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259B1 -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259B1
KR102410259B1 KR1020210069995A KR20210069995A KR102410259B1 KR 102410259 B1 KR102410259 B1 KR 102410259B1 KR 1020210069995 A KR1020210069995 A KR 1020210069995A KR 20210069995 A KR20210069995 A KR 20210069995A KR 102410259 B1 KR102410259 B1 KR 10241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plate
bar
duct
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김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용 filed Critical 김태용
Priority to KR102021006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배선에 사용되는 두 덕트 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덕트에 대한 적절한 길이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ABLE DISTRIBUTION DUCT}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배선에 사용되는 두 덕트 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덕트에 대한 적절한 길이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전반이나 통신용 단자함 등에는 다수의 전선가닥들이 모여서 형성된 전선다발이 수납된다.
이와 같은 전선다발은 케이블타이에 의해 묶이거나 배선용 덕트에 수용됨으로써 정렬된다.
그러나,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접속이나 추가, 제거 등의 유지, 보수작업을 위해 전선다발의 해체가 필요한 경우, 케이블 타이를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배선용 덕트는 'ㄷ'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지니면서 전선을 내부로 배선하여 깔끔한 외관이 되도록 하고 전선을 보호한다.
이와 같은 배선용 덕트는 폭과 높이에 따라 여러가지 규격의 제품으로 생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 인출용 홀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덕트는 필요한 길이에 따라 절단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것은 물론, 절단시, 버려지는 부분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6103호(2010.06.28.)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배선에 사용되는 두 덕트 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덕트에 대한 적절한 길이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홀(113)이 형성되는 하판(111)과 하판(1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두 덕트(110); 및 결합홀(113)로 결합되면서 두 덕트(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120)은 덕트(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덕트(110)의 결합홀(113)로 인입되는 연결판(121); 및 연결판(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측으로 밀착되면서 연결판(121)을 덕트(110)에 고정하는 판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122)은 하부가 연결판(121)에 고정되는 내측판(122a); 내측판(122a)과 대향되며 결합홀(113)을 이루는 내측에 접하는 외측판(122b); 및 내,외측판(122a,122b)의 상부를 연결하는 곡면판(12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110)는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측에 걸림돌기(113a)가 형성되고, 판스프링(122)은 외측판(122b)에 걸럼돌기(113a)가 인입되는 걸림홈(122d)이 형성되면서 걸림돌기(113a)로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홀(113)은 하판(111)의 양측 사이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연결수단(120)은 결합홀(113)의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양단부가 두 덕트(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홀(113)로 인입되면서 두 덕트(110)를 연결하는 연결바(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바(123)가 결합홀(113)로 일정길이 인입되면,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32); 및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고정바(132)가 인입되는 고정홈(133)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홈(133)은 고정바(132)의 길이보다 1/2짧게 형성되면서 연결바(123)가 결합홀(113)로 전체 길이의 1/2이 인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결합홀(113)로부터 연결바(1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의 배선에 사용되는 두 덕트 간이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덕트에 대한 적절한 길이로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에서 덕트와 연결수단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덕트와 연결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연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연결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연결수단과 덕트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는 하판(111)과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두 덕트(110) 및 두 덕트(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120)을 포함한다.
하판(11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양측에 측판(112)의 하부가 일체로 연결된다.
덕트(110)는 하판(111) 및 양측판(112)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내측으로 전선이 배선된다.
하판(111)에는 다른 구조물 예를 들면, 배전반 등으로의 고정을 위해 다수의 체결공(111a)이 형성된다.
측판(112)에는 배선을 인출 또는 인입하기 위한 다수의 중공(112a)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덕트는 2m 이상의 길이로 제작되면서 사용시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절단되는 과정에서 절단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절단시, 버려지는 부분이 상당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덕트(110)가 연결수단(120)에 의해 연결되면서 배선용 덕트에 대한 일정길이로의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두 덕트(110)는 동일한 형태를 이루되,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덕트(110)는 하판(11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홀(113)이 형성된다.
결합홀(113)은 하판(111)의 양측 사이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홀(113)은 하판(111)의 전,후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룬다.
결합홀(113)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동일 폭을 이루어도 무방하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홀(113)로 인입, 결합되는 연결수단(120)이 결합홀(113)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된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수단(120)은 두 덕트(110)의 결합홀(113)로 결합되면서 두 덕트(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연결수단(120)은 덕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표면이 절연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수단(120)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덕트(110)의 결합홀(113)로 인입되는 연결판(121) 및 연결판(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측으로 밀착되면서 연결판(121)을 덕트(110)에 고정하는 판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판(121)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져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부 즉, 전,후단부가 두 덕트(110)에 형성되는 결합홀(113)로 결합된다.
판스프링(122)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연결판(121)에 고정되는 내측판(122a), 내측판(122a)과 대향되며 결합홀(113)을 이루는 내측에 접하는 외측판(122b) 및 내,외측판(122a,122b)의 상부를 연결하는 곡면판(122c)을 포함한다.
곡면판(122c)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내,외측판(122a,122b)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한다.
내,외측판(122a,122b) 간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수단(120)은 연결판(121)이 결합홀(113)로 인입되면, 판스프링(122)이 탄발력에 의해 결합홀(113)을 이루는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두 덕트(110)를 연결할 수 있다.
덕트(11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측에 걸림돌기(113a)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3a)는 하판(111)의 전,후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122)은 외측판(122b)에 걸럼돌기(113a)가 인입되는 걸림홈(122d)이 형성되면서 걸림돌기(113a)로 걸림될 수 있다.
연결수단(120)은 두 덕트(110) 간의 연결을 위한 결합홀(113)로의 결합시, 걸림홈(122d)으로 걸림돌기(113a)가 결합되면서 인입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홀(113)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연결수단(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13)의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양단부가 두 덕트(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홀(113)로 인입되면서 두 덕트(110)를 연결하는 연결바(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바(123)는 중앙부로부터 양단부까지 두 덕트(110)의 각 결합홀(113)로 인입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는 연결바(123)가 결합홀(113)로 일정길이 인입되면,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을 더 포함한다.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턱(131)은 결합홀(113)을 이루는 전단부 또는 후단부 둘레에 접하면서 연결바(123)에 대한 결합홀(113)로의 인입이 정지되도록 한다.
고정수단(13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23)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32) 및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고정바(132)가 인입되는 고정홈(1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바(132)는 연결바(1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133)은 결합홀(113)을 이루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33)은 고정바(132)의 길이보다 1/2짧게 형성되면서 결합홀(113)로 연결바(123)가 전체 길이의 1/2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결합홀(113)로부터 연결바(1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4)를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134)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바(123)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부재(134)는 띠 형태를 이루면서 연결바(123)의 양측면과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34)는 결합홀(113)로의 연결바(123)의 인입시, 마지막으로 결합홀(113)로 인입된다.
이탈방지부재(134)는 결합홀(113)을 이루는 내측면과 연결바(123) 간에 압착되면서 결합홀(113)로부터 연결바(123)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연결수단(120)에 의해 두 덕트(11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덕트에 대한 적절한 길이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덕트 111 : 하판
112 : 측판 113 : 결합홀
120 : 연결수단 121 : 연결판
122 : 판스프링 123 : 연결바
130 : 고정수단 131 : 걸림돌기
132 : 고정바 133 : 고정홈
134 : 이탈방지부재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홀(113)이 형성되는 하판(111)과 하판(1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두 덕트(110); 및
    덕트(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이웃하는 두 덕트(110)의 결합홀(113)로 인입되는 연결판(121)과, 연결판(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측으로 밀착되면서 연결판(121)을 덕트(110)에 고정하는 판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지면서 두 덕트(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120)을 포함하고,
    덕트(110)는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측에 걸림돌기(113a)가 형성되고,
    판스프링(122)은 하부가 연결판(121)에 고정되는 내측판(122a); 내측판(122a)과 대향되며 결합홀(113)을 이루는 내측에 접하는 외측판(122b); 및 내,외측판(122a,122b)의 상부를 연결하는 곡면판(122c)을 포함하며, 외측판(122b)에 걸림홈(122d)이 형성되면서 걸림돌기(113a)로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홀(113)이 형성되는 하판(111)과 하판(1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양측판(112)을 포함하는 두 덕트(110);
    양단부가 두 덕트(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홀(113)로 인입되면서 두 덕트(110)를 연결하는 연결바(123); 및
    연결바(123)가 결합홀(113)로 일정길이 인입되면,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을 포함하고,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32); 및 결합홀(113)을 이루는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고정바(132)가 인입되는 고정홈(133)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홈(133)은 고정바(132)의 길이보다 1/2짧게 형성되면서 연결바(123)가 결합홀(113)로 전체 길이의 1/2이 인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고정수단(130)은 연결바(123)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결합홀(113)로부터 연결바(1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KR1020210069995A 2021-05-31 2021-05-31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KR10241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95A KR102410259B1 (ko) 2021-05-31 2021-05-31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95A KR102410259B1 (ko) 2021-05-31 2021-05-31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259B1 true KR102410259B1 (ko) 2022-06-16

Family

ID=8221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995A KR102410259B1 (ko) 2021-05-31 2021-05-31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2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885Y2 (ja) * 1990-08-29 1997-06-18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ダクト用継手
US20020096606A1 (en) * 2000-06-01 2002-07-25 Bernard William A. Cable duct coupler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966103B1 (ko) 2008-07-16 2010-06-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20140004470U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건일 케이블트레이
KR20170124374A (ko) * 2016-05-02 2017-11-10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알루미늄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885Y2 (ja) * 1990-08-29 1997-06-18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ダクト用継手
US20020096606A1 (en) * 2000-06-01 2002-07-25 Bernard William A. Cable duct coupler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100966103B1 (ko) 2008-07-16 2010-06-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20140004470U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건일 케이블트레이
KR20170124374A (ko) * 2016-05-02 2017-11-10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알루미늄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1546A (en) Telecommunications cable management tray with a row of arcuate cable guide walls
KR102410259B1 (ko) 배선용 덕트 연결구조
JPH02247986A (ja) 平らで、しなやかなケーブルを回路ボードへ接続するためのストレーン・リリーフ構造体
EP1746697A1 (en)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a box to a wire cable tray
US7234669B2 (en) Clamp
PL177826B1 (pl) Modułowe złącze do łączenia wielu par przewodów
JP2017123746A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US4188003A (en) Strain relief bushing
EP0809341A1 (en) Support spacer for aerial cable
EP3376606A1 (en) Cable harness plug
US10393984B2 (en) Cable enclosure and electronic apparatus
CN216436271U (zh) 一种应用于驱动器通讯线材的固定支架
JPH076815A (ja) 端末用コネクタの電線保持構造
US920322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392609B2 (ja) 電気接続箱
KR102644880B1 (ko) 위치 조절형 밴드케이블
JPH0722761A (ja) 歪み軽減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7158728B2 (ja) コネクタ保護装置、ホルダ、および保護カバー
CN107078484A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US3185953A (en) Connector
CN217087352U (zh) 一种同轴线夹
KR102450984B1 (ko) 배선 덕트
CN220440069U (zh) 接线端子模块和相应的浪涌保护器
JP6029089B2 (ja) 電気接続箱
KR200455816Y1 (ko) 배선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