지지된다. 그리고 티바(202)에는 패널(204)이 장착된다.
다음에 조명등 설치영역에 앵카볼트(201)를 사용하여 메인지지부(10)를 천정에 고정한다(S1).
다음에 메인지지부(10)를 c채널(203)에 고정한다(S2, 도5 및 도6 참조). 여기서 메인지지부(10)의 고정 작업은 기역자 형상의 채널고정부재(213) 일 측을 메인채널고정홈(11a)에 삽입한 후 채널고정부재(213)를 c채널(203)에 볼트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에 연결판(212)을 사용하여 보조지지부(30)를 메인지지부(10)에 결합한다(S3, 도4 참조).
다음에 보조지지부(30)를 c채널(203)에 고정한다(S4). 여기서 보조지지부(30)의 고정 작업은 기역자 형상의 채널고정부재(213) 일 측을 보조채널고정홈(31a)에 삽입한 후 채널고정부재(213)를 c채널(203)에 볼트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에 한 쌍의 메인지지부(10)와 보조지지부(30)가 설치되도록 S1 내지 S4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일방의 조명등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메인지지부(10)와 타방의 조명등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보조지지부(30)는 보조연결홈(32c)과 메인연결홈(12d)에 삽입되는 연결판(212)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도7 참조).
다음에 메인패널지지리브(12a)와 보조패널지지리브(32a)에 패널(204)을 설치한다(도8 및 도9 참조).
다음에 각 메인지지부(10)에 등지지부(20)를 장착한다.
다음에 소켓개구(21a)에 소켓(205)을 하나씩 장착한다.
다음에 메인수평판부(11)와 등지지부(20)의 사이공간을 통해 배선작업을 한다.
다음에 한 쌍의 소켓(205)에 하나의 조명등(206)을 결합한다.
다음에 각 갓고정부(13)에 루버(211, Louver)와 반사갓(216, 루버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음)을 하나씩 장착한다. 여기서 루버(211)와 반사갓(216)의 장착은 반사갓(216)에 형성된 기역자형성의 반사갓고리부(216a)를 갓지지꺽쇠부(13c)의 개구영역에 억지끼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루버(211)는 투명의 아크릴 압출형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각 커버고정부(33)에 커버(215)를 하나씩 장착한다. 여기서 커버(215)의 장착은 커버(215)에 형성된 기역자형성의 커버고리부(215b)가 커버지지꺽쇠부(33c)와 보조수직판부(32)사이에 억지끼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커버(215)에는 스프링클러개구(31b)와 공조배관개구(31c)에 대응하는 개구(215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메인연결나사공(12e)과 보조연결나사공(32d)을 이용하여 밀폐판(214)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스프링클러개구(31b)와 공조배관통과공(41a)을 통해 스프링클러(217)를 설치하고 공조배관개구(31c)과 공조배관통과공(41a)을 통해 공조배관(218)을 설치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패널지지리브(12a)를 각 메인수직판부(12)의 외표면 상측영역에 형성하고 있으나,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패널지지리브(12'a)를 각 메인수직판부(12)의 외표면 하단에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평판부(31)와 설비지지부(40)사이 공간에 전선커버(52)를 마련하여 전선(22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선커버(52)는 보조지지부(30)에 형성된 커버고정홈(5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지지부(10)와 보조지지부(30)를 분리하고 등지지부(20)와 설비지지부(40)를 분리하고 있으나, 메인지지부(10)와 보조지지부(30)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등지지부(20)와 설비지지부(40)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사용방법예의 경우 메인지지부(10)를 천정과 c채널(203) 양 쪽에 고정시키고 있으나, 천정 또는 c채널(203)에만 고정시켜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지지부(10)를 통해 직접 천정이나 c채널(203)에 고정되도록 하고 등지지부(20)를 통해 메인지지부(10)의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배선작업이 용이해 진다.
그리고 메인패널지지리브(12a)를 메인수직판부(12)에 형성함으로써, 티바(202) 등 다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패널(204)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수평판부(11)에 메인채널고정홈(11a)을 형성함으로써, 메인지지부(10)를 c채널(203)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수직판부(12)의 내표면에 등지지리브(12b)를 형성하여 등지지부(20)를 설치함으로써, 등지지부(20)를 용이하게 메인지지부(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지지부(30)를 마련함으로써, 스프링클러, 공조배관 등의 부대설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역자 형상의 갓지지꺽쇠부(13c)를 갖는 갓고정부(13)와 기역자형상의 커버지지꺽쇠부(33c)를 갖는 커버고정부(33)를 마련함으로써, 반사갓(216)과 커버(215)를 용이하게 메인지지부(10)와 보조지지부(3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연결홈(12d)을 메인수직판부(12)에 형성하고, 보조연결홈(32c)을 보조수직판부(32)에 형성함으로써, 메인지지부(10) 상호간 또는 보조지지부(30)와 메인지지부(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지지부를 통해 직접 건물에 고정되도록 하고 등지지부를 통해 메인지지부의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배선작업이 용이해 진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조명등을 천정에 지지하기 위한 조명등용 프레임에 있어서,
    장방형상의 메인수평판부와 상기 메인수평판부의 길이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메인수직판부를 가지고, 상기 메인수평판부를 통해 건물에 고정되는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수직판부의 사이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고정되는 등지지부와;
    상기 메인수평판부와 형태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보조수평판부와 상기 보조수평판부의 길이방향 연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보조수직판부를 가지고, 상기 보조수평판부가 상기 메인수평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수직판부가 상기 메인수평판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된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수직판부는 내표면에 등지지리브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지지부는 등지지판부와 상기 등지지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등연결판부와 상기 등연결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연부로부터 상기 등지지판부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등걸림판부를 가지고, 상기 등걸림판부가 상기 등지지리브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등연결판부가 상기 등지지리브에 가압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수직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는 기역자형상의 갓지지꺽쇠부를 가지고 상기 갓지지꺽쇠부의 개구영역이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각 메인수직판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갓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기역자형상의 커버지지꺽쇠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지지꺽쇠부의 개구영역이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각 보조수직판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커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직판부는 내표면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메인연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수직판부는 내표면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보조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보조연결홈과 상기 메인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판을 통해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프레임.
KR2020070001369U 2007-01-25 2007-01-25 조명등용 프레임 KR200440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369U KR200440809Y1 (ko) 2007-01-25 2007-01-25 조명등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369U KR200440809Y1 (ko) 2007-01-25 2007-01-25 조명등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809Y1 true KR200440809Y1 (ko) 2008-07-04

Family

ID=4163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369U KR200440809Y1 (ko) 2007-01-25 2007-01-25 조명등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80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01A (ko) * 1997-06-20 1998-08-17 원정희 슬림형 헹거식 조명등기구
KR20020063416A (ko) * 2001-01-29 2002-08-03 손재윤 천정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20060037131A (ko) * 2004-10-27 2006-05-0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20060101738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01A (ko) * 1997-06-20 1998-08-17 원정희 슬림형 헹거식 조명등기구
KR20020063416A (ko) * 2001-01-29 2002-08-03 손재윤 천정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20060037131A (ko) * 2004-10-27 2006-05-0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20060101738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2775B (zh) 燈具
US9976727B2 (en) Strip light arrangement for T bar ceiling grid systems
KR20090002456U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200471988Y1 (ko) 스포트라이트가 장착되는 레일의 고정구
KR101641832B1 (ko) 조명 설치용 지지장치
KR101613697B1 (ko) 개별 분리가 가능한 천정패널 설치구조
KR200440809Y1 (ko) 조명등용 프레임
CN204326303U (zh) 阴角连接装置及包括该装置的建筑单元阴角和建筑单元
US20050000182A1 (en) Grid framework
KR200444521Y1 (ko) 조명기구 설치용 천정 구조물
KR200485772Y1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KR20180037147A (ko) 평판형 조명등장치
KR200396734Y1 (ko) 몰드레이스웨이
CN212226847U (zh) 灯具安装结构
KR200474513Y1 (ko) 조명등 고정장치
US9562627B2 (en) Luminaire and improved lighting system
CN216075855U (zh) 一种用于天花格栅的灯具固定装置
KR100528158B1 (ko) 건물의 천정판 지지구조
KR10085431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100528157B1 (ko) 건물의 천정판 지지구조
CN217635301U (zh) 一种新型线条灯
KR200289490Y1 (ko) '티'바를 이용한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KR200370044Y1 (ko) 천장 조명등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