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413A -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 Google Patents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413A
KR20220007413A KR1020200085594A KR20200085594A KR20220007413A KR 20220007413 A KR20220007413 A KR 20220007413A KR 1020200085594 A KR1020200085594 A KR 1020200085594A KR 20200085594 A KR20200085594 A KR 20200085594A KR 20220007413 A KR20220007413 A KR 20220007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ide wall
duct
expansion brack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077B1 (ko
Inventor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20008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이 지지되는 수용통로를 제공하는 베이스 덕트와, 서로 다른 베이스 덕트 사이를 상호 연결하고 수용통로가 연속되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덕트와, 수용통로가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에 장착되는 제1 확장 브라켓과, 연결통로가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연결 덕트의 연결 측벽에 장착되는 제2 확장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 확장 브라켓은 베이스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측벽부와, 베이스 측벽의 내벽측에 걸리도록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 걸림턱부와, 베이스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외측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GUIDE DUCT APPARATUS AND EXTENSION BRACKET THEREOF}
본 발명은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구조의 가이드 덕트의 설치 없이도 케이블의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킬 수 있고,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선로 가이드 덕트가 사용된다. 선로 가이드 덕트는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을 수용하여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배선의 정리 상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광케이블이나 광점퍼코드의 보호 및 효율적인 배선관리를 위해서는, 광선로 가이드 덕트(Fiber Raceway System)가 사용된다. 광선로 가이드 덕트는 광케이블의 광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일정 곡률을 유지하여 포설되도록 가이드한다.
그런데, 서비스 수요 증가로 인한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케이블을 증설하는 경우, 광선로 가이드 덕트 내 광케이블의 수용양이 증가되면, 광선로 가이드 덕트 내 지나치게 많은 양의 광케이블이 수용되므로, 광케이블의 포설 및 배선관리에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광선로 가이드 덕트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광선로 가이드 덕트 위에, 동일한 구조의 광선로 가이드 덕트를 적층 형태로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동일한 구조의 광선로 가이드 덕트를 적층하여 설치하는 경우, 데이터 센터 및 국사 내 설치된 전선로 계통 상에 광선로 가이드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광선로 가이드 덕트 위에 동일한 구조의 광선로 가이드 덕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광선로 가이드 덕트의 설치를 위한 공간적인 제한이 발생될 수 있고, 광선로 가이드 덕트의 추가 증설에 따른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특허문헌 : 국내 공개특허 10-2007-0104117호 (2007. 10. 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케이블의 수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이 지지되는 베이스 덕트와 서로 다른 상기 베이스 덕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에 장착되는 제1 확장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덕트의 연결 측벽에 장착되는 제2 확장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측벽부; 상기 베이스 측벽의 내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 걸림턱부; 및 상기 베이스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외측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연결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연결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외측 걸림턱부; 및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외측 걸림턱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제1 결합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는 상기 베이스 레일홈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이 지지되는 수용통로를 제공하는 베이스 덕트; 서로 다른 상기 베이스 덕트 사이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수용통로가 연속되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덕트; 상기 수용통로가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에 장착되는 제1 확장 브라켓; 및 상기 연결통로가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연결 덕트의 연결 측벽에 장착되는 제2 확장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측벽부; 상기 베이스 측벽의 내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 걸림턱부; 및 상기 베이스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외측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연결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연결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외측 걸림턱부; 및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외측 걸림턱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제1 결합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는 상기 베이스 레일홈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일 구조의 가이드 덕트의 추가 설치 없이도, 덕트에 설치된 확장 브라켓을 통해, 케이블의 수용량을 덕트의 높이 방향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확장 브라켓을 통해 케이블의 수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동일 구조의 가이드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비용에 비하여, 인프라 증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덕트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덕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덕트 장치의 제1 확장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덕트 장치의 제2 확장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덕트 장치(10)는, 베이스 덕트(100), 연결 덕트(200), 제1 확장 브라켓(300) 및 제2 확장 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덕트(100)는 장치 간 배선된 케이블을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다. 베이스 덕트(1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직선형 덕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덕트(100)에는 케이블(일 예로, 광케이블)이 지지되는 수용통로(101)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통로(101)에는 복수의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덕트(100)는 소위 레이스웨이(raceway)라 불리는 광선로 가이드 덕트일 수 있다.
베이스 덕트(100)는 연결 덕트(200)를 사이에 두고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덕트(100)는 연결 덕트(200)를 통해 4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덕트(100)는 측벽에 연결 덕트(200)가 관통 가능한 일자 형태의 메인 덕트(100a)와, 연결 덕트(200)를 통해 메인 덕트(100a)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일자 형태의 서브 덕트(100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메인 덕트(100a) 및 서브 덕트(100b)는 연결 덕트(200)를 통해 서로 4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덕트(100b)가 연결 덕트(200)를 통해 메인 덕트(100a)의 측벽에 결합되는 형태로, 케이블의 교차 구간을 제공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복수의 베이스 덕트(100) 간에 다양한 결합 구조를 통해, 케이블의 교차 구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4개의 베이스 덕트(100)의 단부가 서로 4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각각의 베이스 덕트(100), 다시 말해, 메인 덕트(100a) 및 서브 덕트(100b)는, 베이스 지지부(110), 베이스 레일홈부(120) 및 베이스 보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베이스 지지부(110), 베이스 레일홈부(120) 및 베이스 보강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베이스 지지부(110)는 베이스 측벽(111)과 지지판(112)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개했을 때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덕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부(110)의 내측에는 수용통로(1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지지부(110)는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측벽(111)과, 수용통로(101)가 형성되도록 베이스 측벽(111) 사이를 연결하는 베이스 지지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부(110)의 외면에는 베이스 레일홈부(120) 및 베이스 보강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일홈부(120)는 베이스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레일홈부(120)는 베이스 지지부(110)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일홈부(120)는 베이스 지지부(110)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베이스 지지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일홈부(120)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체결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베이스 덕트(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레일홈부(120)에는 체결부재가 고정 가능한 레일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일홈부(120)는 베이스 지지부(110)의 외면에서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보강부(130)는 베이스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격벽을 갖는 중공관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보강부(130)는 베이스 지지부(11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도록 베이스 지지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보강부(130)는 베이스 덕트(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보강부(130)는 베이스 지지부(110)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지지부(110)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보강부(130)는 베이스 지지부(110)의 외면에서 베이스 레일홈부(120)와 폭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확장 브라켓(300)은 수용통로(101)가 베이스 덕트(100)의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측벽(1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확장 브라켓(30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측벽(1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확장 브라켓(300)은 제1 측벽부(310), 제1 내측 걸림턱부(320), 제1 외측 걸림턱부(330), 제1 결합 홈부(340), 제1 커버부(350) 및 제1 보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310)는 베이스 측벽(111)과 동일 수직 평면상에 위치 가능한 확장 측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측벽부(310)는 베이스 측벽(111)의 상단에 설치되어, 베이스 덕트(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임으로써, 수용통로(101) 내 케이블의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부(310)의 하단과 제1 내측 걸림턱부(320) 간 연결 부위는, 부러짐 보강을 위한 적절한 곡률 반경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여 제1 측벽부(310)의 하단과 제1 내측 걸림턱부(320) 간 연결 부위의 곡률 반경값은 R4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내측 걸림턱부(320)는 제1 측벽부(310)의 하단에서 베이스 덕트(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확장 브라켓(300)이 베이스 덕트(100)에 장착될 때, 제1 내측 걸림턱부(320)는 베이스 측벽(111) 상단의 내벽측에 밀착되므로, 제1 내측 걸림턱부(320)는 베이스 측벽(111)의 내벽측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1 외측 걸림턱부(330)는 베이스 레일홈부(120)를 감싸도록 제1 측벽부(310)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외측 걸림턱부(330)는 제1 측벽부(310)의 하단에서 베이스 덕트(100)의 외측방향(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331)와, 이러한 단차부(331)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331)의 돌출길이는 베이스 레일홈부(120)의 돌출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331)와 제1 측벽부(310)의 사이에는 베이스 측벽(111)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걸림턱(3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 브라켓(300)이 베이스 덕트(100)에 장착될 때, 제1 외측 걸림턱부(330)는 베이스 측벽(111) 상단의 외벽측에 밀착되므로, 제1 외측 걸림턱부(330)는 베이스 측벽(111)의 외벽측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덕트(100)의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외측 걸림턱부(330)의 연장 길이는, 베이스 덕트(100)의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내측 걸림턱부(320)의 연장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확장 브라켓(300)을 베이스 덕트(100)의 외측에서 베이스 덕트(100)에 장착할 때, 제1 확장 브라켓(300)을 보다 용이하게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측벽(111)에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내측 걸림턱부(320)와 제1 외측 걸림턱부(330) 간 거리는, 베이스 측벽(111)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내측 걸림턱부(320)과 제1 외측 걸림턱부(330) 간 거리는, 베이스 측벽(111)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 제1 확장 브라켓(300)이 베이스 덕트(100)에 장착될 때, 제1 확장 브라켓(300)은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측벽(111)에 효과적으로 끼어져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부(340)는 체결부재가 관통 가능한 홈 형태로 제1 외측 걸림턱부(330)에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제1 결합 홈부(340)를 관통하여 베이스 레일홈부(120)에 고정되므로, 제1 확장 브라켓(300)을 베이스 덕트(100)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결합 홈부(340)는 제1 외측 걸림턱부(330)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개방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부(340)가 제1 외측 걸림턱부(330)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요입 연장되면, 체결부재가 베이스 레일홈부(120)에 가조립(가체결)된 상태에서, 제1 확장 브라켓(300)을 베이스 덕트(100)에 하방향으로 끼워 장착할 수 있고, 제1 확장 브라켓(300)을 베이스 덕트(100)에 장착된 이후, 체결부재를 조여 제1 확장 브라켓(300)을 베이스 덕트(100)에 최종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1 확장 브라켓(300)와 베이스 덕트(100) 간 조립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50)는 제1 측벽부(310)의 상단에서 베이스 덕트(1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50)는 수용통로(101)의 상측 공간을 일부 덮을 수 있으므로, 수용통로(101) 내 수용된 케이블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60)는 제1 측벽부(310)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리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60)는 제1 측벽부(310)의 외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60)는 제1 측벽부(3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확장 브라켓(400)은 연결통로(201)가 베이스 덕트(100)의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연결 덕트(200)의 연결 측벽(2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확장 브라켓(40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 레일홈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확장 브라켓(400)은 제2 측벽부(410), 제2 외측 걸림턱부(430), 제2 결합 홈부(441), 제2 커버부(450), 제2 보강부(460) 및 제2 고정 홈부(442) 및 제2 코너 걸림턱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부(410)는 연결 측벽(211)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 가능한 확장 측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측벽부(410)는 연결 측벽(2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연결 덕트(200)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임으로써, 연결통로(201) 내 케이블의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외측 걸림턱부(430)는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레일홈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2 측벽부(410)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외측 걸림턱부(430)는 제2 측벽부(410)의 하단에서 연결 덕트(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후,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확장 브라켓(400)이 연결 덕트(200)에 장착될 때, 제2 외측 걸림턱부(43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측벽(111) 상단의 외벽측에 밀착되므로, 제2 외측 걸림턱부(430)는 베이스 측벽(111)의 외벽측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2 결합 홈부(441)는 제2 외측 걸림턱부(430)의 일측단부에서, 체결부재가 관통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제2 결합 홈부(441)를 관통하여 베이스 레일홈부(120)에 고정되므로, 제2 확장 브라켓(400)을 베이스 덕트(10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커버부(450)는 제2 측벽부(410)의 상단에서 연결 덕트(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부(450)는 연결통로(201)의 상측 공간을 일부 덮을 수 있으므로, 연결통로(201) 내 수용된 케이블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보강부(460)는 제2 측벽부(410)의 외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리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보강부(460)는 제2 측벽부(410)의 외면에서 연결 덕트(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보강부는 제2 측벽부(4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고정 홈부(442)는 제2 외측 걸림턱부(430)의 타측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고정 홈부(442)는 베이스 덕트(100)의 호환을 위한 추가적인 체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코너 걸림턱부(470)는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레일홈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2 측벽부(410)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외측 걸림턱부(430)는 제2 측벽부(410)의 하단에서 연결 덕트(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후,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너 걸림턱부(470)는 제2 측벽부(410)의 하단에서 제2 외측 걸림턱부(430) 보다 짧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연결 덕트(200)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코너 걸림턱부(470)가 짧게 형성되므로, 제2 코너 걸림턱부(470)의 곡률이 연결 지지판(212)의 곡률과 다소 상이하더라도, 제2 코너 걸림턱부(470)이 연결 지지판(212)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제2 확장 브라켓(400)이 연결 덕트(200)에 장착될 때, 제2 코너 걸림턱부(470)는 연결 덕트(200)의 연결 측벽(21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연결 덕트(2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곡선형 덕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덕트(200)는 케이블의 코너 구간을 제공하도록 서로 다른 베이스 덕트(100) 사이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덕트(200)에는 수용통로(101)가 연속되는 연결통로(20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덕트(200)는 베이스 덕트(100)는 연결 덕트(200)를 사이에 4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덕트(100)는 측벽에 연결 덕트(200)가 관통 가능한 일자 형태의 메인 덕트(100a)와, 연결 덕트(200)를 통해 메인 덕트(100a)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일자 형태의 서브 덕트(100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메인 덕트(100a) 및 서브 덕트(100b)는 연결 덕트(200)를 통해 서로 4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덕트(200)는 연결 지지부(210) 및 연결 보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지지부(210)는 'U'자 단면을 가지는 곡선형 덕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지지부(210)의 내측에는 연결통로(2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연결 지지부(210)는 베이스 측벽(111)에 연속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연결 측벽(211)과, 연결통로(201)가 형성되도록 연결 측벽(2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보강부(220)는 베이스 덕트(100)의 베이스 레일홈부(120)에 연속되도록 연결 측벽(211)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보강부(220)는 연결 측벽(211)의 상단 가장자리부에서 연결 덕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의 수용량이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경우, 제1 확장 브라켓(300)의 제1 측벽부(310) 및 제2 확장 브라켓(400)의 제2 측벽부(410)의 높이를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 측벽부(310) 및 제2 측벽부(410)의 높이보다 더 높임으로써, 보다 많은 케이블을 가이드 덕트 장치 내에 수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베이스 덕트 100a: 메인 덕트
100b: 서브 덕트 110: 베이스 지지부
120: 베이스 레일홈부 130: 베이스 보강부
200: 연결 덕트 210: 연결 지지부
211: 연결 측벽 212: 연결 지지판
220: 연결 보강뷰 300: 제1 확장 브라켓
310: 제1 측벽부 320: 제1 내측 걸림턱부
330: 제1 외측 걸림턱부 341: 제1 결합 홈부
350: 제1 커버부 360: 제1 보강부
400: 제2 확장 브라켓 410: 제2 측벽부
430: 제2 외측 걸림턱부 441: 제2 결합 홈부
450: 제2 커버부 460: 제2 보강부

Claims (10)

  1. 케이블이 지지되는 베이스 덕트와 서로 다른 상기 베이스 덕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에 장착되는 제1 확장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덕트의 연결 측벽에 장착되는 제2 확장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측벽부;
    상기 베이스 측벽의 내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 걸림턱부; 및
    상기 베이스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외측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연결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연결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외측 걸림턱부; 및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외측 걸림턱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 홈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제1 결합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는
    상기 베이스 레일홈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6. 케이블이 지지되는 수용통로를 제공하는 베이스 덕트;
    서로 다른 상기 베이스 덕트 사이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수용통로가 연속되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덕트;
    상기 수용통로가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측벽에 장착되는 제1 확장 브라켓; 및
    상기 연결통로가 높이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연결 덕트의 연결 측벽에 장착되는 제2 확장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측벽부;
    상기 베이스 측벽의 내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 걸림턱부; 및
    상기 베이스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외측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연결 측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측벽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연결 측벽의 외벽측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측벽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외측 걸림턱부; 및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외측 걸림턱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 홈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덕트의 베이스 레일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제1 결합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걸림턱부는
    상기 베이스 레일홈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 브라켓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연결통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가이드 덕트 장치.
KR1020200085594A 2020-07-10 2020-07-10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래킷 KR10247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94A KR102474077B1 (ko) 2020-07-10 2020-07-10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94A KR102474077B1 (ko) 2020-07-10 2020-07-10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413A true KR20220007413A (ko) 2022-01-18
KR102474077B1 KR102474077B1 (ko) 2022-12-05

Family

ID=8005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594A KR102474077B1 (ko) 2020-07-10 2020-07-10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30A (ko) * 2004-11-24 2006-05-3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20070104117A (ko)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30A (ko) * 2004-11-24 2006-05-3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20070104117A (ko)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077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918B2 (en) Cable guiding fins
EP1323220B1 (en) Cable trough with separate side elements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EP1372991B1 (en) Low profile optical cable exit trough
AU2018282687A1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system with staggered cable guides
US103455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and distributing a single optical fiber cable to multiple rack shelves
WO1997031281A1 (en) Multi-media connection housing
WO1998047211A1 (en) Outside corner fitting for use in a duct system
US8628157B2 (en) Cabinet cable management
RU2251181C2 (ru) Проходная арматура для монтажного короба и монтажный короб с такой арматурой
JP2021013230A (ja) 配索材固定体
US6567602B2 (en) Fiber-optic cable trough, low-profile PCB mount
ITTO20040021U1 (it) Scatolette per frutti elettrici per il montaggio in scatole di derivazione da pavimento
KR20220007413A (ko)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US6307999B1 (en) Fiber-optic cable routing and separating device
KR101562912B1 (ko) 인장선 고정부를 가지는 ftth 댁내용 단자함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신호 전송장치
KR200456289Y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KR20220007420A (ko) 가이드 덕트 장치
KR102078155B1 (ko) 접속함체용 여장판
WO2016008076A1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CN108999776B (zh) 一种水泵支架结构及天花机
CN221447978U (zh) 一种水平梯槽一体式线槽
KR200358856Y1 (ko)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JP5579801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2602179B1 (ko)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및 광섬유 커넥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