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260B1 - 배선덕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선덕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260B1
KR100994260B1 KR1020080110837A KR20080110837A KR100994260B1 KR 100994260 B1 KR100994260 B1 KR 100994260B1 KR 1020080110837 A KR1020080110837 A KR 1020080110837A KR 20080110837 A KR20080110837 A KR 20080110837A KR 100994260 B1 KR100994260 B1 KR 10099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ing duct
duct
wi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998A (ko
Inventor
고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8011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2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2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for pipes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나 덕트형 등기구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선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각 배선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하측 중 어느 한곳에서만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기존 연결구와는 달리, 별도의 걸림편을 통해 연결구 상하측 사방에서 배선덕트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구와 배선덕트 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선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후 배치되는 각 배선덕트 전후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각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양측 상단에는 배선덕트 양측벽의 상측 걸림부에 체결되는 상측걸림편이 구비되고,
연결구 하부 양측면에는 각 배선덕트에 형성된 하측 걸림부에 체결되는 하측걸림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연결구.
배선덕트, 덕트형 등기구, 덕트연결

Description

배선덕트 연결구{Connect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Du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각 배선덕트 간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설치상태에서 연결구의 사방에서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안정적으로 연결구와 배선덕트 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선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각 케이블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동의 배선덕트를 통해 정리되어 외관상 지저분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피복의 훼손 등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 상에 배선덕트가 일체로 구비되어 등기구에 사용되는 전선이나 안정기 등의 관리가 용이한 덕트형 등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덕트들은 대부분 설치환경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설치되는데, 이렇게 배선덕트간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기존 배선덕트 연결구는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354485호 와 같이 전후 위치되는 각 배선덕트 양측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설치홈에 별도의 접속막대를 삽입하되, 접속막대 절반은 앞쪽 배선덕트의 설치홈에 삽입되고, 나머지 절반은 뒤쪽 배선덕트의 설치홈에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로 각 배선덕트와 체결시키는 형태가 제안되어 있다.
이렇게 접속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구는 각 배선덕트와의 체결면적이 해당 연결구의 면적에 한정되므로 연결 상태에서 배선덕트 간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결구를 상하 복수개 설치하여 체결면적을 늘릴 수밖에 없다.
상기 접속막대형태 외에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절반은 앞쪽 배선덕트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나머지 절반은 뒤쪽 배선덕트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형태의 내부 접속형 연결구(300)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300)는 접속막대 형태에 비해 각 배선덕트(100)와의 접촉면이 넓어 상대적으로 각 배선덕트(100) 간 흔들림 현상이 저하될 수는 있지만,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구(300)와 배선덕트(100) 간의 걸림이 연결구(300) 양측 상단에 구비된 상측 걸림편(322)과 배선덕트(100)양측벽 상부에 형성된 걸림부(120)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즉 연결구와 배선덕트간 걸림이 연결구 상측 좌우에서만 이루어짐으로 완전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결구 상하부중 어느 한쪽에서만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기존연결구와는 달리 연결구 상하 양쪽, 즉 사방에서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각 배선덕트 간에 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선덕트 연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전후 배치되는 각 배선덕트 전후 양단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각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측 상단에는 배선덕트 양측벽의 상측 걸림부에 걸리는 상측걸림편이 구비되고,
연결구 하부 양측면에는 각 배선덕트에 형성된 하측 걸림부에 걸리는 하측걸림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측 걸림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배선덕트 내부 바닥면과 수평이나 사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해당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에는 별도의 접속막대가 일체로 구비되어 접속막대가 배선덕트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 상하부중 어느 한쪽에서만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기존연결구와는 달리 반대쪽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걸림편에 의해 연결구 사방에서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짐으로, 기존에 비해 배선덕트와 연결구간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어 연결상태에서 각 배선덕트간의 흔들림현상 등이 더욱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걸림편에 연결막대를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연결구 바닥면과 각 배선덕트 간 볼트체결과 더불어 상기 접속막대를 통한 볼트체결도 이루어짐으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구를 이용한 배선덕트 연결구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 위 위치되는 각 배선덕트(100)(200)내에 본 발명 연결구(300)가 각각 삽입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먼저 연결구(300)를 통해 연결되는 배선덕트(100)(200)는 각관 형태로 상부와 전후 양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전선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형태이다. 또한 덕트형 등기구를 구현할 경우 도면과 같이 등기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면은 호 형태로 제작하여 반사갓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 간(110)에는 전선 외에 안정기등도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배선덕트의 양측벽 내면상에는 기타 부수구조, 즉 수용공간(110)을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판재 등의 설치를 위해 다수개의 걸림부(120)들이 돌출편이나 슬라이딩 홈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20)들은 후술하는 연결구(300)의 상하측 걸림편(322)(324)과의 걸림을 위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기성제품에 형성된 각 걸림부(120)를 상기 상하측 걸림편(322)(324)과의 걸림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120)는 기본적으로 상측에는 연결구(300)의 상측 걸림편(322)이 걸리는 상측 걸림부(122)가 구비되어야 하고 하측에는 연결구(300)의 하측걸림편(324)이 걸리는 하측 걸림부(124)가 필히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선덕트는 상황에 따라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설치되는데,
이때 배선덕트(100)(200)의 연결용도로 사용되는 연결구(300)는 전체적으로 배선덕트(100)(200)의 수용공간(110) 외곽테두리 모양과 거의 동일한 형상, 즉 바닥판(310) 양측에 연결판(320)이 세워진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바닥판(310) 상에는 배선덕트(100)(200)의 수용공간(110)바닥면과 볼트결합을 위한 볼트공(130)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바닥판(310) 하부면에는 배선덕트(100)(200)내에 삽입될 때 배선덕트(100)(200) 바닥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돌기(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판(310) 양측에 세워진 각 연결판(320)의 상단부에는 양측을 향해 일정각도 절곡된 형태의 상측 걸림편(322)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 연결판(320)과 바닥판(310)간 연결부위에는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 걸림편(324)이 양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구(300)는 일단부가 제1배선덕트(10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수용공간(110)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제2배선턱트(200)의 후면 개방부를 통해 수용공간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연결구(300) 절반은 제1배선덕트(100)에 삽입되고 나머지 절반은 제2배선덕트(200)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구(300)바닥판(310)의 볼트공(312)에 볼트를 체결하여 연결구(300)와 제1,2배선덕트(100)(200)간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국 각 배선덕트(100)(200)가 상호 연결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구(300)의 상측 걸림편(322)은 제1,2배선덕트(100)(200)의 양측벽 상측에 형성된 상측 걸림부(122) 하부면에 걸리게 되고, 하측 걸림편(324)은 각 배선덕트(100)(200)의 하측 걸림부(124) 하부면에 걸리게 된다.
결국 연결구(300) 상하좌우 사방에서 각 배선덕트(100)(200)와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하측 중 어느 한곳의 좌우에서만 체결이 이루어지는 기존 연결구와는 달리, 본 발명은 연결구(300) 상하좌우 사방에서 각 배선덕트(100)(200)와 체결이 이루어짐으로 연결구(300)와 배선덕트(100)(200)간의 일체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선덕트를 3개이상 여러개 연결할 경우 발생되는 배선덕트 간 미세 흔들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연결구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도 4]내지 [도 7]은 여러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연결구(300)의 하측 걸림편(324)이 배선덕트(100)(200)바닥면과 수평으로 돌출된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하측 걸림편(324)이 아래쪽 좌우방향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것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상측 걸림편(322)과 하측 걸림편(324)이 각각 상 하측 좌우를 향해 뻗어나온 형태일 경우 연결구(300)와 배선덕트(100)(200)간 전체 체결면적이 더욱 넓어져 연결구(300)와 배선덕트(100)(200)간 일체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역시 하측걸림편(324)이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각 하측 걸림편(324) 끝부분에 판재형태의 연결막대(325)를 연결시킨 것에 구조적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하측 걸림편(322)(324)을 이용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과 기존 접속막대를 통해 배선덕트를 연결하는 개념을 접목하여 구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측 걸림부(124)를 각 배선덕트(100)(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레일 형태로 제작하고 하측 걸림부(124) 상에 체결공(124a)을 띄엄띄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막대(325)에는 하측 걸림편(324) 일단부에 일체 또는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하측 걸림부(124)의 체결공(124a)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공(325a)을 형성시킨다.
이 상태에서 연결구(300) 양단부를 각 배선덕트(100)(200)에 삽입시키면 양 쪽 연결막대(325)도 하측 걸림부(124)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구 바닥판(310)과 각 배선덕트(100)(200)를 볼트 체결하여 배선덕트(100)(200)간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 후 연결막대(325)와 배선덕트(100)(200)의 각 체결공(124a)(325a)에 볼트(B)를 삽입하여 하나의 연결막대(325)에 각 배선덕트(100)(200)가 볼트체결 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배선덕트(100)(200)는 연결구 바닥판(310)과의 볼트체결과 더불어 연결막대(325)와의 볼트체결을 통해 2중체결이 이루어짐으로 보다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결구(300)바닥판(310)에 볼트체결구조를 구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와 같이 연결막대(325)만을 통해 배선덕트(100)(200)의 양쪽에 볼트체결 되도록 하여도 충분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연결막대(325)와 배선덕트(100)(200)를 체결하는 볼트(B)가 안쪽에서부터 관통된 형태이지만, 배선덕트(100)(200) 및 연결막대(325)의 구조에 따라 볼트 체결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도 하측 걸림편(324)이 하측 대각선방향으로 뻗어나온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걸림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연결막대(325)와 배선덕트(100)(200)간 볼트체결을 통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체결면적을 고려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제4실시예처럼 하측 걸림편(324)이 바닥판(310)과 수평으로 돌출되고 연결막대(325)도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막대(325)는 하측 걸림편(324)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측 걸림편(322)에만 구비시키거나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 걸림편(322)과 하측 걸림편(324)에 모두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상하측 걸림편(322)(324)에 모두 구비시킬 경우 상하측 연결막대(326)(325)와 배선덕트(100)(200)간 볼트체결이 상하동시에 이루어짐으로 더욱 견고하게 배선덕트 끼리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연결구 상하측중 어느 한곳에서만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기존 연결구와 달리, 연결구 상하 사방에서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선덕트와 연결구간 미세흔들림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배선덕트간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 배선덕트 내에 연결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구 상측 좌우에서만 걸림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연결구 하측 좌우에 형성된 하측 걸림편을 통해 연결구 상하 좌우 사방에서 배선덕트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하측 걸림편이 아래쪽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배선덕트와의 걸림면적이 넓게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제3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하측 걸림편 단부에 연결막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4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하측 걸림편은 연결구 바닥면과 수평으로 돌출되고 연결막대는 수직상태로 제작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5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연결막대가 상하측 걸림편 모두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배선덕트 110 : 수용공간
120 : 걸림부 122 : 상측 걸림부
124 : 하측 걸림부 300 : 연결구
310 : 바닥판 320 : 연결판
322 : 상측 걸림편 324 : 하측 걸림편
325 : 연결막대

Claims (3)

  1. 전후 배치되는 각 배선덕트 전후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각 배선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양측 상단에는 배선덕트 양측벽의 상측 걸림부에 체결되는 상측걸림편이 구비되고,
    연결구 하부 양측면에는 각 배선덕트에 형성된 하측 걸림부에 체결되는 하측걸림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걸림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연결구로부터 배선덕트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돌출되거나 사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해당 걸림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배선덕트의 하측걸림부와 상측걸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레일형태로 형성되고, 연결구 중 해당 걸림편의 일단부에는 연결막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막대가 배선덕트의 걸림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 선덕트 연결구.
KR1020080110837A 2008-11-10 2008-11-10 배선덕트 연결구 KR10099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837A KR100994260B1 (ko) 2008-11-10 2008-11-10 배선덕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837A KR100994260B1 (ko) 2008-11-10 2008-11-10 배선덕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98A KR20100051998A (ko) 2010-05-19
KR100994260B1 true KR100994260B1 (ko) 2010-11-12

Family

ID=4227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837A KR100994260B1 (ko) 2008-11-10 2008-11-10 배선덕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110A (ko) * 2014-02-21 2015-08-31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 장치
KR20210112638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대림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20220116808A (ko) * 2021-02-15 2022-08-2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89B1 (ko) * 2014-08-26 2015-05-21 장보영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KR200495499Y1 (ko) * 2020-06-16 2022-06-13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행거형 조명등의 트랙거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6-11-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735118B1 (ko) 2004-10-27 2007-07-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100863265B1 (ko) 2007-01-19 2008-10-15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배선 덕트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14B1 (ko) 2004-07-26 2006-11-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735118B1 (ko) 2004-10-27 2007-07-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100863265B1 (ko) 2007-01-19 2008-10-15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배선 덕트의 연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110A (ko) * 2014-02-21 2015-08-31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 장치
KR101589365B1 (ko) * 2014-02-21 2016-01-27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 장치
KR20210112638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대림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2369917B1 (ko) * 2020-03-05 2022-03-03 주식회사 대림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20220116808A (ko) * 2021-02-15 2022-08-2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연결구
KR102542145B1 (ko) * 2021-02-15 2023-06-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98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260B1 (ko) 배선덕트 연결구
KR101399938B1 (ko) 케이블 트레이
US10047936B2 (en) Ceiling system
JP2020184520A (ja) 電気コネクタ機構の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る電気コネクタ機構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2065022B1 (ko) 건축용 천정 구조물 프레임 어셈블리
US20040099771A1 (en) Raceway system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179851B1 (ko) 전기배선박스
CN210296908U (zh) 一种新型配电柜
KR20120058513A (ko) 고정구, 그것을 이용한 데크재의 연결 고정 구조, 및 데크재의 연결 고정 방법
KR100680518B1 (ko) 내부 배선부를 가진 건축물 걸레받이 조립체.
PL229454B1 (pl) Ceownik wieloczłonowy
KR101993454B1 (ko)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82804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264121B1 (ko) 케이블 덕트 어셈블리
US10450747B2 (en) Support system and system of connection elements for connecting supports
KR100423794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101069588B1 (ko)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설치 구조
KR101098541B1 (ko) 리미트크램프를 구비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PL226940B1 (pl) Trasa kablowa wielokierunkowa
KR102175014B1 (ko) 조립식 배선 닥트
KR200490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100795728B1 (ko)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RU2690954C1 (ru) Система, включающая монтажный корпу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