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1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513B1
KR101781513B1 KR1020160018444A KR20160018444A KR101781513B1 KR 101781513 B1 KR101781513 B1 KR 101781513B1 KR 1020160018444 A KR1020160018444 A KR 1020160018444A KR 20160018444 A KR20160018444 A KR 20160018444A KR 101781513 B1 KR101781513 B1 KR 10178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re
substrate
extending
predetermin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772A (ko
Inventor
천명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는,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 및 기판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와이어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속되는 컨택트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핑부; 및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리드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E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기판과 기판, 기판과 와이어 또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장 부품으로, 기판과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 중에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이 삭제된 상태에서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기판을 관통하는 와이어에 접속되는 타입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경우에는, 기판을 관통한 후 기판에 납땜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접속되거나 기판의 일면에 안착되어 기판에 납땝된 상태에서 기판을 관통하는 와이어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의 단부 일부에 심선을 둘러싸는 피복의 일부를 제거한 후 피복이 커넥터의 일측에 걸리는 위치까지 와이어, 실질적으로 심선을 삽입함으로써, 와이어와 접속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피복이 제거되는 거리에 따라서 심선이 삽입되는 길이가 결정됨으로써, 심선이 과도하게 삽입되어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와이어가 커넥터 이외의 다른 전장 부품 등과 접촉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543호(명칭: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드의 일면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는,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 및 기판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와이어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속되는 컨택트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핑부; 및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1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면;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3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4면;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스토핑부는, 적어도 4개의 변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면은, 상기 스토핑부의 4개의 변에서 각각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컨택트부는, 상기 제3면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컨택트부; 및 상기 제4면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컨택트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컨택트부는, 상기 제3면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컨택트부는, 상기 제4면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컨택트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심선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컨택트부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되는 제1컨택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컨택트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심선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컨택트부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되는 제2컨택트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제1면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연장 및 밴딩되고,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제1리드 영역에 접속되는 리드부; 및 상기 제2면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연장 및 밴딩되고,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제2리드 영역에 접속되는 제2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촉되는 보조 컨택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컨택트부는, 상기 제3면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컨택트부; 및 상기 제4면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컨택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컨택트부는, 상기 제1면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보조 컨택트부; 및 상기 제2면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보조 컨택트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컨택트부는, 상기 제3면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컨택트부는, 상기 제4면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며, 상기 제1보조 컨택트부는, 상기 제1면의 일부가 상기 제1면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보조 컨택트부는, 상기 제2면의 일부가 상기 제2면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면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면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지지 리브; 및 상기 제2면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면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2지지 리브;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 및 기판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일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가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속되는 한쌍의 컨택트부;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타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핑부; 및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한쌍의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컨택트부와 교차되게 위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촉되는 보조 컨택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컨택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면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컨택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컨택트부는,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가 연장되는 상기 바디부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면을 제외한 상기 바디부의 서로 대향되는 다른 2개의 면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심선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컨택트부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되는 제1 및 제2컨택트홈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의 서로 대향되는 다른 2개의 면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 및 기판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와이어가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면과 상기 제1 및 제2면과 교차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제3 및 제4면에 의하여 양단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3 및 제4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속되는 한쌍의 컨택트부; 상기 제1 내지 제4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타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핑부; 및 상기 제1 및 제2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한쌍의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컨택트부와 교차되게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에 접속되는 한쌍의 보조 컨택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컨택트부는, 상기 제3 및 제4면의 일부가 상기 제3 및 제4면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보조 컨택트부는, 상기 제1 및 제2면의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면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및 제2면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토핑부에 의하여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가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가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전장 부품 등과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택트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의 양면의 외측에 바디부에서 다른 면에서 연장되는 지지 리브가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택트부가 와이어에 탄성 접속되는 과정에서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바디부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택트부 이외에 컨택트부와 교차되게 위치되는 보조 컨택트부가 와이어에 탄성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견고하게 와이어가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기판 및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기판 및 와이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판 및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기판 및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기판 및 와이어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판 및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00)는, 기판(10) 및 와이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부(110), 컨택트부(121)(122), 스토핑부(130) 및 리드부(141)(14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컨택트부(121)(122)는,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관통공(11)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에 접속된다. 상기 스토핑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부(141)(142)는 상기 기판(10)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에 접속되는 보조 컨택트부(151)(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110)는, 실질적으로 상기 기판(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20)가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110)가,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면(111)(112)은 서로 대응되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면(113) 및 제4면(113)(114)은 서로 대응되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스토핑부(130)의 4개의 변에서 각각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110)는,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2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는 제1 및 제2지지 리브(115)(1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리브(115)는,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제1면(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 리브(116)는,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제2면(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 리브(115)(116)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가 상기 와이어(20)에 탄성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이 변형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부(110)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택트부(121)(122)는,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20),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어(20)의 심선(21)에 탄성 접촉된다. 상기 심선(21)은, 상기 와이어(20)의 피복(23)이 제거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컨택트부(121)는, 상기 제3면(113)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컨택트부(122)는, 상기 제4면(114)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컨택트부(121)는, 상기 제3면(113)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컨택트부(122)는, 상기 제4면(114)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에 각각 제1 및 제2컨택트홈(121A)(1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홈(121A)(122A)은, 상기 심선(2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의 선단 일부가 각각 절개되어 정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홈(121A)(122A)의 내부에 상기 심선(21)이 위치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토핑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타단을 차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토핑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10)가 일단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타단에 의하여 정의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부(141)(142)는, 제1 및 제2리드부(141)(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리드부(141)는, 상기 제1면(111)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연장 및 밴딩되고, 상기 관통공(11)에 인접하는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제1리드 영역(13)에 접속된다. 상기 제2리드부(142)는, 상기 제2면(112)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연장 및 밴딩되고, 상기 관통공(11)에 인접하는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제2리드 영역(14)에 접속된다.
상기 보조 컨택트부(151)(152)는,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는,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와 동일하게,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심선(21)에 탄성 접촉된다. 상기 제1보조 컨택트부(151)는, 상기 제1면(111)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 컨택트부(152)는, 상기 제2면(112)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는,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와 교차되게 위치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보조 컨택트부(151)는, 상기 제1면(111)의 일부가 상기 제1면(111)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 컨택트부(152)는, 상기 제2면(112)의 일부가 상기 제2면(112)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과도한 길이로 상기 피복(23)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심선(21)이 상기 스토핑부(130)에 접촉되는 위치까지만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복(23)이 제거되는 길이와 무관하게 상기 심선(21)이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에도 탄성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20)가 다점에서 상기 커넥터(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커넥터(100)에 보다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 및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에 탄성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 및 제2면(111)(112)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리드부(141)(142)에 의하여 상기 기판(1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가 상기 와이어(20)에 탄성 접촉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면(111)(112)의 변형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은, 그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스토핑부(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 타단이 자유단의 형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가 상기 와이어(20)에 탄성 접촉되면,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이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 리브(115)(116)에 의하여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의 탄성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부(11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판 20: 와이어
100: 커넥터 110: 바디부
121, 122: 컨택트부 130: 스토핑부
141, 142: 리드부 151, 152: 보조 컨택트부

Claims (20)

  1. 기판(10)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10) 및 기판(10)을 관통하는 와이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관통공(11)을 관통하는 상기 와이어(20)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에 접속되는 컨택트부(121)(122);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핑부(130); 및
    상기 기판(10)에 접속되는 리드부(141)(142);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10)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는 제1면(111);
    상기 제1면(111)에 대응하는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1면(1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면(112);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는 제3면(113); 및
    상기 제3면(113)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3면(113)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4면(114); 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핑부(130)는, 적어도 4개의 변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은, 상기 스토핑부(130)의 4개의 변에서 각각 연장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121)(122)는,
    상기 제3면(113)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컨택트부(121); 및
    상기 제4면(114)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컨택트부(122); 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부(121)는, 상기 제3면(113)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컨택트부(122)는, 상기 제4면(114)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부(121)에는, 상기 와이어(20)의 심선(2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컨택트부(121)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되는 제1컨택트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컨택트부(122)에는, 상기 와이어(20)의 심선(2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컨택트부(122)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되는 제2컨택트홈(122A)이 형성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141)(142)는,
    상기 제1면(111)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연장 및 밴딩되고, 상기 관통공(11)에 인접하는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제1리드 영역(13)에 접속되는 제1리드부(141); 및
    상기 제2면(112)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연장 및 밴딩되고, 상기 관통공(11)에 인접하는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제2리드 영역(14)에 접속되는 제2리드부(142); 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에 접촉되는 보조 컨택트부(151)(152)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121)(122)는,
    상기 제3면(113)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컨택트부(121); 및
    상기 제4면(114)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컨택트부(122);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컨택트부(151)(152)는,
    상기 제1면(111)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보조 컨택트부(151); 및
    상기 제2면(112)의 일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보조 컨택트부(152); 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부(121)는, 상기 제3면(113)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컨택트부(122)는, 상기 제4면(114)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며,
    상기 제1보조 컨택트부(151)는, 상기 제1면(111)의 일부가 상기 제1면(111)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보조 컨택트부(152)는, 상기 제2면(112)의 일부가 상기 제2면(112)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정의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1면(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지지 리브(115); 및
    상기 제2면(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면(113)(114)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2지지 리브(116); 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2. 기판(10)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10) 및 기판(10)을 관통하는 와이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판(10)에 형성되는 관통공(11)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20)가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에 접속되는 한쌍의 컨택트부(121)(122);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타단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핑부(130); 및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되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는 한쌍의 리드부(141)(142);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10)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는 제1면(111);
    상기 제1면(111)에 대응하는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1면(1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면(112);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는 제3면(113); 및
    상기 제3면(113)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3면(113)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4면(114); 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핑부(130)는, 적어도 4개의 변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면(111)(112)(113)(114)은, 상기 스토핑부(130)의 4개의 변에서 각각 연장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121)(122)와 교차되게 위치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20)에 접촉되는 보조 컨택트부(151)(152)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121)(122)는,
    상기 바디부(110)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면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컨택트부(151)(152)는,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가 연장되는 상기 바디부(110)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면을 제외한 상기 바디부(110)의 서로 대향되는 다른 2개의 면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보조 컨택트부(151)(152)를 포함하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컨택트부(121)(122)에는, 상기 와이어(20)의 심선(2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컨택트부(121)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되는 제1 및 제2컨택트홈(121A)(122A)이 각각 형성되는 커넥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바디부(110)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10)의 서로 대향되는 다른 2개의 면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115)(116)를 포함하는 커넥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18444A 2016-02-17 2016-02-17 커넥터 KR10178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44A KR101781513B1 (ko) 2016-02-17 2016-02-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44A KR101781513B1 (ko) 2016-02-17 2016-02-1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72A KR20170096772A (ko) 2017-08-25
KR101781513B1 true KR101781513B1 (ko) 2017-09-26

Family

ID=5976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444A KR101781513B1 (ko) 2016-02-17 2016-02-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675B1 (ko) * 2020-11-27 2023-04-13 주식회사 포콘스 큐브형 소켓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2802A (ja) 2012-01-24 2013-08-08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JP2013161541A (ja) 2012-02-01 2013-08-19 Aisin Seiki Co Ltd 接続端子
US20140302693A1 (en) * 2012-11-01 2014-10-09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2802A (ja) 2012-01-24 2013-08-08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JP2013161541A (ja) 2012-02-01 2013-08-19 Aisin Seiki Co Ltd 接続端子
US20140302693A1 (en) * 2012-11-01 2014-10-09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72A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193B1 (ko) 커넥터
KR101674998B1 (ko) 커넥터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DE102013002709B4 (de) Gedichteter Leiterplattensteckverbinder
US9368906B2 (en) Electric terminal
JP2009059620A (ja) コネクタ
US10665970B2 (en) Plug-in contact
DE102014221070B4 (de) Verbinderanschluss
US9825386B2 (en) Board to board male connector and board to board female connector
CN105305133B (zh) 电连接器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CN111628313A (zh) 板缘连接器
JP6738540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801627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1781513B1 (ko) 커넥터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KR102137880B1 (ko) 단자
JP6555028B2 (ja) ケーブル圧着端子実装体
JP2009158327A (ja) コネクタ
KR20150054089A (ko) 커넥터
KR102143973B1 (ko) 커넥터
JP2021114399A (ja) 端子
KR20170096763A (ko) 커넥터
JP2007123104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2226323B1 (ko) 헤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