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743A -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743A
KR20060009743A KR1020040058424A KR20040058424A KR20060009743A KR 20060009743 A KR20060009743 A KR 20060009743A KR 1020040058424 A KR1020040058424 A KR 1020040058424A KR 20040058424 A KR20040058424 A KR 20040058424A KR 20060009743 A KR20060009743 A KR 20060009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connector
duct
wi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814B1 (ko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4005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8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배선덕트 본체와 이 본체와 슬라이드 홈 및 돌기를 통하여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로써 배선덕트의 내,외부에 모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배선덕트의 소정의 면적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 넓은 면적을 접촉함으로써 배선덕트와 연결구가 쉽게 빠지지 않고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구와 배선덕트의 결합형태를 슬라이딩홈과 돌기로 형성된 슬라이드 방식을 채택하여 연결구와 배선덕트의 분해와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배선덕트, 연결구, 커플링, 삽입부, 볼트

Description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Duc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본 발명의 커버형태의 외부형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 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형태의 외부형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제1실시예를 나 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형태의 외부형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결합된 제1실시 예의 단면을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 커버형태의 외부형 연결덕트와 접속 막대로 구성된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 커버형태의 외부형 연결덕트와 접속 막대로 구성된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 연결덕트가 내부로 구성된 배선덕트 용 연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 연결덕트의 형상을 변형시킨 실시예 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로 내부형 연결덕트와 접속막대로 구성 된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로 내부형 연결덕트와 접속막대로 구성 된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로 고정수단으로 볼트와 넛트로 이루어 진 내부형 연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로 볼트로 조여 넛트가 결합된 내부형 연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로 제5실시예와 구조가 다른 내부형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로 제5실시예와 구조가 다른 내부형 연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결구 110, 110a : 연결덕트 120 : 슬라이딩체결부 130 : 하부돌기 140 : 볼트 200, 200a : 배선덕트본체 210 : 배선덕트 본체하측판 220 : 슬라이딩홈 230 : 하부돌기홈 240 : 원형결합봉 250 : 체결부걸림턱 260 : 하측판걸림턱 270 : 걸림돌기 280 , 290 : 체결공 295 : 체결공가공용중심선 300 : 접속막대 310 : 통공부 400 : 내부연결구 410 : 연결덕트지지턱 420 : 고정돌기부 430 : 고정홈 440 : 돌출턱 450 : 와샤 460 : 너트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의 직선 또는 곡선 부분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용 연결구는 배선덕트 본체와 이 본체와 홈과 돌기를 통하여 결합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 전화기나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사무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나 컴퓨터의 데이터 케이블 등을 배선할 경우에는 이들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해 전선 배관용 덕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선덕트는 통상적으로 몸체 저면에 구비된 양면 테이프를 통하여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하고 내부에 전선을 수납하여 전선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배선덕트는 내, 외부에 접속홈을 형성하여 접속막대를 삽입하고 고정수단으로 결합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선덕트 상호간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써 도 1의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354485호 외부접속홈이 형성된 배선덕트 기술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다수의 배선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측벽과, 이 측벽을 상호 잇는 바닥면과, 측벽의 외부에 각각 형성되어 접속막대(300)를 나사못으로서 외부에서 삽입 고정하여 본체를 상호 이어서 쓸 수 있도록 한 외부 접속홈(500)과, 소정 형상의 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덮개 고정홈(510)이 측벽의 개방단부 측에 각각 형성된 배선덕트본체(200) 및 덮개(520)를 배선덕트본체(200)의 개방단부 측에서 덮개 고정 홈(5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덮개 고정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배선덕트의 연결방법은 외부접속홈(500)에 접속막대(300)를 삽입하고 나사못을 이용하여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고 있다.
이 때, 배선덕트는 배선덕트본체(200)의 외부접속홈(500)에 나사 고정되는 행거용 금구를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되거나 면체부착용 금구를 이용하여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배선덕트 상호간에 연결부재로는 접속막대(300)와 볼트(140)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접속막대(300)와 같은 연결부재는 무거운 중량을 지탱하지 못하지만, 배선덕트용 연결구로써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 이유는 배선덕트 내부에 고정판이나 볼트(140)등을 이용하여 안정기나 배선등을 고정,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선덕트가 내부에 형성되는 기구들에 의해서 배선덕트 자체에 하중이 많이 생기지 않아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도 강한 결합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형매장과 같이 실내의 조도를 높게 유지해야 하는 곳에서는 높은천정에 배선덕트와 형광등을 설치 및 고정시켜야 하는데, 배선덕트 자체에서 생기는 하중이나 내부에 설치되는 기구등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해 배선덕트상호간을 연결한 배선덕트용 연결구가 하중을 견디어 내지 못하면 조명기구의 추락사고로 인명피해등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선덕트 본체와, 이 본체와 슬라이드홈 및 돌기를 통하여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강한 결합력을 가질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케이블, 전화선등의 배선과 배선기구를 취부 고정,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에 있어서, 배선덕트 상호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력이 강한 연결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배선덕트와 배선덕트 상호간을 연결구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커버형태로 결합하는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 도 3은 배선덕트와 배선덕트용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배선덕트와 배선덕트용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배선덕트용 연결구(100)는 배선덕트 본체(2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배선덕트 소정의 외부면을 커버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연결덕트(110)와, 이 연결덕트(110)와 일체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된 슬라이딩체결부(120)와, 슬라이딩체결부(120)와 연결덕트(110)를 일체로 관통하여 고정수단을 삽입할 수 있는 체결공(280,290)이 슬라이딩체결부(120)와 연결덕트(110)에 각각 형성되며, 배선덕트 본체와 연결덕트(1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하부돌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선덕트용 연결구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구(100)는 길이방향 양단부와 하방이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있으며, 연결구(100) 내측에는 배선덕트 본체(2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직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딩체결부(120)와 하부돌기(130)가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배선덕트 본체(200) 양측면 외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수단이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28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구(100)에 의해 결합되는 배선덕트의 구조는 배선덕트 본체(200)의 하방이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부가 폐쇄되며, 길이방향의 배선덕트의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 외부면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라이딩홈(220)과, 하부돌기(130)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220)에는 연결덕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체결부(120)와, 상기 하부돌기홈(230)에는 연결덕트(110)에 형성된 하부돌기(1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덕트(110)와 연결덕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체결부(120)에는 고정수단을 삽입할 수 있는 체결공(280,290)이 연결덕트(110)와 슬라이딩체결부(120)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덕트(110)와 슬라이딩체결부(120)는 체결공(280,290)이 동일위치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220)의 개방된 일측에는 돌출된 체결부걸림턱(250)이 형성되며, 배선덕트 본체(200)의 내부 하단부에는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배선덕트본체(200)의 하측판걸림턱(260)과, 배선덕트 본체(200)의 개방된 하부의 덮개 역할을 하는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과, 상기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을 배선덕트 본체(20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결합봉(2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내부의 하부 끝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측판걸림턱(260)에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을 억지끼움으로 걸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끼우면 배선덕트 본체(200)의 외부면 하부 끝단부와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원형결합봉(240)을 삽입하게 된다.
상기 원형결합봉(240)은 강철, 합금 또는 합성 수지재 등 탄력성이 있는 재 질로 만들어진 판과 같은 부재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만들어 신축성을 가지도록 만든 부재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배선덕트와 연결구(100)를 고정하는 지지부재로써 연결덕트(110)와 슬라이딩체결부(120)를 일체로 관통한 체결공(280,290)에 삽입하여 조이면 고정수단의 하부 끝단부가 배선덕트 본체(200)를 압박하여 파고 들면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볼트(140)를 실시예로 들었지만 헤드부를 가진 고정수단이면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볼트(140)에 너트(460)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양측면의 외부면과 저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제품인식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홈들은 출원인이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할 경우 자사 제품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사 제품을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한 것이다.
상기 하부돌기(130)는 배선덕트용 연결구(100)와 배선덕트 본체(200)의 결합강도를 높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배선덕트 본체(200) 하부에 구성했지만 위치에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의 체결부걸림턱(250)은 배선덕트용 연결구(100)의 슬라이딩체결부(120)가 배선덕트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외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공(280)과 체결공(280)사이에는 체결공가공용중심선(295)이 홈이 파인 형태로 일직선으로 그어져 있다.
상기 체결공가공용중심선(295)은 체결공(280)에 탭을 사용하여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체결공(280) 사이에 일정간격과 정확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배선덕트용 연결구(100)가 배선덕트 본체(200)에 조립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선덕트용 연결구(100)의 외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탭을 사용하여 볼트(140)가 삽입될수 있는 나사돌기를 갖는 체결공(280)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100)와 배선덕트 본체(200)가 결합하기 전에 연결구(100)의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공(280)에 볼트(140)가 빠지지 않도록 일정부분 삽입한다.
상기 연결구(100)의 개방된 일측을 배선덕트 본체(200)에 억지끼움으로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되는 부분은 연결구(100)의 내부 양측면 상,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체결부(120)와 하부돌기(13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선덕트 본체(200) 외부 양측면 상,하부에 슬라이딩홈(220)과 하부돌기홈(230)이 형성되어 있어 각각 서로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선덕트용 연결구(100)가 배선덕트본체(2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으면 배선덕트본체(200)에 배선덕트용 연결구(100)가 커버형상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와 결합된 연결구(100)의 일측 반대편의 개방된 일측면에 연결하고자 하는 배선덕트본체(200)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구(100)와 배선덕트 본체(200)를 결합시킨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외부면의 형성된 체결공(280)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140)는 연결덕트(110)와 슬라이딩체결부(120)에 형성된 체결공(280,290)을 일체로 관통하여 배선덕트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에 폐쇄된 일측면까지 접촉할 수 있게 볼트(140)를 조여준다.
상기 결합된 볼트(140)의 하부 끝단부는 연결덕트(110)와 슬라이딩체결부(120)에 형성된 체결공(280,290)을 관통하여 배선덕트 본체(200)의 형성된 슬라이딩홈(220)의 폐쇄된 일측면을 압박하여 파고 들면서 배선덕트 본체(200)와 연결구(100)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내부에 내부보조판(미도시)을 삽입하여 볼트로 결합하고, 내부보조판에 안정기를 볼트(140)를 사용하여 결합 고정시킨다.
또한, 배선덕트 본체(200) 내부 수용부에 자유롭고 쉬운 연결을 위해서 양끝에 커넥터를 결합한 전기배선을 삽입한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 저면부에 관통된 통공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이 통공부를 통해 램프홀더(미도시)를 설치하여 고정된 램프홀더에 형광등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램프홀더와 형광등(미도시)은 배선덕트 사이즈를 크게 제작하여 배선덕트 내부 수용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내부의 하부 끝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측판걸림턱(260)에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의 걸림돌기(270)를 억지끼움으로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결합하고, 결합된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과 배선덕트 본체(200)의 외부면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원형결합봉(240)을 사용하여 삽입 고정하면 배선덕트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원형결합봉(240)과 같은 결합편은 수용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배선덕트용 연결구는 연결덕트와 일정간격으로 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막대로 구성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접속막대와 연결덕트를 고정수단에 의해 배선덕트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의 접속막대(300)는 통공부(3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선덕트 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공부(310)는 볼트(140)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통공부(310) 사이의 간격은 배선덕트용 연결구(100)의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공(280)들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접속막대(300)가 배선덕트 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통공부(310)와 체결공(280)이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왜냐하면, 볼트(140)가 연결덕트(110)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공(290)을 통해 삽입되고, 배선덕트 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에 삽입된 접속막대(300)의 통공 부(310)를 관통하려면 통공부(310)사이의 간격과 위치가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공(280)의 간격과 위치와 같아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통공부(310)가 형성된 접속막대(300)와, 연결덕트(110)로 구성된 배선덕트용 연결구(100)를 배선덕트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덕트(110)와 연결덕트(110) 하부 끝단부에 형성된 하부돌기(130)를 배선덕트 본체(200) 외부면에 형성된 하부돌기홈(230)에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한다.
상기 연결덕트(110)는 커버형태로 배선덕트 본체(200) 외부면에 구성된다.
상기 통공부(310)가 형성된 접속막대(300)를 배선덕트 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에 삽입하고, 연결덕트(110)의 체결공(290)과 접속막대(300)의 통공부(310)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춘다.
상기 체결공(280)과 통공부(310)를 볼트(140)를 이용하여 조여 주면서 관통시키고, 삽입되는 볼트(140)의 하부 끝단부가 배선덕트 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의 폐쇄된 일측면을 압박하여 파고 들면서 배선덕트 본체(200)와 연결구(100)가 결합 고정한다.
배선덕트 본체(200) 개방된 하부에 배선덕트 본체하측판(210)을 결합하는 방식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 외부형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내부형 연결부재를 사용한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배선덕트용 연결구(100)는 외부형의 커버형태로 구성되는 연결구(100) 대신에 내부에 연결부재를 삽입하고, 접속막대(300)를 외부접속홈에 삽입한 뒤 접속막대(300)와 연결부재, 배선덕트본체(200)를 일체로 각각 통공부(310),체결공(280,290)을 관통하고, 관통되어 일체로 형성된 홈을 볼트(140)로 조여 결합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선덕트와 연결구(100)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 연결덕트의 형상을 변형한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110a)의 형태를 배선덕트 본체(200)의 소정의 외부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연결덕트(110a)를 배선덕트본체(200)의 슬라이딩홈(220)과 하부돌기홈(230)에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한다.
상기 슬라이딩홈(220)에 폐쇄된 일측에 위치한 변형된 연결덕트(110a) 부분과 배선덕트 본체(200)를 일체로 관통시키고, 볼트(140)를 삽입,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결합구성은 실무에서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한가지의 모습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예로 내부형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내부형 연결부재가 배선덕트와 결합한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내부형 연결부재가 배선덕트와 결합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내부형 연결부재가 배선덕트와 결합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는 볼트를 조임에 따라 연결구의 고정홈에 형성된 너트가 대응하여 나사돌기를 따라 올라가 볼트와 너트가 결합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배선덕트 본체(220a)는 상부와 양단부가 개방되고, 하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배선덕트 상호간을 연결하는 내부연결구(400)는 상기 배선덕트 본체(200a)의 내부 양측면의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덕트지지턱(410)의 하부면에서부터 배선덕트 본체(200a)의 내부 양측면과 접촉하여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다가 양측면 하단 끝단부가 각각 배선덕트 본체(200a) 저면부에서부터 가장 높게 돌출된 돌기의 높이 만큼 높게 단차를 이루면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고, 배선덕트 본체(200a) 저면부와 평행을 이루다가 배선덕트 본체(200a) 내부 중앙부에 상기 돌기에 의해 형성된 요홈 형상의 공간을 따라 요홈 형태로 절곡되어 구성된다.
상기 돌기에 의해 형성된 요홈 형상의 내부연결구(400)의 중앙부에는 볼트(14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430)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430)의 상,하부 일측에 각각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통공에 볼트(140)가 삽입될 때 볼트 헤드부가 안착되어 고정, 결합할 수 있는 돌출턱(440)이 구성된다.
상기 내부연결구(400)는 외부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돌기부(420)가 내부연결구(400)의 저면부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30)에 볼트(140)를 삽입하여 조이면, 상기 고정홈(43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460)가 작용 반작용의 법칙으로 볼트(140)의 나사돌기를 따라 상단으로 올라가다 돌출턱(440)에 막혀 고정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0)를 조이면 너트(460)가 볼트(140)를 조이는 방향과 반대로 올라가는 것은 너트(460)가 회전하는 반경보다 고정홈(430)의 폭이 작기 때문에 너트(460)가 공회전하지 않고 작용,반작용의 힘을 받아 나사돌기를 따라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140)와 돌출턱(440) 사이에는 와샤(450)를 삽입하여 볼트(140)와 내부연결구(4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연결구(400)의 고정홈(430)의 너트(460)를 삽입하고, 너트(460)가 고정홈(430)의 저면부에 형성된 통공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상기 고정홈(430)의 돌출턱(440) 외부면에는 와샤(450)를 위치시킨후 볼트(140)를 삽입하여 볼트(140)가 와샤(450), 너트(460)를 관통하여 고정홈(430)의 저면부에 형성된 통공까지 볼트(140)가 삽입되도록 조여준다.
상기 내부연결구(400)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하고자 하는 배선덕트 본체(200a)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되어 있던 볼트(140)를 조여주면, 너트(460)가 나사돌기를 따라 상단으로 올라가다 돌출턱(440)에 막혀 볼트(140)와 너트(460)가 결합되고, 볼트(140)의 하부 끝단부가 고정홈(430)의 저면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배선덕트 본체(200a) 바닥면을 압박하여 파고 들면서 내부연결구(400)와 배선덕트본체(200a)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내부 연결구(400)의 고정홈(430) 상,하부에 형성된 통공에 탭을 사용하 여 나사돌기를 형성하면 상기 고정홈(430) 내부에 너트(460)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선덕트 본체(200a) 저면부에 형성된 요홈에 볼트(140)가 삽입되도록 내부연결구(400)의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에 볼트(140)가 삽입되면, 요홈의 폭이 볼트(140)의 하단부와 크기가 비슷하므로 볼트(140)의 나사돌기가 요홈과 밀착되어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너트(460)가 없이도 볼트(140)만으로 내부연결구(400)를 구성 할 수 있다.
배선덕트 본체(200a) 내부 양측면에는 내부연결구(400)를 고정,지지 할 수 있는 연결덕트지지턱(410)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 연결덕트지지턱(410)에 의해 볼트가 조여질때 외부로 이탈하려는 내부 연결구(400)를 고정지지 할 수 있게 되어 배선덕트본체(200a)와 내부연결구(400)의 결합력을 강하게 만든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실시예로 내부형 연결부재와 배선덕트가 결합하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모습이고, 도 15는 내부형 연결부재가 배선덕트와 결합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내부연결구(400)의 상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배선덕트 본체(200a)의 형성된 연결덕트지지턱(410)에 의해 고정,지지 되는 내부연결구(400)의 양측면과, 이 양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저면부와, 저면부 중앙부에 볼트(140)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이 형성된 위치에는 하단부에 볼트(140)와 너트(460)가 끼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인 고정홈(430)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430)의 저면부에는 통공이 관 통되어있어, 볼트(140)의 하단 끝단부가 삽입되어 배선덕트 본체(200a) 바닥면을 압박하여 파고 들면서 내부연결구(400)와 배선덕트본체(200a)를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구조적인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배선덕트용 연결구는 배선덕트 내, 외부의 소정의 면적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보다 안정된 형태로 유동성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어 배선덕트를 높은 고도에 설치시에도 추락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선덕트 상호간 연결부위의 구조가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형성된 경우에도 연결구가 커버역할을 해서 미적감각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일정한 단위길이를 갖는 배선덕트 본체와, 상호, 연결되는 두개의 배선덕트 본체를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배선덕트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 본체는 하부와 양단면이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외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방된 일측에 돌출된 체결부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선덕트 본체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하단부에 배선덕트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수직 돌출된 하부돌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선덕트 본체 외부면 하부에는 상기 하부돌기와 결합하는 하부돌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체결부는 연결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 본체와 상기 연결구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체결부는 연결덕트와 분리되고 소정간격마다 통공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접속막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6. 일정한 단위길이를 갖는 배선덕트 본체와, 상호, 연결되는 두개의 배선덕트 본체를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시키는 내부연결구를 포함하는 배선덕트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 본체는 상부와 양단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선덕트 본체 내부 양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연결덕트지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연결구는 상기 배선덕트 본체 내부에 형성된 연결덕트지지턱 하단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구는 상부와 양단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 일측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공간부에 너트를 더 포함하여 결합력을 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구의 저면부 하방으로 수직,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20040058424A 2004-07-26 2004-07-26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64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24A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4-07-26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24A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4-07-26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43A true KR20060009743A (ko) 2006-02-01
KR100641814B1 KR100641814B1 (ko) 2006-11-02

Family

ID=3712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424A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4-07-26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81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09Y1 (ko) * 2007-01-25 2008-07-04 정승문 조명등용 프레임
KR100915369B1 (ko) * 2009-03-12 2009-09-03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식 연결구조
KR20180061707A (ko) * 2016-11-30 2018-06-08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CN108376582A (zh) * 2018-04-25 2018-08-07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自适应电缆
KR20200002358U (ko) * 2019-04-17 2020-10-27 주식회사 세홍 배선용 덕트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20220081611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102410259B1 (ko) * 2021-05-31 2022-06-16 김태용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KR102526783B1 (ko) * 2022-05-24 2023-04-27 삼인싸이언스(주)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865B1 (ko) 2008-07-17 2009-03-27 주식회사 오피시스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KR100994260B1 (ko)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연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09Y1 (ko) * 2007-01-25 2008-07-04 정승문 조명등용 프레임
KR100915369B1 (ko) * 2009-03-12 2009-09-03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식 연결구조
KR20180061707A (ko) * 2016-11-30 2018-06-08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CN108376582A (zh) * 2018-04-25 2018-08-07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自适应电缆
CN108376582B (zh) * 2018-04-25 2024-01-05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自适应电缆
KR20200002358U (ko) * 2019-04-17 2020-10-27 주식회사 세홍 배선용 덕트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20220081611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102410259B1 (ko) * 2021-05-31 2022-06-16 김태용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KR102526783B1 (ko) * 2022-05-24 2023-04-27 삼인싸이언스(주)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814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119A (en) Plastic box for ceiling fan support
US7148420B1 (en) Electrical ceiling box for fixture support
US7798458B2 (en) Double mounted dual switch box bracket—stud divider
US5117996A (en) Electrical box extension
US5407088A (en) Plastic box assembly for ceiling fixture support
US6820760B2 (en) Electrical box extension
US4948317A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al fitting stabilization
US5965845A (en) Electrical box with cutout and support for carrying fixtures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US6355883B1 (en) Electrical fixture mounting box and mounting assembly
US5013872A (en) Cable clamp
KR100641814B1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US20230318274A1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with reinforcement
US5883331A (en) Electrical box with fixture support having an extension thereon
US6242696B1 (en) Electrical box with supplemental support for carrying fixtures
US6191362B1 (en) Electrical fixture mounting box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0550180B1 (ko) 분전반
US6948833B2 (en) Ceiling lamp suspending device
KR200300960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JP6756183B2 (ja) 吊り下げ用照明器具、連結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402360Y1 (ko) 행거
US20020011345A1 (en) Electrical box with auxiliary cavities and, fixture support having fitted portion
US6027369A (en) Hingeable wir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128

Effective date: 2008061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04

Effective date: 2008061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10

Effective date: 200904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