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230A -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230A
KR20060058230A KR1020040096981A KR20040096981A KR20060058230A KR 20060058230 A KR20060058230 A KR 20060058230A KR 1020040096981 A KR1020040096981 A KR 1020040096981A KR 20040096981 A KR20040096981 A KR 20040096981A KR 20060058230 A KR20060058230 A KR 2006005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ing duct
shape
duc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330B1 (ko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4009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덕트의 접속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어 배선을 설치 보호하는 배선 덕트 또는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평균 조도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는 T자 형, L자 형,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와 각각의 단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진 상부와 측면이 폐쇄되며, 상기 각각의 단부는 소정 형상의 배선덕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덕트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접속재와; 상기 접속재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소정 형상의 다수 개의 배선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선덕트, 배선덕트 접속구조, 접속재, T자 형, L자 형, +형

Description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Connection-structure for wiring duct unit-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외장형 T자형 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선덕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재의 단면도.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배선덕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인 외장형 L자형 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선덕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인 외장형 +형 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선덕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재와 배선덕트의 결합시 연결부재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연결부재가 고정 수단에 의해 배선덕트와 연결될 때의 단면 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 배선덕트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내장형 접속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접속재와 배선덕트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와 고정수단의 결합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로 배선덕트 대신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 또는 접속재의 외부면에 배선공사시 이용될 수 있는 지시수단을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은 배선덕트의 접속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어 배선을 설치 보호하는 배선 덕트 또는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평균 조도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 공사가 이루어질 때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배선덕트를 이용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71398에 개시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등에서 보듯이, 배선덕트 자체가 조명용 기구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배선덕트는 다양하게 이용되는데, 이용되는 작업환경 내지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다수 개의 배선덕트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선덕트가 사용되는 사용환경에 따라 다수 개의 배선덕트를 조합하는 방법은 단순히 직선으로 조합 연결하는 방식으로, 즉 직선 구조를 다양한 각도로 설치함으로서, 요구되는 사용환경에 부합되도록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배선덕트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작업설계도 등을 보고, 시각적으로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배선덕트 등을 설치함으로 인해, 작업설계도에 기재된 위치와 다소 다르게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렇게 배치된 배선덕트 등은 불규칙적인 외관을 형성 함으로써 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를 실내조명을 위하여 상기와 같이 직선으로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조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정 등의 구석부분이나 중앙부분 등에서 외관상 미려함은 별론으로 하고, 설치가 어려우며 조명등의 조도 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배선덕트 자체에 배선작업을 할 때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떠한 작업지시수단이 배선덕트 자체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작업자가 배선덕트를 이용하여 배선작업을 하거나 상기 조명용 배선덕트를 이용하여 조명시설을 설치할 때, 작업설계도에서 요구되는 전원공급방향, 전원의 회로번호, 점등회로수, 전선수, 규격, 조립형태, 램프 출력, 램프수량 등을 하나하나 확인해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설치시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는 T자 형, L자 형,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와 각각의 단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진 상부와 측면이 폐쇄되며, 상기 각각의 단부는 소정 형상의 배선덕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덕트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접속재와; 상기 접속재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 로 삽입될 수 있는 소정 형상의 다수 개의 배선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선덕트는 하부에 조명용 램프홀더, 램프홀더지지대 및 형광등 등의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납된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이 소정의 반사율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면 처리가 된 소정의 굴곡면을 갖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배선덕트 각각에는 형성된 측면 외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방된 일측에 돌출된 체결부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재에는 상기 배선덕트 본체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배선덕트와 상기 접속재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재 또는 상기 다수개의 배선덕트 각각에는 배선작업시 요구되는 소정의 작업지시수단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되어지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같은 참조부호는 같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외장형 T자형 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선덕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재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배선덕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덕트(101)가 외장형 T자형 접속재(10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나사 등의 고정수단(103)에 의해 적당한 위치에서 결합된다. 상기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한 결합은 실무에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배선덕트(101)가 슬라이딩 결합될 때, 그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l의 위치까지 접속재(100)의 일 단부로 부터 중심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이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3개의 배선덕트가 모두 결합될 때에는 접속재의 중심부에 정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의 고정수단은 반드시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접속재(100)와 배선덕트(101)는 상호 맞물림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개시되는 모든 내장형 및 외장형 접속구조는 반드시 고정수단이 요구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T자형 접속재를 이용한 접속구조는 건물의 측면 중앙부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측면부에서 건물의 중앙부로 돌출하는 형태의 배선공사가 요구될 때,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를 접속하여 조명을 위해 사용할 때 이용된다.
도 3a은 접속재(10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 측면에 배선덕트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결합부(301)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301a)는 도 3b에 도시된 슬라이딩 홈(301b)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고정수단(103)의 구비여부에 관계없이 결합시에 일정 결합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결합을 더욱 견고이 하기 위해 배선덕트의 결합위치가 결정되면 고정수단(103)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인 외장형 L자형 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선덕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덕트 2개가 사용될 때, 외장형 L자형 접속재(4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접속되는 구조와 형상은 상기 도 1 과 도 2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동일 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L자형 접속재(400)는 건물의 구석 부분이 L자로 꺽인 형태일 경우 적용된다. 건물이 L자로 꺽일 경우 두 개의 배선덕트(101)를 각각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나, 상기와 같은 L자형 접속재(400)를 사용하여 결합하면, 배선 공사시 작업자가 보다 쉽게 설치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외관상 일체로 형성되므로 보기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공사시에도 편리하다.
상기에 설명된 도 4에서의 L자형 접속재의 경우도 그 단면의 형상은 도 3a는 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배선덕트의 경우도 도 3b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인 외장형 +형 접속재를 사용하여 배선덕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덕트 4개가 사용될 때, 외장형 +형 접속재(6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접속되는 구조와 형상은 상기 도 1 과 도 2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동일 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형 접속재(600)는 건물의 중앙부분에서 건물의 각각 측면 방향으로 배선공사가 요구될 때 이용가능하며, 특히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건물의 중앙부분은 실내의 인테리어적인 미려함이 요구되고, 일정한 규격 형태는 실내의 균일한 조도를 좌우하게 될 것이므로, 일정한 규격과 일 체형으로 되어 조명의 위치를 결정할 것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설명된 도 6에서의 +형 접속재의 경우도 그 단면의 형상은 도 3a는 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배선덕트의 경우도 도 3b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재와 배선덕트의 결합시 연결부재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연결부재가 고정 수단에 의해 배선덕트와 연결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T자형의 경우 만을 예를들고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연결부재가 사용되는 방식과 구조는 L자형과 +형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자형 접속재(800)에 연결부재(801)가 사용되는 경우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소정의 연결부재를 이용하고 고정수단(103)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고정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고정수단이 사용되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801)는 배선덕트 (101)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01b)의 폭과 일치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어 상기 슬라이딩 홈(30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 배선덕트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내장형 접속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접속재와 배선덕트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와 고정수단의 결합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0에서는 T자형의 경우 만을 예를 들고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연결부재가 사용되는 방식과 구조는 L자형과 +형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덕트(1001)가 내장형 T자형 접속재(1000)의 외부로 결합된다. 이는 내장형 접속재의 경우 측면 형상이 배선덕트의 내부측면의 돌기 홈(1003)이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내장형 접속재의 하부(보는 방향에 따라 상부도 될 수 있음)에 돌기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기는 는 배선덕트와 내장형 접속재의 하부면이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중앙의 돌기는 접속홈(1005)을 형성하여 연결부재가 삽입되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로 배선덕트 대신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덕트 대신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조명을 위해 건물의 각 부분에서 사용될 때 다양한 결합 구조가 요구되고, 이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결합구조인 T자 형, L자 형, +형 접속재 구조가 이용된다. 또한 외장형 접속재 구조와 내장형 접속재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는 상부와 양단부가 개방되어 형광등 등의 램프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과 안정기 등이 배선덕트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형광등 등의 램프가 결합되는 조명용 램프홀더, 상기 램프홀더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램프홀더지지대 및 상기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하부와 양측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덕트의 하부는 조명용 램프홀더, 램프홀더지지대 및 형광등 등의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납된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이 소정의 반사율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면 처리가 된 소정의 굴곡면을 갖는 반사면을 갖는다.
상기 반사면은 알루미늄 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반사면을 갖도록, 알루미늄 중에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Anodized Aluminum Sheet)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배선덕트의 하부를 구성하고 아노다이징 공법으로 반사면 처리를 하면 총반사율이 94%이상, 등기구효율이 90%이상의 고조 도, 고효율의 반사면을 만들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타원형으로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그 사용용도 및 외관상의 인테리어효과를 위해 다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을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지 않고, 반사율이 높은 반사용 고조도 백색도장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반사용 고조도 백색도장의 반사율은 그 재료의 특성에 따라 반사율을 달리 하나, 백색도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반사율이 94%이상의 반사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덕트의 하부의 반사면 중심축에 위치하는 상부는 배선덕트의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단차턱을 형성하여 연결부와의 접속, 볼트머리 수납 및 램프홀더 등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등기구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 및 안정기 등을 상기 배선덕트의 내부로 수납한 후에 배선덕트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부덮개가 이용된다.
이러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가 이용될 경우 결합구조와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조와 방법이 적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장형 접속재 구조와 내장형 접속재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 또는 접속재의 외부면에 배선공사시 이용될 수 있는 지시수단을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선덕트 등을 이용하여 배선공사시에 고유한 작업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작업지시수단을 베선덕트, 접속재 등에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는 전원공급측 기준으로 접속방향을 표시하는 것이고 이는 그 형상과 색상, 부호를 달리 함으로써 다양하게 표현 가능하다. 또한 L1으로 표시된 것은 전원회로번호를, 2S로 표시된 것은 점등회로수를, 4W로 표시된 것은 전선수를, A로 표시된 것은 규격을, R로 표시된 것은 조립형태를 32W로 표시된 것은 램프출력을, 1L로 표시된 것은 램프수량을 나타낸다.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우선 접속재 또는 다수개의 배선덕트 각각에는 배선작업시 요구되는 전원공급방향, 전원의 회로번호, 점등회로수, 전선수, 규격, 조립형태, 램프 출력, 램프수량 을 나타내는 작업지시수단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작업지시수단에 따라 전원공급방향, 전원의 회로번호, 점등회로수, 전선수, 규격, 조립형태, 램프 출력, 램프수량을 확인하여 요구되는 배선, 회로, 램프를 배선덕트에 구비한 후, 배선덕트를 상기 접속재에 접속하면 된다.
상기의 작업지시수단은 해당제품을 공장내에서의 제작조립작업의 일관성과 공사현장에서의 설치조립작업의 일관성을 이루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해당제품을 작업현장에서 설치시 기초열(배선덕트가 정렬되는 방향을 말함)과 접속열(접속재의 가로방향을 말함)의 수직, 수평유지를 위해 사용되고, 거리간격의 과부족을 보상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접속재와 배선덕트 등의 거리 와 간격을 상기 작업지시수단에 의해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공장 내에서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제조작업자가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공정 상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품의 검수 담당자나 출고 담당자가 요구되는 제품과 해당목적을 만족하는 사양의 제품관리 측면에서 판별의 기준이 되며, 현장에서는 작업자는 상기의 소정의 작업지시수단을 보고 배선공사를 진행하게 하므로 이는 별도의 작업설계도 등을 보지 않고서도 배선공사에 요구되는 사항을 빨리 이해하여 작업을 진행 할 수 있고, 시설설치 이후에도 관리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도 유지보수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 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배선공사에 있어 배선덕트를 건물의 구조에 맞게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시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상으로도 일체형을 지향하여 인테리어적인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에 적용할 경우 외관상 뿐만 아니라, 균일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선 공사시 배선덕트나 접속재 등에 작업지시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설계도 등을 별도로 보지 않고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T자 형, L자 형,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와 각각의 단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진 상부와 측면이 폐쇄되며, 상기 각각의 단부는 소정 형상의 배선덕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덕트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접속재와;
    상기 접속재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소정 형상의 다수 개의 배선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는 하부에 조명용 램프홀더, 램프홀더지지대 및 형광등 등의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납된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이 소정의 반사율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면 처리가 된 소정의 굴곡면을 갖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배선덕트 각각에는 형성된 측면 외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방된 일측에 돌출된 체결부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재에는 상기 배선덕트 본체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배선덕트와 상기 접속재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 또는 상기 다수개의 배선덕트 각각에는 배선작업시 요구되는 소정의 작업지시수단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등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1020040096981A 2004-11-24 2004-11-24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10065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981A KR100653330B1 (ko) 2004-11-24 2004-11-24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981A KR100653330B1 (ko) 2004-11-24 2004-11-24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230A true KR20060058230A (ko) 2006-05-30
KR100653330B1 KR100653330B1 (ko) 2006-12-01

Family

ID=3715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981A KR100653330B1 (ko) 2004-11-24 2004-11-24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3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84B1 (ko)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10008663A (ko)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KR20220007420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KR20220007413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KR102354461B1 (ko) * 2021-02-19 2022-01-20 김건언 덕트 일체형 조명등기구
EP4007096A1 (de) * 2020-11-25 2022-06-01 OBO Bettermann Hungary Kft. An einer begrenzungsfläche eines gebäudes festlegbares kabelrinnensystem
KR20220081611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20230054125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주차 표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64Y1 (ko) 2009-08-03 2011-10-27 김석효 로터리 타입 전등용 덕트 연결장치
KR101014827B1 (ko) 2009-08-10 2011-02-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연결부재
EP3171471B1 (en) 2014-07-14 2020-11-04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able channel adapter and cable distribution system
KR101679656B1 (ko) 2015-03-10 2016-11-25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연결 브라켓
KR102542145B1 (ko) 2021-02-15 2023-06-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024Y1 (ko) * 1993-08-16 1998-04-13 김정한 청정실의 천정설치용 필터유니트의 지지장치
JPH09289718A (ja) * 1996-04-23 1997-11-04 Panduit Corp 配線ダクト分岐インサート
KR200207493Y1 (ko) * 2000-07-07 2000-12-15 김경미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JP2002313504A (ja) 2001-04-11 2002-10-25 Hideki Kato 電気配線プラグ及びダク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84B1 (ko)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10008663A (ko)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KR20220007420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KR20220007413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EP4007096A1 (de) * 2020-11-25 2022-06-01 OBO Bettermann Hungary Kft. An einer begrenzungsfläche eines gebäudes festlegbares kabelrinnensystem
KR20220081611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레이스웨이 설치구조
KR102354461B1 (ko) * 2021-02-19 2022-01-20 김건언 덕트 일체형 조명등기구
KR20230054125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주차 표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330B1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330B1 (ko)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US11428373B2 (en) Edge lit fixture
US10422518B2 (en) Flat panel lighting device
JP6189361B2 (ja) 照明モジュール
US7896529B2 (en)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US20090237958A1 (en) Low-clearance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US11408569B2 (en) Mounting system for retrofit light installation into existing light fixtures
CA2898902A1 (en) Led light modul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WO2021077943A1 (zh) 防止塌陷的灯具
US10731826B2 (en) Low profile LED luminaire with low bright to dark ratio
KR20110059146A (ko) Led 조명용 고조도 반사갓
KR20120059041A (ko) 방열구조를 갖는 다용도 엘이디등기구용 조명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조명
JP6111497B2 (ja) 照明器具
KR101848801B1 (ko) 조명 장치
GB2574138A (en) High bay Luminaire
JP7203354B2 (ja) 照明器具
WO2009107193A1 (ja) 照明方法
CN220228945U (zh) 天花灯槽构件
KR101652816B1 (ko) 조명 장치
JP6626670B2 (ja) 照明装置の器具本体構造
JP6827697B2 (ja) インテリア建材
JP2017054611A (ja) 照明装置の器具本体構造
KR101588168B1 (ko) 천정 패널 고정장치
KR101652775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