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76B1 - 커팅이 가능한 부싱 - Google Patents

커팅이 가능한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76B1
KR101454376B1 KR1020130033485A KR20130033485A KR101454376B1 KR 101454376 B1 KR101454376 B1 KR 101454376B1 KR 1020130033485 A KR1020130033485 A KR 1020130033485A KR 20130033485 A KR20130033485 A KR 20130033485A KR 101454376 B1 KR101454376 B1 KR 10145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body portion
body part
flan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123A (ko
Inventor
양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Abstract

커팅이 가능한 부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은,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서 플랜지부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의 분리를 위한 커팅홈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커팅이 가능한 부싱{SEPARABLE BUSHING}
본 발명은 부싱에 관한 것으로, 몸통의 일부를 커팅할 수 있는 부싱에 관한 것이다.
전선 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홀에 부싱(bushing)을 삽입하여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내장재를 관통하여 케이블이 배선되는 경우, 관통된 내장재의 단면이 날카롭기 때문에, 케이블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부싱을 사용한다. 또한, 케이블이 내장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 내장재를 관통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서 그로메트(grommet)를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은 부싱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배선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그로메트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배선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널(10)의 두께가 얇아서(예를 들면, 25mm) 케이블(12)을 패널(10)의 내부에 매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케이블(12)은 패널(10)에 삽입된 부싱(14)를 통과하게 된다. 패널(10)에 형성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 부싱(14)은, 관통공을 형성할 때 커팅된 패널(10)의 단부에 의해 케이블(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싱(14)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로메트(24)를 이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널(20)의 두께가 어느 정도 두꺼워서(예를 들면, 50mm) 케이블(22)을 패널(20)의 내부에 매설할 수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22)은 패널(20)의 내부공간(21)에 위치하면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그로메트(24)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20)에 매설된 케이블(22)은 그로메트(24)를 수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원통형의 몸통을 갖는 부싱(14)을 사용할 수 없고, 몸통을 구비하지 않는 그로메트(24)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로메트(24)를 패널(20)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에 삽입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직선으로 형성된 그로메트를 관통공의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작한 후 그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따라서 그로메트(24)는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이 패널에 매설되는 경우 편리한 시공이 가능한 부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은,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에서 플랜지부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의 분리를 위한 커팅홈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원통 형상의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각각 탄성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의 일부가 커팅되어 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패널에 매설되는 경우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싱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패널에 배선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그로메트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패널에 배선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커팅이 가능한 부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부싱에서 바디의 일부가 커팅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부싱이 패널에 삽입되어 케이블의 배선에 사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커팅이 가능한 부싱(10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부싱(100)에서 제2 바디부(160)가 커팅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100)은, 원형의 플랜지부(120)와, 플랜지부(12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제1 바디부(140) 및 제2 바디부(160)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140)는 플랜지부(120)에서 커팅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제1 바디부(140)를 플랜지부(120)에서 분리한 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부(140) 및 제2 바디부(160) 중에서 제1 바디부(140)가 분리 가능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1 바디부(140)를 대신하여 제2 바디부(160)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랜지부(12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플랜지부(120)는, 제1 바디부(140) 및 제2 바디부(160)에 의해 형성되는 바디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플랜지부(120)를 예시하였지만,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바디부(140) 및 제2 바디부(160)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고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바디부(140) 및 제2 바디부(160)에 의해서 원통 형상의 바디를 형성하게 된다.
제1 바디부(140)의 상단부에는 커팅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커팅홈(142)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으로서, 제1 바디부(140)가 플랜지부(1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 바디부(140)에는 탄성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돌기(144)는, 부싱(100)이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경우, 관통공의 내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로 인해 부싱(100)이 관통공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60)에는 탄성돌기(16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돌기(164)는, 부싱(100)이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경우, 관통공의 내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로 인해 부싱(100)이 관통공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싱(100)은, 제1 바디부(140)의 커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재질 특히 난연성의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70)는 제1 바디부(140)와 제2 바디부(160)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제1바디부(140)가 독립적으로 커팅이 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부싱(100)이 패널(180)에 삽입되어 케이블(190)의 배선에 사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190)은 패널(180)의 내부 공간(182)에 매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패널(18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싱(100)이 삽입되어 있다. 케이블(190)은 90도로 절곡되어 부싱(100)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부싱(100)에서 제1 바디부(140)를 제거한다. 제1 바디부(140)를 커팅홈(142)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90도로 절곡된 케이블(190)이 부싱(100)의 플랜지부(12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팅이 가능한 부싱(100)은, 케이블(190)이 패널(180)의 내부에 매설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그로메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팅이 가능한 부싱 120: 플랜지부
140: 제1 바디부 142: 커팅홈
144; 탄성돌기 160; 제2 바디부
164; 탄성돌기 170; 절개부
180; 패널 182: 내부공간
190: 케이블

Claims (4)

  1.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제2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의 분리를 위한 커팅홈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제1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 둘러싸인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내에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 탄성돌기 및 상기 제2 바디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 탄성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팅이 가능한 부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원통 형상의 바디를 형성하는 커팅이 가능한 부싱.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커팅이 가능한 부싱.
KR1020130033485A 2013-03-28 2013-03-28 커팅이 가능한 부싱 KR10145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485A KR101454376B1 (ko) 2013-03-28 2013-03-28 커팅이 가능한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485A KR101454376B1 (ko) 2013-03-28 2013-03-28 커팅이 가능한 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23A KR20140118123A (ko) 2014-10-08
KR101454376B1 true KR101454376B1 (ko) 2014-10-23

Family

ID=5199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485A KR101454376B1 (ko) 2013-03-28 2013-03-28 커팅이 가능한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964A (ko) * 1993-03-04 1994-10-22 귄터 슈미쯔.게오르게 바크 플라스틱제 케이블 안내채널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5209U (ko) * 1997-10-14 1999-05-15 길성진 전선케이블 고정구
KR200367197Y1 (ko) 2004-08-18 2004-11-09 우경화 케이블 결속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964A (ko) * 1993-03-04 1994-10-22 귄터 슈미쯔.게오르게 바크 플라스틱제 케이블 안내채널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5209U (ko) * 1997-10-14 1999-05-15 길성진 전선케이블 고정구
KR200367197Y1 (ko) 2004-08-18 2004-11-09 우경화 케이블 결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23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1409B2 (en)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JP2006311785A (ja) プロテクタ
JP5746580B2 (ja) 結束バンドの取付構造
JP6149746B2 (ja) 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454376B1 (ko) 커팅이 가능한 부싱
JP6793047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054588A (ja) プロテクタ及び電線モジュール
US10069286B2 (en) Insulation structure for splice portion, harness mounting plate, and wiring unit
EP2375524B1 (en) Cable splice enclosure
KR20160000451U (ko) 전기배선관 커넥터
JP4897962B2 (ja) プラグイン器具内感電防止カバーの固定構造及びバスダクト用プラグイン器具
JP4476921B2 (ja)
KR101781513B1 (ko) 커넥터
KR101996457B1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JP7221806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への電線固定方法
JP6384859B2 (ja) 電気接続箱
KR102450984B1 (ko) 배선 덕트
JP2007026905A (ja) 配線箱用ケーブルブッシング
JP5813497B2 (ja) 配線ボックスにおけるケーブル引込口の遮音方法、遮音構造、及び遮音部材
RU2797463C2 (ru) Корпус
JP4842080B2 (ja) 配線用ボックス
JP2006230149A (ja) 線材保護部材
JP2016092903A (ja) プロテクタ
JP2015156752A (ja) 電気接続箱
JP2009185971A (ja) 線処理バリアおよび抜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