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11A -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11A
KR20220081611A KR1020200171294A KR20200171294A KR20220081611A KR 20220081611 A KR20220081611 A KR 20220081611A KR 1020200171294 A KR1020200171294 A KR 1020200171294A KR 20200171294 A KR20200171294 A KR 20200171294A KR 20220081611 A KR20220081611 A KR 2022008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joiner
bolt
coupled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619B1 (ko
Inventor
김종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Priority to KR102020017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양 측판(21,22)과, 이 양 측판(21,2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1,2)이 수용되는 수용홈(27a,27b)을 형성하는 저면판(24)과, 상기 측판(21,22) 또는 저면판(26)에서 돌출되어 복수개의 전선(1,2)이 구획 배치되도록 수용홈(27a,27b)을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으로 구획하는 레이스웨이격벽(27)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본체(20) 및 이 레이스웨이본체(2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30)를 포함하는 레이스웨이(10); 및 단면 U자형 또는 미음자형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외측단에는 상기 레이스웨이(10)의 단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부(41)가 형성된 조이너(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이다.

Description

레이스웨이 설치구조{Structure for mounting of race way}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류가 서로 다른 전선을 레이스웨이와 이 레이스웨이를 연결하는 조이너에서 상호 간섭없이 설치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접지시킬 수 있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학교, 사무실, 상가 등의 각종 건물이나 지하주차장, 지하철 통로 등의 천장에는 전선의 배선과 함께 조명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레이스웨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레이스웨이는 배선용 덕트와 커버로 이루어지며, 일자형, 엘보, 십자형 등의 조이너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다 방향으로 분기되어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스웨이의 저면에 조명기구를 볼트나 별도의 브래킷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레이스웨이 내부에 강전선과 약전선이 함께 뒤섞인 상태로 수용되므로, 강전선과 약전선이 상호 간섭하여 조명등이나 센서가 작동오류 등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강전선과 약전선을 따로 점검할 때 점검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이스웨이를 연결하는 조이너에서 역시 강전선과 약전선이 함께 뒤섞이므로 상기의 문제가 더욱 증대된다.
한편, 레이스웨이를 조이너의 일단에 끼울 때 레이스웨이와 조이너에 형성된 볼트공이 정렬되도록 위치를 맞추어서 볼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레이스웨이를 조이너에 조립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이스웨이에 조명기구를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착할 경우 체결부재를 일일이 끼우거나 조이는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착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한편, 레이스웨이는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올려져 있으므로 누전이 되는 경우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신속하게 지면 등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어, 종래에는 레이스웨이끼리 전선을 연결하여 전기가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별도의 전선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접지용 전선과 납땜기 등을 가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작업공간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납땜기와 땜납을 사용하므로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30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강전선과 약전선이 레이스웨이 및 조이너에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레이스웨이를 조이너에 좀 더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정위치에 조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기구도 레이스웨이에 좀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레이스웨이를 보다 위험을 줄이고 간편하며 간단한 구조로 접지시킬 수 있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양 측판(21,22)과, 이 양 측판(21,2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1,2)이 수용되는 수용홈(27a,27b)을 형성하는 저면판(26)과, 상기 측판(21,22) 또는 저면판(26)에서 돌출되어 복수개의 전선(1,2)이 구획 배치되도록 수용홈(27a,27b)을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으로 구획하는 레이스웨이격벽(27)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본체(20) 및 이 레이스웨이본체(2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30)를 포함하는 레이스웨이(10); 및 단면 U자형 또는 미음자형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외측단에는 상기 레이스웨이(10)의 단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부(41)가 형성된 조이너(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이너(40)의 대향되는 양측 내벽에는 끼움홈(47)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부가 상기 조이너(40)의 양측 끼움홈(47)에 끼움결합되어 조이너(40)의 내부공간을 둘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레이스웨이(10)의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에 각각 구획 배치된 복수개의 전선(1,2)이 조이너(40)의 내부공간에서도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조이너격벽(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이너(40)의 내벽면에는 일측 삽입부(41)에서 타측 삽입부(41)까지 연장된 접지판(70)이 구비되고, 이 접지판(70)의 적어도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볼트(82)가 결합되는 결합공(72)이 형성되며, 조이너(40)의 삽입부(41)에 삽입된 레이스웨이(10)에는 조이너(40)의 결합공(72)에 결합된 볼트(82)가 결합되는 볼트결합홈(26a)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82)가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에 고정시킴에 따라 조이너(40)의 일측 삽입부(41)에 삽입된 레이스웨이(10)와 타측 삽입부(41)에 삽입된 레이스웨이(10)가 접지판(70)에 의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이너(40)의 양측 내벽에서 내향 돌출된 가이드돌기(42,43)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이스웨이(10)의 레이스웨이본체(20)의 양 측판(21,22)에는 조이너(40)의 가이드돌기(42,43)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조이너(40)에는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통공(44)이 가이드돌기(42,43)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레이스웨이(10)의 가이드홈(23)에는 상기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결합부(2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스웨이(10)의 수용홈(25,26)을 레이스웨이격벽(27)에 의해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으로 구획하여 강전선(1)과 약전선(2)이 구획 설치되므로, 상호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되어 조명등(3)이나 기타 장비의 작동오류 등 전기적인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조이너격벽(60)에 의해 둘로 구획하여 레이스웨이(10)에서 상호 구획 설치된 강전선(1)과 약전선(2)이 조이너(40)의 내부공간에서도 상호 간섭없이 구획 설치되므로 상기의 전기적 문제를 더욱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이너(40)의 내측공간에 설치된 조이너격벽(60)에 의해 레이스웨이(10)의 삽입이 제한되어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40)에서 자동 위치정렬되므로,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에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위치를 정렬할 필요가 없어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에 좀 더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조이너(40)의 내부에 접지판(70)을 구비하여 조이너(40)의 각 삽입부(41)에 결합된 레이스웨이(10)와 접지판(70)을 외부에서 볼팅하면 각 레이스웨이(10)가 접지판(70)을 통해 상호 접지되므로, 납땜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작업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외관이 깔끔하다. 또한 조이너(40)에 결합되는 접지볼트(50)가 레이스웨이(10)의 결합부(24a)에 결합됨에 따라 각 레이스웨이(10)가 상호 접지되므로, 상기와 같이 작업이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며 외관이 깔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조명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접지판을 보인 도면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접지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8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의 제3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의 제4실시예의 평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레이스웨이(10) 및 조이너(4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스웨이(10)는 레이스웨이본체(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레이스웨이본체(20)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양 측판(21,22)과, 이 양 측판(21,2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1,2)이 수용되는 수용홈(27a,27b)을 형성하는 저면판(26)과, 이 저면판(26) 또는 측판(21,22)에서 돌출되어 수용홈(27a,27b)을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으로 구획하는 레이스웨이격벽(27)을 포함한다. 커버(30)는 레이스웨이본체(2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레이스웨이격벽(27)은 레이스웨이본체(20)의 저면판(26)에서 상향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고, 저면판(26)의 중앙에서 폭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부위에서 돌출되어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저면판(26)의 폭방향 중앙에서 돌출되어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의 사이즈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과 같이, 강전선(1)과 약전선(2)이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에 각각 구획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상호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커버(30)의 저면에는 레이스웨이본체(20)의 레이스웨이격벽(27)과 함께 수용홈(27a,27b)을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으로 구획하는 하향돌기(3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커버(30)에 하향돌기(31)가 구비되어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의 사이즈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레이스웨이본체(20)의 양 측판(21,22)의 하단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조명등(3)을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게 착탈결합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조명등결합돌기(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한 쌍의 조명등결합돌기(28)는 하향 돌출되며 하단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명등(3)에는 레이스웨이본체(20)의 조명등결합돌기(28)에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걸림턱(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조명등(3)을 별도의 볼트나 브래킷을 이용하여 레이스웨이(10)에 설치하지 않고 원터치방식으로 레이스웨이(10)에 설치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조이너(4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레이스웨이(10)를 연결설치하는 것으로, U자형 또는 미음자형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조이너(40)의 외측단에는 레이스웨이(10)가 결합되는 삽입부(41)가 형성되고, 조이너(40)는 상기 삽입부(41)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일자형, 기역자형, 니은자형 및 십자형 등 다양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양 단부에 각각 삽입부(41)를 갖는 일자형 조이너(40)를 예시하였다.
도 1과 같이, 이와 같은 조이너(40)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한 쌍의 외측판(40a,40b)과, 이 외측판(40a,40b)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연결판(40c)을 포함하여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조이너(40)의 외측판(40a,40b)의 내측단에는 걸림턱(40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이너(40)의 개방된 내측단을 커버하는 조이너커버(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이너커버(45)의 양단부에는 조이너(40)의 걸림턱(40d)에 걸려지는 걸림돌기(4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조이너(40)의 양측 내벽에서 내향 돌출된 가이드돌기(42,43)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이스웨이(10)의 레이스웨이본체(20)의 양 측판(21,22)에는 조이너(40)의 가이드돌기(42,43)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의 정위치에 보다 간편하고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레이스웨이(10)는 가이드홈(23)이 측판(21,22)을 따라 연장되도록 압출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조이너(40)에는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통공(44)이 가이드돌기(42,43)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레이스웨이(10)의 가이드홈(23)에는 상기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결합부(2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스웨이(10)의 결합부(24a)는 접지볼트(50)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외향돌기(24,25)가 서로 이격되며 가이드홈(23)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홈 형태를 예시하였다. 접지볼트(50)가 결합부(24a)에 삽입되면서 한 쌍의 외향돌기(24,25)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조이너(40)는 가이드돌기(42,43)가 레이스웨이(10)의 한 쌍의 외향돌기(24,25)와 정렬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압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통공(44)은 한 쌍의 가이드돌기(42,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도 1과 같이 일자형 레이스웨이(10)와 기역자형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40)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상기 두 개의 레이스웨이(10)는 조이너(40)의 각 삽입부(41)로 삽입되고, 접지볼트(50)를 조이너(40)의 통공(44)에 끼워서 레이스웨이(10)의 결합부(24a)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40)에 의해 연결설치되며, 접지볼트(50)에 의해 두 개의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40)를 통해 접지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레이스웨이(10) 접지를 위해 별도의 전선을 납땜할 필요없이 두 개의 레이스웨이(10)를 연결함과 동시에 접지가 이루어지므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고 높은 곳에서 납땜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레이스웨이(10)의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에 각각 구획 수용된 강전선(1) 및 약전선(2)이 조이너(40)의 내측공간에서도 구획 배치되므로, 강전선(1)과 약전선(2)이 레이스웨이(10) 뿐 아니라 조이너(40)에서도 상호 간섭없이 구획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강전선(1)과 약전선(2)이 상호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되어 조명등(3)이나 센서 기타 장비의 작동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점검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편, 도 3과 같이 강전선(1) 및 약전선(2)이 조명등(3)에 연결되도록 레이스웨이본체(20)에는 통공(29)이 형성된다. 이때, 강전선(1)과 약전선(2)이 금속재 레이스웨이본체(20)의 통공(29)의 날카로운 내벽에 쓸리면서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무나 수지재의 링결합부재(80)를 통공(29)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강전선(1)과 약전선(2)이 당겨지거나 하면서 레이스웨이본체(20)의 날카로운 통공(29)의 내벽과의 마찰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너(40)의 대향되는 양측 내벽에는 각각 끼움홈(47)이 삽입부(41)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좌우 양단부가 조이너(40)의 끼움홈(47)에 끼워져서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둘로 구획하는 조이너격벽(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우선, 도 4와 같이 조이너(40)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삽입부(41)가 십자형으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십자형 조이너(40)는 상면이 개방된 단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고, 조이너커버(45)가 십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십자형 조이너(40)의 개방된 상면에 전번 실시예와 같이 걸림돌기(46) 및 걸림턱(40d)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조이너(40)의 끼움홈(47)은 조이너(40)의 한 쌍의 외측판(40a,40b)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조이너(40)가 미음자 채널형상일 경우 한 쌍의 외측판(40a,40b)이 아닌 연결판(40c) 및 이 연결판(40c)과 대향되는 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이너격벽(60)은 좌우 양단부가 조이너(40)의 끼움홈(47)에 끼워져서 레이스웨이(10)의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에 각각 구획 수용된 강전선(1) 및 약전선(2)을 조이너(40)의 외측판(40a,40b)과 한 쌍의 연결판(40c)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에서도 서로 구획 배치되도록 해준다. 도 4 및 도 7과 같이, 조이너격벽(60)은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둘로 구획한다.
그리고 조이너격벽(60)의 전단은 조이너(40)의 삽입부(41)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조이너(40)에 설치되어,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40)의 삽입부(41)에 삽입되면서 조이너격벽(60)에 접촉되어 삽입이 제한됨으로써,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40)에서 설치위치가 자동으로 정해진다. 도 5와 같이, 조이너격벽(60)은 조이너(4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조이너격벽(60)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서 대향되는 한 쌍의 삽입부(41)쪽 끼움홈(47)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이너격벽(60)이 끼워지지 않은 다른 한 쌍의 삽입부(41)에 결합되는 레이스웨이본체(20)는 조이너격벽(60)에 걸려서 자동으로 위치정렬된다.
이때, 조이너격벽(60)이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좌우로 구획할 경우 강전선(1) 및 약전선(2)이 상호 구획되면서 원하는 위치로 배선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십자형 조이너(40)에서는 조이너격벽(60)이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강전선(1) 및 약전선(2)이 상호 구획되면서 직진 또는 좌우측 원하는 위치로 배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조이너(40)의 내부에 접지판(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십자형 조이너(40)의 연결판(40c)의 내측면인 상면에 십자형 접지판(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이너(40)의 연결판(40c)에는 접지판(70)이 삽입되는 접지판삽입홈(48)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접지판삽입홈(48)에는 접지판(7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49)이 각 단부쪽에 형성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십자형 접지판(70)에는 중앙결합공(71) 및 조이너(40)의 설치공(49)과 정렬되도록 결합공(72)이 형성되며, 중앙결합공(71)에 결합된 고정볼트(80)에 너트(81)를 조여서 십자형 접지판(70)을 조이너(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레이스웨이본체(20)의 저면판(26)에는 상기 볼트(82)가 결합되는 볼트결합홈(26a)이 길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조이너(40)의 각 삽입부(41)에 레이스웨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82)가 접지판(70)의 결합공(72)을 통해 각 레이스웨이(10)의 레이스웨이본체(20)의 볼트결합홈(26a)에 결합되면 각 레이스웨이본체(20)와 조이너(40)의 접지판(70)을 통해 상호 접지된다. 이와 같이, 접지판(70)이 조이너(4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제품이 출시되면 작업자는 조이너(40)에 볼트(82)만 조립함으로써 각 레이스웨이(10)를 접지시킬 수 있으므로, 납땜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작업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외관이 깔끔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레이스웨이(10)의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에 각각 구획 수용된 강전선(1) 및 약전선(2)이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둘로 구획한 조이너격벽(60)에 의해 조이너(40)의 내측공간에서도 구획 배치되므로, 강전선(1)과 약전선(2)이 레이스웨이(10) 뿐 아니라 조이너(40)에서도 상호 간섭없이 구획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강전선(1)과 약전선(2)이 상호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되어 조명등(3)이나 센서 기타 장비의 작동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점검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의 삽입부(41)에 결합시키면 조이너격벽(60)에 의해 레이스웨이(10)의 위치가 자동정렬되므로, 종래와 같이 레이스웨이를 조이너에 끼우면서 볼트공이 정합되도록 정렬시켜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없어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는 조이너(40)의 양측 내벽에서 내향 돌출된 가이드돌기(42,43)가 전후로 연장되고, 이 가이드돌기(42,43)의 선단에 상기 끼움홈(4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이스웨이(10)의 레이스웨이본체(20)의 양 측면에 조이너(40)의 가이드돌기(42,43)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의 정위치에 보다 간편하고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스웨이(10)에 가이드홈(23)이 측판(21,22)에 형성되므로, 미음자형 채널형상의 조이너(40)에서 끼움홈(47)이 연결판(40c) 및 이 연결판(40c)과 대향되는 판에 형성되어 조이너격벽(60)이 조이너(40)의 내측공간을 좌우로 구획할 경우, 조이너(40)에 끼움홈(47)과 가이드돌기(42,43)를 별개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고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조이너(40)에 끼움홈(47)과 가이드돌기(42,43)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이너격벽(60)이 조이너(40)의 내부공간을 내외측으로 구획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편리하면서도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에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조이너(40)가 3개의 수평방향 삽입부(41)가 형성되도록 T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조이너격벽(60) 및 접지판(70)은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격벽(60)에 의해 위치가 자동정렬되고 접지판(70)에 의해 복수개의 레이스웨이(10)가 상호 접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조이너(40)가 2개의 수평방향 삽입부(41)가 직교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조이너격벽(60) 및 접지판(70)은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레이스웨이(10)가 조이너격벽(60)에 의해 위치가 자동정렬되고 접지판(70)에 의해 복수개의 레이스웨이(10)가 상호 접지된다.
상기 도 8 및 도 9는 조이너(40)가 삽입부(41)의 수량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보여주며, 조이너(40)는 이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더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실시예에서도 조이너(40)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42,43)가 이격 형성됨에 따라 그 사이에 끼움홈(47)이 형성되며,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이너격벽(60)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도 조이너(40)에 통공(44)이 형성되고 레이스웨이몸체(20)에 홈 형태의 결합부(24a)가 형성되어 볼트(51)를 이용하여 조이너(40)를 레이스웨이몸체(2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강전선 2 : 약전선
10 : 레이스웨이 20 : 레이스웨이본체
23 : 가이드홈 26 : 저면판
27 : 레이스웨이격벽 27a : 제1수용홈
27b : 제2수용홈 30 : 커버
40 : 조이너 42,43 : 가이드돌기
44 : 통공 50 : 접지볼트
60 : 조이너격벽 70 : 접지판

Claims (4)

  1.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양 측판(21,22)과, 이 양 측판(21,2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1,2)이 수용되는 수용홈(27a,27b)을 형성하는 저면판(24)과, 상기 측판(21,22) 또는 저면판(26)에서 돌출되어 복수개의 전선(1,2)이 구획 배치되도록 수용홈(27a,27b)을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으로 구획하는 레이스웨이격벽(27)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본체(20) 및 이 레이스웨이본체(2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30)를 포함하는 레이스웨이(10); 및
    단면 U자형 또는 미음자형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외측단에는 상기 레이스웨이(10)의 단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부(41)가 형성된 조이너(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너(40)의 대향되는 양측 내벽에는 끼움홈(47)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부가 상기 조이너(40)의 양측 끼움홈(47)에 끼움결합되어 조이너(40)의 내부공간을 둘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레이스웨이(10)의 제1 및 제2수용홈(27a,27b)에 각각 구획 배치된 복수개의 전선(1,2)이 조이너(40)의 내부공간에서도 구획 배치되도록 하는 조이너격벽(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너(40)의 내벽면에는 일측 삽입부(41)에서 타측 삽입부(41)까지 연장된 접지판(70)이 구비되고, 이 접지판(70)의 적어도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볼트(82)가 결합되는 결합공(72)이 형성되며, 조이너(40)의 삽입부(41)에 삽입된 레이스웨이(10)에는 조이너(40)의 결합공(72)에 결합된 볼트(82)가 결합되는 볼트결합홈(26a)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82)가 레이스웨이(10)를 조이너(40)에 고정시킴에 따라 조이너(40)의 일측 삽입부(41)에 삽입된 레이스웨이(10)와 타측 삽입부(41)에 삽입된 레이스웨이(40)가 접지판(70)에 의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너(40)의 양측 내벽에서 내향 돌출된 가이드돌기(42,43)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이스웨이(10)의 레이스웨이본체(20)의 양 측판(21,22)에는 조이너(40)의 가이드돌기(42,43)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조이너(40)에는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통공(44)이 가이드돌기(42,43)를 따라 이격되고, 상기 레이스웨이(10)의 가이드홈(23)에는 상기 접지볼트(50)가 결합되는 결합부(2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1020200171294A 2020-12-09 2020-12-09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10254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94A KR102542619B1 (ko) 2020-12-09 2020-12-09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94A KR102542619B1 (ko) 2020-12-09 2020-12-09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11A true KR20220081611A (ko) 2022-06-16
KR102542619B1 KR102542619B1 (ko) 2023-06-12

Family

ID=8221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94A KR102542619B1 (ko) 2020-12-09 2020-12-09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6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91Y1 (ko) * 2002-04-17 2002-07-22 김경미 분할판을 갖는 배선덕트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20060058230A (ko) * 2004-11-24 2006-05-3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20160035745A (ko) * 2014-09-24 2016-04-01 맥스씨앤아이(주) 관찰공이 구비된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접지구조
KR20160103349A (ko) * 2015-02-24 2016-09-01 (주) 나라기술단 강전 약전 통합 배관재
KR102043013B1 (ko) 2018-02-06 2019-11-11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레이스 웨이 설치용 조명기구의 탄성클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91Y1 (ko) * 2002-04-17 2002-07-22 김경미 분할판을 갖는 배선덕트
KR20060009743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20060058230A (ko) * 2004-11-24 2006-05-3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20160035745A (ko) * 2014-09-24 2016-04-01 맥스씨앤아이(주) 관찰공이 구비된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접지구조
KR20160103349A (ko) * 2015-02-24 2016-09-01 (주) 나라기술단 강전 약전 통합 배관재
KR102043013B1 (ko) 2018-02-06 2019-11-11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레이스 웨이 설치용 조명기구의 탄성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619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2704C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assembly
KR101762714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송전선 검사 로봇
US11371691B2 (en) Waterproof decorative lamp
KR100664345B1 (ko) 버튼식 고정장치
US11499685B1 (en) Fixture for a light assembly
KR100619136B1 (ko) 덕트 지지장치
KR20220081611A (ko)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101586709B1 (ko) 조명기구 고정용 레이스 웨이
EP2803250A2 (en) Screw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junction box
KR100994260B1 (ko) 배선덕트 연결구
EP0473589B1 (en) Fastening means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KR102130942B1 (ko) 단자대
KR20210061552A (ko) 전선 결속장치
KR20190083063A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JP6063840B2 (ja) 電線の整列構造及び整列具
KR200490707Y1 (ko)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KR102576413B1 (ko) 배선박스를 원터치로 배선박스설치대에 조립하는 배선용박스 고정판넬
EP1229610B1 (en) Device for mounting electric connectors for vehicles
KR200162120Y1 (ko) 지중 케이블용 방수 맨홀
KR102364781B1 (ko)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KR100736414B1 (ko) 배선 내설형 칸막이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KR0185336B1 (ko) 와이어링 하니스 제작 보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