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585A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585A
KR20210073585A KR1020217015541A KR20217015541A KR20210073585A KR 20210073585 A KR20210073585 A KR 20210073585A KR 1020217015541 A KR1020217015541 A KR 1020217015541A KR 20217015541 A KR20217015541 A KR 20217015541A KR 20210073585 A KR20210073585 A KR 20210073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wall portion
pair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554B1 (ko
Inventor
히로토시 이시이
다다히코 오가와
아이키 고라
다카시 사카구치
유키 구니야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75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blocks, e.g. by means of busbar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를 갖는 하우징(20)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단자대를 제1 방향(X)을 따라 연결한 단자대 세트가, 복수의 단자대로서, 제1 단자대(11)와, 제1 단자대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를 갖고,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자대
본 개시는, 복수 연결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단자대 유닛을 연결한 단자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27836호 공보
상기 단자대에서는, 인접하는 단자대 유닛은, 한쪽 단자대 유닛의 연결 금속 부재를 다른 쪽 단자대 유닛의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단자대 유닛 간의 연결 이외에 복수의 단자대 유닛의 연결을 보유 지지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대 유닛 간의 연결이 헐거워지면, 복수의 단자대 유닛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인접하는 단자대 간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례의 단자대 세트는,
제1 방향의 일방측에 마련된 제1 벽부와, 상기 제1 방향의 타방측에 마련된 제2 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단자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한 단자대 세트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로서, 제1 단자대와, 상기 제1 단자대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벽부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대 세트에 의하면, 제1 단자대의 하우징의 제1 벽부와, 제2 단자대의 하우징의 제2 벽부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대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연결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단자대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 세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단자대 세트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돌출부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단자대 세트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 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연결 수용부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연결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2의 단자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단자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개시의 일례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 세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방향 X를 따라 연결된 복수의 단자대를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 세트(1)는, 복수의 단자대로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단자대(11), 제2 단자대(12) 및 제3 단자대(13)를 갖고 있다.
또한, 이하, 제1 방향 X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 Y라하고,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Y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 Z라 한다.
각 단자대(11, 12, 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30)를 갖고 있다. 각 단자대(11, 12, 13)는, 일례로서, 대략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이다. 또한, 도 2에는, 제1 단자대(11)만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제1 방향 X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제1 벽부(21)와, 제1 방향 X의 타방측에 마련되어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제2 벽부(22)를 갖고 있다.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의 각각은, 제1 방향 X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고, 제1 방향 X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벽부(21)는, 제1 벽부(21)로부터 제1 방향 X이며 또한 제2 벽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23)는, 대략 원기둥형의 돌출 부재(231)로 구성되며, 제3 방향 Z에서 볼 때, 후술하는 입력측 전원 단자(31)를 통과하여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1(도 1에 도시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3)는, 제1 벽부(21)의 외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즉, 도 2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벽부(22)는, 입력측 전원 단자(31)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다. 돌출부(23) 및 제1 관통 구멍(24)의 각각은,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2(도 2에 도시함)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향 Y(즉,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복수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0)의 제2 방향 Y의 양단의 영역에 각각 8개의 단자(30)가,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Y로 연장되는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30)에는,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의 각각은,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따라 배치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2) 및 출력측 전원 라인(3)의 각각(모두 도 1에 도시함)을 각각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의 각각은, 하우징(20)의 제2 방향 Y의 상측의 영역의 제2 벽부(22)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3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수용부(도시생략)에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각 수용부는, 제3 방향 Z로 개구하는 2개의 개구부(25, 26)를 통해 하우징(20)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한쪽의 개구부(25)는, 전선의 도체부(도시생략)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개구부(26)는,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제1 단자대(11)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대(11)의 돌출부(23)는, 제2 단자대(12)의 제1 관통 구멍(24)에 삽입되고, 제3 방향 Z(즉, 도 1의 지면 관통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입력측 전원 단자(31)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에 접속된 개구부(25)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겹친다. 그 결과, 돌출부(23)는, 제2 단자대(1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단자대(12)의 돌출부(23)는, 제3 단자대(13)의 제1 관통 구멍(24)에 삽입되어, 제2 단자대(1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제1 관통 구멍(24)은,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에 마련되어 돌출부(23)와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돌기(27)와, 제2 벽부(22)에 마련되어 제1 관통 구멍(24)과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관통 구멍(28)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27)는, 제1 벽부(21)의 길이 방향의 타단(즉, 도 2의 하단)에 마련되고, 제2 관통 구멍(28)은, 제2 벽부(22)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다. 돌기(27) 및 제2 관통 구멍(28)의 각각은,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3(도 2에 도시함)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대(11)의 돌기(27)는, 제2 단자대(12)의 제2 관통 구멍(28)에 압입되고, 이에 의해 제1 단자대(11)와 제2 단자대(1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대(12)의 돌기(27)는, 제3 단자대(13)의 제2 관통 구멍(28)에 압입되고, 이에 의해, 제1 단자대(11)와 제2 단자대(1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3)는, 제1 관통 구멍(24)에 압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돌출부(23)와 돌기(27)로 한 쌍의 압입 돌기를 구성하고, 제1 관통 구멍(24)과 제2 관통 구멍(28)으로 한 쌍의 압입 구멍을 구성하고 있다. 즉, 돌출부(23)가, 압입 돌기를 겸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21)의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즉, 제1 벽부(21)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개구부(25, 26)가 개구되어 있는 측의 에지)로부터 제3 방향 Z를 따라 연장되는 지그용 홈(211)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지그용 홈(211)이, 제2 방향 Y에 있어서 돌출부(23)와 돌기(27) 사이에서 또한 돌출부(23) 및 돌기(27)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지그용 홈(2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자대에 대향하는 저면(212)을 갖고,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지그용 홈(211)의 저면(212)은,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다른 쪽 에지를 향함에 따라 인접하는 단자대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단자대(11, 12, 13)에 의하면, 하우징(20)이, 제1 벽부(21)로부터 제1 방향 X이며 또한 제2 벽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23)와, 제2 벽부(22)의 입력측 전원 라인(2)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여 방해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 제2 단자대(12) 및 제3 단자대(13)를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면, 제1 단자대(11)의 돌출부(23)에 의해 제2 단자대(1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접속을 방해할 수 있어, 제2 단자대(12)의 돌출부(23)에 의해 제3 단자대(13)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접속을 방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상기 단자대(11, 12, 13)에 의해,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이, 제1 벽부(21)의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를 갖고,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이, 제2 벽부(22)에 마련되어 제2 벽부(22)를 제1 방향 X로 관통하는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을 갖고,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의 각각은,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의 각각에 압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 중 어느 한쪽이, 돌출부(23)를 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사이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이, 제1 벽부(21)의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Y에 교차하는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제3 방향 Z를 따라 연장되어, 긴 지그를 삽입 가능한 지그용 홈(211)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단자대 세트(1)의 제1 단자대(11)의 각 지그용 홈(211)에 긴 지그를 삽입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와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지그용 홈(211)이, 제2 단자대(12)에 대향하고 또한 제3 방향 Z의 한쪽 에지로부터 다른 쪽 에지를 향함에 따라 제2 단자대(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는 저면(212)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긴 지그를 사용하여,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와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 사이)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 세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를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 세트(1)는, 4개의 연결 부재(40)를 갖고 있다. 4개의 연결 부재(40) 중 2개의 연결 부재(40)는,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제2 방향 Y의 양단에서 각각 끼움 지지하고 있다. 또한, 4개의 연결 부재(40) 중 나머지 2개의 연결 부재(40)는,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3 단자대(13)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제2 방향 Y의 양단에서 각각 끼움 지지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부재(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형의 암부(41)와, 한 쌍의 암부(41)를 접속하는 접속부(42)를 갖고 있다. 각 암부(41)는,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부(4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 돌기(43)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연결 돌기(43)는, 대략 반원기둥형이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연결 돌기(43)의 한쪽은, 후술하는 제1 단자대(11) 및 제2 단자대(12)의 제1 수용 구멍(213)에 수용되고, 각 연결 돌기(43)의 다른 쪽은, 후술하는 제2 단자대(12) 및 제3 단자대(13)의 제2 수용 구멍(214)에 수용되어 있다. 각연결 돌기(43)가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에 수용됨으로써, 연결 부재(40)의 제2 방향 Y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각 단자대(11, 12, 13)의 하우징(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의 각 연결 돌기(43)를 각각 수용 가능한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과, 연결 부재(40)의 각 연결 돌기(43)를 각 수용 구멍(213, 214)으로 안내하는 제1 수용 홈(215) 및 제2 수용 홈(216)을 갖고 있다.
제1 수용 홈(215)은, 제1 벽부(21)의 제2 벽부(22)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1 벽부(21)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용 홈(215)은, 제1 벽부(21)의 제2 방향 Y의 제1 수용 구멍(213)에 가까운 쪽의 에지에 마련된 절결(217)로부터 제2 방향 Y를 따라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수용 홈(216)은, 제2 벽부(22)의 제1 벽부(21)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2 벽부(22)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 홈(216)은, 제2 벽부(22)의 제2 방향 Y의 제2 수용 구멍(214)에 가까운 쪽의 에지에 마련된 절결(218)로부터 제2 방향 Y를 따라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수용 홈(215)에는,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한쪽이 수용되고, 제2 수용 홈(216)에는,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다른 쪽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40)의 제3 방향 Z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대(11, 12, 13)의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를 수용하는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자대(11, 12, 13)의 하우징(20)은,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연결 수용부(50)는, 제3 방향 Z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개구부(25, 26)가 개구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제1 단자대(11)의 연결 수용부(50)에 연결 부재(40)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수용부(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의 각각을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제1 오목부(51)와, 한 쌍의 제1 오목부(51)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를 수용 가능한 제2 오목부(52)를 갖고 있다.
각 제1 오목부(51)는,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제1 방향 X 및 제3 방향 Z로 연장되는 대략 L자형의 개구부(511)를 갖고 있다. 각 제1 오목부(51)의 개구부(511)에는, 제1 벽부(21)의 지그용 홈(211)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51)의 제2 방향 Y에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제1 방향 X로 레일형으로 연장되는 홈(53)이 마련되어 있다. 각 홈(53)은, 대략 반원형을 갖고, 연결 부재(40)의 각 암부(41)의 연결 돌기(43)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52)는,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를 수용하는 오목부 본체(521)와,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한 쌍의 제1 오목부(51)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즉, 제2 방향 Y)으로 연장되는 경사면(522)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오목부(52)는, 오목부 본체(521)의 제2 방향 Y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2개의 경사면(522)을 갖고 있다.
각 경사면(522)은,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오목부 본체(521)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즉 도 6 및 도 7에 있어서의 제3 방향 Z의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각 경사면(522)에 의해,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와 오목부 본체(521) 사이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연결 수용부(50)에 수용된 연결 부재(40)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연결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40)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형 암부(41)와, 한 쌍의 암부(41)를 접속하는 접속부(42)를 갖고 있다. 각 암부(41)가,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부(4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43)를 갖고, 제1 단자대(11)의 제1 벽부(21) 및 제2 단자대(12)의 제2 벽부(22)의 각각이, 각 암부(41)의 연결 돌기(43)가 수용된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을 각각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 부재(40)의 이동을 규제하여 연결 부재(40)의 의도치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제1 벽부(21)가, 제2 벽부(22)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1 벽부(21)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한쪽을 수용하는 제1 수용 홈(215)을 갖는다. 제2 단자대(12)의 제2 벽부(22)가, 제1 벽부(21)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제2 벽부(22)의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연결 부재(40)의 한 쌍의 암부(41)의 다른 쪽을 수용하는 제2 수용 홈(216)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 부재(40)의 이동을 규제하여 연결 부재(40)의 의도치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 및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각각이, 연결 부재(40)를 수용하는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연결 부재(40)를 연결 수용부(50)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연결 부재(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용부(50)가, 한 쌍의 암부(41)의 각각을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제1 오목부(51)와, 한 쌍의 제1 오목부(51)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부(42)를 수용 가능한 제2 오목부(52)를 갖고 있다. 제2 오목부(52)가, 접속부(42)를 수용하는 오목부 본체(521)와,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한 쌍의 제1 오목부(51)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오목부 본체(521)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22)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와 오목부 본체(521) 사이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연결 수용부(50)에 수용된 연결 부재(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는, 1개의 대략 원기둥형의 돌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대략 원기둥형의 돌출 부재(231, 232)(즉, 제1 돌출 부재(231) 및 제2 돌출 부재(232))로 구성해도 된다. 그 결과, 돌출부(23)는,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함과 함께,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돌출 부재(232)는, 출력측 전원 단자(32)를 통과하여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4(도 1에 도시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벽부(22)에는, 제1 돌출 부재(231)에 대응하는 대략 원형의 관통 구멍(241)에 추가하여, 제2 돌출 부재(232)에 대응하는 대략 원형의 관통 구멍(242)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각 돌출 부재(231, 232)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여도 되고,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여도 된다. 또한, 각 돌출 부재(231)는, 대략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사각기둥형이어도 되고,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2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 및 출력측 전원 라인(3)의 출력측 전원 단자(32)에 대한 접속의 양쪽을 동시에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3 돌출 부재(233)로 구성해도 된다. 도 9에는, 일례로서,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제3 돌출 부재(233)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3 돌출 부재(233)는, 제2 방향 Y의 양단부가, 각각 가상 직선 L1, L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벽부(22)에는, 제3 돌출 부재(233)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243)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복수 연결한 경우에 전원 단자(31)에 대한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11, 12, 13)를 실현할 수 있다.
즉, 돌출부(23)는, 적어도 입력측 전원 라인(2)의 입력측 전원 단자(31)에 대한 접속을 방해하는 방해 부재로서 기능하면 되며,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의 형상, 크기 및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각 단자대(11, 12, 13)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를 갖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입력측 전원 단자(31) 및 출력측 전원 단자(32)를 구비하고 있으면,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대(11, 12, 13)는,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비접속 상태여도 상관없다.
연결 부재(40)는, C자형을 갖고, 단자대(예를 들어, 제1 단자대(11))의 제1 벽부(21)와, 이 단자대에 인접하는 단자대(예를 들어, 제2 단자대(12))의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유지 가능하면 되며,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수용부(50)는, 연결 부재(40)를 수용할 수 있으면 되며, 단자대 세트(1)의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수용부(50), 수용 구멍(213, 214) 및 수용 홈(215, 216)은, 생략할 수 있다.
돌출부(23)는 압입 돌기를 겸할 필요는 없으며, 별도로 압입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돌출부(23) 및 돌기(27)(즉, 한 쌍의 압입 돌기)와, 관통 구멍(24, 28)(즉, 한 쌍의 압입 구멍)과, 지그용 홈(211)은 생략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제1 방향 X의 일방측에 마련된 제1 벽부(21)와, 상기 제1 방향 X의 타방측에 마련된 제2 벽부(22)를 갖는 하우징(20)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단자대(11, 12, 13)를 제1 방향 X를 따라 연결한 단자대 세트(1)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11, 12, 13)로서, 제1 단자대(11)와, 상기 제1 단자대(11)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12)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제1 벽부(21)와,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한다.
제1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제1 단자대(11)의 하우징(20)의 제1 벽부(21)와, 제2 단자대(12)의 하우징(20)의 제2 벽부(22)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연결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대 세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연결 부재(40)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형 암부(41)와,
상기 한 쌍의 암부(41)를 접속하는 접속부(42)
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암부(41)의 각각이,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42)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43)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제1 벽부(21) 및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제2 벽부(22)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암부(41)의 각각의 상기 연결 돌기(43)가 수용된 제1 수용 구멍(213) 및 제2 수용 구멍(214)을 각각 갖고 있다.
제2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연결 부재(40)의 이동을 규제하여 연결 부재(40)의 의도치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제1 벽부(21)가,
상기 제2 벽부(22)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벽부(21)의 상기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구멍(213)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결 부재(40)의 상기 한 쌍의 암부(41)의 한쪽을 수용하는 제1 수용 홈(215)을 갖고,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제2 벽부(22)가,
상기 제1 벽부(21)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벽부(22)의 상기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구멍(214)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결 부재(40)의 상기 한 쌍의 암부(41)의 다른 쪽을 수용하는 제2 수용 홈(216)을 갖는다.
제3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연결 부재(40)의 이동을 규제하여 연결 부재(40)의 의도치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제1 벽부(21)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제2 벽부(22)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벽부(22)를 상기 제1 방향 X로 관통하는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압입 돌기(23, 27)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압입 구멍(24, 28)의 각각에 압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단자대 세트(1)의 인접하는 단자대(11, 12, 13) 사이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제1 단자대(11)의 상기 하우징(20) 및 상기 제2 단자대(12)의 상기 하우징(20)의 각각이, 상기 연결 부재(40)를 수용하는 연결 수용부(50)를 각각 갖고 있다.
제5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연결 부재(40)를 연결 수용부(50)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연결 부재(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의 단자대 세트(1)는,
상기 연결 부재(40)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형의 한 쌍의 암부(41)와,
상기 한 쌍의 암부를 접속하는 접속부(42)
를 갖고,
상기 연결 수용부(50)가,
상기 한 쌍의 암부(41)의 각각을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제1 오목부(51)와,
상기 한 쌍의 제1 오목부(51)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접속부(42)를 수용 가능한 제2 오목부(52)
를 갖고,
상기 제2 오목부(52)가,
상기 접속부(42)를 수용하는 오목부 본체(521)와,
상기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오목부(51)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 본체(5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오목부 본체(521)의 저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22)
을 갖고 있다.
제6 양태의 단자대 세트(1)에 의하면, 예를 들어 긴 지그(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연결 부재(40)의 접속부(42)와 오목부 본체(521) 사이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연결 수용부(50)에 수용된 연결 부재(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는, 예를 들어 제어반의 온도 조절기에 사용할 수 있다.
1: 단자대 세트
2: 입력측 전원 라인
3: 출력측 전원 라인
11, 12, 13: 단자대
20: 하우징
21: 제1 벽부
211: 지그용 홈
212: 저면
213, 214: 수용 구멍
215, 216: 수용 홈
217, 218: 절결
22: 제2 벽부
23: 돌출부
231, 232, 233: 돌출 부재
24, 241, 242, 243: 관통 구멍
25, 26: 개구부
27: 돌기
28: 관통 구멍
30: 단자
31: 입력측 전원 단자
32: 출력측 전원 단자
40: 연결 부재
41: 암부
42: 접속부
43: 연결 돌기
50: 연결 수용부
51: 제1 오목부
511: 개구부
52: 제2 오목부
521: 오목부 본체
522: 경사면
X: 제1 방향
Y: 제2 방향
Z: 제3 방향
L1 내지 L4: 가상 직선

Claims (6)

  1. 제1 방향의 일방측에 마련된 제1 벽부와, 상기 제1 방향의 타방측에 마련된 제2 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단자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한 단자대 세트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로서, 제1 단자대와, 상기 제1 단자대에 인접하는 제2 단자대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벽부를 끼움 지지하여 연결 보유 지지하는 C자형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단자대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판면끼리가 대향하여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형 암부와,
    상기 한 쌍의 암부를 접속하는 접속부
    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암부의 각각이,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암부의 각각의 상기 연결 돌기가 수용된 제1 수용 구멍 및 제2 수용 구멍을 각각 갖고 있는, 단자대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제1 벽부가,
    상기 제2 벽부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구멍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암부의 한쪽을 수용하는 제1 수용 홈을 갖고,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제2 벽부가,
    상기 제1 벽부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구멍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암부의 다른 쪽을 수용하는 제2 수용 홈을 갖는, 단자대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벽부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입 돌기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벽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벽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압입 구멍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압입 돌기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압입 구멍의 각각에 압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단자대 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2 단자대의 상기 하우징의 각각이, 상기 연결 부재를 수용하는 연결 수용부를 각각 갖고 있는, 단자대 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형의 한 쌍의 암부와,
    상기 한 쌍의 암부를 접속하는 접속부
    를 갖고,
    상기 연결 수용부가,
    상기 한 쌍의 암부의 각각을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제1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오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부를 수용 가능한 제2 오목부
    를 갖고,
    상기 제2 오목부가,
    상기 접속부를 수용하는 오목부 본체와,
    상기 오목부 본체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오목부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 본체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오목부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을 갖고 있는, 단자대 세트.
KR1020217015541A 2018-12-14 2019-12-06 단자대 KR102572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4669 2018-12-14
JP2018234669A JP7001047B2 (ja) 2018-12-14 2018-12-14 端子台
PCT/JP2019/047838 WO2020121969A1 (ja) 2018-12-14 2019-12-06 端子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585A true KR20210073585A (ko) 2021-06-18
KR102572554B1 KR102572554B1 (ko) 2023-08-30

Family

ID=7107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541A KR102572554B1 (ko) 2018-12-14 2019-12-06 단자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21135A1 (ko)
EP (1) EP3876354A4 (ko)
JP (1) JP7001047B2 (ko)
KR (1) KR102572554B1 (ko)
CN (1) CN113169467B (ko)
WO (1) WO2020121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2309B2 (ja) * 2018-12-14 2021-11-05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および端子台セッ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5025A (ja) * 1987-10-02 1989-05-08 Merlin Gerin 機械的組立装置
JPH07261875A (ja) * 1994-01-18 1995-10-13 Wago Verwaltungs Gmbh データバスのための入/出力モジユール
JP2000231950A (ja) * 1999-02-12 2000-08-22 Nitto Electric Works Ltd 端子台
US20090035997A1 (en) * 2007-07-31 2009-02-05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CN103140987A (zh) * 2010-10-01 2013-06-05 矢崎总业株式会社 端子连接结构
JP2017027836A (ja) 2015-07-24 2017-02-02 東朋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センサー用端子台および端子台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922A (en) * 1997-03-24 1998-11-24 Ortronics, Inc. 110 wiring block interlock and interlocked blocks utilizing such
JP2002305828A (ja) * 2001-04-03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DE102007033942B4 (de) * 2007-07-19 2009-08-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Klemme
DE102014101528A1 (de) * 2014-02-07 2015-08-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Wabenbaustein und Rangierwab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5025A (ja) * 1987-10-02 1989-05-08 Merlin Gerin 機械的組立装置
JPH07261875A (ja) * 1994-01-18 1995-10-13 Wago Verwaltungs Gmbh データバスのための入/出力モジユール
JP2000231950A (ja) * 1999-02-12 2000-08-22 Nitto Electric Works Ltd 端子台
US20090035997A1 (en) * 2007-07-31 2009-02-05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CN103140987A (zh) * 2010-10-01 2013-06-05 矢崎总业株式会社 端子连接结构
JP2017027836A (ja) 2015-07-24 2017-02-02 東朋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センサー用端子台および端子台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6354A4 (en) 2022-08-03
EP3876354A1 (en) 2021-09-08
WO2020121969A1 (ja) 2020-06-18
JP2020095915A (ja) 2020-06-18
CN113169467B (zh) 2023-04-21
KR102572554B1 (ko) 2023-08-30
US20220021135A1 (en) 2022-01-20
JP7001047B2 (ja) 2022-01-19
CN113169467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2831A (zh) 能够以优良空间效率实现电路板之间连接的连接器
JP2014160679A (ja) バッテリ接続具
CN109936013A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2019160642A (ja) ソケット
JP6078410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子部品
KR102572554B1 (ko) 단자대
KR102629371B1 (ko)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KR20180022480A (ko) 배터리모듈용 연결장치
JP5946023B2 (ja) 電気回路装置
CN101454944A (zh) 带有端子盒的电路接线端子
KR102572639B1 (ko) 단자대
US20190341716A1 (en) Joint connector
JP7006575B2 (ja)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端子台
KR20230117507A (ko) 소켓
JP2020092576A (ja) 電気接続箱
JP2020092577A (ja) 電気接続箱
JP2015176791A (ja) 端子台構造
KR19990036177U (ko) 전자기기의 멀티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