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783B1 -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783B1
KR102526783B1 KR1020220063624A KR20220063624A KR102526783B1 KR 102526783 B1 KR102526783 B1 KR 102526783B1 KR 1020220063624 A KR1020220063624 A KR 1020220063624A KR 20220063624 A KR20220063624 A KR 20220063624A KR 102526783 B1 KR102526783 B1 KR 10252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fitting
groove
profi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효철
Original Assignee
삼인싸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인싸이언스(주) filed Critical 삼인싸이언스(주)
Priority to KR102022006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가이드홈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 및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되 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를 서로 직교하거나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결합하고, 육면체 형상 중 적어도 두면 이상에 배선배관연결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선배관연결공을 통해 프로파일 본체 간의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선 또는 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인트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Profile assembly for utility equipment with joint duct}
본 발명은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각종 유틸리티 설비들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과, 액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필요한 배관이 프로파일 본체의 중공 및 상기 프로파일 본체를 연결하는 조인트덕트의 배선배관연결공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배선 또는 배관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해지고, 배선 또는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선 또는 배관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수리 보수를 할 경우 원하는 전선이나 배관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틸리티 설비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나 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비치되는 경우가 많고, 실험 중 사용되거나 발생된 각종 유독가스, 악취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쾌적한 실험실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유틸리티 설비는 실험실용 테이블이나 흄 휴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흄 후드(Fume hood)와 같은 유틸리티 설비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함은 물론, 연구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유해가스를 안전하게 배기해야 하므로 컴팩트하면서도 전기 누설이나 가스의 누출이 없는 안전한 배선배관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흄 후드는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작업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도어가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연구원들은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적절히 개방시킨 후 작업 플레이트에 놓여진 실험기구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게 된다.
이때, 흄 후드는 내부의 작업공간 및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흄 후드의 상측에 설치된 스크러버 장치로 세척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흄 후드는 흄 후드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과, 액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필요한 배관이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흄 후드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과, 액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필요한 관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쉽게 손상되거나, 내부에 몰리도록 배치되어 보수작업 시 찾고자 하는 전선 또는 배관을 쉽게 찾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내부에 몰리도록 배치된 전선이 서로 얽히게 되면, 자기장 노이즈로 인해 각종 기기들이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964294호 (2019.3.26.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각종 유틸리티 설비들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과, 액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필요한 배관이 프로파일 본체의 중공 및 상기 프로파일 본체를 연결하는 조인트덕트의 배선배관연결공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배선 또는 배관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해지고, 배선 또는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선 또는 배관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수리 보수를 할 경우 원하는 전선이나 배관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으로 개구(110b)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가이드홈(1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 및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되 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를 서로 직교하거나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결합하고, 육면체 형상 중 적어도 두면 이상에 배선배관연결공(20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선배관연결공을 통해 프로파일 본체 간의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선 또는 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인트덕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중공 안쪽면에는 조인트결합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대응되는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 테두리에는 조인트결합편(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조인트결합편(210)이 끼워져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은 프로파일 본체의 측면패널 안쪽면에 형성된 지지홈(118) 및 상기 지지홈(118) 사이의 외곽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고,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인트결합편(210)은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끼워져 걸림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1 조인트돌기(211) 및 상기 지지홈(118)을 커버하도록 안착되는 제2 조인트돌기(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개구(110b)된 전방측을 마감하며,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측면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커버(120); 인접한 상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중간캡(130); 및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커버(1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캡(14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는 상기 측면패널의 전방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2)에 측방향으로 오목한 걸림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120)는 상기 끼움홈(11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122)에 상기 걸림홈(116)과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볼록한 걸림돌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캡(130)은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상기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가능하도록 상기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34)가 상하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끼움돌기(136)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캡(140)은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상기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가능하도록 상기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4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끼움돌기(146)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캡(130)의 끼움돌기(136)는 상기 커버(120)의 끼움돌기(122)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지고, 상기 마감캡(140)의 끼움돌기는 상기 커버(120)의 끼움돌기(122)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 중 적어도 하나는 조인트덕트(200)의 1개면에 두 개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이 나란히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형성된 두 개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에는 두 개의 프로파일 본체(110)의 개구된 전방측의 반대측이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슬롯(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슬롯(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배관고정구(16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선배관고정구(160)는 밴드(161)의 절단된 양단이 링 형상으로 말아지고, 상기 밴드(161)의 절단된 양단을 외력을 가해 벌려 배선(C)이나 배관(P)을 끼워넣은 후 외력을 해제했을 때 스스로 오므라지며, 상기 오므라지면서 접해지는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돌기 및 스토퍼홈(161a, 161b)이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슬롯(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슬롯(113)에는 공간분할판(170)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유틸리티 설비들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과, 액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필요한 배관이 프로파일 본체의 중공 및 상기 프로파일 본체를 연결하는 조인트덕트의 배선배관연결공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배선 또는 배관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해지고, 배선 또는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선 또는 배관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수리 보수를 할 경우 원하는 전선이나 배관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홀더가 지지브라켓의 수용공간부에 하나 이상 수용되고, 내부에 배치된 전선이 서로 얽히지 않게 지지홀더 각각에 지지됨으로써 각종 기기들이 자기장 노이즈로 인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A-A’선 단면 확대도, (b) ‘B-B’선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실험실 가구 및 장비의 공간활용 및 깔끔한 마무리를 위한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써, 이는 실험실에 서 각종유틸리티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된 조합 및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용도에 따라 복수개의 프로파일이 연결되어 천정이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실험대 측면에 고정되어 배선 및 배관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적용될 수 있도록 크기가 호환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A-A’선 단면 확대도, (b) ‘B-B’선 단면 확대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는, 전방으로 개구(110b)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가이드홈(1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를 구비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되 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를 서로 직교하거나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결합하고, 육면체 형상 중 적어도 두면 이상에 배선배관연결공(20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선배관연결공(200a)을 통해 프로파일 본체(110) 간의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선(C) 또는 배관(P)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인트덕트(2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중공 안쪽면에는 조인트결합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대응되는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 테두리에는 조인트결합편(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조인트결합편(210)이 끼워져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술한 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의 중공은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을 통해 서로 직교하거나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고, 이때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중공과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을 통해서는 각종 유틸리티 설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선(C) 및 배관(P)들이 내장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덕트는 3개의 프로파일 본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A타입 조인트덕트(200-A), 4개의 프로파일 본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B타입 조인트덕트(200-B), 그리고 2개의 프로파일 본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C타입 조인트덕트(200-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3가지 타입의 조인트덕트(200-A, 200-B, 200-C)를 각각 구비한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유틸리티 설비의 배선 및 배관의 설계사양에 따라 상기 각각의 조인트덕트(200-A, 200-B, 200-C)를 적절히 배치하여 프로파일 본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B타입의 조인트덕트(200-B)는 가운데 한쪽면에 2개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2개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에는 2개의 프로파일 본체(110)를 개구(110b)의 반대측이 서로 등이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조인트덕트(200)의 각 면에 각각 하나씩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을 형성한 후 1개의 프로파일 본체만 연결하여서도 무방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또한, 도 3a,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측면패널 안쪽면에 형성된 지지홈(118) 및 상기 지지홈(118) 사이의 외곽면을 따라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지지홈(118)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조인트결합홈(119)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인트덕트(200)의 조인트결합편(210)은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끼워져 걸림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1 조인트돌기(211) 및 상기 지지홈(118)을 커버하도록 안착되는 제2 조인트돌기(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결합편(210)의 제1 조인트돌기(211)는 걸림돌기로서 조인트결합홈(119)의 슬롯(119a, 도 3b 참조)에 프로파일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진 후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의 슬롯(119a)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 조인트돌기(211)가 조인트결합홈(119)에 끼워질 때 제2 조인트돌기(212)는 상기 지지홈(118)의 안쪽에 둥글게 만곡된 면을 감싸면서 제1 조인트돌기(21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상기 제1 조인트돌기(211)가 조인트결합홈(119)에 끼워진 후에는 조인트결합편(210)이 좌우로 비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슬롯(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슬롯(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배관고정구(16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상기 배선배관고정구(160)는 밴드(161)의 절단된 양단이 링 형상으로 말아지고, 상기 밴드(161)의 절단된 양단을 외력을 가해 벌려 배선이나 배관을 끼워넣은 후 외력을 해제했을 때 스스로 오므라지며, 상기 오므라지면서 접해지는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돌기 및 스토퍼홈(161a, 16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슬롯(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슬롯(113)에는 공간분할판(170)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10)는, 전방으로 개구(110b)되는 중공(110a)의 형상으로,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가이드홈(1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프로파일 본체(110); 및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C) 또는 배관(P)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용공간부(3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지지브라켓(310);을 포함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본체(110)는 전방으로 개구(110b)되는 중공(110a)의 형상으로,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가이드홈(1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프로파일 본체(110)는 상하 양측의 중공(110a) 및 전방측이 개구(110b)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배면패널의 양측에 측면패널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측면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면 또는 측면패널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는 가이드홈(1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4)이 측면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면, 가이드홈(114)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10)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프로파일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 전선(C) 또는 배관(P)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14)이 측면패널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면, 가이드홈(114)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10)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외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프로파일 본체(110) 외부에 배치된 각종 전선(C) 또는 배관(P)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프로파일 본체(110)는 측면패널의 전방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112)이 형성되고, 측면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홈(118)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12)은 측면패널의 전방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전방을 향해 개구(110b)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120)의 끼움돌기(122)가 끼워지지게 된다.
이때, 끼움홈(112)에는 측방향으로 오목한 걸림홈(116)이 형성되고, 끼움돌기(122)에는 걸림홈(116)과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볼록한 걸림돌기(314)가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112)에 끼움돌기(122)가 끼워짐과 동시에 걸림홈(116)에 걸림돌기(314)가 끼워짐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프로파일 본체(110)에 커버(1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간캡(130)의 끼움돌기(136)가 커버(120)의 끼움돌기(122)와 함께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지며 커버(120)를 프로파일 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지지홈(118)은 측면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면 각각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110b)된 형상으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구획판(150)은 전선(C) 또는 배관(P)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선 또는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지홈(118)에 삽입되어 프로파일 본체(110)를 구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지홈(118)과 지지홈(118)에 끼워지는 구획판(150)은 다수 개가 구비되어 전선(C) 또는 배관(P)을 종류별로 분류하도록 프로파일 본체(110)를 구획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본체(110)의 개구(110b)된 전방측을 마감하며,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측면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커버(120); 인접한 커버(120)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중간캡(130); 및 프로파일 본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커버(1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캡(140);을 더 포함한다.
커버(120)는 프로파일 본체(110)의 개구(110b)된 전방측을 마감하며, 복수 개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측면패널의 전방에 결합된다.
여기서, 커버(120)는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어 측면패널의 끼움홈(112)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122)가 형성된다.
끼움돌기(122)는 커버(120)의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지지게 된다.
이때, 끼움홈(112)에는 측방향으로 오목한 걸림홈(116)이 형성되고, 끼움돌기(122)에는 걸림홈(116)과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볼록한 걸림돌기(214)가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112)에 끼움돌기(122)가 끼워짐과 동시에 걸림홈(116)에 걸림돌기(314)가 끼워짐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프로파일 본체(110)에 커버(1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120)는 전면을 가공하여 각종 유틸리티 예를 들어, 가스밸브, 랜포트, 전화포트, 전원포트, USB 포트, 스위치 등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중간캡(130)은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34)가 상하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즉, 중간캡(130)은 인접한 커버(120)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커버(120)와 커버(120)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커버(120)를 결속하고, 결속된 커버(120)를 프로파일 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중간캡(130)은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끼움돌기(136)가 형성되고, 끼움돌기(136)는 커버(120)의 끼움돌기(122)와 함께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지며 커버(120)를 프로파일 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마감캡(140)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42)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마감캡(140a)과, 프로파일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42)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마감캡(140b)을 포함한다.
즉, 상부 마감캡(140a)과 하부 마감캡(140b)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커버(1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커버(120)의 개방된 말단을 폐쇄함으로써, 커버(1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
또한, 지지브라켓(210)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C) 또는 배관(P)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용공간부(3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홈(114)이 측면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면, 가이드홈(114)에 결합되는 지지브라 켓(310)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프로파일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 전선(C) 또는 배관(P)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14)이 측면패널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면, 가이드홈(114)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10)은 프로파일 본체(110)의 외부에서 슬라이딩되며, 프로파일 본체(110) 외부에 배치된 전선(C) 또는 배관(P)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홈(114)이 측면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브라켓(310)은 배면패널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패널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홈(114)이 측면패널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브라켓(210)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프로파일 본체(110)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서로 마주하는 측면패널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지지브라켓(210)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면판(316)과 배면판(318) 사이에 복수 개의 분리판(319)이 결합된다.
분리판(319)은 전면판(316)과 배면판(318) 사이에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가 결합되고, 측방향 양단부에 결합된 분리판(319) 외측에는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14)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리판(219) 사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부(312)가 형성되어 전선(C) 또는 배관(P)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310)은 복수 개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프로파일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각종 유틸리티 설비들, 예를 들어 중화 장치, 스크러버 장치 및 배기덕트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C)과, 액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필요한 배관(P)이 지지브라켓(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수용공간부(312) 각각에 종류별로 분류되어 수용됨으로써, 배선 또는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선(C) 또는 배관(P)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수리 보수를 할 경우, 원하는 전선이나 배관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지지브라켓(310)은 전선(C) 또는 배관(P)을 덮도록 복수 개의 지지브라켓(310)의 전면 또는 배면에 고정 결합되는 덮개(340)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340)는 프로파일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브라켓(310) 전방측과 후방측을 마감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지지브라켓(310) 전방측과 후방측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312) 각각에 종류별로 분류되어 수용되는 전선(C) 또는 배관(P)을 커버하게 된다.
이때, 지지브라켓(310)은 전면판(316)과 배면판(318)의 양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319)가 각 각 형성되고, 덮개(340)는 양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345)이 형성된다.
끼움홈(345)은 덮개(340)의 양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지지브라켓(310)을 향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브라켓(310)의 끼움돌기(319)가 끼워지지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310)의 수용공간부(312)에 하나 이상 수용되고, 지지브라켓(310)의 수용공간부(312)의 내부에 배치된 전선(C) 또는 배관(P)이 서로 얽히지 않도록 전선 또는 배관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홀더(3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지지홀더(350)는 반원형상의 지지홈(355)이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블럭(352)을 포함하며, 전선(C) 또는 배관(P)이 상기 지지홈(355)에 끼워지도록 고정블럭(352) 한쌍은 대칭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블럭(352)은 전선(C) 또는 배관(P)의 일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지지홈(355)이 형성되며, 한쌍이 대칭되게 결합되어 전선 또는 관을 감싸며 서로 얽히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홀더(350)는 한쌍의 고정블럭(352)이 서로 다른 한쌍의 고정블럭(352)과 측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선(C) 또는 배관(P)을 감싸며 서로 얽히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홀더(350)는 전선(C) 또는 배관(P)을 감싸는 한쌍의 고정블럭(352)이 서로 다른 한쌍의 고정블럭(352)과 연결되어 지지브라켓(310)의 수용공간부(3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홀더(350)가 지지브라켓(310)의 수용공간부(312)에 하나 이상 수용되고, 내부에 배치된 전선(C) 또는 배관(P)이 서로 얽히지 않게 지지홀더(350) 각각에 지지됨으로써, 각종 유틸리티 설비의 전자 기기들이 자기장 노이즈로 인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홀더(350)는 한쌍이 대칭되게 결합되는 고정블럭(352)의 전면 또는 배면에 고정 결합되며, 수용공간부(312)의 내부 전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어 한쌍의 고정블럭(352)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3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브라켓(320)은 고정블럭(352) 한쌍이 대칭되게 결합되는 지지홀더(350)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며, 수용공간부(312)의 내부 전면판(316)에 밀착되어 지지홀더(35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브라켓(320)은 지지홀더(350)와 전면판(316)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홀더(350)와 전면판(316)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지지홀더(350)와 고정브라켓(320)은 볼트(330)를 매개로 전면판(316)에 고정되며, 이와는 다르게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더(350)와 고정브라켓(320)은 볼트(330)를 매개로 배면패널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홀더(350)와 고정브라켓(320)이 배면패널에 고정될 경우, 측면패널의 외측 가이드홈(114)에는 커버(360)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 : (본 발명의) 프로파일 조립체 110 : 프로파일 본체
111 : 제1 끼움슬롯 112 : 끼움홈
113 : 제2 끼움슬롯 114 : 가이드홈
116 : 걸림홈 118 : 지지홈
119 : 조인트결합홈
120 : 커버 122 : 끼움돌기
124 : 결합홈부 130 : 중간캡
134 : 삽입부 140 : 마감캡
142 : 삽입부 150 : 구획판
160 : 배선배관고정구 170 : 공간분할판
200 : 조인트덕트 200a : 배선배관연결공
210 : 조인트결합편 211 : 제1 조인트돌기
212 : 제2 조인트돌기
310 : 지지브라켓 312 : 수용공간부
314 : 걸림돌기 320 : 고정브라켓
330 : 볼트 340 : 덮개
350 : 지지홀더 352 : 고정블럭
C : 배선(전선) P : 배관

Claims (9)

  1. 전방으로 개구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가이드홈(1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 및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되 둘 이상의 프로파일 본체(110)를 서로 직교하거나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결합하고, 육면체 형상 중 적어도 두면 이상에 배선배관연결공(20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선배관연결공(200a)을 통해 프로파일 본체 간의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선(C) 또는 배관(P)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인트덕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중공 안쪽면에는 조인트결합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대응되는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 테두리에는 조인트결합편(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조인트결합편(210)이 끼워져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은 프로파일 본체의 측면패널 안쪽면에 형성된 지지홈(118) 및 상기 지지홈(118) 사이의 외곽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고,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인트결합편(210)은 상기 조인트결합홈(119)에 끼워져 걸림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1 조인트돌기(211) 및 상기 지지홈(118)을 커버하도록 안착되는 제2 조인트돌기(212)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배선배관연결공(200a) 중 적어도 하나는 조인트덕트(200)의 1개면에 두 개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이 나란히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접하여 형성된 두 개의 배선배관연결공(200a)에는 두 개의 프로파일 본체(110)의 개구된 전방측의 반대측이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슬롯(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슬롯(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배관고정구(16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배선배관고정구(160)는 밴드(161)의 절단된 양단이 링 형상으로 말아지고, 상기 밴드(161)의 절단된 양단을 외력을 가해 벌려 배선이나 배관을 끼워넣은 후 외력을 해제했을 때 스스로 오므라지며, 상기 오므라지면서 접해지는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돌기 및 스토퍼홈(161a, 16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개구된 전방측을 마감하며,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측면패널의 전방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커버(120);
    인접한 상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중간캡(130); 및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커버(1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캡(140);을 더 포함하는,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는 상기 측면패널의 전방측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2)에 측방향으로 오목한 걸림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120)는 상기 끼움홈(11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122)에 상기 걸림홈(116)과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볼록한 걸림돌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캡(130)은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상기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가능하도록 상기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34)가 상하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끼움돌기(136)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캡(140)은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상기 커버(120)의 단부에 억지끼움가능하도록 상기 커버(120)의 결합홈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4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배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끼움돌기(146)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캡(130)의 끼움돌기(136)는 상기 커버(120)의 끼움돌기(122)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지고, 상기 마감캡(140)의 끼움돌기는 상기 커버(120)의 끼움돌기(122)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 본체(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덕트(20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슬롯(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슬롯(113)에는 공간분할판(170)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KR1020220063624A 2022-05-24 2022-05-24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KR10252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24A KR102526783B1 (ko) 2022-05-24 2022-05-24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24A KR102526783B1 (ko) 2022-05-24 2022-05-24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783B1 true KR102526783B1 (ko) 2023-04-27

Family

ID=861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24A KR102526783B1 (ko) 2022-05-24 2022-05-24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7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JP2013199994A (ja) * 2012-03-26 2013-10-03 Mirai Ind Co Ltd 傾斜配管構造、傾斜配管アダプタ、及び保護ダクト装置
KR101681010B1 (ko) * 2016-07-25 2016-11-29 (주)대한프라스틱 배관 보호 구조체
KR20190005387A (ko) * 2017-07-06 2019-01-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KR20210112638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대림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JP2013199994A (ja) * 2012-03-26 2013-10-03 Mirai Ind Co Ltd 傾斜配管構造、傾斜配管アダプタ、及び保護ダクト装置
KR101681010B1 (ko) * 2016-07-25 2016-11-29 (주)대한프라스틱 배관 보호 구조체
KR20190005387A (ko) * 2017-07-06 2019-01-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KR101964294B1 (ko) 2017-07-06 2019-04-0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KR20210112638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대림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6028A (en) Table leg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US20080236860A1 (en) Electrical switch cover
US10605383B2 (en) Modular support system for plumbing connections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526783B1 (ko)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KR102192808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CN104106183A (zh) 面板安装的连接器组件
JP2012524511A (ja) 実験室システム用のメディアチャネル
JP6639226B2 (ja) 仮設構造物用朝顔パネル
KR101964294B1 (ko) 스크러버 장치를 포함하는 흄 후드용 프로파일
KR20130137767A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역 내 단열 보드의 설치 구조와 그 방법
CN102472504A (zh) 排烟罩
KR101930622B1 (ko)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KR100657796B1 (ko) 실험실용 작업대
AU2018236710A1 (en) Heating device with a holding device for recording a control unit
AU2018236718A1 (en) Heating device with a holding device for recording a control unit
CN210744460U (zh) 一种拼舱式二次设备舱
KR102503283B1 (ko) 클린룸용 작업대
KR100277393B1 (ko) 차량 및 그 제작방법
KR101490086B1 (ko) 장비보수용 이동식 밀폐배기시스템
CN114083570B (zh) 一种带自动门的防爆安全屋
JP7453045B2 (ja) 什器ユニット
AU2018236709A1 (en) Heating device with a holding device for recording a control unit
KR200194815Y1 (ko) 산업용 패널 컴퓨터의 덮개
JP7454347B2 (ja) 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