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728B1 -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728B1
KR100795728B1 KR1020070071492A KR20070071492A KR100795728B1 KR 100795728 B1 KR100795728 B1 KR 100795728B1 KR 1020070071492 A KR1020070071492 A KR 1020070071492A KR 20070071492 A KR20070071492 A KR 20070071492A KR 100795728 B1 KR100795728 B1 KR 10079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electric wire
fixing apparatus
fixed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근
Original Assignee
(주)공간이. 엔.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이. 엔. 지 filed Critical (주)공간이. 엔. 지
Priority to KR102007007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선의 관로 즉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선이나 통신선등을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을 쉽게 하여 설치가 간편한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에 관한 것이며, 중앙에 수납부(11)가 형성되고, 수납부(11)의 양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지지부(12)가 형성되는 트레이(10); 두개의 트레이(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트레이(10)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 전후단에 트레이(10)와 동일한 두께와 형상을 가진 삽입홀(22)이 형성되고, 몸체(21)의 양측단에 볼트홀(24)이 형성되어 행거(3)에 너트(7)로 고정되며, 몸체(21) 중앙부 상면에 매설너트(23)가 형성되는 고정구(20); 사각의 박스체(31)에 격벽에 의해 분리된 다수개의 전후관통홀(32)이 형성되고, 전후관통홀(32)에 각각 전기선(8), 통신선(8-1), 전화선(8-2)이 종류별로 분리되어 포설되며, 박스체(31)의 저면에 고정볼트부(33)가 형성되어 고정구(20)의 매설너트(23)에 체결 고정되는 분리구(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로, 트레이, 전기선, 통신선, 분리구, 고정구

Description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ELECTRIC WIRE DUCT FIXING APPARATUS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선의 관로 즉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을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을 쉽게 하여 설치가 간편한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 전기선이나 통신선과 같은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케이블설치용 트레이를 설치장소에 알맞게 연결 설치하여서 된 트레이시스템 구조물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상기 트레이는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사이드레일을 다수의 렁으로 연결하여서 일정한 폭을 이루도록 구성한 사다리꼴 케이블 설치용 트레이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초기에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이드레일에 렁의 양단을 용접하거나 핀을 사용하여 접착제로 연결하여서 구성하였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용접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하였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설치작업시 핀이 빠져서 트레이 자체가 붕괴되는 등의 변형을 가져와 케이블의 설치작업에 차 질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에 매설너트(2)가 다수개 열을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매설너트(2)에 양단에 볼트부가 형성된 행거(3)가 체결된다.
행거(3)의 하단에는 트레이(4)가 너트(7)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이 트레이(4)는 중앙에 수납부(5)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납부(5)의 양측으로 지지부(6)가 형성된다. 지지부(6)에 전술한 행거(3)의 하단이 삽입되어 너트(7)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트레이(4)의 수납부(5)에 수납되는 전기선(8)과 전화선(8-2) 및 통신선(8-1) 등은 한꺼번에 같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인해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전기선(8)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은 통신선(8-1)과 전화선(8-2)에 영향을 주어 통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각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인접한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전기선(18), 통신선(18-1), 전화선(18-2)의 보수시, 각 케이블이 섞여서 수납되어 있으므로 찾기도 힘들고, 보수하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에 수납되는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을 분류하여 트레이 위에 포설할 수 있게 하고, 트레이와 트레이의 연결을 고정구를 통하여 하고, 고정구를 행거에 고정시켜 고정과 분리를 간편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행거에 고정되는 부분을 고정구에 한정하여 트레이에 볼트홀을 뚫지 않아도 되게 하고,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이 분리 포설하여 서로 간에 간섭을 적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의 양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지지부가 형성되는 트레이; 두개의 트레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트레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전후단에 트레이와 동일한 두께와 형상을 가진 삽입홀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단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행거에 너트로 고정되며, 몸체 중앙부 상면에 매설너트가 형성되는 고정구; 사각의 박스체에 격벽에 의해 분리된 다수개의 전후관통홀이 형성되고, 전후관통홀에 각각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이 종류별로 분리되어 포설되며, 박스체의 저면에 고정볼트부가 형성되어 고정구의 매설너트에 체결 고정되는 분리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의 연결을 볼팅에 의하여 하지 않고, 고정구에 의하여 하므로 볼팅의 공수가 줄어들고, 고정구를 행거에 결합하기 위한 너팅 작업으로 간단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분리구에 의하여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이 구분되어 포설되므로 보수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찾기 용이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구에 의하여 분리되 어 포설된 전기선과 통신선, 전화선 사이의 간섭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기선에서 발생한 전자기장에 의하여 통신선의 통화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분리구는 간단하게 회전시켜 고정볼트부가 고정구에 고정되므로 전체적인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트레이(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고정구(20)를 두고, 고정구(20)를 행거(3)로 고정하며, 고정구(20) 위에 여러개의 전후관통홀(32)이 구분 형성되는 분리구(30)가 고정되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전기선 등의 관로인 트레이(10)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ㄷ자형의 몸체 개방구가 위로 가도록 위치시키며, 그 중앙부에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전기선(8), 통신선(8-1), 전화선(8-2)이 수납된다.
트레이(10)의 수납부(11)의 양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지지부(12)가 형성된다. 통상적으로는 이 지지부(12)에 볼트홀이 형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2) 에 볼트홀이 형성되지 않고, 고정구(20)에 의하여 고정된다.
고정구(20)는 트레이(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개의 트레이(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트레이(10)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 전후단에 트레이(10)와 동일한 두께와 형상을 가진 삽입홀(22)이 각각 형성된다. 이 삽입홀(22)에 인접한 두개의 트레이(10)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서로 연결된다.
고정구(20)는 몸체(21)의 양측단에 볼트홀(24)이 형성되어 행거(3)에 너트(7)로 고정되고, 몸체(21) 중앙부 상면에 매설너트(23)가 형성된다. 매설너트(23)에는 분리구(30)가 고정된다.
분리구(30)는 사각의 박스체(31)에 격벽에 의해 분리된 다수개의 전후관통홀(32)이 형성되고, 전후관통홀(32)에 각각 전기선(8), 통신선(8-1), 전화선(8-2)이 종류별로 분리되어 포설된다. 박스체(31)에 형성된 전후관통홀(32)에 종류별로 분류되어 설치되는 전기선(8), 통신선(8-1), 전화선(8-2)은 서로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찾기 쉽게 정리된다.
분리구(30)의 박스체(31) 저면에 고정볼트부(33)가 형성되어 고정구(20)의 매설너트(23)에 체결 고정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슬래브 2 : 매설너트
3 : 행거 4 : 트레이
5 : 수납부 6 : 지지부
7 : 너트 8 : 전기선
8-1 : 통신선 8-2 : 전화선
10 : 트레이 11 : 수납부
12 : 지지부 20 : 고정구
21 : 몸체 22 : 삽입홈
23 : 매설너트 24 : 볼트홀
30 : 분기구 31 : 박스체
32 : 전후관통홀 33 : 고정볼트부

Claims (1)

  1. 중앙에 수납부(11)가 형성되고, 수납부(11)의 양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지지부(12)가 형성되는 트레이(10);
    두개의 트레이(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트레이(10)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 전후단에 트레이(10)와 동일한 두께와 형상을 가진 삽입홀(22)이 형성되고, 몸체(21)의 양측단에 볼트홀(24)이 형성되어 행거(3)에 너트(7)로 고정되며, 몸체(21) 중앙부 상면에 매설너트(23)가 형성되는 고정구(20);
    사각의 박스체(31)에 격벽에 의해 분리된 다수개의 전후관통홀(32)이 형성되고, 전후관통홀(32)에 각각 전기선(8), 통신선(8-1), 전화선(8-2)이 종류별로 분리되어 포설되며, 박스체(31)의 저면에 고정볼트부(33)가 형성되어 고정구(20)의 매설너트(23)에 체결 고정되는 분리구(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KR1020070071492A 2007-07-18 2007-07-18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KR10079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492A KR100795728B1 (ko) 2007-07-18 2007-07-18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492A KR100795728B1 (ko) 2007-07-18 2007-07-18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728B1 true KR100795728B1 (ko) 2008-01-17

Family

ID=3921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492A KR100795728B1 (ko) 2007-07-18 2007-07-18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418B1 (ko) 2015-05-27 2016-03-03 (주)신명이앤씨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KR20210123088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투에스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931Y1 (ko) 2001-06-29 2001-12-24 이병욱 케이블 트레이
KR20030010438A (ko) * 2001-08-30 2003-02-05 김홍삼 다기능 전선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931Y1 (ko) 2001-06-29 2001-12-24 이병욱 케이블 트레이
KR20030010438A (ko) * 2001-08-30 2003-02-05 김홍삼 다기능 전선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418B1 (ko) 2015-05-27 2016-03-03 (주)신명이앤씨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KR20210123088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투에스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774B2 (en) System to place receptacles and distribution blocks
US8975518B1 (en) Two-gang pre-wired TV bridge kit
US20050211706A1 (en) Electrical junction assemblies for coupling electrical fixtures to suspending ceiling grids
US6722918B2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110088247A1 (en) Mounting bracket and method
KR100795728B1 (ko)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US7201593B2 (en) Jump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EP3104470A1 (en) Socket assembly with multiple flush-mounting boxes
KR101599418B1 (ko)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22855Y1 (ko) 천장 배선 분기용 커넥터
KR100423794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20120004130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 장치
KR100697244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행거
KR20210094415A (ko)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KR20110019988A (ko) 퍼지 실링 시스템
KR100786376B1 (ko) 전기배선 안전덮개 설치구조
JP6756183B2 (ja) 吊り下げ用照明器具、連結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2020018038A (ja) セパレータ装置
KR20090099944A (ko) 방수천장 및 천장에 설치되는 설비를 지지하는 구조물 설치가 가능한 모듈바
KR200252766Y1 (ko) 배선 덕트
KR20150102430A (ko)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1522389B1 (ko)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GB2582366A (en) Cable tray cou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