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137A -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 Google Patents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137A
KR20210076137A KR1020217015542A KR20217015542A KR20210076137A KR 20210076137 A KR20210076137 A KR 20210076137A KR 1020217015542 A KR1020217015542 A KR 1020217015542A KR 20217015542 A KR20217015542 A KR 20217015542A KR 20210076137 A KR20210076137 A KR 2021007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side power
terminal
power suppl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371B1 (ko
Inventor
다다히코 오가와
아이키 고라
다카시 사카구치
유키 구니야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 가능한 단자대가,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를 갖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제2 벽부(22)를 따라 배치된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이,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23)와, 제2 벽부(2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근방에 배치되어 제2 벽부(22)를 관통하여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4)을 갖는다.

Description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본 개시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 가능한 단자대 및 복수의 단자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연결된 단자대 세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단자대 유닛을 연결한 단자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27836호 공보
상기 단자대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 단자대 유닛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각 단자대 유닛의 플러스 전원 단자를 잘못해서 크로스오버 배선으로 접속해 버리면, 플러스의 전원 라인이 단락하여, 각 단자대 유닛의 손상 혹은 발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라인의 전원 단자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 및 이 단자대가 복수 연결된 단자대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례의 단자대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 가능한 단자대이며,
상기 제1 방향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방향의 타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벽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벽부를 따라 배치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 및 출력측 전원 라인의 각각을 각각 접속 가능한 입력측 전원 단자 및 출력측 전원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이며 또한 상기 제2 벽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와,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벽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
을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례의 단자대 세트는,
상기 단자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된 단자대 세트이며,
복수의 상기 단자대로서, 제1 단자대와, 상기 제1 단자대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한다.
상기 단자대에 의하면, 하우징이, 제1 벽부로부터 제1 방향이며 또한 제2 벽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의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와, 제2 벽부의 입력측 전원 라인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벽부를 제1 방향으로 관통하여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단자대 세트에 의하면, 상기 단자대에 의해, 전원 단자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 세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단자대 세트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돌출부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단자대 세트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 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연결 수용부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연결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2의 단자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단자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개시의 일례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 세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방향 X를 따라 연결된 복수의 단자대를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 세트(1)는, 복수의 단자대로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단자대(11), 제2 단자대(12) 및 제3 단자대(13)를 갖고 있다.
또한, 이하, 제1 방향 X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 Y라하고,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Y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 Z라 한다.
각 단자대(11, 12, 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30)를 갖고 있다. 각 단자대(11, 12, 13)는, 일례로서, 대략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이다. 또한, 도 2에는, 제1 단자대(11)만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제1 방향 X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제1 벽부(21)와, 제1 방향 X의 타방측에 마련되어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제2 벽부(22)를 갖고 있다.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의 각각은, 제1 방향 X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고, 제1 방향 X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벽부(21)는, 제1 벽부(21)로부터 제1 방향 X이며 또한 제2 벽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23)는, 대략 원기둥형의 돌출 부재(231)로 구성되며, 제3 방향 Z에서 볼 때, 후술하는 입력측 전원 단자(31)를 통과하여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1(도 1에 도시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3)는, 제1 벽부(21)의 외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즉, 도 2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벽부(22)는, 입력측 전원 단자(31)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다. 돌출부(23) 및 제1 관통 구멍(24)의 각각은,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2(도 2에 도시함)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향 Y(즉,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복수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0)의 제2 방향 Y의 양단의 영역에 각각 8개의 단자(30)가,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30)에는,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의 각각은,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따라 배치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2) 및 출력측 전원 라인(3)의 각각(모두 도 1에 도시함)을 각각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의 각각은, 하우징(20)의 제2 방향 Y의 상측의 영역의 제2 벽부(22)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3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수용부(도시생략)에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각 수용부는, 제3 방향 Z로 개구하는 2개의 개구부(25, 26)를 통해 하우징(20)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한쪽의 개구부(25)는, 전선의 도체부(도시생략)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개구부(26)는,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제1 단자대(11)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대(11)의 돌출부(23)는, 제2 단자대(12)의 제1 관통 구멍(24)에 삽입되고, 제3 방향 Z(즉, 도 1의 지면 관통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입력측 전원 단자(31)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에 접속된 개구부(25)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겹친다. 그 결과, 돌출부(23)는, 제2 단자대(1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단자대(12)의 돌출부(23)는, 제3 단자대(13)의 제1 관통 구멍(24)에 삽입되어, 제2 단자대(1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제1 관통 구멍(24)은,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에 마련되어 돌출부(23)와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돌기(27)와, 제2 벽부(22)에 마련되어 제1 관통 구멍(24)과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관통 구멍(28)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27)는, 제1 벽부(21)의 길이 방향의 타단(즉, 도 2의 하단)에 마련되고, 제2 관통 구멍(28)은, 제2 벽부(22)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다. 돌기(27) 및 제2 관통 구멍(28)의 각각은,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3(도 2에 도시함)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대(11)의 돌기(27)는, 제2 단자대(12)의 제2 관통 구멍(28)에 압입되고, 이에 의해 제1 단자대(11)와 제2 단자대(1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대(12)의 돌기(27)는, 제3 단자대(13)의 제2 관통 구멍(28)에 압입되고, 이에 의해, 제1 단자대(11)와 제2 단자대(1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3)는, 제1 관통 구멍(24)에 압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돌출부(23)와 돌기(27)로 한 쌍의 압입 돌기를 구성하고, 제1 관통 구멍(24)과 제2 관통 구멍(28)으로 한 쌍의 압입 구멍을 구성하고 있다. 즉, 돌출부(23)가, 압입 돌기를 겸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의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즉, 제1 벽부(21)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개구부(25, 26)가 개구되어 있는 측의 에지)로부터 제3 방향 Z를 따라 연장되는 지그용 홈(211)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지그용 홈(211)이, 제2 방향 Y에 있어서 돌출부(23)와 돌기(27) 사이에서 또한 돌출부(23) 및 돌기(27)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지그용 홈(2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자대에 대향하는 저면(212)을 갖고,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지그용 홈(211)의 저면(212)은,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다른 쪽 에지를 향함에 따라 인접하는 단자대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단자대(11, 12, 13)에 의하면, 하우징(20)이, 제1 벽부(21)로부터 제1 방향 X이며 또한 제2 벽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23)와, 제2 벽부(2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여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 제2 단자대(12) 및 제3 단자대(13)를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면, 제1 단자대(11)의 돌출부(23)에 의해 제2 단자대(1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접속을 방해할 수 있어, 제2 단자대(12)의 돌출부(23)에 의해 제3 단자대(13)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접속을 방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상기 단자대(11, 12, 13)에 의해,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이, 제1 벽부(21)의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를 갖고,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이, 제2 벽부(22)에 마련되어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는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을 갖고,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의 각각은,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의 각각에 압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23)를 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사이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이, 제1 벽부(21)의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Y에 교차하는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제3 방향 Z를 따라 연장되어, 긴 지그를 삽입 가능한 지그용 홈(211)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단자대 세트(1)의 제1 단자대(11)의 각 지그용 홈(211)에 긴 지그를 삽입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와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지그용 홈(211)이, 제2 단자대(12)에 대향하고 또한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다른 쪽 에지를 향함에 따라 제2 단자대(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는 저면(212)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긴 지그를 사용하여,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와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 사이)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 세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를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 세트(1)는, 4개의 연결 부재(40)를 갖고 있다. 4개의 연결 부재(40) 중 2개의 연결 부재(40)는,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제2 방향 Y의 양단에서 각각 끼움 지지하고 있다. 또한, 4개의 연결 부재(40) 중 나머지 2개의 연결 부재(40)는,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3 단자대(13)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제2 방향 Y의 양단에서 각각 끼움 지지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부재(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형의 암부(41)와, 한 쌍의 암부(41)를 접속하는 접속부(42)를 갖고 있다. 각 암부(41)는,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부(4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 돌기(43)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연결 돌기(43)는, 대략 반원기둥형이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연결 돌기(43)의 한쪽은, 후술하는 제1 단자대(11) 및 제2 단자대(12)의 제1 수용 구멍(213)에 수용되고, 각 연결 돌기(43)의 다른 쪽은, 후술하는 제2 단자대(12) 및 제3 단자대(13)의 제2 수용 구멍(214)에 수용되어 있다. 각연결 돌기(43)가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에 수용됨으로써, 연결 부재(40)의 제2 방향 Y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각 단자대(11, 12, 13)의 하우징(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의 각 연결 돌기(43)를 각각 수용 가능한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과, 연결 부재(40)의 각 연결 돌기(43)를 각 수용 구멍(213, 214)으로 안내하는 제1 수용 홈(215) 및 제2 수용 홈(216)을 갖고 있다.
제1 수용 홈(215)은, 제1 벽부(21)의 제2 벽부(22)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1 벽부(21)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용 홈(215)은, 제1 벽부(21)의 제2 방향 Y의 제1 수용 구멍(213)에 가까운 쪽의 에지에 마련된 절결(217)로부터 제2 방향 Y를 따라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수용 홈(216)은, 제2 벽부(22)의 제1 벽부(21)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2 벽부(22)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 홈(216)은, 제2 벽부(22)의 제2 방향 Y의 제2 수용 구멍(214)에 가까운 쪽의 에지에 마련된 절결(218)로부터 제2 방향 Y를 따라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수용 홈(215)에는,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한쪽이 수용되고, 제2 수용 홈(216)에는,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다른 쪽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40)의 제3 방향 Z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대(11, 12, 13)의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를 수용하는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자대(11, 12, 13)의 하우징(20)은,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연결 수용부(50)는, 제3 방향 Z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개구부(25, 26)가 개구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제1 단자대(11)의 연결 수용부(50)에 연결 부재(40)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수용부(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의 각각을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제1 오목부(51)와, 한 쌍의 제1 오목부(51)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를 수용 가능한 제2 오목부(52)를 갖고 있다.
각 제1 오목부(51)는,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제1 방향 X 및 제3 방향 Z로 연장되는 대략 L자형의 개구부(511)를 갖고 있다. 각 제1 오목부(51)의 개구부(511)에는, 제1 벽부(21)의 지그용 홈(211)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51)의 제2 방향 Y에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제1 방향 X로 레일형으로 연장되는 홈(53)이 마련되어 있다. 각 홈(53)은, 대략 반원형을 갖고, 연결 부재(40)의 각 암부(41)의 연결 돌기(43)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52)는,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를 수용하는 오목부 본체(521)와,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한 쌍의 제1 오목부(51)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즉, 제2 방향 Y)으로 연장되는 경사면(522)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오목부(52)는, 오목부 본체(521)의 제2 방향 Y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2개의 경사면(522)을 갖고 있다.
각 경사면(522)은,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오목부 본체(521)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즉 도 6 및 도 7에 있어서의 제3 방향 Z의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각 경사면(522)에 의해,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와 오목부 본체(521) 사이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연결 수용부(50)에 수용된 연결 부재(40)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연결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40)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형 암부(41)와, 한 쌍의 암부(41)를 접속하는 접속부(42)를 갖고 있다. 각 암부(41)가,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부(4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43)를 갖고, 제1 단자대(11)의 제1 벽부(21) 및 제2 단자대(12)의 제2 벽부(22)의 각각이, 각 암부(41)의 연결 돌기(43)가 수용된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을 각각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 부재(40)의 이동(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방향 Y의 이동)을 규제하여 연결 부재(40)의 의도치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제1 벽부(21)가, 제2 벽부(22)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1 벽부(21)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한쪽을 수용하는 제1 수용 홈(215)을 갖는다. 제2 단자대(12)의 제2 벽부(22)가, 제1 벽부(21)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2 벽부(22)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다른 쪽을 수용하는 제2 수용 홈(216)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 부재(40)의 이동(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방향 Z의 이동)을 규제하여 연결 부재(40)의 의도치 못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 및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각각이, 연결 부재(40)를 수용하는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연결 부재(40)를 연결 수용부(50)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연결 부재(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용부(50)가, 한 쌍의 암부(41)의 각각을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제1 오목부(51)와, 한 쌍의 제1 오목부(51)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부(42)를 수용 가능한 제2 오목부(52)를 갖고 있다. 제2 오목부(52)가, 접속부(42)를 수용하는 오목부 본체(521)와,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한 쌍의 제1 오목부(51)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오목부 본체(521)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22)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와 오목부 본체(521) 사이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연결 수용부(50)에 수용된 연결 부재(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는, 1개의 대략 원기둥형의 돌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대략 원기둥형의 돌출 부재(231, 232)(즉, 제1 돌출 부재(231) 및 제2 돌출 부재(232))로 구성해도 된다. 그 결과, 돌출부(23)는,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함과 함께,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돌출 부재(232)는, 출력측 전원 단자(32)를 통과하여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4(도 1에 도시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벽부(22)에는, 제1 돌기 부재(231)에 대응하는 대략 원형의 관통 구멍(241)에 추가하여, 제2 돌기부(232)에 대응하는 대략 원형의 관통 구멍(242)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각 돌출 부재(231, 232)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여도 되고,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여도 된다. 또한, 각 돌출 부재(231)는, 대략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사각기둥형이어도 되고,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2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 및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의 양쪽을 동시에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3 돌기 부재(233)로 구성해도 된다. 도 9에는, 일례로서,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제3 돌기 부재(233)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3 돌기 부재(233)는, 제2 방향 Y의 양단부가, 각각 가상 직선 L1, L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벽부(22)에는, 제3 돌기 부재(233)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243)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즉, 돌출부(23)는, 적어도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면 되며,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의 형상, 크기 및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각 단자대(11, 12, 13)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를 갖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를 구비하고 있으면,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40)는, C자형을 갖고, 단자대(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의 제1 벽부(21)와, 이 단자대에 인접하는 단자대(예를 들어, 제2 단자대(12))의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유지 가능하면 되며,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수용부(50)는, 연결 부재(40)를 수용할 수 있으면 되며,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40), 연결 수용부(50), 수용 구멍(213, 214) 및 수용 홈(215, 216)은, 생략할 수 있다.
돌출부(23)는 압입 돌기를 겸할 필요는 없으며, 별도로 압입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돌기(27)(즉, 압입 돌기), 관통 구멍(28)(즉, 압입 구멍) 및 지그용 홈(211)은, 생략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단자대(11, 12, 13)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방향 X를 따라 복수 연결 가능한 단자대(11, 12, 13)이며,
상기 제1 방향 X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제1 벽부(21)와, 상기 제1 방향 X의 타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제2 벽부(22)를 갖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벽부(22)를 따라 배치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2) 및 출력측 전원 라인(3)의 각각을 각각 접속 가능한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제1 벽부(21)로부터, 상기 제1 방향 X이며 또한 상기 제2 벽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23)와,
상기 제2 벽부(22)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31)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벽부(22)를 상기 제1 방향 X로 관통하여 상기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4)
을 갖는다.
제1 양태의 단자대(11, 12, 13)에 의하면, 하우징(20)이, 제1 벽부(21)로부터 제1 방향 X이며 또한 제2 벽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23)와, 제2 벽부(2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근방에 배치되어,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여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단자대(11, 12, 13)는,
상기 돌출부(23)가,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함과 함께, 상기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상기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제2 양태의 단자대(11, 12, 13)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단자대(11, 12, 13)는,
상기 돌출부(23)가,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돌출 부재(231)와,
상기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상기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2 돌출 부재(232)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양태의 단자대(11, 12, 13)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단자대(11, 12, 13)는,
상기 돌출부(23)가,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 및 상기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상기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의 양쪽을 동시에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3 돌기 부재(233)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의 단자대(11, 12, 13)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양태의 단자대(11, 12, 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 X를 따라 복수 연결된 단자대 세트(1)이며,
복수의 상기 단자대(11, 12, 13)로서, 제1 단자대(11)와, 상기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돌출부(23)가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관통 구멍(24)에 삽입되어,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한다.
제5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단자대(11, 12, 13)에 의해,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제1 벽부(21)의 상기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제2 벽부(22)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벽부(22)를 상기 제1 방향 X로 관통하는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의 각각에 압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의 어느 한쪽이, 상기 돌출부(23)를 겸하고 있다.
제6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제1 벽부(21)의 상기 제1 방향 X 및 상기 제2 방향 Y에 교차하는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상기 제3 방향 Z를 따라 연장되어, 긴 지그를 삽입 가능한 지그용 홈(211)을 갖는다.
제7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예를 들어 단자대 세트(1)의 제1 단자대(11)의 각 지그용 홈(211)에 긴 지그를 삽입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지그용 홈(211)이,
상기 제2 단자대(12)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다른 쪽 에지를 향함에 따라 상기 제2 단자대(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는 저면(212)을 갖고 있다.
제8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예를 들어 긴 지그를 사용하여,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와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 사이)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는, 예를 들어 제어반의 온도 조절기에 사용할 수 있다.
1: 단자대 세트
2: 입력측 전원 라인
3: 출력측 전원 라인
11, 12, 13: 단자대
20: 하우징
21: 제1 벽부
211: 지그용 홈
212: 저면
213, 214: 수용 구멍
215, 216: 수용 홈
217, 218: 절결
22: 제2 벽부
23: 돌출부
231, 232, 233: 돌출 부재
24, 241, 242, 243: 관통 구멍
25, 26: 개구부
27: 돌기
28: 관통 구멍
30: 단자
31: 입력측 전원 단자
32: 출력측 전원 단자
40: 연결 부재
41: 암부
42: 접속부
43: 연결 돌기
50: 연결 수용부
51: 제1 오목부
511: 개구부
52: 제2 오목부
521: 오목부 본체
522: 경사면
X: 제1 방향
Y: 제2 방향
Z: 제3 방향
L1 내지 L4: 가상 직선

Claims (8)

  1.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 가능한 단자대이며,
    상기 제1 방향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방향의 타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벽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벽부를 따라 배치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 및 출력측 전원 라인의 각각을 각각 접속 가능한 입력측 전원 단자 및 출력측 전원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이며 또한 상기 제2 벽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와,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벽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
    을 갖는,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함과 함께, 상기 출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출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단자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돌출 부재와,
    상기 출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출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2 돌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단자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 및 상기 출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출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의 양쪽을 동시에 방해하는 상기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3 돌기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단자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자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된 단자대 세트이며,
    복수의 상기 단자대로서, 제1 단자대와, 상기 제1 단자대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입력측 전원 라인의 상기 입력측 전원 단자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단자대 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입 돌기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벽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벽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압입 구멍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압입 돌기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압입 구멍의 각각에 압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압입 돌기의 어느 한쪽이, 상기 돌출부를 겸하고 있는, 단자대 세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의 한쪽 에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긴 지그를 삽입 가능한 지그용 홈을 갖는, 단자대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용 홈이,
    상기 제2 단자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3 방향의 한쪽 에지로부터 다른 쪽 에지를 향함에 따라 상기 제2 단자대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는 저면을 갖고 있는, 단자대 세트.
KR1020217015542A 2018-12-14 2019-12-06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KR102629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4668A JP6962309B2 (ja) 2018-12-14 2018-12-14 端子台および端子台セット
JPJP-P-2018-234668 2018-12-14
PCT/JP2019/047839 WO2020121970A1 (ja) 2018-12-14 2019-12-06 端子台および端子台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137A true KR20210076137A (ko) 2021-06-23
KR102629371B1 KR102629371B1 (ko) 2024-01-29

Family

ID=7107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542A KR102629371B1 (ko) 2018-12-14 2019-12-06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70200B2 (ko)
EP (1) EP3876353A4 (ko)
JP (1) JP6962309B2 (ko)
KR (1) KR102629371B1 (ko)
CN (1) CN113169468B (ko)
WO (1) WO2020121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85674A (ja) * 2020-11-27 2022-06-08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906A (ja) * 1992-04-14 1993-11-05 Toshiba Corp 連結式ソケット端子台
JPH07261875A (ja) * 1994-01-18 1995-10-13 Wago Verwaltungs Gmbh データバスのための入/出力モジユール
JP2000231950A (ja) * 1999-02-12 2000-08-22 Nitto Electric Works Ltd 端子台
DE102007033942A1 (de) * 2007-07-19 2009-01-2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Klemme
US20090035997A1 (en) * 2007-07-31 2009-02-05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JP2017027836A (ja) 2015-07-24 2017-02-02 東朋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センサー用端子台および端子台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5770B1 (en) * 2000-04-14 2002-07-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put/output device having removable module
US6629852B2 (en) * 2001-03-15 2003-10-07 Omron Corporation Relay socket
JP2004327258A (ja) * 2003-04-25 2004-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機器装着用ソケット装置
US6811425B1 (en) * 2003-09-25 2004-11-02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Controller module responsive to input signals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appliance
EP1564848B1 (de) * 2004-02-16 2013-10-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stallationsgerät mit kodierbarer Steckschnittstelle und entsprechendes Zusatzmodul
US7576630B2 (en) * 2004-09-13 2009-08-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DE202005014718U1 (de) * 2005-09-17 2007-02-0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ß-System zur Realisierung von Abzweigungen an durchgehenden Leitern
DE102008033430B4 (de) * 2008-07-16 2010-04-01 Adc Gmbh Verteileranschlussmodul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FR2937188A1 (fr) * 2008-10-09 2010-04-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et ensemble coulissant de connexion electrique, en particulier pour bloc de protection differentielle
US9055687B2 (en) * 2010-08-20 2015-06-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put/output circuits and devices having physically corresponding status indicators
US8628004B2 (en) * 2010-08-20 2014-01-1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utomation control system components with electronic keying features
WO2014174628A1 (ja) * 2013-04-25 2014-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保護カバー及び電子機器
JP6308439B2 (ja) * 2015-02-10 2018-04-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源分配装置
JP1590384S (ko) * 2017-02-14 2017-11-13
JP7001047B2 (ja) * 2018-12-14 2022-01-1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906A (ja) * 1992-04-14 1993-11-05 Toshiba Corp 連結式ソケット端子台
JPH07261875A (ja) * 1994-01-18 1995-10-13 Wago Verwaltungs Gmbh データバスのための入/出力モジユール
JP2000231950A (ja) * 1999-02-12 2000-08-22 Nitto Electric Works Ltd 端子台
DE102007033942A1 (de) * 2007-07-19 2009-01-2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Klemme
US20090035997A1 (en) * 2007-07-31 2009-02-05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JP2017027836A (ja) 2015-07-24 2017-02-02 東朋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センサー用端子台および端子台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9468B (zh) 2023-05-23
JP2020095914A (ja) 2020-06-18
EP3876353A4 (en) 2022-08-03
WO2020121970A1 (ja) 2020-06-18
US11870200B2 (en) 2024-01-09
EP3876353A1 (en) 2021-09-08
US20220021134A1 (en) 2022-01-20
JP6962309B2 (ja) 2021-11-05
KR102629371B1 (ko) 2024-01-29
CN113169468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2831B (zh) 能够以优良空间效率实现电路板之间连接的连接器
KR102353499B1 (ko)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CN110277278B (zh) 插座
KR20210076137A (ko)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JP2014207150A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子部品
KR20210073585A (ko) 단자대
JP2008159311A (ja) 分岐コネクタ
CN101454944A (zh) 带有端子盒的电路接线端子
EP3940736B1 (en) Terminal block
US20190341716A1 (en) Joint connector
CN110391562A (zh) 一种转接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7006575B2 (ja)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端子台
KR20230117507A (ko) 소켓
US20140134864A1 (en) Connector
JP2017517112A (ja) 電気接続装置
JP2022187823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1335104B1 (ko) 커넥터 유니트
KR19990036177U (ko) 전자기기의 멀티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