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984B1 -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0984B1 KR102450984B1 KR1020220025266A KR20220025266A KR102450984B1 KR 102450984 B1 KR102450984 B1 KR 102450984B1 KR 1020220025266 A KR1020220025266 A KR 1020220025266A KR 20220025266 A KR20220025266 A KR 20220025266A KR 102450984 B1 KR102450984 B1 KR 102450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bent
- wiring duct
- coupled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긴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장홀 형상을 가지고 피결합부에 결합볼트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졌다가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전선의 직경보다 3~5배의 폭을 가지고 상하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선인출홀을 구비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된 후 상기 결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절곡되어 결합되는 결합절곡부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긴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장홀 형상을 가지고 피결합부에 결합볼트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졌다가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전선의 직경보다 3~5배의 폭을 가지고 상하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선인출홀을 구비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된 후 상기 결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절곡되어 결합되는 결합절곡부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종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정렬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수납하는 배선 덕트가 중간에 외부에서 추가로 케이블이나 전선을 도입하거나 내부에서 케이블이나 전선을 인출 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과정에서 피복이 손상되거나 심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분야에서는 전기신호와 전력을 보내기 위한 용도로 수많은 전선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선들은 간결하게 정리하지 않으면 외관상 문제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하는 과정에서 해당 전선을 찾고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는 과정이 힘들고 다른 전선에 외력이 작용하여 접촉 불량이나 단선 등의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이러한 케이블이나 전선 다발은 케이블 타이로 중간마다 묶어 정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전선의 접속이나 추가 또는 제거 등 유지보수작업을 위해 전선 다발의 해체가 요구될 경우 케이블 타이를 절단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이 과정에서 피복에 상처가 나는 경우도 있으며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면이 개방되고 커버에 의하여 개폐되는 긴 사각 바 형상의 배선 덕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케이블이나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깔끔하고 전선의 접속이나 추가 또는 제거 등의 유지보수작업도 간단히 커버를 분리한 후 작업하는 것으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후 커버를 조립하는 것으로 추가적인 비용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중간에 전선이 추가로 도입하거나 인출하는 경우에는 배선 덕트의 측면을 절개하거나 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 배선 덕트를 통하여 수용 또는 인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전선을 수용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절개된 모서리 또는 홀의 모서리에 의하여 피복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커버와 결합하는 양측 상단이 커버의 반복적인 결합과 분리 또는 내측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과 전자파 등의 영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면 결합이 헐거워지게 되며 이 경우에는 배선 덕트의 교체 말고 별다른 대체 수단이 없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간에 전선이 추가로 도입하거나 인출 할 때 전선이 심하게 절곡 되거나 작업 과정에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 덕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 과정이나 사용 중에 몸체의 양측 상단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커버의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좁혀진 거리를 벌릴 수 있는 배선 덕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긴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장홀 형상을 가지고 피 결합부에 결합볼트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졌다가 반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전선의 직경보다 3~5배의 폭을 가지고 상하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선인출홀을 구비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 된 후 상기 결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되어 결합되는 결합절곡부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홀을 포함하여 저면 폭의 1/3~1/2의 폭으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 및 중앙은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하부로 절곡 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면 내측 모서리를 가압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 덕트는 사각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측벽의 일 끝단 내측과 외측면이 밀착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결합리브를 구비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전선인출홀의 폭을 전선 직경의 3~5배가 되도록 하여 전선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선이 도입 또는 인출되어도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전선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저면이 중앙의 돌출된 밀착부를 제외하고 하부 양측이 결합 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양측 상단의 결합부의 움직임이 용이하여 커버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 중에 간격이 좁아질 경우에는 결합볼트를 조이도록 하면가압편이 양측 결합부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긴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장홀 형상을 가지고 피결합부에 결합볼트(14)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111)을 구비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양측에서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졌다가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전선(100)의 직경보다 3~5배의 폭을 가지고 상하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선인출홀(122)을 구비하는 측벽(12)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된 후 결합부(1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결합되는 결합절곡부(21)을 구비하는 커버(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배선 덕트는 주로 배전반이나 각종 자동화기계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다양한 곳으로 신호와 전력을 보내기 위한 전선을 가지런하게 정렬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행기술에서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개발되었으며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 측벽(12)을 통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선(100)을 도입 또는 인출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측벽(12) 일부를 절개하거나 본원과 같은 전선인출 홀(122)이 형성되어 있는 배선 덕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선인출홀(122)을 통하여 전선(100)을 도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인출홀(122)의 모서리에 쓸려 피복이 상하거나 전선(100)이 90도 가까이 절곡해야 할 정도로 전선인출홀(122)의 폭이 좁은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원은 전선인출홀(122)을 전선(100)의 직경보다 3~5배의 폭을 가지도록 하여 전선(100)이 급격히 절곡되지 않은 비스듬한 경로로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전선(100) 인출에도 인접한 전선인출홀(122)과의 사이를 절단하여 확장하지 않아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전선인출홀(122)은 하부는 피결합물의 바닥에 인접하지만 상부는 상당히 이격된 상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를 반원형으로 라운드 처리를 하여 전선(100)의 움직임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하부도 동일하게 반원형으로 라운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베이스(111)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홀(111)을 포함하여 저면 폭의 1/3~1/2의 폭으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112)를 추가로 구비하였을 때 상태를 나타내었다.
종래 배선 덕트는 밀착부(112)가 없이 피결합물과 저면이 전부 밀착되어 있었지만 본원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112)에 의하여 양끝 하단 모서리는 피결합물과 이격되어 양측 측벽(12)의 움직임 즉 간격이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움직임이 자유룝게 되고 결국 커버(2)의 결합과 분리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 과정에 다양한 이유로 양측 측벽(12)의 간격이 좁아져 커버(2)가 헐렁하게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을 경우 손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벌려줌으로서 임시 복원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중앙은 결합볼트(14)가 관통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몸체(1)의 바닥면 내측 모서리를 가압하는 가압편(13)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 예는 밀착부(112)가 형성된 경우에 결합볼트(14)는 가압편(13)과 함께 결합하도록 하고 양측 측벽(12)의 간격이 좁아졌을 때 결합볼트(14)를 조이면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이후 커버(2)가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가압편(13)는 내부에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배선 덕트는 사각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몸체(1)의 측벽(12)의 일 끝단 내측과 외측면이 밀착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결합리브(31)를 구비하는 마감캡(3)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 예는 배선 덕트의 끝단이 개방되어 있으면 작업 중에 모서리에작업자가 상처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각각 한 쌍의 결합리브(31)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캡(3)으로 마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결합리브(31)는 하단의 베이스(11)와 측벽(12) 상단의 결합부(121)와 접촉하지 않도록 마감캡(3)의 하단 및 상단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는 방향성 돌기나 훅을 형성하거나 측벽(12)이 삽입되는 공간을 평행하지 않고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하거나 입구는 삽입이 용이하게 경사면을 두는 등의 다양한 실시 예으 안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몸체 11: 베이스
111: 결합홀 112: 밀착부
12: 측벽 121: 결합부
122: 전선인출홀 13: 가압편
14: 결합볼트 2: 커버
21: 결합절곡부 100: 전선
111: 결합홀 112: 밀착부
12: 측벽 121: 결합부
122: 전선인출홀 13: 가압편
14: 결합볼트 2: 커버
21: 결합절곡부 100: 전선
Claims (3)
- 긴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장홀 형상을 가지고 피결합부에 결합볼트(14)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결합홀(111)을 구비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의 양측에서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졌다가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전선(100)의 직경보다 3~5배의 폭을 가지고 상하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선인출홀(122)을 구비하는 측벽(12)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된 후 상기 결합부(1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절곡되어 결합되는 결합절곡부(21)를 구비하는 커버(2);
상기 베이스(11)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홀(111)을 포함하여 저면 폭의 1/3~1/2의 폭으로 하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112); 및
중앙은 상기 결합볼트(14)가 관통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하부로절곡되어 상기 몸체(1)의 바닥면 내측 모서리를 가압하는 가압편(13);을 포함하고,
배선 덕트는 사각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몸체(1)의 측벽(12)의 일 끝단 내측과 외측면이 밀착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결합리브(31)를 구비하는 마감캡(3)을 더 포함하는 배선 덕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5266A KR102450984B1 (ko) | 2022-02-25 | 2022-02-25 | 배선 덕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5266A KR102450984B1 (ko) | 2022-02-25 | 2022-02-25 | 배선 덕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0984B1 true KR102450984B1 (ko) | 2022-10-06 |
Family
ID=8359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5266A KR102450984B1 (ko) | 2022-02-25 | 2022-02-25 | 배선 덕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098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213Y1 (ko) | 2003-03-26 | 2003-06-27 | 주식회사 아트판 | 배선용 덕트 |
KR200338447Y1 (ko) | 2003-10-06 | 2004-01-16 | 김경미 | 슬림형 배선덕트에 설치되는 배선기구를 결합하기 위한연결구 |
KR20110109354A (ko) * | 2010-03-31 | 2011-10-06 | (주)우진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
KR200456776Y1 (ko) | 2009-10-30 | 2011-11-21 | 동영전기 주식회사 | 절단이 용이한 케이블 배선용 덕트 |
KR200460422Y1 (ko) | 2011-01-19 | 2012-05-24 |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 배선용 덕트 |
KR20190055909A (ko) * | 2017-11-16 | 2019-05-24 | 신동균 | 조립식 배선 닥트 |
-
2022
- 2022-02-25 KR KR1020220025266A patent/KR1024509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213Y1 (ko) | 2003-03-26 | 2003-06-27 | 주식회사 아트판 | 배선용 덕트 |
KR200338447Y1 (ko) | 2003-10-06 | 2004-01-16 | 김경미 | 슬림형 배선덕트에 설치되는 배선기구를 결합하기 위한연결구 |
KR200456776Y1 (ko) | 2009-10-30 | 2011-11-21 | 동영전기 주식회사 | 절단이 용이한 케이블 배선용 덕트 |
KR20110109354A (ko) * | 2010-03-31 | 2011-10-06 | (주)우진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
KR200460422Y1 (ko) | 2011-01-19 | 2012-05-24 |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 배선용 덕트 |
KR20190055909A (ko) * | 2017-11-16 | 2019-05-24 | 신동균 | 조립식 배선 닥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20925B (fi) | Pistorasia | |
JP5666250B2 (ja) | 電線固定部 | |
KR102450984B1 (ko) | 배선 덕트 | |
KR960002131B1 (ko) | 접속 장치 | |
KR101962621B1 (ko) |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 |
KR20120002046U (ko) | 꼬리 고정부를 구비하는 수평인출방식의 케이블타이 | |
KR101553026B1 (ko) | 배선 닥트 | |
KR100880450B1 (ko) |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 |
KR101308613B1 (ko) |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 |
KR200482014Y1 (ko) | 멀티 콘센트 및 전원 플러그 | |
JP2008178181A (ja) | 高圧絶縁カバー | |
JP2004096983A (ja) | 配線ユニット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 |
JP3131404B2 (ja) | 配線器具用ボックス | |
JP5385750B2 (ja) | 端子装置 | |
KR200198502Y1 (ko) |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 |
KR20180115023A (ko) |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 |
KR200167086Y1 (ko) | 단자 블록 | |
US4613197A (en) | Rapid assembly electrical plug | |
KR200249919Y1 (ko) | 전기접속용암단자 | |
JP2549017Y2 (ja) | 電線接続器 | |
KR200213524Y1 (ko) | 모니터 시그날케이블용 접지클램프 | |
KR101454376B1 (ko) | 커팅이 가능한 부싱 | |
KR890006366Y1 (ko) | 편향요크의 터미널구조 | |
CN106451262B (zh) | 具有车用配线固定机构的壳体 | |
KR200287515Y1 (ko) | 콘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