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639B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39B1
KR102572639B1 KR1020217026485A KR20217026485A KR102572639B1 KR 102572639 B1 KR102572639 B1 KR 102572639B1 KR 1020217026485 A KR1020217026485 A KR 1020217026485A KR 20217026485 A KR20217026485 A KR 20217026485A KR 102572639 B1 KR102572639 B1 KR 102572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using
connection surface
holding member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520A (ko
Inventor
신야 츠지
겐이치로 마사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9/2633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단자대가,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이, 접속면에 개구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을 갖고, 설치 홈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갖는 설치 홈을 갖고 있다. 제1 홈부는, 접속면의 근처에 배치된 제1 협폭부와, 제1 협폭부보다도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광폭부와, 제1 협폭부와 광폭부의 경계에 마련되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를 갖고 있다. 제2 홈부는, 보유 지지 부재의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자대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릴레이 소켓이 개시되어 있다. 이 릴레이 소켓에서는, 그 상면에 릴레이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속된 릴레이는, 릴레이 소켓의 측면에 그 일단이 설치된 판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릴레이 소켓의 상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접속 상태가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23897호 공보
근년의 릴레이 소켓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보유 지지 부재의 설치 위치가 제한되어, 릴레이 소켓의 측면에 보유 지지 부재의 일단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하우징의 접속면에 보유 지지 부재를 설치 가능 또한 떼어내기 가능한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례의 단자대는,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그 연장 방향의 제1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본체부의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본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네일부를 갖고, 상기 전자 계전기를 상기 접속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접속면에 설치 가능한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속면에 개구되고 또한 상기 접속면에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을 갖고,
상기 설치 홈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암부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속된 상기 전자 계전기를 상기 접속면과 함께 끼움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2 단부를 각각 수용 가능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갖고,
상기 제1 홈부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의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제1 협폭부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협폭부보다도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한 광폭부와,
상기 제1 협폭부와 상기 광폭부의 경계에 마련되며, 상기 광폭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네일부의 제1 단부측의 선단이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이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으로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를 갖고,
상기 제2 홈부가,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홈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제2 홈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차부에 의한 상기 발거 방향으로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규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대에 의하면, 하우징이, 접속면에 개구되고 또한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을 갖고 있다. 설치 홈은, 제3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갖고 있다. 제1 홈부 및 제2 홈부의 각각은, 본체부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암부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속된 전자 계전기를 접속면과 함께 끼움 가능한 상태에서, 본체부의 제2 단부를 각각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홈부는, 접속면의 근처에 배치되어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제1 협폭부와, 제1 협폭부보다도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보유 지지 부재의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한 광폭부와, 제1 협폭부와 광폭부의 경계에 마련되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홈부는,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고, 제1 홈부에 수용되어 있는 보유 지지 부재를 제2 홈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차부에 의한 이동 규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접속면에 보유 지지 부재를 설치 가능 또한 떼어내기 가능한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자대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단자대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자대의 확대 상면도.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개시의 일례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 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일례로서,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이며, 그 내부에 복수의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고 있다.
하우징(10)의 높이 방향 Z에 교차하는 한 쌍의 대략 직사각 형상의 면의 한쪽(즉, 도 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상면(101))에는, 접속면(11)과, 복수의 개구(12)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면(11)은, 하우징(10)의 상면(101)에 있어서의 긴 쪽 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개구(12)는, 하우징(10)의 상면의 긴 쪽 방향 X에 있어서의 접속면(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개구(12)를 통해, 외부 배선을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의 각 접속 단자와 외부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높이 방향 Z에 교차하는 한 쌍의 대략 직사각 형상의 면(1)의 다른 쪽(즉, 도 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저면(102))은, 예를 들어 독일공업규격(DIN)에 규격화된 DIN 레일을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속면(11)에는, 복수의 단자 구멍(13)과, 설치 홈(20)이 마련되어 있다. 각 단자 구멍(13)은, 전자 계전기(100)(도 2 참조)의 단자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단자 구멍(13)을 통해, 전자 계전기(100)의 단자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의 각 접속 단자와 전자 계전기(100)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설치 홈(20)은, 하우징(10)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300)(도 2 참조)를 접속면(11)에 설치 가능 또한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유 지지 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유 지지 부재(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의 그 연장 방향의 제1 단부(311)에 마련된 암부(320)와, 본체부(310)의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311)의 반대측의 제2 단부(312)에 마련된 네일부(330)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에는, 판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압입 돌기(3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압입 돌기(313)에 의해,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가, 후술하는 설치 홈(20)의 제1 홈부(21)에 압입에 의해 수용된다.
네일부(3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의 판면에 마련되며, 제2 단부(312)로부터 제1 단부(311)를 향함에 따라서 본체부(3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본체부(3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네일부(330)는, 제2 단부(312)로부터 제1 단부(311)를 향함에 따라서 본체부(3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31)와, 경사부(331)의 제1 방향 Z에 있어서의 본체부(310)의 제1 단부(311)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본체부(310)의 제1 단부(311)를 향하여, 본체부(310)의 판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부(332)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홈(20)에 수용된 상태의 보유 지지 부재(300)의 각 구성부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3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면(11)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제1 방향(즉, 하우징(10)의 높이 방향 Z)으로 연장되어 있다.
암부(3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제1 단부(311)에 마련되며, 제1 방향 Z 및 본체부(310)의 판면에 교차하는 제2 방향(즉, 하우징(10)의 상면(101)의 긴 쪽 방향 X)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암부(320)는, 본체부(310)의 제1 단부(311)로부터 제2 단부(312)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1)를 갖고, 이 돌출부(321)로, 접속면(11)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면(11)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는, 제1 방향 Z에 있어서 접속면(11)과 암부(320)의 돌출부(321) 사이에 끼워져, 보유 지지된다.
설치 홈(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면(11)에 개구되고 또한 제1 방향 Z를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설치 홈(20)은, 하우징(10)의 상면(101)의 짧은 쪽 방향 Y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21) 및 제2 홈부(22)를 갖고 있다. 제1 홈부(21) 및 제2 홈부(22)의 각각은, 보유 지지 부재(300)의 긴 쪽 방향의 일단부를 각각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홈부(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향 Z를 따라서 직렬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협폭부(211), 광폭부(212) 및 제2 협폭부(213)를 갖고 있다. 제1 협폭부(211)는, 제1 방향 Z에 있어서 접속면(11)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광폭부(212)는, 제1 방향 Z에 있어서 제1 협폭부(211)보다도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 협폭부(213)는, 제1 방향 Z에 있어서 광폭부(212)보다도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협폭부(211) 및 제2 협폭부(213)의 각각은,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를 수용 가능한 홈폭 W1(즉, 제2 방향 X의 홈 치수)을 갖고 있다. 광폭부(212)는,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를 수용 가능한 홈폭 W2를 갖고 있다.
제1 협폭부(211)와 광폭부(212)의 경계에는, 단차부(2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부(214)는, 광폭부(212)에 수용되어 있는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네일부(330)에 있어서의 본체부(310)의 제1 단부(311)측의 선단(즉, 평판부(332)의 제1 방향 Z의 선단)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방향 Z이며 또한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즉, 도 5의 상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광폭부(212)와 제2 협폭부(213) 사이에는,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제2 방향 X에 있어서의 홈 치수가 작아지도록 경사하는 경사부(2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부(215)에 의해, 네일부(330)를 광폭부(212)로부터 제2 협폭부(213)로 이동시킬 때, 탄성 변형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제2 홈부(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한 홈폭 W3을 갖고 있다. 제1 홈부(21)에 수용되어 있는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차부(214)에 의한 발거 방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 규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폭부(212)의 제1 방향 Z 및 제2 방향 X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제3 방향(즉, 하우징(10)의 상면(101)의 짧은 쪽 방향 Y)에 있어서의 제2 홈부(22)와의 경계에는, 광폭부(212)에 수용된 네일부(330)의 제3 방향 Y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벽부(2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벽부(216)는, 제1 방향 Z에 있어서, 단차부(214)로부터, 광폭부(212) 및 경사부(215)를 통과하여, 제2 협폭부(213)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벽부(216)에 의해, 네일부(330)가 광폭부(212) 및 경사부(215)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로 이동시킬 수 없지만, 네일부(330)가 제2 협폭부(213)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접속면(11)에 보유 지지 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우,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단부(312)측으로부터 설치 홈(20)의 제1 홈부(21)에 삽입하여, 제1 방향 Z이며 또한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때, 네일부(330)가 광폭부(212)에 위치할 때까지, 보유 지지 부재(300)를 이동시킨다. 네일부(330)를 광폭부(212)에 배치함으로써, 단차부(214)에 의해 발거 방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이 규제되고, 벽부(216)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300)의 제3 방향 Y의 이동이 규제된다.
하우징(10)의 접속면(11)에 설치된 보유 지지 부재(300)를 떼어내는 경우, 네일부(330)가 경사부(215)를 통해 제2 협폭부(213)에 위치할 때까지, 보유 지지 부재(300)를 삽입 방향을 따라서 더 이동시킨다. 그리고, 네일부(330)가 제2 협폭부(213)에 도달하면, 벽부(216)에 의한 보유 지지 부재(300)의 제3 방향 Y로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차부(214)에 의한 발거 방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된다.
단자대(1)에 의하면, 하우징(10)이, 접속면(11)에 개구되고 또한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20)을 갖고 있다. 설치 홈(20)은, 제3 방향 Y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21) 및 제2 홈부(22)를 갖고 있다. 제1 홈부(21) 및 제2 홈부(22)의 각각은, 보유 지지 부재(300)의 본체부(310)가 제1 방향 Z로 연장되고, 또한, 암부(320)가 제2 방향 X로 연장되어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를 접속면(11)과 함께 끼움 가능한 상태에서,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를 각각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홈부(21)는, 접속면(11)의 근처에 배치되어 보유 지지 부재(300)의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제1 협폭부(211)와, 제1 협폭부(211)보다도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한 광폭부(212)와, 제1 협폭부(211)와 광폭부(212)의 경계에 마련되어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214)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홈부(22)는,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고, 제1 홈부(21)에 수용되어 있는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차부(214)에 의한 이동 규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10)의 접속면(11)에 보유 지지 부재(300)를 설치 가능 또한 떼어내기 가능한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21)가, 광폭부(212)보다도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300)의 제2 단부(312)를 수용 가능한 제2 협폭부(213)를 더 갖고 있다. 광폭부(212)의 제2 홈부(22)와의 경계에는, 수용된 네일부(330)의 이동을 규제하는 벽부(216)가 마련되고, 네일부(330)를 광폭부(212)로부터 제2 협폭부(213)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홈부(21)에 수용되어 있는 보유 지지 부재(300)를 제2 홈부(22)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10)의 접속면(11)에 보유 지지 부재(300)를 보다 확실하게 설치 가능한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1)에서는, 일례로서, 접속면(11)에, 제2 방향 X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설치 홈(20)이 마련되고, 한 쌍의 설치 홈(20) 사이에 각 단자 구멍(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방향 Z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면(103)의 중심을 통과하여 제2 방향 X로 연장되는 중심선 CL이, 각 설치 홈(20)의 제1 홈부(21)의 제3 방향 Y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각 설치 홈(20)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300)에 의해, 하우징(10)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를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홈부(21)는, 제1 협폭부(211)와 광폭부(212)와 단차부(214)를 갖고 있으면 되고, 제2 협폭부(213) 및 벽부(216)에 대해서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1)에서는, 제1 홈부(21)에 저면을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저면을 마련해도 상관없다.
보유 지지 부재는, 설치 홈(20)에 수용되어, 하우징(10)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를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면 된다. 보유 지지 부재로서, 예를 들어 본체부(310)의 제2 단부(312)에 압입 돌기(313)를 생략한 보유 지지 부재(300)를 사용해도 되고, 암부(320)가 서로 접속된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300)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서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단자대(1)는,
전자 계전기(100)를 접속 가능한 접속면(11)을 갖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본체부(310)와, 상기 본체부(310)의 그 연장 방향의 제1 단부(311)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310)의 판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320)와, 상기 본체부(310)의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부(311)의 반대측의 제2 단부(312)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단부(312)로부터 상기 제1 단부(311)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3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본체부(3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네일부(330)를 갖고, 상기 전자 계전기(100)를 상기 접속면(11)에 접속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300)를 상기 접속면(11)에 설치 가능한 단자대(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접속면(11)에 개구되고 또한 상기 접속면(11)에 교차하는 제1 방향 Z를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20)을 갖고,
상기 설치 홈(20)이,
상기 본체부(310)가 상기 제1 방향 Z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암부(320)가 상기 제1 방향 Z 및 상기 본체부(310)의 판면에 교차하는 제2 방향 X로 연장되어 접속된 상기 전자 계전기(100)를 상기 접속면(11)과 함께 끼움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10)의 상기 제2 단부(312)를 각각 수용 가능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 Z 및 상기 제2 방향 X에 교차하는 제3 방향 Y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21) 및 제2 홈부(22)를 갖고,
상기 제1 홈부(21)가,
상기 제1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11)의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제1 협폭부(211)와,
상기 제1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제1 협폭부(211)보다도 상기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한 광폭부(212)와,
상기 제1 협폭부(211)와 상기 광폭부(212)의 경계에 마련되며, 상기 광폭부(212)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네일부(330)의 제1 단부(311)측의 선단이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 Z이며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으로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214)를 갖고,
상기 제2 홈부(22)가,
상기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홈부(21)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300)를 상기 제2 홈부(22)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차부(214)에 의한 상기 발거 방향으로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300)의 이동 규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하우징(10)의 접속면(11)에 보유 지지 부재(300)를 설치 가능 또한 떼어내기 가능한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제1 홈부(21)가,
상기 제1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212)보다도 상기 접속면(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330)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300)의 상기 제2 단부(312)를 수용 가능한 제2 협폭부(213)를 더 갖고,
상기 광폭부(212)의 상기 제3 방향 Y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홈부(22)와의 경계에는, 수용된 상기 네일부(330)의 상기 제3 방향 Y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벽부(216)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네일부(330)를 상기 광폭부(212)로부터 상기 제2 협폭부(213)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홈부(21)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300)를 상기 제2 홈부(22)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하우징(10)의 접속면(11)에 보유 지지 부재(300)를 보다 확실하게 설치 가능한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제1 방향 Z로 각각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3 방향 Y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측면(103)을 갖고,
상기 제1 방향 Z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측면(103)의 중심을 통과하여 제2 방향 X로 연장되는 중심선 CL이, 상기 제1 홈부(21)의 상기 제3 방향 Y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설치 홈(20)이 배치되어 있다.
제3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보유 지지 부재(300)에 의해, 하우징(10)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를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제2 방향 X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설치 홈(20)을 구비한다.
제4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보유 지지 부재(300)에 의해, 하우징(10)에 접속된 전자 계전기(100)를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단자대(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단자대는, 예를 들어 릴레이 소켓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단자대
10: 하우징
101: 상면
102: 저면
11: 접속면
12: 개구
13: 단자 구멍
20: 설치 홈
21: 제1 홈부
211: 제1 협폭부
212: 광폭부
213: 제2 협폭부
214: 단차부
215: 경사부
216: 벽부
22: 제2 홈부
100: 전자 계전기
300: 보유 지지 부재
310: 본체부
311: 제1 단부
312: 제2 단부
320: 암부
321: 돌출부
330: 네일부
331: 경사부
332: 평판부

Claims (4)

  1.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그 연장 방향의 제1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본체부의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본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네일부를 갖고, 상기 전자 계전기를 상기 접속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접속면에 설치 가능한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속면에 개구되고 또한 상기 접속면에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을 갖고,
    상기 설치 홈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암부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본체부의 판면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속된 상기 전자 계전기를 상기 접속면과 함께 끼움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2 단부를 각각 수용 가능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갖고,
    상기 제1 홈부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의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제1 협폭부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협폭부보다도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한 광폭부와,
    상기 제1 협폭부와 상기 광폭부의 경계에 마련되며, 상기 광폭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네일부의 제1 단부측의 선단이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이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으로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를 갖고,
    상기 제2 홈부가,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홈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제2 홈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차부에 의한 상기 발거 방향으로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규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보다도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단부를 수용 가능한 제2 협폭부를 더 갖고,
    상기 광폭부의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홈부와의 경계에는, 수용된 상기 네일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벽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네일부를 상기 광폭부로부터 상기 제2 협폭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홈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제2 홈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단자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3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측면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측면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이,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제3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설치 홈이 배치되어 있는, 단자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설치 홈을 구비하는, 단자대.
KR1020217026485A 2019-03-15 2020-02-19 단자대 KR102572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8194A JP6962344B2 (ja) 2019-03-15 2019-03-15 端子台
JPJP-P-2019-048194 2019-03-15
PCT/JP2020/006570 WO2020189164A1 (ja) 2019-03-15 2020-02-19 端子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520A KR20210114520A (ko) 2021-09-23
KR102572639B1 true KR102572639B1 (ko) 2023-08-30

Family

ID=7243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485A KR102572639B1 (ko) 2019-03-15 2020-02-19 단자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5760B2 (ko)
EP (1) EP3940736B1 (ko)
JP (1) JP6962344B2 (ko)
KR (1) KR102572639B1 (ko)
CN (1) CN113490992A (ko)
WO (1) WO20201891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285A (ja) 2004-07-21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JP2007323897A (ja) 2006-05-31 2007-12-13 Kasug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9447U (ko) * 1978-06-07 1979-12-19
JPS6090886U (ja) 1983-11-25 1985-06-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機器の固定装置
JPS6088446U (ja) 1983-11-25 1985-06-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機器の固定装置
JP2765053B2 (ja) 1989-05-30 1998-06-11 ぺんてる株式会社 油性黒色インキ
JPH07130439A (ja) * 1993-11-02 1995-05-19 Fuji Electric Co Ltd 電磁継電器のフィンガプロテクタ付ソケット
JP3899989B2 (ja) * 2002-04-12 2007-03-28 オムロン株式会社 着脱用レバー
DE202007005373U1 (de) * 2007-04-12 2008-08-2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Reihenklemmen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285A (ja) 2004-07-21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JP2007323897A (ja) 2006-05-31 2007-12-13 Kasug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49929A (ja) 2020-09-17
KR20210114520A (ko) 2021-09-23
EP3940736A4 (en) 2022-11-30
EP3940736A1 (en) 2022-01-19
EP3940736B1 (en) 2024-01-24
WO2020189164A1 (ja) 2020-09-24
CN113490992A (zh) 2021-10-08
US11955760B2 (en) 2024-04-09
US20220158370A1 (en) 2022-05-19
JP6962344B2 (ja)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6109B1 (ja) コネクタ
US9281594B2 (en) Connector
JP2017069133A (ja) コネクタ
CA3004953C (en) Plug-in contact
CN110277677B (zh) 插座
US7399190B2 (en) Connecting device
JP2019160643A (ja) 接続子およびソケット
JP6078410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子部品
KR102572639B1 (ko) 단자대
KR102572554B1 (ko) 단자대
CN113169468B (zh) 端子座及端子座组
CN110168819B (zh) 接头连接器
US8894425B2 (en)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a single row housing to a terminal element
KR20230117507A (ko) 소켓
JP7002437B2 (ja) コネクタ
EP3879632A1 (en) Terminal block
JP202206020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