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145B1 - 배선용 덕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선용 덕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145B1
KR102542145B1 KR1020210020120A KR20210020120A KR102542145B1 KR 102542145 B1 KR102542145 B1 KR 102542145B1 KR 1020210020120 A KR1020210020120 A KR 1020210020120A KR 20210020120 A KR20210020120 A KR 20210020120A KR 102542145 B1 KR102542145 B1 KR 10254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iring
connector
present
du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808A (ko
Inventor
고재완
김상용
선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21002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1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케이블이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덕트(200); 덕트(200)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덕트커버(250); 덕트(200)와 덕트(200)의 사이에 조립되며,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 및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연결구커버(15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고, 커버와 조립이 용이하고,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고,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용 덕트 연결구{Duct connector for wir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고, 커버와 조립이 용이하고,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고,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각종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전화선, 전선, 통신선, 컴퓨터 관련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스피커 케이블과 같은 선 또는 케이블 등을 배치할 때 상기 통신선, 케이블이나 전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공간 전체의 심미성을 높이기 위해 배선덕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용한 배선덕트 및 연결구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의 배선덕트 및 연결구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볼트로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배선덕트 및 연결구는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지 못한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의 배선덕트 및 연결구는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해 커버와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 기술의 배선용 덕트 연결구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배선덕트 및 연결구는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53330호(2006. 11. 27)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20084호(2008. 04. 0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7086호(2011. 03. 29)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598호(2005. 12. 2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6842호(2013. 05. 03)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선용 덕트 연결구, 락킹돌기, 배선받침판, 공간부, 연결구커버, 덕트, 락킹홈, 배선받침판, 덕트커버 및 커플링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덕트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어 배선의 노출을 완벽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덕트간에 T자, +자, Y자, 곡선, 엘보 등의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조립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덕크커버와 연결구커버를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전기통신 분리배선공사, 분전반 결합, 소방용 배선공사, 실내 배선공사, 바닥면 배선공사(예: 실험실, 연구실, 측정실 등), 천정부 배선공사(예: 사무실, 과학실, 의류가공실, 교육실, 작업실 등), 클린룸 배선공사(예: 실험 인증실, 항온 항습실 등), 학교시설 배선공사(예: 교실, 강의실), 주택 배선공사(예: 거실, 서재, 다용도실 등), 실험실 배선공사(예: 바이오동, 농식품실, 임상병리실, 배양실 등), 통합 배선공사(예: 전원, DATA, 영상회로 등) 등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6목적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고, 제7목적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고, 제8목적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가 커버와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제9목적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고, 제10목적은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1목적은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2목적은 이로 인해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덕트; 덕트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덕트커버; 덕트와 덕트의 사이에 조립되며,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 및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연결구커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 락킹돌기, 배선받침판, 공간부, 연결구커버, 덕트, 락킹홈, 배선받침판, 덕트커버 및 커플링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덕트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어 배선의 노출을 완벽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간에 T자, +자, Y자, 곡선, 엘보 등의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조립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덕크커버와 연결구커버를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전기통신 분리배선공사, 분전반 결합, 소방용 배선공사, 실내 배선공사, 바닥면 배선공사(예: 실험실, 연구실, 측정실 등), 천정부 배선공사(예: 사무실, 과학실, 의류가공실, 교육실, 작업실 등), 클린룸 배선공사(예: 실험 인증실, 항온 항습실 등), 학교시설 배선공사(예: 교실, 강의실), 주택 배선공사(예: 거실, 서재, 다용도실 등), 실험실 배선공사(예: 바이오동, 농식품실, 임상병리실, 배양실 등), 통합 배선공사(예: 전원, DATA, 영상회로 등) 등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가 커버와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b)(c)(d)(e)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여러 실
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와 덕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와 덕트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
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와 덕트의 저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와 덕트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와 덕트의 결합상태 제품 사
진.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는 덕트(200)와 연결되어 케이블이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복수개의 덕트(20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덕트(200)의 상하단에는 각각 덕트커버(250)가 조립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덕트(200)와 덕트(200)의 사이에 조립되며,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상하단에는 각각 연결구커버(150)가 조립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는 T자, +자, Y자, 곡선, 수직엘보, 수평엘보, 이너엘보, 아웃터엘보 등의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져 덕트(200)와 상호 연결 조립됨이 바람직하다.(1의 도(a)(b)(c)(d)(e))
또한 상기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작동 및 흔들림 방지 그리고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 락킹홈(210)과 락킹돌기(1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덕트(200)의 내부 양단에는 케이블이나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 플레이트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턱(21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덕트커버(250)와 연결구커버(150)는 상호 높이차를 두어서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덕트커버(250)와 연결구커버(150)의 내부 안쪽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251)(15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리브(251)(151)는 접촉면적을 감소하여 결합시 마찰력이 줄어 결합이 힘들지 않고 쉽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커버(250)와 연결구커버(150) 그리고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양단은 상호 탈착 조립이 용이하도록 커버조립편(252)과 덕트조립편(211) 그리고 커버조립편(152)과 연결구조립편(1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양 격벽 몸체 사이를 가로 질러 상하로 구획되게 구비되며, 상단에 케이블이나 전선이 놓여지도록 한 배선받침판(120)(2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각 안쪽으로는 덕트(200)가 끼워지도록 하여 덕트(200)의 배선받침판(220)과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이 상호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한 공간부(1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덕트(200)의 선단 양측에는 배선받침판(120)의 양단에 끼워져 흔들림을 방지하는 끼움홈(23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함은 물론, 상기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과 덕트(200)의 배선받침판(220)의 연결구간을 상호 일치시킨 후 동일한 양측간 거리유지 압축물 제작의 용이성 등의 이유로 일체로 용접 또는 압출 제작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5)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덕트(200)의 배선받침판(220)과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의 저면에는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커플링(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300)의 양단에는 복수개의 체결구(310)에 의해 배선받침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122)에 체결되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커플링(300)의 양 끝단은 배선받침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걸려져 이탈됨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고, 커버와 조립이 용이하고,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고,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의 (a)(b)(c)(d)(e)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여러 실시예 사시도로, (a)는 이너엘보이고, (b)는 아웃터엘보이고, (c)는 수평엘보이고, (d)는 +자, (e)는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의 결합상태 단면도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의 상하단에 각각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여러가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 중에서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를 상부 쪽에서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의 저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 커플링(300)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로, 끼움홈(230)과 배선받침판(120)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각 선단에 덕트(200)를 끼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덕트(200)의 선단을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공간부(125) 안쪽으로 밀어 넣어서 덕트(200)의 배선받침판(220)과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이 상호 같은 수평 선상으로 위치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 중에서 덕트(200)의 선단 양쪽에 형성된 끼움홈(230)을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에 끼우게 되므로 조립 과정이 수월하고 추후 조립 후에도 덕트(200)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을 보완해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를 상호 연결하는 과정에서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에 형성된 락킹돌기(110)가 덕트(200)에 형성된 락킹홈(210)에 슬라이딩 끼워지게 되어 조립이 수월하고 추후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과정 중에서 배선받침판(120)(220)의 저면에는 커플링(300)을 체결하여 T자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커플링(300)의 양단 날개 부분을 걸림턱(121)의 안쪽으로 밀어 넣어서 1차적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체결구(310)로 배선받침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122)에 체결하면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를 상호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배선받침판(120)(220)의 상단에 다양한 종류의 배선을 배치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의 상하단에 각각 커버를 조립하게 된다.
즉, 덕트커버(250)와 연결구커버(150) 그리고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양단은 상호 탈착 조립이 용이하도록 커버조립편(252)과 덕트조립편(211) 그리고 커버조립편(152)과 연결구조립편(130)이 구비되는 것으로, 배선의 정리 및 유지 보수시에 커버를 간단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덕트커버(250)와 연결구커버(150)의 내부 안쪽에 복수개의 보강리브(251)(151)가 구비하여 커버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덕트(200)의 내부 양단에는 케이블이나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 플레이트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턱(215)이 구비되어 추후 배선의 증설이나 그 밖의 설계 변경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 주게 된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와 덕트(200)의 결합상태 제품 사진으로, 배선받침판(120)(220)의 상단에 다양한 종류의 배선을 정리하여 놓여진 것을 보인 것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한 결과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덕트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어 배선의 노출을 완벽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덕트간에 T자, +자, Y자, 곡선, 엘보 등의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조립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덕크커버와 연결구커버를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를 전기통신 분리배선공사, 분전반 결합, 소방용 배선공사, 실내 배선공사, 바닥면 배선공사(예: 실험실, 연구실, 측정실 등), 천정부 배선공사(예: 사무실, 과학실, 의류가공실, 교육실, 작업실 등), 클린룸 배선공사(예: 실험 인증실, 항온 항습실 등), 학교시설 배선공사(예: 교실, 강의실), 주택 배선공사(예: 거실, 서재, 다용도실 등), 실험실 배선공사(예: 바이오동, 농식품실, 임상병리실, 배양실 등), 통합 배선공사(예: 전원, DATA, 영상회로 등) 등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내구성 및 충격 유지강도가 좋고, 또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가 커버와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또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고, 또한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배선용 덕트 연결구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선용 덕트 연결구
110: 락킹돌기
120: 배선받침판
125: 공간부
150: 연결구커버
200: 덕트
210: 락킹홈
220: 배선받침판
250: 덕트커버
300: 커플링

Claims (4)

  1. 케이블이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덕트(200); 덕트(200)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덕트커버(250); 덕트(200)와 덕트(200)의 사이에 조립되며,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 및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연결구커버(150);가 포함되되,
    상기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양 격벽 몸체 사이를 가로 질러 상하로 구획되게 구비되며, 상단에 케이블이나 전선이 놓여지도록 한 배선받침판(120)(220);이 포함되고,
    상기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작동 및 흔들림 방지 그리고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 락킹홈(210)과 락킹돌기(110)가 구비되고,
    상기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각 안쪽으로는 덕트(200)가 끼워지도록 하여 덕트(200)의 배선받침판(220)과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이 상호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한 절개된 공간부(12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덕트커버(250)와 연결구커버(150)는 상호 높이차를 두어서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덕트(200)의 배선받침판(220)과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의 배선받침판(120)의 저면에는 덕트(200)와 배선용 덕트 연결구(1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커플링(30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
KR1020210020120A 2021-02-15 2021-02-15 배선용 덕트 연결구 KR10254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20A KR102542145B1 (ko) 2021-02-15 2021-02-15 배선용 덕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20A KR102542145B1 (ko) 2021-02-15 2021-02-15 배선용 덕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08A KR20220116808A (ko) 2022-08-23
KR102542145B1 true KR102542145B1 (ko) 2023-06-13

Family

ID=8309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120A KR102542145B1 (ko) 2021-02-15 2021-02-15 배선용 덕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1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04Y1 (ko) 2000-09-02 2001-02-15 김석종 배선 덕트
KR200311227Y1 (ko) 2003-01-08 2003-04-23 김경미 배선 덕트용 연결구
KR100863265B1 (ko) * 2007-01-19 2008-10-15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0994260B1 (ko) *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598B1 (ko) 2000-08-11 2003-11-05 주식회사 사문옥나라 사문옥석 벽지 제조방법
KR100653330B1 (ko) 2004-11-24 2006-1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100820084B1 (ko)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KR101027086B1 (ko) 2008-07-08 2011-04-0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KR20190072117A (ko) * 2017-12-15 2019-06-25 동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방진부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급전선로용 전선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04Y1 (ko) 2000-09-02 2001-02-15 김석종 배선 덕트
KR200311227Y1 (ko) 2003-01-08 2003-04-23 김경미 배선 덕트용 연결구
KR100863265B1 (ko) * 2007-01-19 2008-10-15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0994260B1 (ko) *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08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523B2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650346B1 (ko) 스마트 월
US5721394A (en) Flush mount multiport connection box
US4056297A (en) Removable electrical fixtures for modular wall panels
US6637161B1 (en) Floor system
US20100242389A1 (en) Corner wall conduit
US20020189180A1 (en) Panel system
US20100242388A1 (en) Corner Wall Conduit
US20190316346A1 (en) Acoustically isolated booth
US20070077799A1 (en) Modular wall panel electrical assembly
US9226573B2 (en) Bracket for securing items of furniture without tools or fasteners
TWM591113U (zh) 組合式遮蔽結構
US7501576B2 (en) Ceiling raceway
MY145022A (en) Thin wall panel system
US6491535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ith keyed channel arrangement
KR102542145B1 (ko) 배선용 덕트 연결구
US20050211455A1 (en) Signal connection device poke-thru assembly
US8628389B2 (en) Workstation system
US5451714A (en) Telephone and dat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raceway and panel associated therewith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US6223478B1 (en) Wall panel system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1863876B1 (ko) 조립식 책상
US20220356894A1 (en) Tenon-joints-attached Frames for Aluminum Furniture
CN205610015U (zh) 智能家居工程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