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499B1 -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499B1
KR102353499B1 KR1020207004970A KR20207004970A KR102353499B1 KR 102353499 B1 KR102353499 B1 KR 102353499B1 KR 1020207004970 A KR1020207004970 A KR 1020207004970A KR 20207004970 A KR20207004970 A KR 20207004970A KR 102353499 B1 KR102353499 B1 KR 10235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terminal
wall portion
lance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329A (ko
Inventor
노리히로 오츠
토모유키 하루나
히데카즈 코야마
유키토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용 단자가 중심선에 따라 늘어나는 단자 본체와, 단자 본체의 연재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된 접촉부와, 단자 본체의 연재 방향의 타단부에 마련된 랜스부와, 접촉부와 랜스부의 사이에 배치된 접속부와, 접촉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된 수지 위치결정부를 구비한다. 수지 위치결정부가 관통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와, 안내벽부의 내부에서 관통구멍을 중심선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를 갖는다. 또한, 위치결정벽부가 계지 볼록부를 가지며, 안내벽부가 계지 볼록부를 계지하는 계지 오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본 개시는 커넥터용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고 굴곡 성형하여 형성된 커넥터의 콘택트 핀이 개시되어 있다. 이 콘택트 핀은 직선적으로 늘어나 있고, 전단측에 마련된 핀형상의 접촉 단자부와, 중간에 마련된 몸통부과, 후단측에 마련된 접속단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 핀의 몸통부에는 그 좌우의 양측면이 잘라일으켜져서, 몸통부로부터 양측방에 각각 비어져 나오는 한 쌍의 랜스(lanc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 핀은 인슐레이터의 콘택트 유지구멍에 조립되고, 인슐레이터와 함께 커넥터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이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에 합성 수지재를 몰드 성형하는 것으로,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9-147948호 공보
상기 콘택트 핀에서는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에 합성 수지재를 몰드 성형하면 각 랜스부를 잘라세운 때에 형성된 노치로부터, 몸통부의 내부에 합성 수지재가 유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몸통부의 내부에 유입한 합성 수지재가 접촉 단자부에 흘러서, 접촉 단자부로부터 콘택트 유지구멍에 유출하여 콘택트 핀의 접속 성능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접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용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한 예의 커넥터용 단자는,
수용부가 마련된 절연성의 하우징을 갖는 커넥터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 가능하면서 전선을 접속 가능한 커넥터용 단자에 있어서,
중심선에 따라 늘어나는 단자 본체와,
상기 단자 본체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된 접촉부와,
상기 단자 본체의 그 연재 방향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에서의 상기 커넥터용 단자의 상기 중심선의 연재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랜스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랜스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도체부를 상기 랜스부 측에서 접속 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랜스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연재되는 수지 봉지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지 위치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위치결정부가 상기 중심선에 따라 늘어나는 관통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와,
상기 단자 본체의 일부 및 안내벽부의 일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잘라일으켜 형성되고, 상기 안내벽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구멍을 상기 중심선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를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벽부가 상기 중심선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벽부로부터 상기 수지 위치결정부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벽부가 상기 계지 볼록부를 계지하여 상기 안내벽부에 대한 상기 위치결정벽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한 예의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용 단자와,
상기 커넥터용 단자가 수용된 상기 수용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용 단자에 의하면 수지 위치결정부가 중심선에 따라 늘어나는 관통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와, 단자 본체의 일부 및 안내벽부의 일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잘라일으켜 형성되어 안내벽부의 내부에서 관통구멍을 중심선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벽부가 위치결정벽부로부터 수지 위치결정부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를 가지며, 안내벽부가 계지 볼록부를 계지하여 안내벽부에 대한 위치결정벽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위치결정부의 내부에 랜스부측부터 수지가 유입하였다고 하여도, 위치결정벽부에 의해 접촉부에 수지 봉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에 의한 커넥터용 단자의 접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용 단자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성능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로부터 전선 및 커버부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단자인 소켓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소켓 단자의 접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소켓 단자의 랜스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소켓 단자의 랜스부측이면서 소켓 단자의 중심선의 연재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도 4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의 수지 위치결정부(50) 근방의 확대도.
도 10은 도 4의 소켓 단자의 수지 위치결정부의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도 4의 소켓 단자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단자인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
이하, 본 개시의 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특정한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우」, 「좌」를 포함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고는 있지 않다.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도시 생략)를 접속 가능한 소켓 커넥터로서, 수용부(11)를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 예로서, 하우징(10)은 4개의 수용부(11)를 가지며, 각 수용부(11)는 각각 개략 원주형상을 갖고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연재 방향의 외단부(101)에 마련된 단자 삽입면을 갖고 있다. 이 단자 삽입면에는 각 수용부(11)가 각각 접속된 4개의 개구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그 연재 방향의 내단부(102)에는 후술하는 커넥터용 단자(20)의 랜스부(40)가 수용부(11)의 연재 방향에서 계지 가능한 계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계지부(12)는 한 예로서, 각 수용부(11)에 각각 대응시켜진 4개의 노치부(12)로 구성되어 있다(도 2에는 2개의 노치부(12)만 도시한다). 각 노치부(12)는 각각, 하우징(10)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하우징(10)의 외주 길이의 약 1/6의 길이를 갖고 있다.
각 수용부(11)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도 4에 도시하는 커넥터용 단자(20)가 수용되어 있다(도 3에는 2개의 수용부(11)만 도시한다). 커넥터용 단자(20)에는 하우징(10)의 그 연재 방향의 내단부(102)(도 2에 도시한다)측에서 전선(2)의 도체부(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단부(102)에는 한 예로서, PBT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몰드 성형된 커버부(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부(3)는 하우징(10)의 내단부(102)와 전선(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그 연재 방향의 주위에는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전선(2) 및 커버부(3)를 생략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4∼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단자(20)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용 단자(20)는 한 예로서, 플러그 단자(120)(도 12 참조)가 접속 가능한 소켓 단자이다.
소켓 단자(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단자 본체(21)와, 단자 본체(21)의 연재 방향의 일단부인 제1 단부(211)에 마련된 접촉부(30)와, 단자 본체(21)의 연재 방향의 타단부인 제2 단부(212)에 마련된 랜스부(40)와, 접촉부(30)와 랜스부(40)의 사이에 배치된 접속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본체(21)의 접속부(22)와 접촉부(30)의 사이에는 수지 위치결정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은 하우징(10)의 수용부(11)의 중심선(CL2)(도 3에 도시한다)과 개략 평행하게 늘어나 있다. 또한, 접속부(22)는 랜스부(40)측에서 전선(2)의 도체부(5)를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단자 본체(2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의 접속부(22) 및 제2 단부(212)의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전선 협지부(23)를 갖고 있다. 각 전선 협지부(23)는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각각 중심선(CL1) 둘레로 늘어나서, 전선(2)의 도체부(5)가 접속부(22)에 접속된 때에 전선(2)의 절연부(6)(도 3에 도시한다)를 끼여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는 그 제1 단부(211)의 위치 규제부(31)와 수지 위치결정부(50)의 사이에 플러그 단자(120)를 수용 가능한 플러그 단자 수용부(213)와, 플러그 단자 수용부(213)에 마련된 단자 가이드면(26)을 갖고 있다. 이 단자 가이드면(26)은 소켓 단자(20)가 하우징(10)의 수용부(11)에 삽입된 때에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의 플러그 단자(120)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는 그 제2 단부(212)에 마련된 전선 가이드면(24)을 갖고 있다. 전선 가이드면(24)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중심선(CL1) 둘레의의 개략 반원의 원호면이고, 전선(2)의 도체부(5)를 접속부(22)에 접속할 때에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의 전선(2)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의 제1 단부(211)측의 선단에 마련된 위치 규제부(31)와, 단자 본체(21)의 위치 규제부(31)와 접속부(22)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 접촉부(33)를 가지며, 하우징(10)의 외단부(101)의 개구면에 개구한 개구부(103)로부터 수용부(11)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12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위치 규제부(3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30)의 접속부(2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의 내주면(13)을 둘레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환형상 밴드부(34)로 구성되어 있다. 환형상 밴드부(34)는 개략 동일한 폭(W)(즉,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수용부(11)에 수용된 때의 수용부(11)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접촉부(30)의 위치를 그 외주면에서 규제 가능하면서 플러그 단자(120)를 그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 규제부(31)는 소켓 단자(20)가 수용부(11)에 수용된 때에 환형상 밴드부(34)의 외주면과 하우징(10)의 내주면(13)이 상호 접촉하여 위치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3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의 단자 가이드면(26)에서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즉, 양단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탄성 접촉부(33)는 평판형상을 가지며, 중심선(CL1)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중심선(CL1)에 따라서 위치 규제부(31)를 향하는 방향이면서 각 단부에서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늘어나 있다. 또한, 각 탄성 접촉부(33)는 하우징(10)의 수용부(11)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120)에 접촉하여 폭방향이면서 중심선(CL1)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각 탄성 접촉부(33)는 편측지지 구조로서,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인 기단부(37)가 단자 본체(2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 접촉부(33)는 단자 본체(21)에 접속되지 않은 선단부(36)가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에서, 단자 본체(21)에 접속되어 있는 기단부(37)보다도 중심선(CL1)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선단부(36)가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 접촉부(33)의 위치 규제부(31)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36)에는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에서의 중심선(CL1)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굴곡부(38)에 의해 플러그 단자(120)를 수용부(11)에 삽입할 때에 위치 규제부(31)의 환형상 밴드부(34)의 내부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120)가 한 쌍의 탄성 접촉부(33)의 선단부(36)에 충돌하는 일 없이, 한 쌍의 탄성 접촉부(33) 사이에 스무스하게 삽입된다.
랜스부(4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의 커넥터용 단자(20)(즉, 소켓 단자(2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위치결정용 랜스(이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위치결정용 랜스, 즉, 제1의 위치결정용 랜스로서의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 제2의 위치결정용 랜스로서의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 및 제3의 위치결정용 랜스로서의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를 갖고 있다.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는 중심선(CL1) 둘레에 간격을 띄워서 마련되고 하우징(10)의 계지부(12)(즉, 노치부(12))에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의 제2 단부(212)의 전선 가이드면(24)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 및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는 중심선(CL1)에 대한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접속부(22)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단자 본체(21)에 접속되고, 단자 본체(21)에 접속되어 있는 단부로부터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 단자 본체(21)의 제2 단부(212)를 향하여 끝이 가늘게 늘어나는 판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각 위치결정용 랜스(41)는 단자 본체(21)에 접속되어 있는 단부로부터 단자 본체(21)의 제2 단부(212)를 향함에 따라, 중심선(CL1)부터 떨어지도록 늘어나 있음과 함께, 그 중간부에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의 연재 방향의 양단부를 잇는 가상직선(L4)(도 6에는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 및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의 가상직선(L4)만 도시한다)보다도 중심선(CL1)측에 위치하는 굴곡부(411, 421, 431)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의 연재 방향의 양단부에서의 두께 방향(도 6에 D1 및 D2로 도시한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을 가상직선(L4)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는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중심선(CL1) 및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를 잇는 제1 가상직선(L1)과, 중심선(CL1) 및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를 잇는 제2 가상직선(L2)의 이루는 각도(θ1)가 중심선(CL1) 둘레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고, 제1 가상직선(L1)과, 중심선(CL1) 및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를 잇는 제3 가상직선(L3)의 이루는 각도(θ3)가 중심선(CL1) 둘레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상직선(L2)과 제3 가상직선(L3)의 이루는 각도를 θ2로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는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한 원의 원주상에 둘레 방향에서 등간격(즉, θ1=θ2=θ3=120도)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11)에 수용할 때의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 둘레의 방향에 관계없이, 소켓 단자(20)를 하우징(10)의 노치부(12)에 계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직선(L1), 제2 가상직선(L2) 및 제3 가상직선(L3)의 각각은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중심선(CL1)과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의 임의의 부분을 통과하는 직선이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상직선(L1)은 직선(L11)부터 직선(L12)까지의 임의의 직선이고, 제2 가상직선(L2)은 직선(L21)부터 직선(L22)까지의 임의의 직선이고, 제3 가상직선(L3)은 직선(L31)부터 직선(L32)까지의 임의의 직선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가상직선(L1)과 제2 가상직선(L2)이 이루는 각도(θ1)는 각도(θ11)부터 각도(θ12)까지의 임의의 각도이다.
수지 위치결정부(5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개략 원주형상의 관통구멍(53)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51)와, 단자 본체(21)의 일부를 잘라일으켜 형성된 위치결정벽부(52)를 갖고 있다. 위치결정벽부(52)는 개략 원판형상을 가지며, 안내벽부(51)의 내부에서 관통구멍(53)을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벽부(52)는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결정벽부(52)로부터 수지 위치결정부(5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54)를 갖고 있다. 이 위치결정벽부(52)는 랜스부(40)측부터 접촉부(30)측을 향하여 잘라일으켜져 있고, 계지 볼록부(54)와, 위치결정벽부(52)의 잘라 남겨진 부분인 절잔부(切り殘し部)(56)가 위치결정벽부(52)의 원판형상의 중심에 대해 지름 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벽부(51)는 계지 볼록부(54)를 계지하여 안내벽부(51)에 대한 위치결정벽부(52)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55)를 갖고 있다.
수지 위치결정부(50)의 내부에는 커버부(3)를 형성한 때에 커버부(3)의 재료인 수지가 랜스부(40)측부터 접촉부(30)를 향하여 유입하고, 랜스부로부터 접촉부(30)를 향하여 연재되는 수지 봉지부(60)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안내벽부(51)는 랜스부(40)측부터 접촉부(30)를 향하여 유입한 수지를 위치결정벽부(52)에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위치결정벽부(52)는 이 수지 봉지부(60)의 위치를 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본체(21)의 일부를 잘라세워서 위치결정벽부(52)를 형성함으로써, 가령, 수지 위치결정부(50)의 내부에 유입한 수지가 위치결정벽부(52) 잘라세운 때에 단자 본체(21)에 형성되고 단자 본체(21)를 중심선(CL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57)부터 유출하였다고 하여도, 단자 본체(21)의 접촉부(30)측의 플러그 단자 수용부(213)에 수지가 유입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수지 위치결정부(50)의 형성 공정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위치결정부(50)는 단자 본체(21)를 구성하는 개략 사각형 판형상의 제1 부재(201)의 단변 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개략 사각형 판형상의 제2 부재(202) 및 제3 부재(203)로 구성된다.
우선, 제1 부재(201)의 단변 방향의 중심선(CL3)상에 배치된 중심점(CP) 둘레에 칼집을 넣어 개략 원호형상의 슬릿(521)을 형성하는 한편, 제2 부재(202) 및 제3 부재(203)에서의 제1 부재(201)의 중심선(CL3)부터 떨어진 각 외측면(204, 205)에 제1 부재(201)의 중심선(CL3)를 향하여 늘어나는 오목부(551, 552)를 각각 형성한다.
슬릿(521)에는 중심선(CL3)에 따라 중심점(CP)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2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522)에 둘러싸인 제1 부재(201)의 일부가 계지 볼록부(54)를 구성한다. 돌출부(522)의 중심점(CP)에 대한 지름 방향의 반대측에는 슬릿(521)이 형성되지 않고, 위치결정벽부(52)가 절잔부(56)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오목부(551, 552)는 슬릿(521)의 양단부를 잇는 가상직선(L5)상에 마련되어 2개의 오목부(551, 552)로 하나의 계지 오목부(55)를 구성한다.
계속해서, 슬릿(521)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부재(201)의 일부를 제1 부재(201)의 판면에 대해 개략 수직으로 구부려 일으켜서, 위치결정벽부(52)가 형성되는 한편, 제2 부재(202) 및 제3 부재(203)를 위치결정벽부(52)의 중심점(CP) 둘레의 외주면에 따라 각각 구부려 일으켜서, 각 외측면(204, 205)이 대향한 상태로 접합되어 안내벽부(51)가 형성된다.
이때, 각 오목부(551, 552)는 개구가 상호 대향한 상태에서 접속되어 계지 오목부(55)를 구성하고, 위치결정벽부(52)의 계지 볼록부(54)가 계지 오목부(55)의 내부에 수용되어 계지된다.
또한, 위치결정벽부(52)는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안내벽부(51)의 내부의 관통구멍(53)보다도 큰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안내벽부(51)의 내부에서, 안내벽부(51)와 위치결정벽부(52)의 사이를 확실하게 봉지하고 있다.
상기 소켓 단자(20)에 의하면 랜스부(40)가 단자 본체(21)의 연재 방향의 타단부(212)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 단자(20)를 하우징(10)의 수용부(11)에 수용할 때, 랜스부(40)가 최후에 수용부(11)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콘택트 핀의 중간에 마련된 몸통부에 한 쌍의 랜스가 마련된 특허 문헌 1의 콘택트 핀과 비교하여 하우징(10)의 수용부(11)에 소켓 단자(20)를 수용할 때에 수용부(11)의 내주면(13)과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가 활주하는 거리가 짧아져서, 보다 유저에 가까운 위치에서,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가 하우징(10)의 계지부(12)에 계지된다. 그 결과, 하우징(10)의 수용부(11)에 수용하기 쉽고,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가 하우징(10)의 계지부(12)에 계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쉬운 소켓 단자(2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 단자(20)에서는 그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의 커넥터(1)의 수용부(11)의 소켓 단자(2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위치결정용 랜스, 즉,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 및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를 갖고 있다. 또한, 중심선(CL1) 및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를 잇는 제1 가상직선(L1)과, 중심선(CL1) 및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를 잇는 제2 가상직선(L2)이 이루는 각도(θ1)가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 둘레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게 되어 있음과 함께, 제1 가상직선(L1)과, 중심선(CL1) 및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를 잇는 제3 가상직선(L3)의 이루는 각도(θ3)가 단자 본체(21)의 중심선(CL1) 둘레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랜스가 중심선 둘레로 180도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특허 문헌 1의 콘택트 핀과 비교하여 수용부(11)에 수용할 때의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 둘레의 방향에 관계없이, 소켓 단자(20)를 하우징(10)의 계지부(12)에 계지시키기 쉽게 된다. 그 결과, 하우징(10)부터의 탈락을 저감할 수 있는 소켓 단자(2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가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중심선(CL1)을 중심으로 한 원의 원주상에 둘레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부터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는 소켓 단자(2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본체(21)가 전선(2)의 도체부(5)를 접속부(22)에 접속할 때에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의 전선(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전선 가이드면(24)을 갖고 있다. 이 전선 가이드면(24)에 의해 전선(2)을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으로 스무스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선(2)의 도체부(5)를 접속부(22)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본체(21)가 전선(2)의 도체부(5)가 접속부(22)에 접속된 때에 전선(2)의 절연부(6)를 끼여지지 가능한 한 쌍의 전선 협지부(23)를 갖고 있다. 이 한 쌍의 전선 협지부(23)에 의해 접속부(22)에 접속된 때의 전선(2)의 도체부(5)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는 상기 소켓 단자(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0)부터 소켓 단자(20)가 탈락하기 어렵고, 조립하기 쉬운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소켓 단자(20)에서는 수지 위치결정부(50)가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관통구멍(53)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51)와, 단자 본체(21)의 일부를 잘라일으켜 형성되고 안내벽부(51)의 내부에서 관통구멍(53)을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5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벽부(52)가 위치결정벽부(52)로부터 수지 위치결정부(5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54)를 가지며, 안내벽부(51)가 계지 볼록부(54)를 계지하여 안내벽부(51)에 대한 위치결정벽부(52)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55)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커버부(3)를 수지로 몰드 성형할 때에 수지 위치결정부(50)의 내부에 랜스부(40)측부터 수지가 유입하였다고 하여도, 위치결정벽부(52)에 의해 접촉부(30)에 수지 봉지부(60)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에 의한 소켓 단자(20)의 접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벽부(51)가 원주형상의 관통구멍(53)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위치결정벽부(52)가 원판형상을 가지며, 계지 볼록부(54)와 위치결정벽부(52)의 절잔부(56)가 위치결정벽부(52)의 원판형상의 중심에 대해 지름 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내벽부(51)에 대한 위치결정벽부(52)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는 상기 소켓 단자(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성능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소켓 단자(20)에서는 접촉부(30)가 단자 본체(21)의 일단부(211)측의 선단에 마련되고, 수용부(11)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의 내주면(13)을 둘레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환형상 밴드부(34)로 구성된 위치 규제부(31)를 갖고 있다. 이 위치 규제부(31)에 의해 소켓 단자(20)가 수용부(11)에 수용된 때의 수용부(11)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접촉부(30)의 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단자 본체(21)의 일단부(211)에서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러그 단자(120)에 대한 소켓 단자(20)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33)의 위치 규제부(31)에 가까운 쪽의 선단부(36)에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에서의 중심선(CL1)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굴곡부(38)에 의해 플러그 단자(120)를 수용부(11)에 삽입한 때에 탄성 접촉부(33)를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이면서 중심선(CL1)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부(30)가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의 일단부(211) 및 폭방향의 타단부(212)에 마련되면서 중심선(CL1)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탄성 접촉부(33)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11)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120)를 한 쌍의 탄성 접촉부(33)로 끼여지지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단자(120)에 대한 소켓 단자(20)의 접촉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치 규제부(31)가 수용부(11)에 수용된 때에 위치 규제부(31)의 환형상 밴드부(34)의 외주면과 하우징(10)의 내주면(13)이 상호 접촉하여 위치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자 본체(21)의 일단부(211)에서의 덜컹거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에 의하면 상기 소켓 단자(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계지부(12)는 노치부(12)로 한정하지 않고, 소켓 단자(20)의 랜스부(40)가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계지부(12)는 각 수용부(11)에 각각 대응시켜진 4개의 노치부(12)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접하는 2개의 수용부(11)에 각각 대응시켜진 2개의 노치부로 계지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접촉부(30)의 위치 규제부(31)는 단자 본체(21)의 일단부(211)측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는다. 위치 규제부(31)는 단자 본체(21)의 일단부(211)측의 선단과 수지 위치결정부(5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위치 규제부(31)의 환형상 밴드부(34)는 개략 동일한 폭(W)을 갖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다른 폭을 가져도 좋다. 즉, 환형상 밴드부(34)는 그 외주면에서 접촉부(30)의 수용부(11)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탄성 접촉부(33)는 수용부(11)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120)에 접촉하여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이면서 중심선(CL1)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면 좋다. 예를 들면 탄성 접촉부(33)는 평판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위치 규제부(31)의 환형상 밴드부(34)에 따라 만곡한 판형상이라도 좋고, 기단부(37)가 단자 본체(21) 수지 위치결정부(50)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탄성 접촉부(33)는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단자 본체(21)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각 탄성 접촉부(33)는 중심선(CL1)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중심선(CL1)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를 제1의 위치결정용 랜스로 하고,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를 제2 위치결정용 랜스로 하고,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를 제3의 위치결정용 랜스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위치결정용 랜스(41)를 제2의 위치결정용 랜스로 하고, 제2 위치결정용 랜스(42)를 제3의 위치결정용 랜스로 하고, 제3 위치결정용 랜스(43)를 제3의 위치결정용 랜스로 하여도 좋다.
랜스부(40)는 적어도 3개의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를 갖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랜스부(40)는 제1∼제3 위치결정용 랜스(41, 42, 43)에 더하여 제4 위치결정용 랜스를 가질 수 있다.
전선 협지부(23), 전선 가이드면(24) 및 수지 위치결정부(50)는 소켓 단자(20)의 설계 등에 응하여 생략할 수 있다.
수지 위치결정부(50)의 안내벽부(51)는 통형상이면 좋고, 원통형상로 한정하지 않는다.
위치결정벽부(52)는 안내벽부(51)의 내부에서 관통구멍(53)을 막을 수 있으면 좋다. 즉, 위치결정벽부(52)는 원판형상을 갖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안내벽부(51)의 내부의 소켓 단자(20)의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벽부(52)는 랜스부(40)측부터 접촉부(30)측을 향하여 잘라일으켜져서 형성된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30)측부터 랜스부(40)측을 향하여 잘라일으켜져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벽부(52)를 접촉부(30)측부터 랜스부(40)측을 향하여 잘라일으켜 형성함으로써, 접촉부(30)에 수지 봉지부(60)가 형성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위치결정벽부(52)의 계지 볼록부(54)는 위치결정벽부(52)의 잘라일으켜진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계지 볼록부(54)와 위치결정벽부(52)의 절잔부(56)가 위치결정벽부(52)의 중심에 대해 지름 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는다.
위치결정벽부(52)는 단자 본체(21)의 일부를 잘라일으켜 형성한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가능하면 안내벽부(51)의 일부를 잘라일으켜 형성하여도 좋고, 단자 본체(21) 및 안내벽부(51)의 일부를 잘라일으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용 단자의 한 예의 소켓 단자(20) 및 이 소켓 단자(20)를 구비한 소켓 커넥터(1)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접촉부(30)를 제외하고, 도 12에 도시하는 플러그 단자(120) 및 이 플러그 단자(120)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플러그 단자(120)는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개략 원통형상의 접촉부(130)를 제외하고, 소켓 단자(20)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최후로, 본 개시의 여러가지의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예로서, 참조 부호도 첨부하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커넥터용 단자(20)는,
수용부(11)가 마련된 절연성의 하우징(10)을 갖는 커넥터(1)의 상기 수용부(11)에 수용 가능하면서 전선(2)을 접속 가능한 커넥터용 단자(20)에 있어서,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단자 본체(21)와,
상기 단자 본체(21)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211)에 마련된 접촉부(30)와,
상기 단자 본체(21)의 그 연재 방향의 타단부(212)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11)에서의 상기 커넥터용 단자(20)의 상기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랜스부(40)와,
상기 접촉부(30)와 상기 랜스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2)의 도체부(5)를 상기 랜스부(40)측에서 접속 가능한 접속부(22)와,
상기 접촉부(30)와 상기 접속부(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랜스부(40)로부터 상기 접촉부(30)를 향하여 연재되는 수지 봉지부(60)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지 위치결정부(50)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위치결정부(50)가 상기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관통구멍(53)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51)와,
상기 단자 본체(21)의 일부 및 안내벽부(51)의 일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잘라일으켜 형성되고, 상기 안내벽부(51)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구멍(53)을 상기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52)를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벽부(52)가 상기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벽부(52)로부터 상기 수지 위치결정부(5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54)를 가지며,
상기 안내벽부(51)가 상기 계지 볼록부(54)를 계지하여 상기 안내벽부(51)에 대한 상기 위치결정벽부(52)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55)를 갖는다.
제1 양태의 커넥터용 단자(20)에 의하면 수지 위치결정부(50)가 중심선(CL1)에 따라 늘어나는 관통구멍(53)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51)와, 단자 본체(21)의 일부를 잘라일으켜 형성되고 안내벽부(51)의 내부에서 관통구멍(53)을 중심선(CL1)의 연재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5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벽부(52)가 위치결정벽부(52)로부터 수지 위치결정부(5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54)를 가지며, 안내벽부(51)가 계지 볼록부(54)를 계지하여 안내벽부(51)에 대한 위치결정벽부(52)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54)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커버부(3)를 수지로 몰드 성형할 때에 수지 위치결정부(50)의 내부에 랜스부(40)측부터 수지가 유입하였다고 하여도, 위치결정벽부(52)에 의해 접촉부(30)에 수지 봉지부(60)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에 의한 커넥터용 단자(20)의 접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커넥터용 단자(20)는, 상기 위치결정벽부(52)가 상기 접촉부(30)측부터 상기 랜스부(40)측을 향하여 잘라일으켜져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양태의 커넥터용 단자(20)에 의하면 접촉부(30)에 수지 봉지부(60)가 형성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커넥터용 단자(20)는, 상기 안내벽부(51)가 원주형상의 상기 관통구멍(53)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벽부(52)가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계지 볼록부(54)와 상기 위치결정벽부(52)가 잘라남겨진 부분(56)이, 상기 위치결정벽부(52)의 원판형상의 중심에 대해 지름 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3 양태의 커넥터용 단자(20)에 의하면 안내벽부(51)에 대한 위치결정벽부(52)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커넥터용 단자(20)와,
상기 커넥터용 단자(20)가 수용된 상기 수용부(11)를 갖는 상기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제4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용 단자(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성능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 중의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를 적절히 조합시킴에 의해 각각이 갖는 효과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례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례와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 예의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속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커넥터용 단자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공작 기계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공작 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
1 : 커넥터 2 : 전선
3 : 커버부 4 : 고정부
5 : 도체부 6 : 절연부
10 : 하우징 101 : 외단부
102 : 내단부 103 : 개구부
11 : 수용부 12 : 노치부(계지부의 한 예)
13 : 내주면 20 : 소켓 단자(커넥터용 단자의 한 예)
21 : 단자 본체 211 : 제1 단부(일단부)
212 : 제2 단부(타단부) 213 : 플러그 단자 수용부
22 : 접속부 23 : 전선 협지부
24 : 전선 가이드면 26 : 단자 가이드면
30, 130 : : 접촉부 31 : 위치 규제부
33 : 탄성 접촉부 34 : 환형상 밴드부
36 : 선단부 37 : 기단부
38 : 굴곡부 40 : 랜스부
41 : 제1 위치결정용 랜스 411 : 굴곡부
42 : 제2 위치결정용 랜스 421 : 굴곡부
43 : 제3 위치결정용 랜스 431 : 굴곡부
50 : 수지 위치결정부 51 : 안내벽부
52 : 위치결정벽부 53 : 관통구멍
54 : 계지 볼록부 55 : 계지 오목부
56 : 절잔부 57 : 관통구멍
60 : 수지 봉지부 120 : 플러그 단자
201 : 제1 부재 202 : 제2 부재
203 : 제3 부재 204, 205 : 외측면
551, 552 : 오목부 CL1∼CL3 : 중심선
W : 폭 L1∼L5, L11, L12, L21, L22, L31, L32 : 가상직선
D1, D2 : 두께 방향 θ1∼θ3 : 각도
CP : 중심점

Claims (4)

  1. 수용부가 마련된 절연성의 하우징을 갖는 커넥터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 가능하면서 전선을 접속 가능한 커넥터용 단자에 있어서,
    중심선에 따라 늘어나는 단자 본체와,
    상기 단자 본체의 그 늘어나는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된 접촉부와,
    상기 단자 본체의 그 늘어나는 방향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에서의 상기 커넥터용 단자의 상기 중심선의 늘어나는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랜스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랜스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도체부를 상기 랜스부 측에서 접속 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랜스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늘어나는 수지 봉지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지 위치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위치결정부가 상기 중심선에 따라 늘어나는 관통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안내벽부와,
    상기 단자 본체의 일부 및 안내벽부의 일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잘라일으켜 형성되고, 상기 안내벽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구멍을 상기 중심선의 늘어나는 방향에서 막도록 구성된 위치결정벽부를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벽부가 상기 중심선의 늘어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벽부로부터 상기 수지 위치결정부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벽부가 상기 계지 볼록부를 계지하여 상기 안내벽부에 대한 상기 위치결정벽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계지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벽부가 상기 접촉부측부터 상기 랜스부측을 향하여 잘라일으켜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벽부가 원주형상의 상기 관통구멍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벽부가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계지 볼록부와 상기 위치결정벽부의 잘라남겨진 부분이, 상기 위치결정벽부의 원판형상의 중심에 대해 지름 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단자.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커넥터용 단자와,
    상기 커넥터용 단자가 수용된 상기 수용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07004970A 2017-11-22 2018-11-05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KR102353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5149A JP6544412B2 (ja) 2017-11-22 2017-11-22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JP-P-2017-225149 2017-11-22
PCT/JP2018/040961 WO2019102827A1 (ja) 2017-11-22 2018-11-05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329A KR20200024329A (ko) 2020-03-06
KR102353499B1 true KR102353499B1 (ko) 2022-01-20

Family

ID=6663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970A KR102353499B1 (ko) 2017-11-22 2018-11-05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0180B2 (ko)
JP (1) JP6544412B2 (ko)
KR (1) KR102353499B1 (ko)
CN (1) CN111033905B (ko)
DE (1) DE112018005968T5 (ko)
TW (1) TWI688173B (ko)
WO (1) WO2019102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03451S (ko) * 2017-11-22 2018-05-14
JP2019134996A (ja) * 2019-05-23 2019-08-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DE102020111425A1 (de) * 2020-04-27 2021-10-28 Neutrik Ag Steckverbinder
JP7435329B2 (ja) * 2020-07-14 2024-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1688083S (ko) * 2020-11-25 2021-06-21
JP1688144S (ko) * 2020-11-25 2021-06-21
JP1684710S (ko) * 2020-11-25 2021-05-10
CN115051178A (zh) * 2021-03-08 2022-09-13 贝尔威勒电子(昆山)有限公司 电流传输组件与电流传输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453A (ja) * 2005-10-12 2007-04-26 D D K Ltd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2013211207A (ja) 2012-03-30 2013-10-10 Yazaki Corp 接続端子
KR101446535B1 (ko) 2013-04-19 2014-11-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9337A (en) 1952-04-04 1954-09-14 Burtt Shaped metal contact
US4031614A (en) * 1975-11-19 1977-06-28 Gte Sylvania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two-piece electrical contact
JPS5758281U (ko) * 1980-09-22 1982-04-06
JPS58195981A (ja) 1982-05-12 1983-11-15 Hitachi Ltd オフライン印刷制御装置
JPS58195981U (ja) * 1982-06-23 1983-12-26 大宏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DE3410461A1 (de) * 1984-03-22 1985-09-26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Steckerbuchse mit isolierstoffummantelung sowie vorrichtung fuer ihre herstellung
US5437567A (en) * 1993-08-09 1995-08-01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H0722479U (ja) * 1993-09-30 1995-04-21 株式会社中立 丸ピン形コネクタ
JP3544730B2 (ja) * 1994-12-29 2004-07-21 菱星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US5681190A (en) * 1995-05-23 1997-10-28 Cardell Corporation Torsional blade receptacle
US5667413A (en) * 1995-11-13 1997-09-16 Alcoa Fujikura Ltd. Socket-type electrical connector
FR2741204A1 (fr) 1995-11-14 1997-05-16 Amp France Assemblage de connecteur electrique
US5658174A (en) * 1995-12-01 1997-08-19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3315870B2 (ja) * 1996-08-08 2002-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US6217379B1 (en) * 1997-09-09 2001-04-17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Plug-in contact
JP3779848B2 (ja) * 1998-11-12 2006-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JP2001319702A (ja) * 2000-05-08 2001-11-16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ンタクトを電線に圧着する方法
JP3561464B2 (ja) * 2000-08-25 2004-09-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雄型コンタクト
JP2003297490A (ja) * 2002-04-08 2003-10-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482823B2 (ja) * 2005-12-26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A2636019A1 (en) * 2006-01-31 2007-08-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act with improved retention member
JP4743109B2 (ja) * 2006-12-18 2011-08-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4499114B2 (ja) * 2007-01-25 2010-07-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FR2923090A1 (fr) * 2007-10-31 2009-05-01 C & K Components Soc Par Actio Connecteur electrique miniature a elements de contact extractibles et outil associe de deverrouillage et d'extraction des contacts
JP5038875B2 (ja) * 2007-12-18 2012-10-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防水機能をもつコネクタ付電線束
JP5472679B2 (ja) * 2009-04-07 2014-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48575B2 (ja) * 2009-07-24 2012-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組付方法
JP2011175899A (ja) * 2010-02-25 2011-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KR20130014504A (ko) * 2010-03-03 2013-02-07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루 덴시 전자기기의 접속 기구 및 접속 장치
JP5359975B2 (ja) * 2010-04-07 2013-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WO2013012887A2 (en) 2011-07-19 2013-01-24 Molex Incorporated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same
JP5846981B2 (ja) * 2012-03-19 2016-01-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端子、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5764546B2 (ja) * 2012-11-28 2015-08-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3001074U1 (de) * 2013-02-01 2013-02-20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insbesondere Crimpkontaktvorrichtung
JP6046529B2 (ja) * 2013-03-21 2016-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CN105284010B (zh) * 2013-06-07 2019-06-21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6201940B2 (ja) * 2013-11-13 2017-09-2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6749039B2 (ja) * 2013-11-13 2020-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CN203707415U (zh) * 2014-01-26 2014-07-0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端子
JP2016012422A (ja) * 2014-06-27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07964B2 (ja) * 2014-12-12 2016-10-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6197541A (ja) * 2015-04-03 2016-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00684B1 (ja) * 2015-04-28 2016-04-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3096409B1 (en) * 2015-05-22 2020-02-19 Yazaki Europe Ltd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JP2017103103A (ja) * 2015-12-02 2017-06-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端子の製造方法
JP6610949B2 (ja) * 2016-02-11 2019-11-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DE202016102938U1 (de) * 2016-06-01 2017-09-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JP6769354B2 (ja) *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DE102018106646A1 (de) * 2017-03-22 2018-09-27 Hirschmann Automotive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JP6979314B2 (ja) * 2017-09-20 2021-1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26884B2 (ja) * 2017-09-21 2021-08-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電線
JP6835789B2 (ja) * 2018-10-24 2021-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及び、端子に電線を接続する方法
JP6506877B1 (ja) * 2018-10-29 2019-04-24 株式会社デルタプラス 圧着接続端子
JP2020087844A (ja) * 2018-11-30 2020-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453A (ja) * 2005-10-12 2007-04-26 D D K Ltd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2013211207A (ja) 2012-03-30 2013-10-10 Yazaki Corp 接続端子
KR101446535B1 (ko) 2013-04-19 2014-11-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3905B (zh) 2021-05-07
TWI688173B (zh) 2020-03-11
DE112018005968T5 (de) 2020-07-30
KR20200024329A (ko) 2020-03-06
CN111033905A (zh) 2020-04-17
US20200280148A1 (en) 2020-09-03
TW201926823A (zh) 2019-07-01
JP2019096482A (ja) 2019-06-20
WO2019102827A1 (ja) 2019-05-31
US11050180B2 (en) 2021-06-29
JP6544412B2 (ja)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499B1 (ko)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JP6074289B2 (ja)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9819112B2 (en) Retaining block and modular plug insert
US11942715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US10622743B2 (en)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CN111247697B (zh) 扁平电连接器
US11870200B2 (en) Terminal block and terminal block set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KR102281965B1 (ko)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WO2019102826A1 (ja) ソケット端子およびソケットコネクタ
EP3940736B1 (en) Terminal block
KR100922149B1 (ko)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JP6559973B2 (ja) コネクタ
JP2024077034A (ja) カプラ装置
JP5532254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