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865B1 -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 Google Patents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865B1
KR100890865B1 KR1020080069364A KR20080069364A KR100890865B1 KR 100890865 B1 KR100890865 B1 KR 100890865B1 KR 1020080069364 A KR1020080069364 A KR 1020080069364A KR 20080069364 A KR20080069364 A KR 20080069364A KR 100890865 B1 KR100890865 B1 KR 10089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joiner
corner
protrusion
duc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시스
배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시스, 배한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시스
Priority to KR102008006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 복수개의 덕트블럭들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에 있어서, 상기 조이너의 외벽을 구성하는 측면벽과 하면벽의 외곽 중앙 둘레면에는 구획판을 일체 연장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에는 측면돌기와, 하면돌기 그리고 코너돌기를 각각 돌출 형성하며, 상기 구획판의 측면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의 측면벽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면가이드레일이 삽입되기 위한 측면삽입부를 구획 형성하게 되고, 상기 구획판의 하면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의 하면벽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하면가이드레일이 삽입되기 위한 하면삽입부를 구획 형성하게 되며, 상기 구획판의 코너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의 측면벽과 하면벽의 경계지점인 모서리부가 삽입되기 위한 코너삽입부를 구획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측면돌기와 하면돌기에는 체결구멍을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으로는 리벳을 관통시켜 상기 조이너와 덕트블럭을 서로 리벳팅 결합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69364
케이블, 배선, 덕트블럭, 조이너, 드롭

Description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Cable duct}
본 발명은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블럭과 조이너간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덕트블럭을 지나가는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수단인 드롭(Drop)과 덕트블럭간의 체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케이블 배선 덕트는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 전원공급 및 통신기능 등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전기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등을 내부로 수용하여 케이블을 보호하고, 노출된 케이블로 인한 외관미의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않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상기한 케이블 배선용 덕트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7-0065224 호(명칭: 래칭 트로프 연결 시스템)(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합니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신호 전달 섬유를 루팅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트로프 부재, 상기 제 1 및 제 2트로프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와 제 1트로프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 1회전 래치 및 상기 커플러와 제 2트로프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 2회전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선행기술은 제 1, 2트로프 부재를 커플러 양측의 리셉터클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2회전 래치를 이용하여 제 1, 2트로프 부재를 커플러에 고정시킴으로서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제 1, 2회전 래치라는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만 트로프 부재와 커플러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조립에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신호 전달 섬유(즉, 케이블)는 제 1, 2트로프 부재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곳에 각각 분기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나, 선행기술에는 이와 같은 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못함에 따라 작업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이너의 양측으로 덕트블럭 본체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리베팅 처리하여 덕트블럭과 조 이너간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덕트블럭에 분기수단인 드롭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상기 덕트블럭을 지나가는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곳에 간편히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사용되는 드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드롭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사용되는 드롭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 복수개의 덕트블럭들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에 있어서, 상기 조이너의 외벽을 구성하는 측면벽과 하면벽의 외곽 중앙 둘레면에는 구획판을 일체 연장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에는 측면돌기와, 하면돌기 그리고 코너돌기를 각각 돌출 형성하며, 상기 구획판의 측면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의 측면벽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면가이드레일이 삽입되기 위한 측면삽입부를 구획 형성하게 되고, 상기 구획판의 하면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의 하면벽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하면가이드레일이 삽입되기 위한 하면삽입부를 구획 형성하게 되며, 상기 구획판의 코너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의 측면벽과 하면벽의 경계지점인 모서리부가 삽입되기 위한 코너삽입부를 구획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측면돌기와 하면돌기에는 체결구멍을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으로는 리벳을 관통시켜 상기 조이너와 덕트블럭을 서로 리벳팅 결합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조이너의 양측으로 덕트블럭 끼워넣은 상태에서 리베팅하는 것만으로 덕트와 조이너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블럭과 드롭간의 체결작업을 간소화시켜 덕트블럭을 지나가는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곳에 간편히 분기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케이블 배선에 사용되는 덕트 부품은 크게 전기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블럭(10)과, 상기 덕트블럭(10) 복수개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조이너(30) 및 상기 덕트블럭(10)을 지나가는 전기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을 필요로 한 곳에 분기시키는 드롭(Drop)(50)으로 나뉘어져 구성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품들의 상세구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블럭(10)과 조이너(30)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덕트블럭(10)과 조이너(30)의 결합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블럭(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U" 단면 형태로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양측으로는 측면벽(12)이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며, 바닥은 하면벽(14)으로 밀폐시킨 상태로 구성하여 내부로 전기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하에서는 케이블(80)이라 칭함)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16)가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덕트블럭(10)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블럭(10)의 양측을 이루는 측면벽(12)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 가이드레일(18)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또한 상기 덕트블럭(10)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면벽(14)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면 가이드레일(20)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레일(18) 및 하단가이드레일(20)은 덕트블럭(10)을 구성하는 측면벽(12)과 하면벽(14)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과 더불어 후술하겠지만 조이너(30)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삽입부(38a) 및 하면 삽입부(40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덕트블럭(10)과 조이너(3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부재간의 유동없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조이너(30)는 상술한 구성으로 제작된 복수개의 덕트블럭(10)을 서로 연결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U" 단면 형태로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양측과 하단으로는 외벽을 구성하는 측면벽(32) 및 하면벽(34)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내부에는 덕트블럭(10)의 통로(16)를 지나가는 케이블(8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로(36)를 형성시켜 제작한다.
첨부된 도 4는 상기 조이너(30)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이너(30)의 외벽을 구성하는 측면벽(32)과 하면벽(34)의 중앙 외부 둘레면에는 플랜지 형태로 구획판(35)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35)은 조이너(30)의 앞쪽과 뒤쪽으로 복수개의 덕트블럭(10)이 각각 조립될 때, 각 덕트블럭(1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구획판(35)의 양측으로는 측면돌기(38)와, 하면돌기(40) 그리고 코너돌기(42)가 각각 서로 대응하는 구조로 하여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35)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돌기(38)는 내측으로 측면 삽입부(38a)를 구획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측면 삽입부(38a)로는 전술한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면가이드레일(18)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구획판(35)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면돌기(40)는 내측으로 하면 삽입부(40a)를 구획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하면 삽입부(40a)로는 전술한 덕트블럭(10)의 하면벽(14)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하면가이드레일(2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구획판(35)의 일측에 형성되는 코너돌기(42)는 조이너(30)의 측면벽(32)과 하면벽(34)의 경계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코너 삽입부(42a)를 구획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코너 삽입부(42a)로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과 하면벽(14)의 경계지점인 모서리면(22)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코너돌기(42)와 측면돌기(38) 사이 그리고 상기 코너돌기(42)와 하면돌기(40)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삽입부(44, 46)가 각각 구획 형성되며, 상기 보조삽입부(44, 46)로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과 하면벽(14)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조측면 가이드레일(24) 및 보조하면 가이드레일(26)이 각각 끼워지게 된다.
상기 구획판(30)의 타측에 형성되는 측면돌기와, 하면돌기 그리고 코너돌기는 구획판(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돌기(38)와, 하면돌기(40) 그리고 코너돌기(42)와 같이 내측으로 측면 삽입부, 하단 삽입부 그리고 코너 삽입부를 각각 구획 형성시켜 덕트블럭(10)의 반대편에 조립되는 다른 덕트블럭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가이드레일, 하단가이드레일 그리고 덕트블럭의 모서리면이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획판(3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돌기(38) 및 하면돌기(40)에는 체결구멍(48)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48)으로는 리벳(49)이 관통한 상태에서 조이너(30)의 측면벽(32)과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을 리벳팅시켜 서로 연결 구성된 조이너(30)와 덕트블럭(10)을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드롭(50)은 덕트블럭(1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덕트블럭(10)의 내부 통로(16)를 지나가는 케이블(80)중에서 일부의 케이블(80)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5는 상기한 드롭과 덕트블럭의 체결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드롭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드롭(50)은 양측으로 측면벽(52)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은 하면벽(54)으로 밀폐 구성하되, 상기 드롭(50)의 상면과 전면은 개방시킨 형태로 제작하고, 내부에는 덕트블럭(10)에서 분기된 케이블(80)이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56)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드롭(50)을 구성하는 하면벽(54)의 일단에는 제 1유동방지판(58)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유동방지판(58)은 드롭(50)의 조립시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면벽(54)의 아래에는 상기 제 1유동방지판(58)과 삽입공간(60)을 사이에 두고 제 2유동방지판(62)이 수직으로 하향 일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2유동방지판(62)은 상기 드롭(50)을 덕트블럭(1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이 제 1유동방지판(58)과 제 2유동방지판(62) 사이 삽입공간(60)에 끼워질 때,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 내, 외면에 밀착되어 지는 제 1, 2유동방지판(58, 60)의 밀착력을 통해 덕트블럭(10)에 조립된 드롭(5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유동방지판(58)의 양측에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끼워지며 드롭(50)을 덕트블럭(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구(64)가 각각 일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64)의 내면에는 걸림돌기(6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66)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가이드레일(18)에 걸려지며 덕트블럭(10)에 고정되어 있는 드롭(50)의 이탈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조립과정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이너(30)를 이용하여 두개의 덕트블럭(10)을 서로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하나의 덕트블럭(10) 단부에 조이너(3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덕트블럭(10)을 조이너(30)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형성된 측면가이드레일(18)은 조이너(30)의 측면돌기(38) 내측에 구획 형성되어 있는 측면 삽입부(38a)로 끼워지게 되고, 또한 덕트블럭(10)의 하면벽(16)에 형성된 하면가이드레일(20)은 조이너(30)의 하면돌기(40) 내측에 구획 형성되어 있는 하면 삽입부(40a)로 끼워지게 되며, 또한 덕트블럭(10)의 모서리면(22)은 상기 조이너(30)의 코너돌기(42) 내측 구획 형성되어 있는 코너 삽입부(42a)로 끼워짐으로서 덕트블럭(10)을 조이너(30)에 유동없이 견밀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조이너(30)의 측면돌기(38) 및 하면돌기(40)에 관통 형성된 체결구멍(48)으로 리벳(49)을 각각 삽입시켜 조이너(30)와 덕트블럭(10)을 리벳팅함으로서 하나의 덕트블럭(10)과 조이너(30)간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조이너(30)의 반대쪽에 다른 덕트블럭을 조립시켜 복수개의 덕트블럭을 서로 연결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연결과정에서 덕트블럭(10)의 내부 통로(16)를 지나가는 케이블중의 일부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분기시키고자 할 때에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에 분기수단인 드롭(50)을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덕트블럭(10)과 드롭(50)의 연결작업은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드롭(50)의 하면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2유동방지판(58, 6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62)으로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을 끼워넣어 드롭(50)을 덕트블럭(10)에 일차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때 드롭(50)의 제 1, 2유동방지판(58, 60)은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 내, 외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가 됨으로서 덕트블럭(10)에 조립되어 있는 드롭(5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 1유동방지판(58)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구(64)를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끼워넣게 되면, 상기 결합구(64)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66)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가이드레일(18)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덕트블럭(10)에 조립되어 있는 드롭(50)을 견밀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를 구성하는 덕트블럭과 조이너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덕트블럭과 조이너의 조립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덕트블럭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이너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를 구성하는 덕트블럭과 드롭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드롭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드롭에 구비된 제 1, 2유동방지판과 덕트블럭간의 조립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드롭에 구비된 결합구와 덕특블럭간의 조립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덕트블럭 30: 조이너
50: 드롭

Claims (1)

  1.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 복수개의 덕트블럭(10)들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에 있어서,
    상기 조이너(30)의 외벽을 구성하는 측면벽(32)과 하면벽(34)의 외곽 중앙 둘레면에는 구획판(35)을 일체 연장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35)에는 측면돌기(38)와, 하면돌기(40) 그리고 코너돌기(42)를 각각 돌출 형성하며;
    상기 구획판(35)의 측면돌기(38)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면가이드레일(18)이 삽입되기 위한 측면삽입부(38a)를 구획 형성하게 되고;
    상기 구획판(35)의 하면돌기(40)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10)의 하면벽(14)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하면가이드레일(20)이 삽입되기 위한 하면삽입부(40a)를 구획 형성하게 되며;
    상기 구획판(35)의 코너돌기(42)는 내측으로 상기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과 하면벽(14)의 경계지점인 모서리부(22)가 삽입되기 위한 코너삽입부(42a)를 구획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코너돌기(42)와 측면돌기(38) 사이 그리고 상기 코너돌기(42)와 하면돌기(40)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삽입부(44, 46)가 각각 구획 형성되며;
    상기 보조삽입부(44, 46)로는 덕트블럭(10)의 측면벽(12)과 하면벽(14)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조측면 가이드레일(24) 및 보조하면 가이드레일(26)이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측면돌기(38)와 하면돌기(40)에는 체결구멍(47, 48)을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47, 48)으로는 리벳(49)을 관통시켜 상기 조이너(30)와 덕트블럭(10)을 서로 리벳팅 결합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KR1020080069364A 2008-07-17 2008-07-17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KR10089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64A KR100890865B1 (ko) 2008-07-17 2008-07-17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64A KR100890865B1 (ko) 2008-07-17 2008-07-17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865B1 true KR100890865B1 (ko) 2009-03-27

Family

ID=4069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364A KR100890865B1 (ko) 2008-07-17 2008-07-17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791B2 (en) * 2000-06-01 2003-02-25 Panduit Corp. Cable duct coupler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6-11-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657977B1 (ko) 2006-09-22 2006-12-15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673972B1 (ko) 2006-10-20 2007-01-25 이이순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경량 케이블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791B2 (en) * 2000-06-01 2003-02-25 Panduit Corp. Cable duct coupler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6-11-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657977B1 (ko) 2006-09-22 2006-12-15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673972B1 (ko) 2006-10-20 2007-01-25 이이순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경량 케이블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61219A (ja) プロテクタ内への長尺電線の収容構造
MX2011007417A (es) Alojamiento de datos de energia.
JP2009265208A (ja) 多連式光アダプタ
JP4253632B2 (ja) 電気接続箱
JP6878125B2 (ja) パッチパネル
RU2006103207A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е сетевые устройства, размещенные способом внутренней прокладки
KR100887098B1 (ko)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사용되는 드롭
RU2641704C2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швеллер
KR100890865B1 (ko) 케이블 배선용 덕트 조이너
JP2015135391A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4886299B2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JP200700570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101154853B1 (ko) 피엘씨 입출력 모듈용 케이블 커넥터의 일체형 커버장치
JP4917682B1 (ja) ケーブルの分岐配線用接続具
KR20210076137A (ko)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JP4328756B2 (ja) 成端箱
US20220269010A1 (en) Fiber Optic Connector Adapter with Non-Invasive Integral External Latches for Attachment to an Adapter Panel
JP2008123899A (ja) 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102073174B1 (ko) 안전 터미널블록
KR102519137B1 (ko) 모듈 커넥터 어셈블리
JP6796452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JP6343179B2 (ja) 電気接続箱の電線固定用治具、及び、電線固定方法
JP2003087937A (ja) 電気接続箱
CN209921222U (zh) 一种线束接插件固定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